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하는 칭하이성 바얀카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7개의 성과 2개의 자치구를 거쳐 보하이해로 흘러드는 중국의 주요 강이다. 티베트 고원을 지나 황토 고원을 통과하며, 간쑤성, 닝샤, 내몽골 등을 거쳐 화북 평원으로 흐른다. 황하는 중국 문명의 발상지이자 "어머니 강"으로 불리며, 잦은 범람으로 인해 "중국의 슬픔"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수력 발전소 건설과 물 이용으로 인한 수질 오염, 토사 문제, 생태계 파괴 등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수자원 관리와 생태계 보호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하 - 황하 문명
황하 문명은 황하 유역의 비옥한 황토 지대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농업 및 토기 제작 기술이 발달한 중국의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신석기 문화를 거쳐 청동기 주조 기술을 보유한 얼리터우 문화로 이어졌다. - 황하 - 허타오
허타오는 황하가 지나는 지역으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가 발달했으며 농업과 자원 생산, 공업이 이루어진다. - 산둥성의 강 - 하이허
하이허는 톈진 시를 관통하며 5개의 하천이 합류하여 형성되었고, 과거 홍수 피해를 겪었으나 치수 사업을 통해 피해를 줄였으며, 현재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산둥성의 강 - 지수이
지수이는 춘추전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이자 소금 생산지였던 고대 중국의 강 또는 지역이었으나, 1852년 황하 대홍수로 소멸되어 중국 역사와 문화, 그리고 청나라 멸망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여러 지명과 지역 문화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황하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원어명 | 黃河 |
로마자 표기 | Huánghé |
한국어 | 황허 |
위치 | 중국 |
흐르는 지역 | 칭하이성,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산시성, 허난성, 산둥성 |
지리 정보 | |
길이 | 5,464 km |
유량 (평균) | 2,571 m³/s |
유량 (최소) | 1,030 m³/s |
유량 (최대) | 58,000 m³/s |
발원지 | 바얀 하르 산맥 |
발원지 위치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칭하이성 |
발원지 좌표 | 좌표: 34°29′31″N 96°20′25″E |
발원지 고도 | 4,800 m |
하구 | 보하이해 |
하구 위치 | 둥잉시 컨리구, 산둥성 |
하구 좌표 | 좌표: 37.763°N 119.162°E |
하구 고도 | 0 m |
유역 면적 | 752,546 km² |
왼쪽 지류 | 펀강 |
오른쪽 지류 | 타오강, 웨이강 |
기타 정보 | |
중국어 (간체) | 黄河 |
병음 | Huánghé |
웨이드-자일스 | Huang² Ho² |
광둥어 | Wong4 Ho4 |
예일 로마자 표기 | Wòhng Hòh |
오어 | Wån 입 Ghu 평 |
민난어 | N̂g Hô |
2. 지리
황하는 중국 문명의 발상지인 중원 지역을 흐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황하 유역은 동서로 약 1900km, 남북으로 약 1100km에 걸쳐 있으며, 총 유역 면적은 약 795000km2에 달한다.[57] 황하는 후기 마이오세, 플리오세 또는 홍적세 시기 티베트 고원의 융기와 함께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21][22][23][24]
발원지는 칭하이성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의 바얀카라 산맥 동쪽 가장자리 근처로 알려져 있으며,[52] 발원지에서 흘러나온 물은 자링호와 어링호를 거쳐 흐른다. 이후 황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칭하이성,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산시성, 허난성, 산둥성 등 7개의 성과 2개의 자치구를 지나 산둥성 컨리 현에서 보하이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황하 유역은 1억 4천만 명 이상의 인구에게 식수와 관개 용수를 공급하며,[57] 강을 따라 란저우, 인촨, 우하이, 바오터우, 뤄양, 정저우, 카이펑, 지난 등 주요 도시들이 발달했다.
황하는 일반적으로 상류, 중류, 하류의 세 구간으로 나뉜다.[61] 상류는 티베트 고원 북동부 산악 지대를, 중류는 오르도스 만곡부와 황투고원을 통과하며, 하류는 화북 평원을 흐른다.[53]
황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막대한 양의 토사 운반이다. 특히 중류에서 황투고원을 지나면서 강물은 연간 16억 톤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황토(뢰스)를 실어 나르는데, 이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 이 토사가 하류에 퇴적되면서 강바닥이 주변 평야보다 높아지는 천정천(懸河, 현하)을 형성하고, 하구에는 광대한 삼각주가 발달했다.[56] 황하에서 운반된 퇴적물은 보하이해를 넘어 황해 북부와 남부까지 이동하기도 한다.[54]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황하는 역사적으로 잦은 홍수와 범람으로 악명이 높았다. 퇴적 작용으로 강바닥이 높아지면서 제방이 터지기 쉬웠고, 한번 물길이 바뀌면 큰 피해를 낳았다. 과거에는 현재의 화이허 유역으로 흘러들기도 했으며(황하탈회), 1855년 이전에는 산둥반도 남쪽으로 흘러 황해로 유입되었다. 1850년대의 대홍수로 유로가 크게 바뀌어 현재와 같이 산둥반도 북쪽으로 흐르게 되었는데, 이는 원래 별개의 강이었던 지수이 강 유로를 이용한 치수 사업의 결과이다. 중일 전쟁 중인 1938년에는 국민당 정부가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방을 폭파하여 다시 물길을 남쪽으로 돌린 사건(1938년 황하 홍수)도 있었다. 현재의 유로는 1947년 제방 복구 이후 유지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 삼문협 댐 등 대규모 댐 건설로 홍수 피해는 크게 줄었으나, 1970년대 이후 농업 및 공업 용수 수요 증가로 하류 지역의 유량 부족과 단류 현상이 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기도 했다.
2. 1. 발원지와 상류
황하는 후기 마이오세, 플리오세 또는 홍적세에 처음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21][22] 이는 티베트 고원이 융기한 결과이다.[21][23][24]




중국 탐사 연구 협회에 따르면, 황하의 발원지는 바얀카라 산맥 동쪽 가장자리 근처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에 위치한다.[52] 발원지에서 흘러나온 물은 칭하이성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자링호(扎陵湖)와 어링호(鄂陵湖)로 흘러 들어간다.
황하의 상류는 일반적으로 바얀카라 산맥의 발원지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급격하게 방향을 틀기 직전인 내몽골 자치구 토크토현(Hekou Town)까지의 구간을 말한다.[53][85] 이 구간의 총 길이는 3472km이며, 총 유역 면적은 386000km2로 전체 유역 면적의 51.4%를 차지한다. 상류 구간에서 황하의 고도는 3496m 낮아지며, 평균 경사도는 0.10%이다.
상류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발원지 구간으로, 주로 바얀하라 산맥과 아마친 산맥(阿尼玛卿山|아니마칭산중국어) 사이의 초원, 늪, 구릉 지대를 흐른다. 이 구간의 강물은 맑고 유량이 안정적이며, 수정처럼 맑은 호수들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호수인 자링호(용량 47억 m³)와 어링호(용량 108억 m³)는 해발 4290m 이상에 위치한 중국에서 가장 큰 고원 담수호이다.[80][81] 황하 발원지 지역의 상당 부분은 황하, 장강, 메콩강의 발원지를 보호하기 위해 싼장위안 국가 자연 보호구(三江源|싼장위안중국어, '세 개의 강 발원지')로 지정되어 있다. 아마친 산맥 동쪽 가장자리에서 동쪽으로 흐르던 황하는 간쑤성 마취현(玛曲县|마취현중국어)으로 들어서며, 고산 지대 늪지인 조이계 습지(若尔盖湿地)[82] 서쪽을 지나 북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이후 간쑤성 마취현과 쓰촨성 줘거현(若尔盖县) 사이의 경계를 이루며 다시 칭하이성으로 들어가 롱양 협곡(龙羊峡|룽양샤중국어)을 향해 북쪽으로 흐른다.
둘째는 계곡 구간으로, 칭하이성의 롱양 협곡에서 간쑤성의 칭퉁 협곡(青铜峡)까지 이어진다. 강 양쪽으로 가파른 절벽이 이어지고 강바닥은 좁으며 평균 낙차가 커서 유속이 매우 빠르고 거칠다. 이 구간에는 롱양 협곡, 지시 협곡(积石峡|지스샤중국어), 류자 협곡(刘家峡), 바판 협곡(八盘峡|바판샤중국어), 칭퉁 협곡 등 20개의 협곡이 있다. 이러한 지형 조건은 수력 발전소 건설에 유리하여, 간쑤 삼협이라 불리는 류자샤 수력 발전소(1969년 완공), 옌궈샤 수력 발전소(1962년 완공), 八盘峡水库|바판샤 수력발전소중국어(1980년 완공) 등이 건설되어 발전에 이용되고 주변 지역에 관개 용수를 공급한다.[83] 황하는 류자 협곡 직전에 간쑤성으로 다시 들어오며, 옌궈 협곡 하류에서는 황하 상류의 가장 큰 도시인 란저우시를 통과한다. 란저우는 황하의 도하 지점에서 발달한 도시로, 중국 북서부의 중심 도시 중 하나이다. 란저우를 빠져나온 황하는 다시 협곡 지대를 지나 닝샤 후이족 자치구로 들어가 칭퉁 협곡으로 흘러든다.
