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주군은 중국 전한 무제가 기원전 109년에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윈난성 일대에 위치했다. 전한 시대에는 24개 현을 관할했으며, 신나라 시기에는 취신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다시 익주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삼국 시대 촉한의 제갈량은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명하고, 운남군과 흥고군을 분할 설치했다. 서진 시대에는 건녕군의 서부 7개 현에 익주군을 설치했으나, 308년에 진녕군으로 개명되면서 익주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기원전 109년 한나라 무제의 서남이 원정으로 익주군이 설치되었다. 무제는 남월을 멸하고 서남이를 복속시킨 후, 신독국(인도)과의 교역로를 찾으면서 전나라에 복속을 요구했다. 전왕은 처음에는 한나라 사자를 가두고 입조하지 않았으나, 한나라가 공격하자 항복하고 군현 설치와 입조를 약속했다. 이에 따라 전나라 영역에 익주군이 설치되었고, 장가군과 월수군의 일부 영역도 익주군에 편입되었다.[6][7]
2. 역사
익주군은 익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는 81,946호, 인구는 500,463명이었다. 치소는 쿤밍시 진닝현 동쪽에 위치한 전지현이다.[8]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24개의 현을 관할했다.[9]
왕망이 신을 건국하면서 익주군은 취신군으로 개칭되었고,[1] 무절현은 유절현으로, 승휴현은 승복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신나라가 멸망하고 성가가 일어난 후에도 익주 태수 문제는 성가에 복종하지 않았다. 성가 패망 후 후한에 귀순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5] 후한 건국 후 익주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왔으며, 17개 현을 관할했다.[2]
225년 삼국 시대 촉한의 제갈량은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명하고, 건녕군과 영창군, 장가군을 분할하여 운남군과 흥고군을 설치했다.[3]
303년 서진은 건녕군 서부 7개 현에 익주군을 설치했으나,[4] 308년 진녕군으로 개명되면서 익주군의 명칭은 사라졌다.[5]
2. 1. 전한
기원전 109년(원봉 2년), 한나라 무제가 남월을 멸하고 서남이를 복속시킨 후, 신독국(인도)과의 교역로를 찾으면서 전나라를 공격했다. 전왕은 항복했고, 이에 따라 전나라 영역에 익주군이 설치되었다. 장가군과 월수군의 일부 영역도 익주군에 편입되었다.[6][7]
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는 81,946호, 인구는 500,463명이었다. 치소는 전지현이다.[8]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익주군에는 총 24개의 현이 있었다.[9]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전지현 | 滇池縣 | 쿤밍시 진닝현 동 | 대택(大澤)이 서쪽에, 전지택(滇池澤)이 북서쪽에 있다. 흑수사(黑水祠)가 있다. |
쌍백현 | 雙柏縣 | 추슝이족자치주 솽바이현 남? | |
동로현 | 同勞縣 | 취징시 루량현 서 | |
동뢰현 | 銅瀨縣 | 취징시 마룽현 남 | 담로산(談勞山)에서 미수(迷水)가 나와 동으로 담고(談稿)에 이르러 온수{溫水: 지금의 난판 강()}로 들어간다. |
연연현 | 連然縣 | 쿤밍시 안닝시 | 염관(鹽官)이 있다. |
유원현 | 兪元縣 | 위시시 청장현 | 남쪽의 못에서 교수{橋水: 지금의 춰 강()}[10]가 나와 동으로 무단에 이르러 온수로 들어가니, 1900리를 간다. |
수미현[11] | 收靡縣 | 쿤밍시 쉰뎬후이족이족자치현 | 남산석곡(南山腊谷)에서 도수{涂水: 지금의 니우란 강()}가 나와 북서로 월수에 이르러 승수(繩水)로 들어가니, 두 군을 지나 1200리를 간다. |
곡창현 | 穀昌縣 | 쿤밍시 북동 | |
진장현 | 秦臧縣 | 추슝이족자치주 루펑현 동부 일대 | 우란산(牛蘭山)에서 즉수{卽水: 지금의 뤼지 강()}가 나와 남으로 쌍백에 이르러 복수{僕水: 지금의 위안 강()}로 들어가니, 820리를 간다. |
사룡현 | 邪龍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웨이산이족후이족자치현 북부 | |
