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페 청동 두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페 청동 두상은 나이지리아의 이페에서 제작된 청동 조각상으로, 요루바족의 오니(통치자)의 초상으로 추정된다. 1938년 발견된 이 두상은 구리와 다른 금속의 합금으로 만들어졌으며, 사실적인 묘사와 정교한 왕관 장식이 특징이다. 이페 두상은 서아프리카 예술 전통의 중요한 사례로, 현대 나이지리아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며, 대영 박물관 등 주요 박물관에 소장되어 전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지리아의 예술 - 베냉 장식판
베냉 장식판은 베냉 왕국에서 왕궁 장식과 권위 상징으로 제작된 청동 장식품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제국주의 시대 약탈로 전 세계에 흩어져 반환 요구가 있는 유물이다. - 나이지리아-영국 관계 - 영국령 카메룬
영국령 카메룬은 아프리카 분할 이후 독일령 카메룬의 일부였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분할 통치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북부는 나이지리아에, 남부는 카메룬에 통합되었다. - 나이지리아-영국 관계 - 베냉 장식판
베냉 장식판은 베냉 왕국에서 왕궁 장식과 권위 상징으로 제작된 청동 장식품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제국주의 시대 약탈로 전 세계에 흩어져 반환 요구가 있는 유물이다. - 요루바 문화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요루바 문화 - 아프로비트
아프로비트는 1960년대 초 가나에서 시작되어 나이지리아에서 펠라 쿠티에 의해 발전된 음악 장르로, 다양한 아프리카 음악 장르와 요루바 음악 전통에 재즈와 펑크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아 아프리카 전역과 서구에 확산되었으며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이페 청동 두상 | |
---|---|
개요 | |
![]() | |
재료 | "청동", 실제로는 놋쇠 |
크기 | 높이: 35 cm 너비: 12.5 cm 깊이: 15 cm |
무게 | 5.1 kg |
제작 시기 | 14세기/15세기 초 |
위치 | 대영 박물관, 런던 |
문화 | 중세 요루바족 |
2. 역사
1938년 나이지리아 이페의 룬모니예 구역에서 집을 짓던 중 이페 청동 두상을 포함한 17개의 청동 및 구리 두상과 조각상이 우연히 발견되었다.[5][6] 대부분의 유물은 이페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었지만, 일부는 나이지리아에서 반출되어 현재 주요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페 청동 두상은 ''나이지리아 데일리 타임스'' 편집자 H. 맥클리어 베이트에 의해 국립 예술 컬렉션 기금에 판매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939년에 대영 박물관으로 넘겨졌다.
이 조각들의 발견으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고대 유물 수출을 통제하게 되었다. 이 조치 이전에 이 두상은 파리를 거쳐 런던으로, 다른 두 점은 미국으로 보내졌다. 1938년 레오 프로베니우스의 주도로 추가적인 유물 반출을 막으려는 시도가 성공하여 식민지 당국에 의해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다.[7] 프로베니우스는 독일의 민족학자이자 고고학자로, 요루바족 예술에 관심을 보인 최초의 유럽 학자 중 한 명이었다.