셋째는 평야 구간으로, 칭퉁 협곡을 빠져나온 황하는 인촨 평원(银川平原)과 허타오 평원(河套平原)과 같은 광대한 충적 평야로 들어선다. 이 구간에서 강 주변 지역은 대부분 사막과 초원이며 지류가 거의 없고 유속이 느리다.
- 인촨 평원(닝샤 평원): 황하 강가에 펼쳐진 넓은 오아시스로, "천하의 황하가 닝샤를 부유하게 한다(天下黃河富寧夏)"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비옥함과 풍부한 물로 유명하여 "새상(塞上)의 강남"이라고도 불린다. 서하 왕조의 수도였던 인촨이 이곳에 위치하며, 후이족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여 닝샤 후이족 자치구를 이루고 있다. 이곳에는 青铜峡灌区|칭퉁샤 관구중국어라는 대규모 관개 지역이 있어 농업 생산력이 높으며, 최근에는 인구 압력이 높은 닝샤 남부 황토 고원 지대에서 이곳으로의 생태 이민이 이루어지고 있다.[84]
- 허타오 평원: 인촨 평원을 지나 오르도스 고원을 북상한 황하가 내몽골 자치구의 바옌나오얼 시에서 동쪽으로, 바오터우 시 앞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만곡부("허타오") 북단의 평야이다. 길이는 약 900km, 너비는 30km에서 50km에 달하며, 역사적으로 황하 유역에서 가장 중요한 관개 평야 중 하나이다. 바옌나오얼 시에 건설된 싼성궁 댐(三盛公水利枢纽|싼성궁 수리중추중국어)에서 관개 용수를 공급받는 河套灌区|허타오 관구중국어가 있으며, 주로 밀과 옥수수를 재배한다. 이곳의 관개 용수는 황하로 돌아가지 않고 우량수해(乌梁素海|우량쑤하이중국어)라는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황하는 후허하오터 시 앞의 터우다오가이(头道拐|터우다오과이중국어)에서 남쪽으로 흐름을 바꾸는데, 이곳까지를 황하의 상류로 간주한다.[85]
2. 2. 중류와 황토 고원
황하의 중류는 일반적으로 내몽골 자치구 토크토 현의 허커우 진(河口镇)에서 허난성 정저우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이 구간의 길이는 약 1206km이고, 유역 면적은 344000km2로 전체 황하 유역의 약 45.7%를 차지한다. 중류 구간의 총 고도 차이는 890m이며, 평균 기울기는 0.074%이다. 중류에는 30개의 큰 지류가 합류하며, 강의 유량은 이 구간에서 43.5% 증가한다.황하는 닝샤 후이족 자치구 중닝 현에서 시작하여 산시성 퉁관 현에서 웨이강과 합류하기까지, 북쪽으로 크게 굽이치며 흐르는데, 이 부분을 '오르도스 만곡부' 또는 허타오(河套)라고 부른다. 이 만곡부의 북동쪽 끝인 허커우 진부터 황하의 중류가 시작된다.


황하 중류는 황토 고원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황토 고원은 마지막 빙하기 때 바람에 날려온 미세한 모래 먼지인 뢰스(황토)가 수백 미터 두께로 쌓여 형성된 지대이다. 황하가 이곳을 지나면서 강물은 고원의 부드러운 황토를 끊임없이 깎아내는데, 이 침식 작용으로 엄청난 양의 흙과 모래가 강물에 섞여 들어간다. 황하 자체의 침식 작용 외에도, 황토 고원을 흐르는 우딩강, 옌강, 펀강 같은 여러 지류와 관중 평원을 거쳐 흘러드는 웨이강 역시 막대한 양의 황토를 황하 본류로 실어 나른다.[86]
이 때문에 황하는 세계에서 퇴적물 운반량이 가장 많은 강으로 알려져 있다. 연간 평균 16억 톤에 달하는 토사를 하류로 운반하며, 1933년에는 연간 토사 운반량이 39억 톤에 이르기도 했다. 강물의 토사 농도가 가장 높았던 기록은 1977년에 측정된 920kg/m3이다. 이러한 퇴적물은 나중에 강 하류의 느린 흐름에 침전되어 강바닥을 높이고 유명한 "천정천"을 만든다. 황하 전체 토사량의 92%가 바로 이 중류 구간에서 공급된다.
허커우 진에서 위먼커우(禹门口)까지 황하는 '진산(晋陕) 계곡'이라고 불리는 길고 깊은 계곡 지대를 통과한다. 이 구간은 수력 발전 잠재력이 높아 댐 건설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1999년에는 허커우 진 남쪽에 완자자이 댐이 건설되어 관개 용수 공급과 토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의 유명한 폭포 중 하나인 후커우 폭포는 진산 계곡 하류, 산시성과 산시성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다.

황하는 산시성 퉁관 현에서 서쪽에서 흘러온 웨이강과 합류한 후, 동쪽으로 거의 직각에 가깝게 방향을 바꾼다. 동쪽으로 흐르면서 싼먼샤 댐, 샤오랑디 댐과 같은 대형 댐들을 지나 뤄양시 북쪽에서 산악 지대를 벗어나 드넓은 화북 평원으로 흘러 들어간다. 정저우시 북쪽에 위치한 화위안커우 진까지가 황하의 중류 구간으로 간주되며, 이 지점부터 하류가 시작되는 것으로 본다.[86] 황하는 정저우시 궁이시에서 남쪽에서 흘러온 뤄허와 합류한다.
2. 3. 하류와 화북 평원
황하의 하류는 일반적으로 정저우시 북쪽의 花园口镇|화위안커우중국어에서 시작하여[86] 보하이해 하구까지 약 786km에 이르는 구간을 말한다. 이 구간에서 황하는 광활한 화북 평원을 북동쪽으로 가로질러 흐르며, 강 양쪽에는 인공 제방이 높이 쌓여 있다. 하류 구간의 총 고도 차이는 93.6m에 불과하며, 평균 경사는 0.012%로 매우 완만하다.황하는 상류와 중류의 황투고원을 지나며 막대한 양의 황토를 운반하는데, 연간 토사 운반량은 16억 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토사가 하류에 이르러 퇴적되면서 강바닥(하상)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주변 평야보다 높은 천정천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를 '현하(懸河)'라고도 부른다. 특히 허난성 카이펑 부근에서는 황하의 강바닥이 주변 지면보다 10m나 높다.[56] 이러한 퇴적 작용으로 하구에는 거대한 삼각주가 발달했으며, 황하에서 운반된 퇴적물은 보하이해를 넘어 황해 북부와 남부까지 이동하여 산둥반도 주변에 퇴적 중심지를 형성하기도 한다.[54]
하류 구간의 유역 면적은 약 23000km2로 황하 전체 유역의 3%에 불과하다. 이는 하류에서는 황하로 직접 유입되는 큰 지류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남쪽의 강들은 대부분 화이허로, 북쪽의 강들은 하이허로 흘러가며, 화이허 유역은 황하 남쪽 제방에 의해 황하 유역과 분리되어 있다.[55]
황하 하류 지역은 역사적으로 중원이라 불리며 황하 문명이 발상한 곳이자 중국 문명의 중심지였다. 과거 여러 왕조의 수도가 이곳에 자리 잡았으며, 현재도 정저우, 카이펑, 지난 등 주요 도시들이 위치해 있다. 특히 정저우는 동서를 잇는 룽하이선 철도와 남북을 잇는 징광선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2. 4. 지류
황허강의 주요 지류는 발원지부터 하구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52]- 바이허강 (白河)
- 헤이허강 (黑河)
- 다샤강
- 타오허강 (洮河)
- 황수이강 (湟水)
- 다퉁허강 (大通河)
- 좡랑허강 (庄浪河)
- 쭈리허강 (祖厉河)
- 칭수이강 (清水河)
- 다헤이강 (大黑河)
- 쿠예강 (窟野河)
- 우딩강 (无定河)
- 펀허강 (汾河)
- 웨이허강 (渭河) - 황허강의 지류 중 가장 크다.
- 뤄허강 (洛河)
- 친허강 (沁河)
- 다원허강 (大汶河)
- 옌강 (延河)
황허강 중류, 특히 황토고원을 통과하는 구간에서는 서쪽에서 우딩강과 옌강, 동쪽에서 펀허강 등이 합류하며 많은 토사를 강으로 운반한다. 산시성 퉁관 부근에서는 서쪽에서 흘러온 가장 큰 지류인 웨이허강과 합류하고, 허난성 궁이시에서는 남쪽에서 흘러온 뤄허강과 합류한다.
황허강 하류 구간에는 지류가 없다.[51]
3. 유로 변화
황하는 잦은 범람과 유로 변경으로 유명하며, 특히 하류는 강바닥에 토사가 쌓여 주변 평야보다 높아지는 천정천을 이루어 왔다. 이 때문에 황하는 예로부터 다스리기 어려운 강으로 여겨졌으며, 역사적으로 수많은 유로 변경 기록을 가지고 있다. 황하가 화이허로 흘러들던 시기를 황하탈회(黃河奪淮)라고 부른다.