매현 | 味縣 | 취징시 | |
곤택현 | 昆澤縣 | 자오퉁시 이량현 북부 일대 | |
엽유현 | 葉兪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다리시 북 | 엽유택(葉楡澤)이 동쪽에 있다. |
율고현 | 律高縣 | 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카이위안시·미러시 경계 | 서쪽의 석공산(石空山)에서 주석이 나고, 남동쪽의 혁정산(盢町山)에서 은과 납이 난다. |
불위현 | 不韋縣 | 바오산시 북동 | 촉군에 살고 있었던 여불위의 후손들을 이주시킨 곳으로, 여불위의 이름을 따 현의 이름을 지었다. |
운남현 | 雲南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샹윈현 남동 | |
수당현 | 嶲唐縣 | 바오산 시·다리바이족자치주 윈룽현·융핑현 경계 | 주수(周水)가 요외에서 나온다. |
농동현 | 弄棟縣 | 추슝이족자치주 야오안현 북 | 동농산(東農山)에서 무혈수(毋血水)가 나와 북으로 삼강에 이르러 승수로 들어가니, 510리를 간다. |
비소현 | 比蘇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윈룽현 북 | |
분고현 | 賁古縣 | 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멍쯔현 남동 | 북으로 채산(采山)에서 주석이 나고, 서로 양산(羊山)에서 은과 납이 나고, 남으로 오산(烏山)에서 주석이 난다. |
무절현 | 毋棳縣 | 위시시 화닝현 남 | 교수(橋水)가 교산(橋山)에서 나와 동으로 중류(中留)에 이르러 담수(潭水)로 들어가니, 세 군(익주·장가·울림)을 지나 3,120리를 간다. |
승휴현 | 勝休縣 | 위시시 장촨구 북부 일대 | 하수(河水)가 동으로 무절에 이르러 교수로 들어간다. |
건령현 | 健伶縣 | 쿤밍시 진닝현 남부 | |
내유현 | 來唯縣 | 베트남 라이쩌우 성 라이쩌우 시 남부 | 종홍산(從𨹁山)에서 구리가 난다. |
왕망이 신을 건국한 후에는 익주군을 취신군으로 개칭했다.[1]
2. 2. 신
전한 | 신 |
---|---|
무절 | 유절(有棳) |
승휴 | 승복(勝僰) |
2. 3. 후한
후한이 건국되자, 익주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왔다. 익주군은 전지, 승휴, 유원, 률고, 분고, 무탁, 건령, 곡창, 목미, 미, 곤택, 동뢰, 동로, 쌍백, 련연, 농동, 진장의 17개 현을 관할했다.[2]2. 4. 촉한
225년(건흥 3년), 삼국 시대 촉한의 제갈량이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명하고, 건녕군과 영창군을 분할하여 운남군을 세웠으며, 건녕군과 장가군을 분할하여 흥고군을 세웠다.[3]2. 5. 서진
303년(태안 2년), 서진이 건녕군 서부 7개 현에 익주군을 설치했다.[4] 308년(영가 2년), 익주군은 진녕군으로 개명되었으며, 익주군의 명칭은 사라졌다.[5]3. 행정 구역
225년(건흥 3년), 삼국 시대 촉한의 제갈량이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명하고, 건녕군과 영창군을 분할하여 운남군을, 건녕군과 장가군을 분할하여 흥고군을 세웠다.[3]
303년(태안 2년), 서진이 건녕군의 서부 7개 현에 익주군을 설치했다.[4] 308년(영가 2년), 익주군은 진녕군으로 개명되면서 익주군의 명칭은 사라졌다.[5]
3. 1. 전한
기원전 109년(원봉 2년), 한나라 무제가 남월을 멸하고 서남이를 복속시킨 후, 신독국(인도)과의 교역로를 찾으면서 전나라를 공격했다. 전왕은 항복했고, 이에 따라 전나라 영역에 익주군이 설치되었다. 장가군과 월수군의 일부 영역도 익주군에 편입되었다.[6][7]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81,946호, 500,463명이 살았다. 치소는 전지현이다.[8]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기준 총 24개의 현을 관할했다.[9]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전지현 | 滇池縣 | 쿤밍시 진닝현 동 | 대택(大澤)이 서쪽에, 전지택(滇池澤)이 북서쪽에 있다. 흑수사(黑水祠)가 있다. |
쌍백현 | 雙柏縣 | 추슝이족자치주 솽바이현 남? | |
동로현 | 同勞縣 | 취징시 루량현 서 | |
동뢰현 | 銅瀨縣 | 취징시 마룽현 남 | 담로산(談勞山)에서 미수(迷水)가 나와 동으로 담고(談稿)에 이르러 온수(溫水: 지금의 난판 강)로 들어간다. |
연연현 | 連然縣 | 쿤밍시 안닝시 | 염관(鹽官)이 있다. |
