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산시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선거구는 여러 차례 경계 조정이 있었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삼기면이 편입되고 영등2동이 익산시 을 선거구로 이동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한병도, 이춘석, 김수흥, 이춘석이 있으며, 역대 선거 결과와 득표율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선거구 - 전주시 을
전주시 을은 전주시 완산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민주당계 강세 지역이지만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2023년 재보궐선거에서 진보당 후보가 당선되는 등 변동성을 보이다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선거구 - 익산시 을
익산시 을은 2004년 익산시에서 분구되어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경계 조정과 다양한 정당 후보들의 경쟁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으며, 본 페이지는 선거구의 역사, 경계 변화, 관할 구역, 역대 선거 결과 등을 상세히 다룬다. - 익산시의 정치 - 익산시장 선거
익산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8회에 걸쳐 실시된 익산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민주당,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 등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조한용, 채규정, 이한수, 박경철, 정헌율 등이 시장을 역임했고, 특히 2014년에는 초접전, 2022년에는 정헌율 후보가 3선에 성공하는 등 정치 상황과 후보 지지율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다. - 익산시의 정치 - 익산시 을
익산시 을은 2004년 익산시에서 분구되어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경계 조정과 다양한 정당 후보들의 경쟁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으며, 본 페이지는 선거구의 역사, 경계 변화, 관할 구역, 역대 선거 결과 등을 상세히 다룬다. - 2004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04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익산시 갑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연도 | 2004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익산시 |
의원 | 이춘석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방의회 | 전북 |
의원 수 | 1인 |
지역 정보 |
2. 역사
2. 1. 선거구 신설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시 을 선거구에 포함되어 있던 망성면을 편입해오는 경계조정이 있었다.
제20대 총선 이전 | 제21대 총선 |
---|---|
2. 2. 선거구 경계 조정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시 을 선거구에 포함되어 있던 망성면을 편입해오는 경계조정이 있었다.
제20대 총선 이전 | 제21대 총선 |
---|---|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제17대 ~ 제20대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제21대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망성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제22대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삼기면, 중앙동, 평화동, 인화동, 마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영등2동
3. 1. 제17대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구분 | 관할 구역 |
---|---|
읍/면 |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
동 |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
3.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익산시 갑 선거구는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망성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으로 구성되었다.3. 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4. 역대 국회의원
익산시 갑 선거구는 17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열린우리당 소속의 한병도 의원을 시작으로, 이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의원들이 꾸준히 당선되어 왔다. 18대부터 20대 총선까지는 이춘석 의원이 통합민주당,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3선 연임했으며, 21대 총선에서는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수흥 의원이 당선되었다. 22대 총선에서는 이춘석 의원이 다시 당선되어 복귀했다.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ext
5. 역대 선거 결과
이 섹션에서는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익산시 갑 선거구의 결과를 다룬다. 아래 하위 섹션에서는 각 선거별 후보자, 정당, 득표수, 득표율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갑 선거구는 총 유권자 113,569명 중 63,761명이 투표에 참여했다.선거 결과, 열린우리당 소속의 한병도 후보가 47,527표를 얻어 74.53%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사태에 대한 반발 여론과 맞물려 열린우리당이 전국적으로 얻은 높은 지지율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경쟁 후보였던 새천년민주당의 최재승 후보는 16,234표(득표율 25.46%)를 얻는 데 그쳐 큰 표 차이로 낙선하였다.
5. 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갑 선거구(유권자 109,569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민주당 소속의 이춘석 후보가 26,610표(57.3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익현 후보는 14,634표(31.53%)를 얻어 2위를 기록했으며, 한나라당 임석삼 후보는 4,281표(9.22%)를 얻는 데 그쳤다. 평화통일가정당 이철재 후보는 885표(1.90%)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춘석 | 통합민주당 | 26,610 | 57.33% | 당선 |
강익현 | 무소속 | 14,634 | 31.53% | |
임석삼 | 한나라당 | 4,281 | 9.22% | |
이철재 | 평화통일가정당 | 885 | 1.90% | |
계 | 46,410표 |
5. 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갑 선거구는 총 유권자 113,407명 중 53,784명이 투표하여 투표율 47.4%를 기록했다.선거 결과, 민주통합당의 이춘석 후보가 77.98%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다. 새누리당 김경안 후보는 16.12%를 얻는 데 그쳤으며, 무소속 황세연 후보는 5.89%를 득표하였다.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2 | 이춘석 | 민주통합당 | 41,941 | 77.98% | 당선 |
1 | 김경안 | 새누리당 | 8,674 | 16.12% | |
7 | 황세연 | 무소속 | 3,169 | 5.89% | |
계 | 53,784표 | 100.00% |
5. 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의 이춘석 후보가 50.0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국민의당의 이한수 후보는 35.58%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새누리당의 김영일 후보는 9.61% 득표에 머물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춘석 | 더불어민주당 | 35,319표 | 50.00% | 당선 |
이한수 | 국민의당 | 25,138표 | 35.58% | |
김영일 | 새누리당 | 6,793표 | 9.61% | |
전권희 | 민중연합당 | 2,058표 | 2.91% | |
황세연 | 무소속 | 1,328표 | 1.88% | |
합계 | 70,636표 |
5. 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수흥 후보가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수흥 | 더불어민주당 | 59,043 | 79.63% | 당선 |
3 | 고상진 | 민생당 | 7,057 | 9.51% | |
2 | 김경안 | 미래통합당 | 5,513 | 7.43% | |
6 | 전권희 | 민중당 | 1,890 | 2.54% | |
7 | 최영수 | 국가혁명배당금당 | 636 | 0.85% | |
합계 | 74,139표 |
5. 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익산시 갑 선거구는 총 유권자 117,633명 중 77,649명이 투표하여 66.01%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기호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더불어민주당 | 이춘석 | 58,984 | 77.11% | 당선 |
2 | 국민의힘 | 김민서 | 7,743 | 10.12% | |
3 | 진보당 | 전권희 | 6,193 | 8.09% | |
4 | 새로운미래 | 신재용 | 3,572 | 4.66% | |
합계 | 76,492표 | 100.00% | |||
선거인 수 | 117,633명 | 투표율: 66.01% | |||
무효표 수 | 1,157표 | colspan="2" | |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춘석 후보는 77.11%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어 지역구 유권자들의 강한 지지를 확인했다. 국민의힘 김민서 후보는 10.12%를 득표했으며, 진보당 전권희 후보와 새로운미래 신재용 후보는 각각 8.09%, 4.66%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