기원전 602년 이전의 황하는 현재보다 훨씬 북쪽으로 흘러 톈진 부근에서 보하이만으로 유입되었다. 춘추 시대[32]와 진나라[33]의 기록에 따르면, 강은 뤄양을 지나 산시성과 허난성의 경계, 그리고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경계를 따라 흘렀다. 기원전 602년에 기록된 첫 유로 변경이 있었으며[32][34], 이후 전국 시대에는 제방이나 운하를 파괴하여 적국에 홍수를 일으키는 것이 군사 전술로 사용되기도 했다.[35]
전한 시대인 기원전 132년에는 푸양 부근에서 제방이 무너져 황하가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 유역으로 범람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이 물길은 23년 후인 기원전 109년에야 막혔다. 기원전 7년에는 자양(賈讓)이 황하 치수 방안으로 상책(하도 변경), 중책(분류 설치), 하책(제방 증축)을 제시한 "치하삼책"(治河三策)을 내놓았으나[95], 당시 국력 쇠퇴로 실행되지 못했다. 신나라 시대인 서기 11년의 대홍수는 황하의 물길을 다시 동쪽으로 바꾸었고, 이는 신나라 멸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후 서기 70년의 홍수로 강은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와 비슷한 경로로 흐르게 되었다.[29] 후한의 왕경(王景)은 69년부터 70년에 걸쳐 대규모 치수 공사를 벌여 황하를 안정시켰다. 왕경은 자양의 방안과 유사하게, 경사가 급한 최단 경로를 주 물길로 삼고 분류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치수를 진행했다. 이 공사의 성공으로 황하는 이후 당나라 시대까지 약 800년간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북송 시대에 들어서면서 황하는 다시 불안정해져, 1034년 제방 붕괴 이후 약 10년 주기로 유로가 바뀌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때의 유로 변경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여 고대의 북쪽 유로와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1128년, 남송의 장군 두충(杜充)이 금 군대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황하 남쪽 제방을 인위적으로 파괴했다. 이 사건으로 황하는 남쪽으로 크게 방향을 틀어 화이허와 합류한 뒤 황해로 흘러들게 되었다[96]. 이 남류는 1855년 황하가 다시 북쪽으로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 약 700년간 지속되었다. 처음에는 옛 물길로도 일부 흘렀으나 1150년경 완전히 남쪽으로만 흐르게 되었다. 남류기 동안 황하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 화이허로 흘러들었으며, 화이허 유역은 잦은 홍수에 시달렸다. 이 시기에 화이허에서 넘친 물이 고여 중국에서 네 번째로 큰 담수호인 홍택호가 형성되기도 했다. 명나라 후기에는 판계순(潘季馴)이 제안한 "속류공사"(束水攻沙, 물길을 하나로 모아 그 힘으로 토사를 밀어내는 방식) 방안이 채택되었으나, 청나라 후기에 이르러 준설 등 관리가 부실해지면서 다시 수해가 잦아졌다.
1851년과 1855년 사이의 대홍수로[29][38][40] 황하는 남류를 멈추고 약 700년 만에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보하이만으로 흘러들게 되었다. 이때의 유로가 현재 황하 하류의 기본 경로가 되었으며, 원래 이 경로로 흐르던 제수(濟水, 대청하)의 하도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지난의 지명은 원래 제수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새로운 유로를 둘러싼 논쟁 끝에 1875년 현재의 유로가 최종적으로 고정되었다. 1887년 홍수는 90만에서 2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추정되며[48], 1897년 홍수 이후 현재의 경로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38][49] 1931년의 홍수는 약 100만에서 400만 명의 사망자를 내어 기록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로 꼽힌다.[48]
1938년 6월 9일, 중일 전쟁 중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군대는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허난성 화원구 부근의 제방을 의도적으로 파괴했다(1938년 황하 홍수). 이로 인해 54000km2에 달하는 지역이 침수되었고[50], 약 50만에서 90만 명의 중국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일본군 사상자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 작전으로 일본군의 정저우 점령은 저지되었으나, 임시 수도였던 우한 점령을 막지는 못했다.[50] 파괴된 제방은 1947년에 복구되어 황하는 다시 현재의 경로로 흐르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삼문협 댐 (1957년 착공)[51]과 샤오랑디 댐 (2001년 완공)[99] 등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해 홍수로 인한 큰 피해는 감소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공업 및 농업 용수 수요 증가로 하류의 유량이 부족해져, 1990년대에는 연평균 180일간 강물이 바다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류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51] 1997년에는 226일 연속 단류 기록을 세웠다.[51] 샤오랑디 댐 건설 이후 수위 조절이 가능해지면서 1999년 이후로는 단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97][98][99] 하지만 근본적인 수량 부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남수북조 계획이 진행 중이나, 황하 자체의 수량을 직접적으로 늘리는 서선 공구는 아직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다.
4. 역사
황하는 오랫동안 중국 북부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25] 그러나 동시에 황하는 역사적으로 잦은 범람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켜 '중국의 슬픔'이라고도 불렸다.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595년부터 서기 1946년까지 2,540년 동안 황하는 1,593번이나 범람했으며, 물길을 26번이나 크게 바꾸었고 그중 9번은 매우 심각한 변화였다.[29]
황하 범람의 주된 원인은 강이 황토 고원에서 운반해 오는 막대한 양의 미세한 황토 입자이다. 이 토사가 강바닥에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강바닥이 주변 평야보다 높아지는 천정천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제방이 무너지면 강물이 주변 지역으로 쏟아져 나와 광범위한 홍수를 일으키고, 때로는 강이 완전히 새로운 경로를 찾아 흘러가기도 했다.[27] 또한 겨울철 내몽골 상류 지역에서 형성되는 얼음 댐이 봄에 갑자기 무너지면서 대규모 홍수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28] 역사상 최악의 홍수로는 수백만 명의 사망자를 낸 1332–33년 홍수[26], 1887년 홍수[48], 1931년 홍수[48] 등이 기록되어 있다.
황하의 유로는 역사적으로 크게 변동해왔다. 고대에는 현재보다 훨씬 북쪽으로 흘러 톈진 부근의 보하이만으로 유입되었으나,[29][32][33] 기원전 602년에 처음으로 큰 유로 변경이 기록되었다.[32][34] 1128년에는 남송의 장군 두충이 금 군대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제방을 파괴하면서 황하가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와 합류하여 황해로 흘러들어가게 되었다.[96] 이 남류는 1855년 대홍수로 다시 북쪽으로 물길을 바꾸어 현재와 비슷한 유로를 형성하기까지 약 700년간 지속되었다. 중일 전쟁 중인 1938년에는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군대가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방을 폭파하여 다시 물길을 남쪽으로 돌리는 사건(1938년 황하 홍수)도 있었다.[50] 이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강은 1947년 제방 복구 후에야 현재의 유로로 돌아왔다.
황하의 치수는 고대 하나라의 우 임금 전설에서부터 시작하여 역대 중국 왕조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다. 한나라의 왕경은 성공적인 치수 사업으로 800년 이상 황하를 안정시켰고, 명나라의 판계순은 강물의 흐름을 하나로 모아 토사를 밀어내는 '속수충사(束水沖沙)'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은 삼문협 댐[51]과 샤오랑디 댐[99] 등 대규모 댐을 건설하여 홍수 피해를 크게 줄였다. 그러나 급증한 용수 수요로 인한 하류의 단류 현상과 수질 오염[102]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했다.
4. 1. 고대
황하가 아직 비교적 맑았을 때는 단순히 '강'(河|허중국어, 고대 중국어 발음 *gâi)이라고 불렸다.[6] 기록에 따르면, 강이 현대의 황토 고원을 벗어나는 위먼커우 협곡에서 관찰한 결과 기원전 367년에서 서기 165년 사이에 강이 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7] '탁한 강'(濁河|줘허중국어, 고대 중국어 발음 *drôk-gâi)과 '(탁한) 황하'(黃河|황허중국어, 고대 중국어 발음 *gwâŋ-gâi)[6]라는 이름은 각각 기원전 145년[8][9]과 서기 429년에 문헌상 확인된다. 황하라는 이름은 당나라 말기에 이르러 탁한 강이라는 명칭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으나,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산시성 황토 고원에서는 진어로 '강, 나의 주님'(老爺河|라오예허중국어, 진어 발음 lo˦˩˨ i˧ xɤu̯˧)이라고 불린다.[16][17] 몽골어로는 Шар мөрөн|샤르 머른mn('황하')[18] 또는 Хатан гол|하탄 골mn('여왕의 강')이라고 불린다.[19] 이 강은 쿨 티긴 비문에서 '푸른 강'(yašïl ügüz|야쉴 위귀즈otk, 𐰖𐱁 COLLISIONS)으로 언급된다.[20] 표준 티베트어 이름은 "공작새의 강"(རྨ་ཆུ་|마추bo; 瑪曲|마취중국어)이다.
