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 민주사회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은 1947년 이탈리아 사회당(PSI)의 반공주의자들이 분리되어 창당되었다. 기독교민주당과 협력하며 성장했지만, 1966년 PSI와 통합하여 통일 사회당을 결성했다. 1969년 통합당을 탈퇴하여 PSDI로 복귀했으나, 1980년대 이후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했다. 1990년대 초 부패 스캔들에 연루되어 쇠퇴했고, 1998년 이탈리아 사회당과 합병하여 이탈리아 민주 사회주의자로 재편되었다. 2004년에는 이탈리아 민주 사회주의 정당으로 재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정당 - 오성운동
    2009년 베페 그릴로가 설립한 이탈리아의 정치 운동인 오성운동은 직접 민주주의, 반부패, 환경주의, 반체제적 성향을 특징으로 하며,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2013년 총선에서 제2당, 2018년 총선에서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 이후 지지율 하락과 내부 분열을 겪으며 이념적 스펙트럼과 정책 일관성 부족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
  • 이탈리아의 정당 - 사르데냐 행동당
    사르데냐 행동당은 1921년 창당되어 파시즘 시대에 금지되었지만 재건 후 민주 기독교당과 협력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현재는 영향력을 상실하고 북부연맹과의 연합을 통해 의회에 복귀했으나 다시 몰락하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지역 정당이다.
이탈리아 민주사회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요 인물주세페 사라가트 (초대)
카를로 비치니 (마지막)
창립자주세페 사라가트
창립일1947년 1월 11일
해산일1998년 5월 10일
분리이탈리아 사회당
합병이탈리아 민주사회주의자
본부로마, 라르고 토니올로 16
신문L'Umanità
청년 조직청년 사회민주당
이념사회 민주주의
정치적 위치중도 좌파
약칭PSDI
국제 조직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유럽 정당유럽 사회당 (1992–1994)
유럽 의회유럽 사회당 (1979–1994)
포르차 유로파 (1994–1995)
색상빨강 (공식)
|border=darkgray}} 분홍 (관례)
국가이탈리아
정치적 성향
국내중도 연합 (1947–1958)
유기적 중도좌파 (1962–1976)
통합 사회주의 정당 (1966–1971)
펜타파르티토 (1980–1993)
콰드리파르티토 (1991–1994)

2. 역사

이탈리아 사회당(PSI) 내 피에트로 넨니 지도부가 이탈리아 공산당(PCI)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에 반발한 반공주의 성향의 당원들이 1947년 사회당을 탈당하여 '''이탈리아 노동자사회당'''(Partito Socialista dei Lavoratori Italiani|파르티토 소찰리스타 데이 라보라토리 이탈리아니it, PSLI)을 창당했다. 같은 해 알치데 데 가스페리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서 공산당과 사회당 각료들이 배제되자, PSLI는 내각 지지를 선언하며 기독교민주당(DC)의 주요 협력 정당으로 부상했다.

1951년 다른 소규모 사회주의 정당들과 통합하고, 1952년 최종적으로 당명을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artito Socialista Democratico Italiano|파르티토 소찰리스타 데모크라티코 이탈리아노it, PSDI)으로 확정했다. 1954년부터는 연립 내각에 참여하여 각료를 배출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사회당이 공산당과 거리를 두면서 민주사회당과 사회당의 관계는 다시 가까워졌고, 1963년 사회당이 내각에 참여하면서 두 정당 간의 통합 논의가 시작되었다. 1966년 마침내 사회당과 합당하여 통일 사회당을 결성했으나, 1968년 이탈리아 총선에서의 부진한 성적 이후 사회당이 다시 공산당과의 협력을 모색하자 이에 반발하여 1969년 다시 분리되어 독자 노선을 걸었다(1971년 당명을 PSDI로 환원).

