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은 화강암 자연석에 새겨진 여래 입상이다. 높이 203cm의 판석에 조각되었으며, 소발의 머리와 둥근 상호, 통견의를 착용한 모습이다. 오른손은 아미타여래의 수인을, 왼손은 배 위에 올려놓았다. 불상 주변에는 입석사(立石寺)와 관련된 지명 및 설화가 전해지며, 고려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코 부분이 뭉개지는 등 훼손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향토유적 - 이천 관고동 석불입상
    이천 관고동 석불입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2구의 화강암 석불상으로, 둥근 얼굴, 온화한 상호, 당당한 체구를 지녔으며 연꽃 무늬 대좌 위에 있고, 현재 이천시립월전미술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2009년 보물 제1611호로 지정되었다.
  • 이천시의 향토유적 - 이천 애련정
    애련정은 이천 부사 박종우가 1432년에 처음 건립하고 1455년에 중건한 정자로, 많은 시인들의 시와 기문이 남아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조선 시대 임금들이 휴식을 취하던 장소였으나, 일제에 의해 소실된 후 1998년에 복원되어 현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마애불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마애불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고려의 불상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고려의 불상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높이 1.8m의 석조 보살 좌상으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약왕보살로 추정되고, 안정적인 자세와 화려하고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며, 고려 전기 탑전 공양보살상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정면
동산리 마애여래상 정면
일반 정보
이름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한자 표기利川 東山里 磨厓如來像
유형향토유적
지정 번호9
지정일1986년 4월 14일
해지 여부알 수 없음
주소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동산리 산121
시대알 수 없음
소유자알 수 없음
참고 사항알 수 없음
면적알 수 없음
수량1개
전승지알 수 없음
전승자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문화재청알 수 없음

2. 불상의 모양

화강암 자연석을 다듬어 만든 높이 203cm, 폭 79cm~91cm, 두께 15cm~20cm 크기의 왼쪽으로 기울어진 직사각형 판석 위에 불상이 새겨져 있다.[3] 판석 전면에는 세련되고 유연한 조각 솜씨로 여래 입상을 1cm 깊이의 선각으로 표현하였다.[3]

2. 1. 세부 묘사

머리는 소발이며 육계가 높직하고, 상호(相好)는 둥글고 원만하다. 코 부위는 약간 마멸되어 있다.[4] 두 귀는 양 어깨에까지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4] 옷은 통견으로 입었으며, 옷주름인 의문(衣文)은 사선(斜線) 또는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선으로 새겨 놓았다.[4] 오른손은 가슴에 올려 엄지와 검지를 마주 댄 아미타여래의 구품인 중 상품중생(上品中生)의 수인을 하고 있다. 왼손은 엄지를 구부린 채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 위에 가만히 올려 놓았다.[4] 머리 뒤쪽으로는 지름 약 90cm의 두광이 표현되어 있다.[5] 전체적인 느낌은 입상이지만, 무릎 아래는 표현되어 있지 않아 입상인지 좌상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5]

3. 불상과 입석사(立石寺)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은 동산리(東山里) 마을 남서쪽 대덕산(大德山)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2]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 따르면 과거 이 산에 입석사(立石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진다.[6] 불상 인근에는 '입석(立石)재'라는 고개가 있으며,[7] 현재 마애여래상이 있는 자리가 옛 입석사 터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8] 불상 바로 옆에는 한때 '입석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으나, 1978년 철거되었다.[8]

3. 1. 입석사 관련 설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佛宇條)에는 '입석사재호법리대덕산(立石寺在戶法里大德山)'이라는 기록이 있어, 과거 이 산중에 입석사(立石寺)라는 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6] 또한 불상 서쪽에 '입석(立石)재'라는 고개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애여래상이 새겨진 바위, 즉 입석(立石)에서 지명이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7] 하지만 현재 마애여래상이 있는 자리가 반드시 입석사 터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 마애여래상 서쪽 입석재 고개에는 큰 입석이 따로 있다고 전해진다.[8]

입석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마애여래상 인근 여주시 북내면에는 과거 고달사라는 큰 절이 있었다. 고달사는 국가에서 운영하던 사찰로, 이곳의 국사(國師)나 고승대덕(高僧大德)들이 노년에 입석사에서 좌선(坐禪)하며 머물렀다고 한다.[9][10] 이 때문에 고려 시대 임금들이 고달사에 들렀다가 이 고승들을 만나기 위해 입석사까지 행차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9][10]

한편, 이 불상 바로 옆에는 '입석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으나, 1978년 봄에 불법 건축물이라는 이유로 철거되었다.[8]

3. 2. 입석(立石)과의 관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佛宇條)에는 '입석사재호법리대덕산(立石寺在戶法里大德山)'이라는 기록이 있어, 이 산중에 입석사(立石寺)가 위치했음을 알 수 있다.[6] 또한 불상 서쪽에 '입석(立石)재 고개'라는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지명은 여래상(如來像)이 새겨진 바위, 즉 입석(立石)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7] 하지만 마애여래상이 있는 자리가 바로 입석사 터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 마애여래상 서쪽으로 입석재 고개가 있으며, 그곳에 커다란 입석이 있다고 전해진다.[8]

이 불상 바로 옆에는 입석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으나, 1978년 봄 불법 건축물로 철거되었다.[8]

입석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근처 여주 북내면에는 국가에서 운영하던 큰 절인 고달사가 있었다. 고달사의 국사(國師)를 비롯한 고승들이 노후에 입석사에서 좌선했다고 하며, 이 때문에 고려 임금들이 고달사에 들렀다가 고승들을 만나기 위해 입석사까지 행차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9][10]

4. 불상의 위치와 조성 연대

불상의 현 위치가 원래 불상이 조성되었던 위치인지는 알 수 없다. 양식과 기법, 문헌을 종합하면 불상의 조성연대는 고려 초기~중기로 추정된다.[4][5]

5. 현재 보존 상태

현재 많은 불상이 그렇듯, 동산리 마애여래상도 코 부분이 뭉개져 있는데, 이는 불상의 코를 갈아 마시면 남아를 임신한다는 미신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인용 전체보기 - 미디어이천 https://www.icheon.g[...] 2021-08-06
[2] 웹인용 문화재 - 미디어이천 https://www.icheon.g[...] 2021-08-06
[3] 웹인용 시 지정 문화재 - 문화관광 https://icheon.go.kr[...] 2021-08-06
[4]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5] 웹인용 동산리 마애여래상 https://terms.naver.[...] 2021-08-06
[6] 웹인용 신증동국여지승람 8권 이천도호부 https://blog.daum.ne[...] 2011-08-28
[7] 웹인용 이천시 향토유적 https://memory.libra[...] 2005-01-00
[8] 저널 경기도 메모리 https://memory.libra[...]
[9] 웹인용 대덕산 - 문화관광 https://www.icheon.g[...] 2021-08-06
[10] 웹인용 한국의 산하 - 대덕산 http://www.koreasanh[...]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