중국 신화에서는 거인 콰푸가 타는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황하와 웨이강의 물을 마시며 태양을 쫓아갔다고 전해진다.[31] 춘추 시대[32]와 진나라[33]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당시 황하는 현재보다 상당히 북쪽으로 흘렀다. 이 기록들은 강이 뤄양을 지난 후 산시성과 허난성의 경계를 따라 흐르고, 그 후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경계를 따라 흐르다가 현재의 톈진 근처 보하이만으로 흘러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다른 하나의 출구는 기본적으로 현재의 경로를 따랐다.[29]
기원전 602년, 강은 이 경로를 벗어나 수백 킬로미터 동쪽으로 이동했다.[32][34] 전국 시대 동안에는 둑, 운하, 저수지를 파괴하거나 의도적으로 홍수를 일으키는 것이 적대 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군사 전술로 사용되었다.[35] 황하 계곡은 관중 지역과 진나라로 들어가는 주요 입구였으며, 화베이 평원에서 진나라는 한구관을 굳게 지켰다. 이곳에서 수많은 전투가 벌어졌으며, 한나라의 수도인 장안과 뤄양을 보호하는 중요한 병목 지점이기도 했다. 서기 11년의 대규모 홍수는 단명한 신나라의 멸망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며, 서기 70년의 또 다른 홍수는 강을 산둥성 북쪽, 즉 기본적으로 현재의 경로로 되돌려 놓았다.[29]
황하 유역에서는 기원전 7000년경에 황하 문명이 성립했다. 황하 문명은 이후 남쪽의 장강 유역에서 발달한 장강 문명과 융합하여 중국 문명을 이루었지만, 황하 유역은 오랫동안 중국 문명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황하의 치수는 예로부터 중국 문명에서 중요한 과제였으며, 전설상의 첫 왕조인 하 왕조의 우 임금이 황하 치수 사업에 성공하여 순 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는 전설은 그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기원전 17세기경에는 역사적으로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왕조인 상나라가 성립했다. 이후 역대 통일 왕조는 대체로 서주가 도읍했던 관중 분지의 장안 주변이나, 동주가 도읍했던 중원 지역의 낙양 중 한 곳에 수도를 두었다.
한편, 중원 왕조의 지배력이 명확하게 미치던 지역은 황하가 크게 굽이치는 구간의 중간 지점까지였으며, 그 이북 지역은 북방 유목 민족 왕조의 영향력 아래 있는 경우가 많았다. 황하 굴곡부 북단의 하타오 지역은 황하의 유수지 역할을 하는 습지대로, 목축에 필요한 풍부한 풀과 물이 있는 대초원이었기에 유목민에게도 중요한 땅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양쪽 세력의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분쟁 지역이 되는 경우가 잦았다. 전국 시대에는 조나라가 이 지역에 진출하여 하타오 북쪽에 만리장성을 쌓고 운중과 구원을 지배했다. 조나라를 멸망시킨 진나라 역시 이 지역의 지배를 이어가 구원현을 설치했지만, 진한 교체기에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두만선우의 침공으로 굴곡부 북부는 흉노의 영역이 되었다. 이후 약 100년간 흉노의 지배가 이어졌으나, 한나라 무제가 즉위하면서 흉노는 압박을 받기 시작했다. 기원전 127년에는 굴곡부 지역을, 기원전 121년에는 이전까지 중국 왕조가 진출하지 못했던 란저우 등 황하 상류부와 그 서쪽의 기련산맥 산기슭까지 지배 하에 두고 하서사군을 설치했다. 그러나 후한 시대 이후 중국 왕조의 굴곡부 지배력은 점차 약화되었고, 서진의 쇠퇴 이후 북방 유목 민족이 중국 북부로 침입하여 오호 십육국 시대가 시작되면서 황하 유역 전체가 유목 민족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북위가 화북을 통일한 이후에도 계속되어, 황하 유역의 북조와 장강 유역의 남조가 대치하는 남북조 시대가 오랫동안 이어졌다. 이 구도는 북조의 수나라가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정치적으로는 황하와 장강 유역이 통일되었지만, 경제적으로는 분리된 상태였다. 이를 연결하기 위해 610년 수나라 양제는 대운하를 완성하여 황하와 장강을 수운으로 직접 연결했다. 이로 인해 대운하와 황하가 만나는 지점인 개봉이 경제적으로 크게 번영하여, 오대부터 북송 시대까지 수도가 되었다. 한편 군사적으로 약했던 송나라는 황하 굴곡부에 충분한 세력을 뻗치지 못했고, 하타오는 요나라의 지배 하에 들어갔으며, 은천 평원은 탕구트족의 이원호가 일으킨 서하 왕국의 본거지가 되었다. 역사상, 은천 평원에 독립 왕조가 할거한 것은 이것이 유일한 일이다. 북송이 금나라에 패하여 남쪽으로 옮겨가자, 화북을 지배하게 된 금나라는 중원의 북단에 가까운 중도(베이징)에 도읍을 두었고, 이후의 왕조는 베이징 또는 남경에 도읍을 두게 되어, 황하 유역에는 도읍이 놓이지 않게 되었다. 원 시대에는 대운하가 더욱 직선적이 되도록 동쪽으로 경로가 변경되었고, 이로 인해 수운의 결절점이 되지 않은 개봉의 경제적 중요성은 저하되었다.
4. 2. 중세
수나라가 남북조를 통일한 후, 남북으로 나뉘어 있던 경제권을 하나로 묶을 필요성이 커졌다. 이를 위해 610년 수나라의 양제는 대운하를 완성시켜 황하와 장강을 수운으로 직접 연결했다. 이 대운하는 경제 통합에 기여했지만, 건설 과정에서 백성들에게 큰 부담을 주기도 했다.대운하와 황하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개봉은 수운 교통의 중심지로 떠오르며 경제적으로 크게 번영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개봉은 오대부터 북송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약했던 송은 황하 북부 지역까지 영향력을 충분히 미치지 못했다. 황하가 크게 휘어지는 하타오 지역은 요(거란)의 지배 아래 들어갔고, 서쪽의 은천 평원에서는 탕구트족의 이원호가 서하를 건국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다. 역사적으로 은천 평원에 독립 왕조가 들어선 것은 서하가 유일하다.
이후 북송이 금에게 패배하여 남쪽으로 쫓겨나자, 화북 지역을 차지한 금나라는 중원의 북쪽 끝에 가까운 중도(현재의 베이징)를 수도로 삼았다. 이를 기점으로 이후 중국 왕조들은 주로 베이징이나 남경에 도읍을 정하게 되면서, 황하 유역은 점차 정치의 중심지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원 시대에는 대운하의 경로가 기존보다 동쪽으로 옮겨져 더 직선화되었다. 이로 인해 개봉은 더 이상 수운 교통의 핵심 결절점이 아니게 되었고, 경제적 중요성도 점차 줄어들었다.
4. 3. 근현대
황하는 잦은 범람으로 인해 유로가 수시로 바뀌어 통제가 어려운 강이었다. 1854년 이전까지 황하의 물줄기는 산둥반도 남쪽을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갔다. 그러나 1850년대의 대홍수로 강 하구가 현재처럼 북쪽으로 320km 이동하게 되었다. 현재 황하 하류는 본래 지수이 강이었으나, 1855년 치수 사업을 통해 황하가 지수이 강으로 흘러가도록 물길을 바꾼 것이다.
황하 하류는 천정천으로 예로부터 범람이 잦아 물길이 크게 바뀌곤 했다. 중일 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군대는 진격하는 일본군을 저지하기 위해 허난성 화원구 근처의 제방을 의도적으로 파괴했다(1938년 황하 홍수).[50] 캐나다 역사학자 다이애나 라리는 이를 "전쟁으로 인한 자연 재해"라고 불렀다. 이 작전은 "병사 대신 물을 사용한다"는 전략의 일환이었으나, 54000km2에 달하는 지역이 물에 잠기고 약 50만에서 90만 명의 중국인이 목숨을 잃는 참혹한 결과를 초래했다.[50] 일본군의 사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홍수로 황하는 다시 산둥반도 남쪽으로 흐르게 되었고, 일본군의 정저우 점령은 막았지만 중국 정부의 임시 소재지였던 우한 점령을 막지는 못했다.[50] 제방은 1947년에야 복구되어 하구가 현재의 위치로 돌아왔다.