이후 연립 내각에는 꾸준히 참여했으나 정치적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1980년대에는 기독교민주당, 사회당 등과 함께 5당 연립 내각인 ''펜타파르티토''에 참여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이탈리아 정계를 강타한 대규모 부패 스캔들인 마니 풀리테(또는 탕겐토폴리)로 인해 당 소속 인사 다수의 비리가 드러나면서 당세가 급격히 위축되고 많은 당원이 탈당했다.

결국 1998년, 이탈리아 민주사회당은 이탈리아 사회당의 후계 정당 중 하나인 이탈리아 사회주의자(SI) 및 다른 사회주의 그룹과 통합하여 이탈리아 민주 사회주의자(SDI)를 창당하면서 해산되었다. 이후 2004년에 과거 민주사회당의 이념을 계승한다는 명분으로 동명의 정당이 재창당되어 중도좌파 정당 연합인 루니오네에 참여하기도 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47년 ~ 1960년대)

이탈리아 사회당(PSI)을 이끌던 피에트로 넨니가 이탈리아 공산당(PCI)과의 협력을 강화하자, 이에 반발한 사회당 내 반공주의자들이 1947년 당을 나와 '''이탈리아 노동자사회당'''(Partito Socialista dei Lavoratori Italiani|파르티토 소찰리스타 데이 라보라토리 이탈리아니it, PSLI)을 창당했다. 당시 사회당이 공산당과 1948년 이탈리아 총선을 위한 인민 민주 전선 명부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세페 사라가트와 자코모 마테오티의 아들들이 주도한 이 분열은 로마의 한 궁전 이름을 따 '바르베리니 궁전의 분열'이라고도 불린다. 같은 해 알치데 데 가스페리 총리가 내각에서 공산당과 사회당 소속 장관들을 배제하자, PSLI는 가스페리 내각 지지를 선언하며 기독교민주당의 주요 협력 정당으로 자리 잡았다.

1951년 5월 1일, PSLI는 더 작은 규모의 통일 사회당 및 노동 민주당과 통합하여 당명을 '''사회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이탈리아 지부'''(Partito Socialista – Sezione Italiana dell'Internazionale Socialista|파르티토 소찰리스타 – 세치오네 이탈리아나 델인테르나치오날레 소찰리스타it, PS–SIIS)로 변경했다. 이후 1952년 1월 7일, 당명을 최종적으로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artito Socialista Democratico Italiano|파르티토 소찰리스타 데모크라티코 이탈리아노it, PSDI)으로 확정했다. PSDI는 1954년부터 내각에 참여하여 각료를 배출하기 시작했으며, 1949년부터 1965년까지 당원들이 ''국립 사회 보장 연구소''(INPS)의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14]

1950년대 들어 사회당(PSI)이 공산당과의 관계를 점차 멀리하면서, 민주사회당(PSDI)과 사회당 간의 관계는 다시 가까워졌다. 1963년 사회당이 내각에 참여하게 되면서 두 정당 간의 합당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결과, 1966년 두 당은 합당하여 통일 사회당을 결성했다. 그러나 1968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통합 정당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두었다. 선거 패배 이후 사회당이 다시 공산당과의 협력을 모색하자, 이에 반발한 구 민주사회당 세력은 1969년 통합 정당을 탈퇴하여 '''통일 사회당'''(Partito Socialista Unitario|파르티토 소찰리스타 우니타리오it, PSU)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15] (PSU는 1971년 다시 PSDI로 당명을 변경한다.)

