이올라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올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헤라클레스의 조카이자 동반자였다. 이피클레스와 오토메두사의 아들로, 메가라와 결혼하여 레이페필레네를 낳았다. 그는 헤라클레스의 히드라 퇴치를 도왔으며,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 아르고나우타이 원정, 올림픽 전차 경주 등 여러 모험에 참여했다. 헤라클레스 사후에는 에우리스테우스를 죽이고 사르데냐로 이주하여 도시를 건설했으며, 사르데냐에서 숭배받았다. 테베의 체육관과 나비의 속, 외계 행성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피클레스와 오토메두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오토메두사는 메가라 왕 알카토오스의 딸이었다. 메가라와 결혼하여 레이페필레네를 낳았다. 이올라오스는 레이페필레네를 통해 코린토스 왕들의 신화적, 역사적 계보의 시조가 되었으며, 이 계보는 텔레스테스에서 끝났다.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의 전차 몰이꾼이자 동반자로, 여러 모험에 함께 했다. 레르네의 히드라 퇴치 때에는 숲을 불태워 히드라의 머리가 다시 자라나는 것을 막는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1][2] 하지만 이 도움 때문에 에우뤼스테우스는 히드라 퇴치를 헤라클레스의 과업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헤라클레스는 12가지 과업을 모두 마친 후, 자신의 아내 메가라를 이올라오스와 결혼시켰다.
테베의 체육관은 이올라오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체조 및 승마 경기로 구성된 운동 경기 축제인 ''이올라이아'' 또는 ''이올라에아'' (Ιολάεια|이올라이아el)가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매년 테베에서 열렸다.[10] ''이올라에아''의 우승자는 은매화 화환을 수여받았다.[11]
[1]
서적
Pelopidas
http://classics.mit.[...]
2. 가족 관계
3. 신화 속 행적
이올라오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 아르고나우타이 원정에도 참여했으며, 올림피아 제전과 펠리아스의 장례 경기에서 전차 경주로 우승하기도 했다.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이다이를 따라 에우리스테우스의 박해를 피해 방랑하다 마라톤에서 데모폰의 보호를 받았다. 에우리스테우스와의 전투에서 이올라오스는 헤베와 제우스에게 하루만 젊음을 되돌려 달라고 빌었고, 이 소원이 이루어져 젊은 모습으로 돌아와 에우리스테우스를 사로잡아 죽였다.[25][26]
이후 이올라오스는 아티카인과 테스피아이인을 이끌고 사르데냐로 이주하여, 올비아 시를 건설했다.[28][29][30] 테베 전승에 따르면 이올라오스는 사르데냐에서 죽었으며, 그곳에서 숭배되었다고 한다.[29][30]
3. 1. 헤라클레스와의 관계
플루타르코스는 펠로피다스의 생애에서 테베의 성스러운 부대를 묘사하며 "이것은 헤라클레스의 노고를 돕고 그의 곁에서 싸웠던 이올라오스가 그에게 사랑을 받았다는 전통이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지어 그의 시대에도 연인들이 이올라오스의 무덤에서 맹세를 했다고 언급한다."라고 말했다.[1][2]
이올라오스는 종종 헤라클레스의 전차 몰이꾼이자 동반자 역할을 했다. 헤라클레스가 레르네의 히드라를 퇴치할 때,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의 전차를 몰고 레르네에 동행했다. 이올라오스는 숲을 불태워 그 불탄 나무로 히드라의 머리를 태워 재생하는 것을 막는 방식으로 헤라클레스를 도왔다. 그러나 에우뤼스테우스는 이올라오스가 도왔다는 이유로 히드라 퇴치를 헤라클레스의 과업에서 제외했다.
이올라오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 아르고나우타이 참가, 올림피아 제전과 펠리아스의 장례 경기에서 전차 경주 승리 등 헤라클레스의 다른 모험에도 동행했다.
3. 1. 1. 히드라 퇴치
헤라클레스가 그의 두 번째 과업인 히드라와의 싸움에서 이올라오스는 필수적인 도움을 주었다. 헤라클레스가 머리가 잘릴 때마다 두 개의 머리가 돋아나는 히드라에게 압도당하자,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가 머리를 벨 때마다 각 목을 소작하는 방식으로 도왔다.[9]
3. 1. 2. 그 외의 모험
헤라클레스가 그의 두 번째 과업인 히드라와 싸울 때 이올라오스는 필수적인 도움을 주었다. 헤라클레스가 머리가 잘릴 때마다 두 개의 머리가 돋아나는 히드라에게 고전하자,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가 머리를 벨 때마다 각 목을 소작하는 방식으로 도왔다.
헤라클레스는 그의 아내 메가라를 33세에 불과했던 16세의 이올라오스에게 주었다. 이는 메가라를 보는 것이 세 자녀를 살해한 일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딸 레이페필레네를 두었다. 그는 헤라클레스의 자손 중 한 명이었다.