황하의 범람은 역사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다. 특히 근현대에 발생한 주요 홍수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명 | 사망자 추정 | 비고 |
---|---|---|---|
1887년 | 1887년 황허 홍수 | 90만 ~ 200만 명 | 역사상 두 번째 최악의 자연 재해 (기근/전염병 제외)[48] |
1931년 | 1931년 중국 홍수 | 100만 ~ 400만 명 | 기록된 최악의 자연 재해 (기근/전염병 제외)[48] |
1938년 | 1938년 황하 홍수 | 50만 ~ 90만 명 | 중일전쟁 중 국민당의 인공 홍수[50] |
이러한 홍수의 주요 원인은 강이 황토 고원에서 운반해 온 다량의 미세한 황토 입자가 강바닥에 지속적으로 퇴적되어 자연적인 댐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퇴적물은 강바닥을 주변 평야보다 높게 만들어, 제방이 터졌을 때 물이 강으로 다시 돌아가지 못하고 광범위한 지역을 침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27] 또한 내몽골 상류 지역의 얼음 댐이 갑자기 붕괴하며 대규모 방류가 일어나는 것도 파괴적인 홍수의 원인이었다. 지난 세기에만 11번의 얼음 댐 붕괴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으며, 오늘날에는 항공기 폭격을 통해 위험한 얼음 댐을 미리 파괴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28]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4년 황하 홍수 통제 및 수리 시설 개발 계획이 발표되었고,[51] 1957년부터 삼문협 댐을 비롯한 대규모 댐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51] 이를 통해 홍수로 인한 피해는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공업 및 농업용수 수요가 급증하면서 하류의 유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51] 특히 1990년대에는 황하가 바다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류 현상이 심화되어, 1997년에는 226일 동안 강물이 바다까지 흐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51]
5. 환경 문제와 관리
황하 유역은 1억 1천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며[102], 생활 및 산업 활동을 위한 과도한 물 이용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높은 물 이용률은 강 하류의 만성적인 유량 부족을 야기했으며, 20세기 후반에는 강물이 바다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했다.[102]
유량 부족은 수질 오염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공장 폐수와 도시 하수가 제대로 희석되지 못해 강물의 오염도가 높아졌으며[72], 이는 식수원 확보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하구 삼각주의 갈대밭 등 생태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89][102] 1985년에는 황하 본류의 92.1% 구간이 음용수로 사용 가능했지만, 2004년에는 그 비율이 34.4%로 급감했으며, 어떤 용도로도 사용할 수 없는 고도 오염 수역이 전체의 25%를 넘어서기도 했다.[102]
반면, 황하 최상류 지역인 티베트 고원의 호수와 툰드라 습지는 상대적으로 오염의 영향을 덜 받아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곳에는 붉은부리 오리, 황금독수리, 푸르제발스키가젤(Przewalski's gazelle|영어), 검은목두루미, 보라매, 흰코사슴, 야생 야크(Wild yak|영어), 설표, 난쟁이사향노루(Dwarf musk deer|영어), 알파인사향노루(Alpine musk deer|영어), 도올, 흰꼬리수리 등 다양한 야생동물과 함께 Chuanchia labiosa|영어, Gymnocypris eckloni|영어, Gymnodiptychus pachycheilus|영어와 같은 고유종 어류가 서식하여 생태적 가치가 높다.[80][81][82][101]
황하의 고질적인 토사 문제 관리를 위해 황토 고원에서의 퇴경환림 정책 시행이나 댐을 이용한 토사 배출 작업[92]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유량 감소는 토사 운반 능력을 저하시켜 하류의 천정천화와 퇴적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94]
5. 1. 수질 오염
2008년 11월 25일, 가디언의 타니아 브래니건은 "중국의 젖줄: 황허"라는 보고서를 통해 심각한 오염으로 인해 황하의 3분의 1이 공장 폐수와 급속도로 확장되는 도시의 하수 때문에 농업 또는 산업 용도로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고 보도했다.[72] 황하는 첫 번째 주요 도시인 시닝을 지나면서부터 심하게 오염된다.[73] 황허 수리 위원회는 2007년 강 조사를 통해, 강 시스템의 33.8%가 유엔 환경 계획 기준에 따른 5등급(식수, 양식, 산업용, 농업용으로 모두 부적합)보다 수질이 나쁘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또한 2007년 한 해 동안 황하 시스템으로 배출된 폐기물과 하수의 총량이 42억 9천만 톤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중 산업 및 제조업 폐수가 70%를 차지했으며, 가정 하수가 23%, 기타 오염원이 6%를 약간 넘었다.5. 2. 토사 문제
황하는 강물에 섞인 막대한 양의 토사 때문에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주요 토사 공급원은 상류의 황토 고원으로, 이곳의 미세한 황토 입자(실트)가 강물에 쉽게 침식되어 대량으로 유입된다. 황하가 운반하는 토사의 양은 연간 16억 톤에 달하며[87],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이다. 연간 유량(468억 m3)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어서[87], 토사 함유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한 추정에 따르면 물 1세제곱미터당 평균 34kg의 토사가 포함되어 있는데[29], 이는 콜로라도 강의 10배, 나일 강의 34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물 한 섬에 흙 여섯 말"(一石水,六斗泥)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였다[91].이처럼 많은 토사는 황하 유역에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 퇴적과 천정천 형성: 황토 고원을 통과하며 실려 온 토사는 하류의 유속이 느린 구간에서 강바닥에 쌓인다. 이로 인해 강바닥이 주변 평야보다 높아지는 천정천이 형성되었다[90]. 심지어 하류의 제방 안쪽 강바닥이 다시 높아져, 천정천 안에 또 다른 천정천이 생기는 이중 구조가 나타나기도 한다[94].
- 잦은 홍수와 하도 변경: 강바닥에 쌓인 토사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자연 댐처럼 작용하거나, 천정천의 제방이 붕괴될 경우 대규모 홍수를 유발한다. 특히 강바닥이 주변 지면보다 높기 때문에 한번 범람한 물이 강으로 다시 빠져나가기 어려워 피해가 커진다[27]. 역사적으로 황하는 기록된 2,540년(기원전 595년~서기 1946년) 동안 1,593번 범람했고, 강줄기가 크게 바뀐 경우도 26번이나 되었다[29].
- 댐 기능 저하: 황하에 건설된 댐들은 저수지에 토사가 빠르게 쌓여 저수용량이 줄어들고 홍수 조절 능력이 약화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황하 본류에 처음 건설된 대형 댐인 싼먼샤 댐은 1960년 완공 후 불과 1~2년 만에 심각한 토사 퇴적으로 상류의 관중 평원 지역이 홍수 위협에 처하자, 토사 배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대규모 개보수 공사를 두 차례나 거쳐야 했다[92]. 샤오랑디 댐 등 다른 댐들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 하구 삼각주 변화: 황하가 보하이만으로 운반하는 막대한 토사는 강 하구에 광활한 삼각주를 형성했다. 그러나 최근 댐 건설 등의 영향으로 바다로 유입되는 토사량이 줄면서, 1996년 이후로는 삼각주 면적이 침식으로 인해 오히려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58].
이러한 토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사 유출의 근원인 황토 고원에서는 경작지를 줄이고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함으로써 토사 유출을 억제하려는 퇴경환림 정책이 시행 중이다. 또한 싼먼샤 댐, 샤오랑디 댐, 완자이 댐 등에서는 주기적으로 물을 대량 방류하여 댐과 하류 강바닥에 쌓인 토사를 씻어내는 작업을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다[92].
한편, 황하의 누런 물은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어 "백년하청(百年河淸)"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났다. 이는 '황하가 맑아지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실현 불가능한 일을 기다리는 어리석음을 비유한다. 실제로 562년 북제 시대에 황하와 지수가 함께 맑아지는 매우 드문 일이 일어나자, 이를 기념하여 연호를 하청(河淸)으로 바꾸기도 했다[93].
5. 3. 수자원 관리
황하는 수문학적으로 물이 적고 모래가 많으며, 물과 모래의 분포가 불균등하고 하류는 천정천(강바닥이 주변 지면보다 높은 강)으로 홍수 피해가 잦다는 특징이 있다.[90] 평균 유량은 초당 2,110m³/s이며, 최대 25,000m³/s, 최소 245m³/s를 기록했다. 이는 양쯔강의 평균 유량(초당 32,000m³/s)에 비해 상당히 적은 양이다. 그러나 황하는 운반하는 실트의 양이 엄청나게 많다. 황토 고원에서 내려오는 지점에서 연간 16억ton의 토사를 운반하는데,[87]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이다. 이 토사량은 2위인 갠지스강(연간 14.5억ton)과 비슷하며, 3위인 아마존강(연간 9억ton)보다 훨씬 많다.[87] 황하의 연간 수량은 468억m3에 불과하여[87], 토사 함유율 면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하천이다.[29][87] 이 때문에 황하에는 "물 한 섬에 흙 여섯 말"[91]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많은 토사가 포함되어 있다.1972년 이후 황하는 바다에 도달하기 전에 물이 마르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는 1950년대 이후 농업 관개 시설이 5배나 증가하면서 물 사용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1999년 기준으로 황하의 물은 1억 4천만 명의 생활용수로 공급되고, 74000km2 면적의 농경지를 관개하는 데 사용되었다.[57] 필요한 시기에 물을 확보하고 홍수를 조절하며 발전을 위해 황하에는 여러 개의 댐이 건설되었다. 대표적인 댐으로는 싼먼샤 댐, 완자이 댐, 샤오랑디 댐 등이 있다.