2. 2. 사회당과의 통합과 분열 (1960년대 ~ 1970년대)

1950년대이탈리아 사회당(PSI)이 이탈리아 공산당(PCI)과의 협력에서 거리를 두면서, 민주사회당(PSDI)과 사회당 간의 관계가 다시 가까워졌다. 1963년 사회당이 내각에 참여하게 되면서 두 정당 간의 통합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1964년의 당 대표 주세페 사라가트


1966년, 마침내 민주사회당은 사회당과 합당하여 통일 사회당( Partito Socialista Unificato|파르티토 소찰리스타 우니피카토it, PSU)을 결성했다. 이는 분열되었던 사회주의 세력의 통합을 위한 중요한 시도였다. 통합 정당은 1968년 이탈리아 총선에 연합 명부로 참여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선거 결과에 실망한 사회당 내 일부 세력이 다시 공산당과의 협력을 모색하면서, 이에 반발한 옛 민주사회당 계열이 1969년 통합 정당에서 탈퇴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통일 사회당'(PSU)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으나[15], 1971년에 다시 본래의 당명인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으로 돌아왔다.

1970년대 동안 민주사회당은 연립 내각에 지속적으로 참여했지만, 사회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정치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2. 3. 펜타파르티토와 쇠퇴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은 기독교민주당(DC), 이탈리아 사회당(PSI), 이탈리아 공화당(PRI), 이탈리아 자유당(PLI)과 함께 5당 연합, 이른바 ''펜타파르티토''(Pentapartito)에 참여했다. 이 연립 정부는 1991년까지 이탈리아 정치를 주도했으며, PRI가 빠진 후에도 1994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이 연합 내에서 민주사회당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미미했고, 더 강력한 이탈리아 사회당의 영향력에 가려지는 경향이 있었다.[16][17][18] 국제적으로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회원이었으며, 유럽 사회당(PES)의 창립 회원국이기도 했다. 유럽 의회에서는 1979년부터 소속 의원들이 사회주의 그룹에 속해 활동했다.[16][17][18]

하지만 1990년대 초 이탈리아 정계를 강타한 대규모 부패 스캔들인 ''마니 풀리테''(깨끗한 손 작전) 또는 ''탕겐토폴리''(Tangentopoli, 뇌물 도시)는 민주사회당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당 소속의 여러 인사들이 비리 혐의로 적발되면서 많은 당원들이 탈당했고, 당의 정치적 기반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이러한 부패 스캔들은 민주사회당을 포함한 기존 정당들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았다.

결정적으로 1994년 이탈리아 총선은 ''펜타파르티토'' 연합에 참여했던 정당들의 몰락을 가져왔다. 대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이끄는 신생 정당 포르자 이탈리아가 급부상하며 민주사회당의 지지층 상당 부분을 흡수했다. 당 내부에서도 노선 갈등이 심화되었다. 1995년 1월, 잔 프랑코 스키에트로마가 당 대표(전국 서기)로 선출되었는데, 전임 대표였던 엔리코 페리는 중도 우파 성향의 자유의 기둥 연합 참여를 주장하며 당을 떠났다. 페리와 그를 따르는 세력은 유럽 자유 사회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정당을 창당한 뒤, 중도 우파 정당인 기독교 민주 중도당(CDC)에 합류했다.

한편, 당의 노선이 점차 보수화되면서 1994년에는 유럽 사회당(PES)에서 제명되기도 했다.[13] 결국 1998년, 스키에트로마가 이끌던 민주사회당은 이탈리아 사회당의 후계 정당 중 하나인 이탈리아 사회주의자(SI) 등과 합당하여 이탈리아 민주 사회주의자(SDI)를 창당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합당 시점에는 이미 당의 주요 인사들과 지지자들 다수가 포르자 이탈리아(1992-1993년 당 대표였던 카를로 비치니 포함), 기독교 민주 중도당(1993-1995년 당 대표였던 페리 포함), 민주당(프랑코 브루노 포함) 등 다른 정당으로 흩어진 상태였다.

2. 4. 소멸과 재건 (1998년 ~ 현재)

1990년대 초 이탈리아 정계를 강타한 대규모 부패 스캔들인 마니 풀리테(깨끗한 손 작전)와 탕겐토폴리에 연루되면서 당내 다수 인사의 비리가 드러나고 많은 당원이 탈당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이로 인해 당은 사실상 정치 무대에서 영향력을 상실했다. 1994년 이탈리아 총선에서는 기존 중도 연합 정당들(''펜타파르티토'')이 급격히 쇠퇴하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이끄는 포르자 이탈리아가 부상했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민주사회당 지지자들이 포르자 이탈리아로 이동했다.