소포클레스의 ''필로크테테스''에서 필로크테테스는 장례 화톳불에 불을 붙인 보상으로 헤라클레스의 활과 화살을 받았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이올라오스는 테스피오스의 50명의 딸들과 헤라클레스가 낳은 아들 아홉 명과 함께 헤라클레스에 의해 사르데냐로 보내져 섬을 식민지화했고, 이로 인해 이올레이족이 생겨났다. 이올라오스와 테스피오스는 사르데냐에 묻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르데냐에서 잠복기 의식을 행했는데, 이는 악몽과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한 해방 의식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의식에는 악몽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영웅의 무덤 옆에서 잠을 자는 것이 포함되었다.
킬리키아의 심플리키우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 8권에서 "헤라클레스가 테스피오스에게서 얻어 이올라오스의 식민지와 함께 사르데냐로 온 아홉 명의 영웅의 시신을 안치하고 보존했던 장소가 유명한 신탁이 되었다"고 덧붙인다.
솔리누스는 "그(이올라오스)에 의해 이름 붙여진 이올리안족은 그가 사르데냐를 많은 재앙에서 구했기 때문에 그의 무덤에 사원을 추가했다."라고 말했다.
헤라클레스가 레르네의 히드라를 퇴치했을 때,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의 전차를 몰고 레르네에 동행했다.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의 재생하는 머리에 고전하는 것을 보고, 이올라오스는 숲을 불태워 그 불탄 나무로 히드라의 머리를 태워 재생하는 것을 막아 도왔다. 그러나 이 때문에 에우뤼스테우스는 히드라 퇴치를 과업에서 제외했다. 이올라오스는 그 후에도 헤라클레스의 모험에 동행했고, 헤라클레스는 12가지 과업을 달성한 후 이올라오스에게 메가라를 아내로 주었다. 또한 이올라오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과, 아르고나우타이에 참가했고, 올림피아 제전과 펠리아스의 장례 경기에서 전차 경주에서 승리했다.
3. 2. 헤라클레스 사후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늙은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이다이와 함께 에우리스테우스의 박해를 피해 방랑하다가 마라톤에 도착하여 테세우스의 아들 데모폰에게 받아들여졌다. 데모폰은 그들을 위해 에우리스테우스의 군대와 싸우려 했지만, 퓔로스가 원군을 이끌고 나타났을 때, 이올라오스도 참전했다. 전장에서 에우리스테우스의 전차를 발견한 이올라오스는 헤베와 제우스에게 하루만 젊어지게 해달라고 빌었다. 이 소원이 받아들여져 하늘에서 두 개의 별이 나타나자 이올라오스의 전차를 검은 구름이 감쌌고, 그 안에서 젊어진 이올라오스가 나타났다. 이올라오스는 용감하게 싸워 스케이론 바위 부근에서 에우리스테우스를 붙잡아[25] 죽였다[26] . 그러나 에우리스테우스를 벤 것은 퓔로스라고도 한다[27] .
3. 2. 1. 사르데냐 이주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가 테스피오스의 50명의 딸들과 사이에서 낳은 아홉 아들과 함께 사르데냐 섬을 식민지화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이들은 이올레이족의 기원이 되었다. 이올라오스와 테스피오스는 사르데냐에 묻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르데냐에서 악몽과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해방시키기 위한 잠복기 의식이 행해졌다고 전한다. 이 의식에는 악몽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영웅의 무덤 옆에서 잠을 자는 것이 포함되었다.
킬리키아의 심플리키우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 8권에서 "헤라클레스가 테스피오스에게서 얻어 이올라오스의 식민지와 함께 사르데냐로 온 아홉 영웅의 시신을 안치하고 보존했던 장소가 유명한 신탁이 되었다"고 덧붙였다.
솔리누스는 이올리안족이 이올라오스가 사르데냐를 많은 재앙에서 구했기 때문에 그의 무덤에 사원을 추가했다고 기록했다. 이후 이올라오스는 아티카인과 보이오티아의 테스피아이인을 이끌고 사르데냐로 이주했으며,[28][29] 이올라오스는 올비아 시를, 아티카인은 오글뤼레 시를 건설했다.[30] 테바이 전승에 따르면 이올라오스는 사르데냐에서 죽었으며,[29] 섬의 이올라이아에서는 이올라오스를 숭배했다고 한다.[30]
4. 유산
부전나비 나비의 한 속은 그의 이름을 따 이올라오스로 명명되었다.
별 HAT-P-42 (현재 레르나로 명명됨) 주위의 외계 행성은 IAU의 NameExoWorld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참조
[2]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3]
간행물
Moralia
[4]
문서
Metamorphoses
[5]
문서
Philoctetes
[6]
문서
book IV
[7]
문서
Physics
[8]
문서
book IV
[9]
문서
I-16
[10]
시
Olympian Ode
[11]
시
Isthmian Ode
[12]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2019-12-17
[13]
문서
2巻4・11
[14]
문서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15]
문서
9巻40・6
[16]
문서
断片190
[17]
문서
ヘーラクレースの楯
[18]
문서
2巻5・2
[19]
문서
2巻6・1
[20]
문서
変身物語
[21]
문서
173話
[22]
문서
14話
[23]
문서
5巻8・3-8・4
[24]
문서
273話
[25]
문서
ヘーラクレースの子供たち
[26]
문서
1巻44・10
[27]
문서
2巻8・1
[28]
문서
7巻2・2
[29]
문서
9巻23・1
[30]
문서
10巻1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