하지만 황하의 높은 토사 함량은 댐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댐 저수지에 막대한 양의 토사가 빠르게 쌓여 댐의 예상 수명을 단축시키고 홍수 조절 능력을 떨어뜨린다. 황하 본류에 처음 건설된 대형 댐인 싼먼샤 댐은 1960년 완공 후 불과 1년 만에 심각한 토사 퇴적 문제에 직면했다. 댐 호수에 쌓인 토사가 상류의 퉁관까지 영향을 미쳐 관중 분지 일대가 홍수 위험에 처하자, 두 차례의 개수를 통해 토사 배출 기능을 개선해야만 했다. 이러한 토사 퇴적 문제는 황하의 모든 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홍수 억제 기능이 상당히 약화된 상태이다. 샤오랑디 댐에서는 저수지와 하류 하도에 쌓인 토사를 씻어내기 위해 정기적으로 대량의 물을 방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92]
겨울철 내몽골 자치구 상류 구간에서는 강물이 얼어붙어 얼음 댐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 얼음 댐이 봄에 갑자기 붕괴하면 저장되었던 막대한 양의 물이 한꺼번에 방류되어 하류에 큰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 과거 이러한 홍수로 11번의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막대한 인명과 재산 손실을 야기했다. 오늘날에는 얼음 댐이 위험한 수준에 이르기 전에 항공기에서 폭탄을 투하하여 인공적으로 파괴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28]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양쯔강 유역의 물을 황하 유역으로 끌어오는 대규모 남수북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여러 경로를 포함하는데, 황하와 양쯔강의 발원지가 가까운 서부 고원지대에서 물을 끌어오는 서선(西線), 한 강 상류에서 물을 끌어오는 중선(中線), 그리고 옛 경항 대운하 경로를 이용하는 동선(東線) 계획이 있다.
황하의 가장 큰 문제인 토사 유출과 퇴적을 막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토사 유출이 가장 심한 황토 고원 지역에서는 경작지를 다시 숲으로 만드는 퇴경환림 정책을 시행하여 토양 침식을 줄이고 있다. 또한, 샤오랑디 댐, 싼먼샤 댐, 완자이 댐 등이 연계하여 물을 방류함으로써 하류 하도에 쌓인 퇴적물을 씻어내는 작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황하의 토사 축적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의 유량 감소로 인해 토사 운반 능력이 떨어지면서 오히려 퇴적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도 보인다. 황하 하류에서는 강바닥이 계속 높아져 제방 안쪽의 수로 주변에 다시 토사가 쌓여 천정천 안에 또 다른 천정천이 생기는 이중 천정천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94]
6. 생태계
황하 유역은 본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곳이었으나,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 서식지 파괴, 오염, 외래종 유입, 남획, 댐 건설 등으로 인해 많은 토착 어류와 동식물이 위협받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자취를 감추었다.[60][61][62]
황하 유역에는 1억 1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유역과 거의 일체화된 화베이 평원의 인구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늘어난다. 이 막대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황하의 물은 매우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황하의 물 이용률은 84.2%에 달해, 하구까지 도달하는 물은 전체 유량의 15.8%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강수량이 조금이라도 줄면 황하의 물이 하구까지 이르지 못하는 단류 현상이 20세기 중반에 빈번하게 발생했다. 단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 이후에도 높은 물 이용률은 변하지 않아, 황하 하류는 만성적인 유량 부족 상태에 놓여 있다.
또한, 특히 중하류 지역은 인구 밀집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연안의 공장과 도시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황하로 흘러들어 심각한 수질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유량 감소는 이러한 오염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 1985년에는 황하 본류의 92.1% 구간이 음용수로 사용 가능했지만, 2004년에는 이 비율이 34.4%까지 급감했다. 오염된 구간 중에서도 어떤 용도로도 사용할 수 없는 고도 오염 수역이 전체 강의 25%를 넘어서는 심각한 상황이다.[102]
유량 감소와 수질 악화는 하구 삼각주 지역의 갈대밭 등 생태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89] 단류가 발생했을 때에는 황하 하류 유역 여러 도시의 공업 및 농업 용수 공급이 줄어들어 심각한 물 부족 사태를 겪기도 했다.
6. 1. 어류

황하 유역은 어류 자원이 풍부하여 92개 속과 28개 과에 속하는 160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19종은 황하 유역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다.[60][61] 그러나 서식지 파괴, 오염, 외래종 유입 및 남획으로 인해 많은 토착 어종의 개체수가 급감하거나 완전히 사라졌다. 여러 종은 중국의 멸종 위기 목록에서 위협종으로 분류되었다.[60][62] 댐과 저수지는 유속이 느린 정수 환경에 사는 종의 서식지를 늘렸지만, 유수 환경에 사는 종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했으며 다른 종의 상하류 번식 이동을 막았다.[60][62] 2000년대 조사에서는 황하 유역에서 확인된 토착 어류가 63개 속 18개 과의 80종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60] 반면, 외래 어종은 개체수와 종 수 모두 크게 증가했다. 어류학자 리 쓰중이 처음 조사를 발표했던 1960년대에는 외래 어종이 단 1종 기록되었으나, 2000년대에는 26종으로 급증했다.[60]
아시아 강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잉어과는 황하 유역에서 가장 다양한 과이다. 이 유역에는 현재 서식하는 종과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을 포함하여 85종 이상의 잉어과 어류가 기록되었다. 그 외에 다양성이 높은 과는 다음과 같다.
[60]
강 전체에서 발견되는 종도 있지만, 서식 범위가 더 제한적인 종도 있다. 예를 들어, 칭하이-티베트 고원의 최상부, 가장 높은 지역에는 눈치와 그 친척들(''Gymnocypris'', ''Gymnodiptychus'', ''Platypharodon'' 및 ''Schizopygopsis'')과 ''Triplophysa'' 종개와 같은 비교적 적은 수의 토착 종이 있다.[63] 황하 유역의 18종 고유종 중 12종이 상류에서 발견된다(또는 발견되었다).[60] 특히 이들은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많은 수원지의 어류상은 이제 외래 연어과 어류가 지배하고 있다.[60][63] 반면에 강의 최하류 부분과 그 삼각주는 망둑어(황하에도 담수 망둑어가 있지만), 농어, 넙치 및 ''Takifugu'' 복어와 같은 많은 기수 또는 광염성 종의 서식지이다.[60]
어업은 여전히 중요한 활동이지만, 어획량은 감소했다. 2007년에는 황하에서 이전 어획량에 비해 40% 적은 물고기가 잡혔다고 기록되었다.[62] 대형 잉어과(아시아 잉어, 육식성 잉어, 원창뱅어 및 몽골 적비늘치)와 대형 메기(아무르 및 란저우 메기)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가장 큰 종인 중국 철갑상어, 칼루가 철갑상어 및 창장 철갑상어는 약 50년 동안 황하 유역에서 보고되지 않았다.[60][61][64] 중요한 어업을 지원하는 다른 종으로는 흰 아무르 뱅어, 은어, 쏘가리, ''Protosalanx'' 빙어, 가물치, 아시아 늪뱀장어 등이 있다.[60]
2018년부터 매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황하 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연례 어업 금지 조치가 시행되었다.[65] 2022년 4월 1일부터 2025년 말까지 칭하이, 쓰촨 및 간쑤 성을 포함하는 황하 상류에서 천연 어류의 어획을 완전히 금지하는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나머지 유역에서는 연례 금지 기간이 4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로 연장된다.[66]
황하는 일반적으로 양식업에 장강이나 주강과 같은 중국 중남부의 강보다 덜 적합하지만, 황하를 따라 몇몇 지역에서도 양식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요한 양식 지역은 정저우 상류의 싱양 강변 평원이다. 1986년 싱양의 강변 왕춘에서 양식 연못 개발이 시작된 이후, 왕춘의 연못 시스템은 총 15,000 무 (10km2) 규모로 성장하여 이 마을을 중국 북부 최대의 양식 중심지로 만들었다.[67]
중국 남생이와 중국 자라 두 종이 황하 유역의 토종이다.[68] 특히 자라를 포함한 두 종 모두 식용으로 널리 양식된다.[69] 중국 미식가들에게 인기 있는 중국 자라의 한 품종은 황하 자라()라고 불린다. 오늘날 중국 식당에서 먹는 황하 자라의 대부분은 황하 근처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자라 양식장에서 나온다.