1995년 1월, 엔리코 페리가 중도 우파 연합인 자유의 기둥 합류를 추진하자 이에 반발한 잔 프랑코 스키에트로마가 새로운 당 서기로 선출되었다. 페리와 그의 지지자들은 당을 떠나 유럽 자유 사회 민주주의라는 소규모 정당을 창당했고, 이후 중도 우파 성향의 기독교 민주 중도당(CDC)에 합류했다.

결국 1998년, 스키에트로마의 주도로 민주사회당은 이탈리아 사회당(PSI)의 후계 정당 중 하나인 이탈리아 사회주의자(SI), 노동 연합, 그리고 사회당 내 일부 세력과 통합하여 이탈리아 민주 사회주의자(SDI)를 창당하면서 공식적으로 해산했다. 이 시기 민주사회당의 남은 당원과 지지자들 상당수는 포르자 이탈리아(1992-1993년 당 대표였던 카를로 비치니 포함), 기독교 민주 중도당(1993-1995년 당 대표였던 페리 포함), 그리고 민주당(프랑코 브루노 포함) 등 다른 정당으로 흩어졌다.

2004년, 과거 민주사회당 창당을 주도했던 주세페 사라가트의 정신을 계승한다는 명분 아래 동명의 정당이 재창당되었다. 새롭게 창당된 민주사회당은 이전 당과의 연속성을 주장하며 당 대회를 개최했고, 중도좌파 정당 연합인 루니오네에 참여하기도 했다.

3. 이념 및 정책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은 사회민주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삼는 중도에서 중도좌파 성향의 정당이었다.

이 당은 1951년 이탈리아 사회당(PSI)에서 분리되어 나왔다. 당시 이탈리아 사회당 내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르는 흐름이 주류였는데, 이에 동의하지 않는 당내 비(非) 마르크스-레닌주의 세력들이 보다 온건한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새로운 정당을 만든 것이다. 이는 의회 민주주의를 통한 점진적 사회 개혁과 복지 국가 건설을 지향하는 서유럽 사회민주주의의 일반적인 특징과 맥을 같이 한다.

노동조합과의 관계에서도 이탈리아 사회당이나 이탈리아 공산당 계열의 이탈리아 노동총동맹(CGIL)과는 다른 노선을 걸었다. 이탈리아 민주사회당은 이탈리아 공화당과 함께 상대적으로 온건한 성향의 이탈리아 노동운동(UIL)의 지지를 받았다.

국제적으로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여 다른 국가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과 교류하고 연대했다.

4. 조직

1947년 이탈리아 사회당(PSI)에서 분리된 우파 세력이 결성한 이탈리아 근로자 사회당(PSLI)을 모태로 한다. 1951년 이탈리아 근로자 사회당이 당명을 변경하여 공식적으로 창당되었다. 국제적으로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여 활동했다.[1][2] 1998년에는 이탈리아 사회주의자(SI), 노동 연합, 그리고 이탈리아 사회당에서 분리된 일부 다른 세력과 통합하여 이탈리아 민주사회주의자를 결성하면서 해산되었다.[1][2]

5. 역대 선거 결과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은 1948년 이탈리아 총선에 처음으로 출마하여 7.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창당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선거에서 PSDI는 이탈리아 사회당(PSI)으로부터 상당수의 표를 가져왔는데, 이는 PSI의 분열과 인민민주전선 내에서 이탈리아 공산당(PCI)과 연대한 것에 대한 반발 때문이었다. 당시 PSDI는 주로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서 강한 지지를 받았으며, 특히 토리노 현(12.9%), 쿠네오 현(11.9%), 밀라노 현(10.6%), 손드리오 현(13.9%), 트레비소 현(12.6%), 벨루노 현(15.9%), 우디네 현(14.9%) 등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19]