유원현 | 兪元縣 | 위시시 청장현 | 남쪽의 못에서 교수(橋水: 지금의 춰 강)[10]가 나와 동으로 무단에 이르러 온수로 들어가니, 1900리를 간다. |
수미현[11] | 收靡縣 | 쿤밍시 쉰뎬후이족이족자치현 | 남산석곡(南山腊谷)에서 도수(涂水: 지금의 니우란 강)가 나와 북서로 월수에 이르러 승수(繩水)로 들어가니, 두 군을 지나 1200리를 간다. |
곡창현 | 穀昌縣 | 쿤밍시 북동 | |
진장현 | 秦臧縣 | 추슝이족자치주 루펑현 동부 일대 | 우란산(牛蘭山)에서 즉수(卽水: 지금의 뤼지 강)가 나와 남으로 쌍백에 이르러 복수(僕水: 지금의 위안 강)로 들어가니, 820리를 간다. |
사룡현 | 邪龍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웨이산이족후이족자치현 북부 | |
매현 | 味縣 | 취징시 | |
곤택현 | 昆澤縣 | 자오퉁시 이량현 북부 일대 | |
엽유현 | 葉兪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다리시 북 | 엽유택(葉楡澤)이 동쪽에 있다. |
율고현 | 律高縣 | 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카이위안시·미러시 경계 | 서쪽의 석공산(石空山)에서 주석이 나고, 남동쪽의 혁정산(盢町山)에서 은과 납이 난다. |
불위현 | 不韋縣 | 바오산시 북동 | 촉군에 살고 있었던 여불위의 후손들을 이주시킨 곳으로, 여불위의 이름을 따 현의 이름을 지었다. |
운남현 | 雲南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샹윈현 남동 | |
수당현 | 嶲唐縣 | 바오산 시·다리바이족자치주 윈룽현·융핑현 경계 | 주수(周水)가 요외에서 나온다. |
농동현 | 弄棟縣 | 추슝이족자치주 야오안현 북 | 동농산(東農山)에서 무혈수(毋血水)가 나와 북으로 삼강에 이르러 승수로 들어가니, 510리를 간다. |
비소현 | 比蘇縣 | 다리바이족자치주 윈룽현 북 | |
분고현 | 賁古縣 | 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멍쯔현 남동 | 북으로 채산(采山)에서 주석이 나고, 서로 양산(羊山)에서 은과 납이 나고, 남으로 오산(烏山)에서 주석이 난다. |
무절현 | 毋棳縣 | 위시시 화닝현 남 | 교수(橋水)가 교산(橋山)에서 나와 동으로 중류(中留)에 이르러 담수(潭水)로 들어가니, 세 군(익주·장가·울림)을 지나 3,120리를 간다. |
승휴현 | 勝休縣 | 위시시 장촨구 북부 일대 | 하수(河水)가 동으로 무절에 이르러 교수로 들어간다. |
건령현 | 健伶縣 | 쿤밍시 진닝현 남부 | |
내유현 | 來唯縣 | 베트남 라이쩌우 성 라이쩌우 시 남부 | 종홍산(從𨹁山)에서 구리가 난다. |
왕망이 신을 건국한 후에는 익주군을 취신군으로 개칭했다.[1]
3. 2. 신
전한 | 신 |
---|---|
무절 | 유절(有棳) |
승휴 | 승복(勝僰) |
3. 3. 후한
후한이 건국되자, 익주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왔다. 익주군은 전지, 승휴, 유원, 률고, 분고, 무탁, 건령, 곡창, 목미, 미, 곤택, 동뢰, 동로, 쌍백, 련연, 농동, 진장 17개 현을 관할했다.[2]4. 태수
정앙은 건안 말에 옹개에게 살해당했고, 장예는 정앙의 후임으로 옹개에게 사로잡혀 쫓겨났다.[15] 이회는 225년부터 익주 태수를 맡았다.
4. 1. 전한
아무개(? ~ 기원전 83년)는 익주군의 오랑캐들에게 피살되었다.[14] 문제(文齊, 평제 시기)는 익주군에서 활동한 인물이다.4. 2. 신
문제(文齊)는 익주군의 문제와 동일인이다.[15]4. 3. 후한
- 문제(文齊)[15]
- 파승(繁勝, 42년 당시)[15]
- 이옹(李顒, 원화 연간 ~ ?)[15]
4. 4. 촉한
225년(건흥 3년), 삼국 시대 촉한의 제갈량이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명하고, 건녕군과 영창군을 분할하여 운남군을 세웠으며, 건녕군과 장가군을 분할하여 흥고군을 세웠다.[3]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三国志
[4]
서적
宋書
[5]
서적
晋書
[6]
서적
사기
[7]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8]
문서
온수주
[9]
서적
한서
[10]
웹사이트
http://blog.sina.com[...]
[11]
문서
목미(牧靡)의 오자일 것이다.
[12]
문서
교지군의 속현인 미령(麊伶)의 오기로 보인다.
[13]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4]
서적
한서
[15]
서적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