2007년에는 허난성, 싱양의 왕춘에 이 자라 품종을 기르기 위한 대규모 농장 건설이 시작되었다. 연간 500만 마리의 자라를 기를 수 있는 이 시설은 허난에서 가장 큰 종류의 농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0]
전적으로 수생 동물인 거대한 중국장수도롱뇽은 식용과 전통 의학 때문에 박해를 받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는데, 황하와 다른 중국의 강에서 서식한다. 중국 여러 지역에서 대량으로 양식되며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사육된 개체는 대부분 황하 기원이다. 이들은 종종 야생으로 방생되기 때문에, 황하형 중국장수도롱뇽이 중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 다른 유형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71]
6. 2. 기타 동식물
황하는 일반적으로 양식업에 있어 장강이나 주강과 같은 중국 중남부의 강보다 덜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황하를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양식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양식 지역으로는 정저우 상류의 싱양 강변 평원을 들 수 있다. 1986년 싱양시 왕춘진에서 강변 양식 연못 개발이 시작된 이후, 왕춘의 연못 시스템은 총 15,000 무 (10km2) 규모로 성장하여 중국 북부 최대의 양식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67]
황하 유역에는 중국 남생이와 중국 자라 두 종의 거북이 토종으로 서식한다.[68] 이 두 종, 특히 자라는 식용으로 널리 양식된다.[69] 중국 미식가들에게 인기 있는 중국 자라의 한 품종은 黄河鳖|황허 자라zho라고 불리는데, 오늘날 중국 식당에서 소비되는 황허 자라의 대부분은 실제 황하 유역이 아닌 다른 지역의 자라 양식장에서 생산된 것이다. 2007년에는 허난성 싱양시 왕춘진에 황허 자라 품종을 전문적으로 기르기 위한 대규모 농장 건설이 시작되었다. 연간 500만 마리의 자라를 생산할 수 있는 이 시설은 허난성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자라 양식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0]
거대한 크기의 중국장수도롱뇽은 본래 황하를 비롯한 중국의 여러 강에 서식했으나, 식용 및 전통 약재로 남획되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현재는 중국 여러 지역에서 대량으로 양식되고 있으며, 유전자 연구 결과 사육되는 개체의 대부분이 황하 기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양식된 개체들이 야생으로 방생되면서 황하형 중국장수도롱뇽이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 기존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71]
황하 최상류 지역인 티베트 고원의 호수와 툰드라 습지에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주요 동물로는 붉은부리 오리, 황금독수리, 푸르제발스키가젤 Przewalski's gazelleeng, 검은목두루미, 보라매, 흰코사슴, 야생 야크 Wild yakeng (야크의 야생종), 설표, 난쟁이사향노루 Dwarf musk deereng, 알프스사향노루 Alpine musk deereng, 도올, 흰꼬리수리 등이 있다. 또한 Chuanchia labiosaeng, Gymnocypris ecklonieng, Gymnodiptychus pachycheiluseng와 같은 고유종 어류도 서식한다.[80][81][82][101]
7. 문화적 의의
황하가 아직 어느 정도 맑았을 때는 단순히 '강'(河|허중국어)이라고 불렸다.[6] 기록에 따르면, 강이 현대의 황토 고원을 벗어나는 위먼커우 협곡에서 관찰한 결과 기원전 367년에서 서기 165년 사이에 강이 탁해진 것으로 보인다.[7] '탁한 강'(濁河|줘허중국어)과 '(탁한) 황하'(黃河|황허중국어)[6]라는 이름은 각각 기원전 145년[8][9]과 서기 429년에 문헌상 확인된다. 황하라는 이름이 언제 '탁한 강'을 완전히 대체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당나라 말기에는 황하라는 명칭이 보편화되었다.
산시성 황토 고원에서는 진어로 '강, 나의 주님'(老爺河|라오예허중국어)이라고 불린다.[16][17] 몽골어로는 Шар мөрөн|샤르 머릉mn('황하')[18] 또는 Хатан гол|하탄 골mn('여왕의 강')이라고 불린다.[19] 이 강은 쿨 티긴 비문에서 '푸른 강'(고대 튀르크어: ''yašïl ügüz'', 𐰖𐱁 COLLISIONS)으로 언급된다.[20] 표준 티베트어 이름은 "공작새의 강"(རྨ་ཆུ|마추bo; 玛曲|마취중국어)이다.
전통적인 믿음은 황허가 은하수의 연장선으로 하늘에서 흘러나온다고 여겼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장건은 황허의 근원을 찾도록 위촉받았다고 한다. 그는 며칠 동안 강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실을 잣는 여자와 소를 치는 사람을 만났다. 그 여자에게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묻자, 여자는 그에게 자신의 북(베틀의 부품)을 주며 점성가 엄군평에게 보여주라고 지시했다. 그가 돌아왔을 때, 점성가는 그것이 직녀 (베가)의 북임을 알아차렸고, 게다가 장건이 북을 받았을 때, 그는 떠도는 별이 직녀와 소치기 (알타이르) 사이에 끼어드는 것을 보았다고 말했다.[74]
허베이성과 허난성은 황허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그들의 이름은 각각 "강의 북쪽"과 "강의 남쪽"을 의미하지만, 역사적으로 두 성의 경계는 황하의 유로 변경에 따라 자주 바뀌었으며, 현재 허베이성과 허난성의 경계는 황허가 아니라 장강이다.
'''어머니 강, 중국의 슬픔, 그리고 중국 문명의 요람'''
전통적으로 중국 문명은 황허 유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중국인들은 이 강을 "어머니 강"과 "중국 문명의 요람"이라고 부른다.
중국의 오랜 역사 동안 황허는 풍요를 가져다주는 축복이자 파괴적인 홍수를 일으키는 저주로 여겨져 왔으며, "중국의 자부심"과 "중국의 슬픔"이라는 별명을 모두 가지고 있다.[75] 20세기에는 서구 및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일어나는 중국 민족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76]
'''재앙의 강'''
황허는 화북 평원에서 중국 문명의 발전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잦은 홍수와 끊임없는 유로 변경으로 강 주변 주민들에게 큰 재앙을 안겨주기도 했다. 이 때문에 '재앙의 강'(灾难河|짜이난허중국어)으로도 불린다. 황허의 치수(治水)는 고대부터 중국 왕조들의 중요한 정치적 과제였으며, 황허를 다스리는 문제는 중국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77][78]
'''황허가 맑아질 때'''
때때로 황허는 시적으로 "탁류"(濁流|줘류중국어)라고 불린다. 중국어 관용구 "황허가 맑아질 때(黃河淸)"는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이는 한국어의 "해가 서쪽에서 뜰 때"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역사적으로 "황허가 맑게 흐르는 것"은 영락제 통치 기간 동안 기린(1414년 정화의 함대가 벵골에서 가져온 아프리카 기린)이나 주유(전설상의 동물)와 같은 상서로운 동물들의 출현과 더불어 국가의 태평성대를 알리는 좋은 징조로 여겨지기도 했다.[79]
'''역사적, 문화적 중심지'''
황하 유역에서는 기원전 7000년경에 황하 문명이 탄생했다. 황하 문명은 이후 남쪽의 장강 문명과 융합하여 중국 문명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황하 유역은 오랫동안 중국 문명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황하의 치수는 고대 중국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는데, 전설상의 첫 왕조인 하나라의 시조 우가 황하 치수에 성공하여 순 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는 이야기는 황하 치수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기원전 17세기경에는 역사적으로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왕조인 상나라가 황하 유역에서 성립했다. 이후 여러 통일 왕조들은 주로 주나라의 수도였던 관중 분지의 장안 부근이나, 동주의 수도였던 낙양 중 한 곳에 도읍을 정했다.
중원 왕조의 직접적인 지배력은 황하가 크게 꺾이는 굴곡부(하투 지역) 중간까지 미치는 경우가 많았고, 그 북쪽 지역은 북방 유목 민족의 영향권 아래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굴곡부 북단인 하타오 지역은 황하의 물길이 만든 습지대로, 목축에 필요한 풀과 물이 풍부하여 유목민들에게 중요한 땅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중원과 북방 세력 모두에게 변방이었기 때문에 자주 분쟁 지역이 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조나라가 이 지역으로 진출하여 북쪽에 만리장성을 쌓고 운중과 구원 지역을 지배했다. 조나라를 멸망시킨 진나라 역시 이 지역을 계속 지배하며 구원군을 설치했지만, 진한 교체기의 혼란 속에 두만선우가 이끄는 흉노에게 빼앗겼다. 약 100년간 흉노의 지배하에 있다가, 한무제 때 기원전 127년에 굴곡부 지역을, 기원전 121년에는 란저우 등 황하 상류 지역과 기련산맥 일대까지 확보하여 하서사군을 설치했다. 그러나 후한 이후 중원 왕조의 지배력은 다시 약화되었고, 서진 말기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황하 유역 전체가 북방 민족의 지배하에 놓이기도 했다. 이러한 남북 분열 상황은 북위가 화북을 통일한 후에도 남북조 시대로 이어졌으며, 북조의 수나라가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하면서 끝났다.
정치적 통일 이후에도 황하 유역과 장강 유역의 경제는 분리되어 있었다. 이를 통합하기 위해 610년 수나라의 양제는 대운하를 건설하여 두 강을 수운으로 연결했다. 이로 인해 대운하와 황하가 만나는 개봉이 경제 중심지로 크게 번영하여 오대 십국 시대부터 북송 시대까지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군사력이 약했던 송나라는 황하 굴곡부 북쪽 지역까지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고, 하타오 지역은 요나라의 지배하에, 은천 평원은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북송이 금나라에 패해 남쪽으로 밀려난 후, 화북을 지배한 금나라는 중원의 북쪽 끝에 가까운 중도(베이징)에 도읍을 정했다. 이후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등 후대 왕조들도 주로 베이징이나 남경에 수도를 두면서 황하 유역은 점차 정치 중심지에서 멀어졌다. 원나라 시대에는 대운하의 경로가 동쪽으로 변경되어 직선화되면서, 개봉은 수운의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잃고 경제적으로 쇠퇴했다.