2. 1. 이페 문명과 요루바족
이페는 요루바족에게 그들의 신들이 인간을 창조한 장소로 여겨진다.[14] 이페 두상은 오니로 알려진 통치자의 초상화로 여겨진다. 이 작품은 오바루폰 2세 왕의 후원 아래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구리로 제작된 유명한 사실적인 실물 크기의 얼굴 가면이 이 작품과 양식적 특징을 공유한다. 오늘날 요루바족 사이에서 오바루폰은 놋쇠 주조자들의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이페 청동 두상이 제작된 시기는 요루바 문명이 번성했던 시기였으며, 나이저강을 통한 서아프리카와의 무역을 기반으로 번성하였다.[14]2. 2. 제작 기법 및 재료
이페 청동 두상은 대부분의 서아프리카 "청동"과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다른 금속과 합금된 구리로 만들어졌다. 대영 박물관은 이를 "납이 많이 함유된 아연-황동"으로 묘사하고 있다. 박물관과 고고학에서는 역사적 유물에 대해 청동이나 황동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보다는 포괄적인 "구리 합금"을 사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3] 이 두상은 밀랍 주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실제 크기의 약 4분의 3 정도(높이 35cm)이다. 예술가는 매우 자연스러운 스타일로 두상을 디자인했다. 얼굴에는 새겨진 줄무늬가 있지만, 입술은 표시가 없다. 머리 장식은 다양한 층의 튜브 모양 구슬과 술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의 왕관을 연상시키는데, 이는 이페에서 발견되는 청동 두상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4] 왕관 꼭대기에는 장미 모양과 깃털이 있는 문장이 있으며, 현재는 한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왕관 표면에는 붉은색과 검은색 페인트의 흔적이 남아 있다.2. 3. 발굴 및 반출
이페 청동 두상은 1938년 나이지리아 이페의 룬모니예 구역에서 집을 짓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과정에서 16개의 다른 청동 및 구리 두상과 청동 조각상의 상반신이 함께 발견되었다.[5][6] 룬모니예 구역과 인근 지역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유물은 이페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었지만, 일부는 나이지리아에서 반출되어 현재 주요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이페 두상은 ''나이지리아 데일리 타임스'' 편집자 H. 맥클리어 베이트에 의해 나이지리아에서 반출되었으며, 그는 이 두상을 국립 예술 컬렉션 기금에 판매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1939년에 이 두상은 대영 박물관으로 넘겨졌다.이 조각들의 발견은 나이지리아 정부가 고대 유물의 수출을 통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조치가 시행되기 전, 이 두상은 파리를 거쳐 런던으로 옮겨졌고, 다른 두 점은 미국으로 보내졌다. 레오 프로베니우스의 주도로 추가적인 유물 반출을 막으려는 시도가 1938년에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식민지 당국에 의해 법률이 제정되었다.[7] 프로베니우스는 독일의 민족학자이자 고고학자로, 아프리카 예술, 특히 요루바족의 예술에 진지한 관심을 보인 최초의 유럽 학자 중 한 명이었다.
3. 예술사적 의의
프로베니우스가 이와 유사한 두상의 첫 번째 사례를 발견했을 때, 이는 서구에서 기존에 아프리카 문명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해를 뒤흔드는 것이었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가 이 정도 품질의 유물을 만들 수 있는 문명을 가졌었다는 것을 믿고 싶어하지 않았다. 프로베니우스는 이러한 이례적인 현상을 설명하고자, 이것이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진 고대 그리스 식민지에서 만들어졌다는 이론을 제시했다.[10] 그는 자신이 가정한 고대 그리스 식민지가 아틀란티스라는 잃어버린 문명의 고대 전설의 기원일 수 있다는 주장을 대중 언론에 널리 퍼뜨렸다.[11][12][13]
현재 이 조각상들은 높은 수준의 사실주의와 세련됨을 달성한 토착 아프리카 전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14][9] 이페 청동 두상은 종종 아프리카 문화의 위대한 업적으로 여겨지며, 단일 작업장에서 한 명의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14]
3. 1. 서아프리카 예술 전통과의 연관성
이페 조각 전통은 노크 문화의 테라코타 전통, 니제르의 부라 (서기 3세기 – 서기 10세기), 가나의 코마 (서기 7세기 – 서기 15세기), 나이지리아의 이보-우쿠 (서기 9세기 – 서기 10세기), 말리의 제네-제노 (서기 11세기 – 서기 12세기)를 포함한 여러 서아프리카 예술 전통 중 하나이다.[9]청동 주조는 동시대의 테라코타 조각을 모델로 했을 수 있다.[8] 이페에서는 금속 조각 제작 이전부터 테라코타 조각의 오랜 전통이 있었다. 상아는 아프리카 미술에서 자주 사용되는 또 다른 재료였다.