1953년 이탈리아 총선 이후 PSDI의 지지율은 대체로 4~5% 수준을 유지했으며, 1963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6.1%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큰 변동이 없었다. 수십 년간 북서부와 북동부에서 꾸준한 지지 기반을 유지하던 PSDI는 1960년대부터 이탈리아 남부에서도 지지세를 넓히기 시작했다. 1987년 이탈리아 총선 무렵에는 당의 주요 지지 기반이 남부, 특히 풀리아, 캄파니아, 바실리카타,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20] 이는 당시 기민당, PSI, 이탈리아 공화당(PRI), 이탈리아 자유당(PLI) 등 다른 ''펜타파르티토'' 연립 정당들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1991년 레가 노르드로 통합된 북부 지역주의 정당들의 성장과도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이탈리아 정계를 뒤흔든 부패 스캔들인 ''탄젠토폴리''와 ''마니 풀리테''(깨끗한 손) 수사 이후 정치적 위기를 맞으면서 PSDI의 지지율은 급락했다. 1992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2.7%의 득표율을 기록한 것을 마지막으로, 이후 선거에서는 거의 존재감을 잃었으며, 과거 지지 기반이었던 풀리아 등 일부 남부 지역에서 미미한 지지만을 유지하게 되었다.

5. 1. 이탈리아 하원

선거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대표
19481,858,116 (3위)7.7%33주세페 사라가트
19531,222,957 (6위)4.5%14-19주세페 사라가트
19581,345,447 (5위)4.6%22+8주세페 사라가트
19631,876,271 (5위)6.1%33+11주세페 사라가트
1968통합 사회당(PSU)으로 통합29-4주세페 사라가트
19721,718,142 (5위)5.1%29마리오 타나시
19761,239,492 (5위)3.4%15-14피에르 루이지 로미타
19791,407,535 (5위)3.8%20+5피에트로 롱고
19831,508,234 (6위)4.9%23+3피에트로 롱고
19871,140,209 (6위)3.0%17-6프랑코 니콜라치
19921,066,672 (10위)2.7%16-1안토니오 카릴리아
1994179,495 (14위)0.5%0-16카를로 비치니


5. 2. 이탈리아 상원

선거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대표
19481,219,287 (3위)5.0%10주세페 사라가트
19531,046,301 (6위)4.3%4-6주세페 사라가트
19581,136,803 (5위)4.4%5+1주세페 사라가트
19631,743,837 (5위)6.4%14+9주세페 사라가트
1968통합 사회당(PSU)으로 통합10-4주세페 사라가트
19721,614,273 (5위)5.4%11+1마리오 타나시
1976974,940 (5위)3.1%6-5피에르 루이지 로미타
19791,320,729 (5위)4.2%9+3피에트로 롱고
19831,184,936 (6위)3.8%8-1피에트로 롱고
1987822,593 (6위)2.5%6-2프랑코 니콜라치
1992853,895 (10위)2.6%3-3안토니오 카릴리아
199466,589 (14위)0.2%0-3카를로 비치니


5. 3. 유럽 의회

wikitext

선거 연도득표수%의석+/−대표
19791,514,272 (5위)4.34 / 81피에트로 롱고
19841,225,462 (6위)3.53 / 81-1피에트로 롱고
1989945,383 (7위)2.72 / 81-1안토니오 카릴리아
1994227,439 (13위)0.71 / 87-1카를로 비치니


5. 4. 지방 의회

이탈리아 지방
선거 연도득표수득표율 (%)의석 수+/−대표
19701,897,034 (4위)7.041주세페 사라가트
19751,701,864 (5위)5.636- 5마리오 타나시
19801,505,607 (5위)5.031- 5피에트로 론고
19851,150,788 (6위)3.623- 8피에트로 론고
1990894,318 (6위)2.821- 2안토니오 카릴리아