3. 2. 사실주의와 이상주의의 조화
프로베니우스가 이와 유사한 두상의 첫 번째 사례를 발견했을 때, 이는 서구에서 기존에 아프리카 문명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해를 뒤흔드는 것이었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가 이 정도 품질의 유물을 만들 수 있는 문명을 가졌었다는 것을 믿고 싶어하지 않았다. 프로베니우스는 이러한 이례적인 현상을 설명하고자, 이것이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진 고대 그리스 식민지에서 만들어졌다는 이론을 제시했다.[10] 그는 자신이 가정한 고대 그리스 식민지가 아틀란티스라는 잃어버린 문명의 고대 전설의 기원일 수 있다는 주장을 대중 언론에 널리 퍼뜨렸다.[11][12][13]현재 이 조각상들은 높은 수준의 사실주의와 세련됨을 달성한 토착 아프리카 전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14][9] 이페 청동 두상은 종종 아프리카 문화의 위대한 업적으로 여겨지며, 단일 작업장에서 한 명의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14]
4. 현대 문화에 미친 영향
이페 청동 두상은 나이지리아의 여러 기업 및 교육 기관에서 로고나 브랜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바페미 아워로워 대학교의 로고로 사용되고 있으며, 1973년 전 아프리카 게임의 라고스 상징이기도 했다.[15]
영국 박물관이 소장한 이페 두상은 2010년 "이페 왕국: 서아프리카 조각" 전시회에 포함되었는데, 이 전시회는 나이지리아 독립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였다.[17] 2011년에는 영국 박물관과 BBC가 함께 제작한 ''100개의 유물로 보는 세계사''에도 포함되었다.[18]
4. 1. 상징 및 로고
오바페미 아워로워 대학교를 비롯한 나이지리아의 여러 기업 및 교육 기관에서 이페 청동 두상을 로고나 브랜드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15] 1973년 전 아프리카 게임의 라호스 상징은 이페 두상이었다.[16]4. 2. 전시 및 문화 교류
이페 두상은 1973년 전 아프리카 게임의 라고스 상징이었다.[16]영국 박물관이 소장한 이페 두상은 2010년 나이지리아 국립 박물관 및 기념물 위원회, 뉴욕 아프리카 미술관(아프리카 센터) , 영국 박물관과 협력하여 개발된 대규모 전시회인 "이페 왕국: 서아프리카 조각"에 포함되었다. 이 전시회는 나이지리아 독립 50주년을 기념하는 일련의 행사의 일환이었다.[17] 2011년 이페 두상은 영국 박물관/BBC의 ''100개의 유물로 보는 세계사''에 포함되었다.[18]
참조
[1]
웹사이트
Object: The Ife Head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1-04-20
[2]
문서
The name used by the British Museum
[3]
웹사이트
Scope Note for copper alloy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4-05-26
[4]
웹사이트
Bronzes from Ife and Benin
http://www.galerie-h[...]
Peter Herrmann, Berlin
2013-11-30
[5]
웹사이트
Art we've helped buy
https://www.artfund.[...]
2021-06-21
[6]
웹사이트
Ife head Brass head of a ruler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3-11-30
[7]
서적
Art and cultural heritage : law, polic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Kingdoms of the Yorub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9]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2-01-05
[10]
논문
Ife and Its Archaeology
[11]
웹사이트
On the ruins of Atlantis – Leo Frobenius between research and Vision (in German)
http://www.freunde-a[...]
2013-12-03
[12]
뉴스
German Discovers Atlantis in Africa; Leo Frobenius Says Find of Bronze Poseidon Fixes Lost Continent's Place
https://timesmachine[...]
2013-12-18
[13]
뉴스
Plato's Atlantis rediscovered
https://archive.org/[...]
2013-12-18
[14]
웹사이트
BBC - A History of the World - Object : Ife head
https://www.bbc.co.u[...]
2015-07-31
[15]
서적
Bronze Head from Ife
British Museum Press
2010
[16]
웹사이트
Kingdom of Ife: sculptures from West Africa
https://www.britishm[...]
2018-11-09
[17]
웹사이트
Kingdom of Ife
https://www.britishm[...]
2018-11-10
[18]
웹사이트
BBC - A History of the World - Object : Ife head
https://www.bbc.co.u[...]
2018-11-10
[19]
웹인용
Object: The Ife Head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1-04-20
[20]
웹사이트
The Ife Head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3-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