6. 역대 지도부

'''서기'''
이름재임 기간
주세페 사라가트1947–1948
알베르토 시모니니1948
우고 귀도 몬돌포1949
루도비코 다라곤1949
주세페 사라가트1949–1952
에치오 비고렐리1952
주세페 로미타1952
주세페 사라가트1952–1954
잔마테오 마테오티1954–1957
주세페 사라가트1957–1964
마리오 타나시1964–1966
PSI와의 PSU 통합 (1966–1969)
마우로 페리1969–1972
마리오 타나시1972
플라비오 올란디1972–1975
마리오 타나시1975–1976
주세페 사라가트1976
피에르 루이지 로미타1976–1978
피에트로 롱고1978–1985
프랑코 니콜라치1985–1988
안토니오 카릴리아1988–1992
카를로 비치니1992–1993
엔리코 페리1993–1995
잔 프랑코 스키에트로마1995–1998



'''의장'''
이름재임 기간
주세페 사라가트1975–1976



'''하원 원내대표'''
이름재임 기간
주세페 모딜리아니1947
로코 굴로1947–1948
마리오 랑게나1948–1950
루이지 베난니1950–1951
에치오 비고렐리1951–1954
파올로 로시1954–1956
알베르토 시모니니1956–1958
주세페 사라가트1958–1963
비르지니오 베르티넬리1963–1966
마리오 타나시1966
에지디오 아리오스토1966–1969
플라비오 올란디1969–1972
안토니오 카릴리아1972–1976
루이지 프레티1976–1978
프랑코 니콜라치1978–1979
알레산드로 레지아니1979–1987
필리포 카리아1987–1992
디노 마다우도1992
엔리코 페리1992–1994


참조

[1] 서적 Political System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 서적 Social Democratic Parties in the European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01-13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tal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Political Economy of Institutions, Democracy and Vot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talian Politics OUP
[6] 웹사이트 Il Pentapartito – Storia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storiaxxi[...]
[7] 서적 Politische Vierteljahresschrift Westdeutscher Verlag
[8] 웹사이트 Il punto sull'attivita' e sulla collocazione politica del PSDI; la olidarieta' del PSDI al digiuno di Marco Pannella contro la disinformazione della RAI in particolar modo sui 13 referendum http://www.radioradi[...] 1994-01-21
[9] 서적 Politische Willensbildung und lnteressenvermittlung
[10] 웹사이트 Nicolazzi, L' Anti-Longo Sogna Per Il Psdi Un Futuro A Sinistra http://ricerca.repub[...] 1984-05-01
[11] 웹사이트 Il punto sull'attivita' e sulla collocazione politica del PSDI; la solidarieta' del PSDI al digiuno di Marco Pannella contro la disinformazione della RAI in particolar modo sui 13 referendum http://www.radioradi[...] 1994-01-21
[12] 웹사이트 The Fate of the Party https://jacobin.com/[...] 2018-01-23
[13] 서적 Social Democratic Party Policies in Contemporary Europe Routledge
[14]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15] 서적 Anatomy of the Red Brigades: The Religious Mind-set of Modern Terrorist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Parlement Européen 1979 http://www.europe-po[...] Europe-politique
[17] 웹사이트 Parlement Européen 1984 http://www.europe-po[...] Europe-politique 2007-02-17
[18] 웹사이트 Parlement Européen 1989 http://www.europe-po[...] Europe-politique
[19] 웹사이트 "::: Ministero dell'Interno ::: Archivio Storico delle Elezioni - Camera del 18 Aprile 1948 " http://elezionistori[...]
[20] 웹사이트 Ministero dell'Interno. Archivio Storico delle Elezioni http://elezionistori[...] Elezionistor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