'''농업과 교통'''
황하 유역은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적어 연간 강수량이 1000mm를 넘는 곳이 거의 없다. 특히 상류 지역은 강수량이 매우 적어 대부분 스텝 기후에 속하며, 일부는 사막 기후 지역도 나타난다. 하류 지역은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 황하 유역과 양쯔강 유역은 대체로 연 강수량 1000mm 선과 비슷한 친링-회허선을 경계로 나뉜다. 이 경계선 남북으로 주식, 농작물, 농업 방식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차이가 나타난다. 양쯔강 유역이 벼농사 중심 지역인 반면, 황하 유역은 밭농사 중심 지역으로 밀을 주식으로 재배한다. 밀은 화북 평원에서는 겨울에 파종하지만, 닝샤, 간쑤 등 상류 지역에서는 봄에 파종하는 밀이 일반적이다. 밀은 비교적 후대에 전래된 작물이며, 황하 문명 시대부터 이 지역의 주요 작물은 조였다. 오늘날에도 조는 황하 유역에서 중요한 작물 중 하나이다. 대두와 면화 재배도 활발하며, 과일 중에서는 사과 생산이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남쪽은 배, 북쪽은 말"이라는 뜻의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말처럼, 황하 유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수상 교통보다는 말 등을 이용한 육상 교통이 더 발달했다. 하지만 대운하 건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수상 교통이 전혀 이용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주요 명소'''
명칭 | 위치 | 설명 |
---|---|---|
라오니우만 | 후허하오터 시 칭수이허 현과 산시성 경계 | 명나라 시대에 북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봉화대 유적이 남아 있다. |
석경선원 | 신저우 시 허취 현 | 황하를 마주보는 절벽 위에 세워진 사찰이다. |
향로사 | 산시성 위린 시 자 현 | 황하 옆 절벽 위에 자리한 사찰이다. |
호구 폭포 (壺口瀑布|후커우 폭포중국어) | 산시성-섬서성 경계 | 약 50m의 낙차를 가진 급류 폭포이다. |
함곡관 | 허난성 싼먼샤 시 | 고대 장안과 뤄양을 잇는 중요한 관문이었다. |
관작루 | 산시성 윈청 시 | 황하의 아름다운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누각으로, 예로부터 시인과 예술가들에게 사랑받았다. 왕지환의 시 "등관작루(登鸛雀樓)"가 유명하다. 6세기에 처음 지어졌으나 홍수로 여러 차례 유실되었다. |
정저우 황허 풍경 명승구 (郑州黄河风景名胜区|정저우 황허 펑징밍성취중국어) | 정저우시 후이제 구, 싱양 시 일대 | 2009년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급 풍경 명승구로 지정되었다. 황하 강변을 따라 조성된 관광 지역으로, 구역 내에 망산( 邙山|망산중국어 ) 등의 명소가 있다. |
8. 댐과 수력 발전
황하 본류에는 다수의 댐과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주요 댐 및 수력 발전소는 다음과 같다. (운영 시작 연도 순)
댐 이름 | 운영 시작 연도 | 위치 |
---|---|---|
싼먼샤 댐 | 1960년 | 허난성 싼먼샤시 |
싼성궁 댐 (三盛公水利枢纽) | 1966년 | 내몽골 자치구 바옌나오얼시 덩커우 현 |
칭퉁샤 수력 발전소 (青铜峡水库) | 1968년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칭퉁샤시 |
류자샤 댐 (刘家峡) | 1974년 | 간쑤성 융징 현 |
옌궈샤 댐 (盐锅峡) | 1975년 | 간쑤성 융징 현 |
톈차오 댐 (天桥) | 1977년 | 산시성 바오더 현과 산시성 푸구 현 경계 |
바판샤 댐 (八盘峡) | 1980년 | 간쑤성 란저우시 시구 구 |
룽양샤 댐 (龙羊峡) | 1992년 | 칭하이성 궁허 현 |
리자샤 댐 (李家峡) | 1997년 | 칭하이성 젠차 현 |
다샤 댐 (大峡) | 1998년 | 간쑤성 란저우시 |
리 협곡 수력 발전소 (李家峡水库) | 1999년 | 칭하이성 하이둥시 화룽 후이족 자치현 |
완자자이 댐 (万家寨) | 1999년 | 산시성 피안관 현 및 내몽골 자치구 |
샤오랑디 댐 (小浪底) | 2001년 | 허난성 지위안시 |
라시와 댐 (拉西瓦) | 2010년 | 칭하이성 구이더 현 |
양취 댐 (羊曲) | 2016년 | 칭하이성 싱하이 현 |
마얼당 댐 (玛尔挡) | 2018년 | 칭하이성 마첸 현 |
2000년 기준으로 룽양샤, 리자샤, 류자샤, 옌궈샤, 바판샤, 다샤, 칭퉁샤 7개 주요 수력 발전소의 총 설비 용량은 5,618 MW에 달했다.[59][106] 이 댐들은 대부분 낙차가 큰 상류 및 중류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 지역은 잠재적인 발전 능력은 크지만 상대적으로 경제 개발이 덜 진행되어 전력 소비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서부 지역의 전력을 동부 연안 지역으로 보내는 서전동송(西電東送)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황하 상류 지역도 이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룽양샤 댐과 류자샤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베이징, 톈진 등 북부 연안 대도시와 공업이 발달한 산둥성으로 송전되고 있으며, 이는 서전동송 프로젝트 북부 간선 경로의 핵심을 이룬다.
9. 주요 도시
황하는 현재 성 7곳과 자치구 2곳을 지나는데, 서쪽에서 동쪽 순서로 칭하이성,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산시성, 허난성, 산둥성이다.
황하를 따라 위치한 주요 도시들은 서쪽에서 동쪽 순서로 다음과 같다.
- 란저우: 간쑤성의 성도로, 황하 유역 가장 상류에 위치한 대도시다. 황하의 도하 지점에서 발달했으며, 인구 300만 명 이상으로 중국 북서부의 중심 도시 역할을 한다.[83]
- 인촨: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수도로, 인촨 평원(닝샤 평원)의 중심지다. 역사적으로 서하 왕조의 수도였으며, 후이족이 비교적 많이 거주한다.[84]
- 우하이: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도시다.
- 바오터우: 내몽골 자치구의 도시로, 황하가 동쪽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지점 근처에 있다. 허타오 평원과 가깝다.
- 뤄양: 허난성에 위치한 도시로, 황하 중류의 산악 지대를 지나 화북 평원으로 흘러 들어가는 길목에 있다. 역사적으로 여러 왕조의 수도였던 중요한 도시다.
- 정저우: 허난성의 성도로, 황하 중류 지역의 중요한 교통 요충지다. 동서를 잇는 룽하이 철로와 남북을 잇는 징광 철로가 교차한다.[86]
- 카이펑: 허난성에 위치하며, 정저우 동쪽에 있다. 역사적으로 북송의 수도였다.
- 지난: 산둥성의 성도로, 황하 하류에 위치한다. 황하를 건너는 뤄커우 부교 등이 있다.
10. 사진
참조
[1]
서적
The Yellow River: A Natural and Un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Berkshire encyclopedia of China
Berkshire
[3]
웹사이트
Achieving Water Security in the Yellow River Basin
https://www.adb.org/[...]
2023-10-01
[4]
웹사이트
People's Republic of China: Yellow River Basin Green Farmland and High-Quality Agriculture Development Project
https://www.adb.org/[...]
2022-10-01
[5]
웹사이트
Yellow River
https://n-h-i.org/pr[...]
[6]
서적
Minimal Old Chinese and later Han Chinese: a companion to Grammata serica recensa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학술지
[8]
서적
中华书局
1982
[9]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Of China: Translated from the Shih-chi of Ssu-ma Ch'i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11]
학술지
Anchors of Stability: Place-Names in Early China
https://sino-platoni[...]
2021-04-01
[12]
서적
《讀書雜志》 (Miscellaneous Reading Notes)
https://ctext.org/li[...]
[13]
학술지
https://wx.httpcn.co[...]
[14]
학술지
https://www.litphil.[...]
[15]
서적
ABC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ʿi Press
[16]
서적
Zhonghua shuju
[17]
서적
Shaanxi renmin chubanshe
[18]
서적
Mongolian–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학술지
Buddhism and Popular Ritual in Mongolian Religion: A Reexamination of the Fire Cult
[20]
문서
the Kultegin stele (side I), line 17
https://bitig.kz/?la[...]
[21]
학술지
Did the modern Yellow River form at the Mid-Pleistocene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22-01-01
[22]
학술지
Historical changes in the Yellow River delta, China
https://www.research[...]
1993-08-01
[23]
서적
The Yellow River: A Natural and Un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Rapid fluvial incision and headward erosion by the Yellow River along the Jinshaan gorge during the past 1.2 Ma as a result of tectonic extension.
[25]
서적
The Far East
Clarendon Press
[26]
서적
The Great Big Book of Horrible Things
W. W. Norton
[27]
서적
The Dynasties of China
Perseus Books Group
[28]
웹사이트
The Ice Bombers Move Against Mongolia
http://www.strategyp[...]
2011-03-29
[29]
서적
A Geography of China
[30]
웹사이트
Flooding and communicable diseases fact shee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31]
서적
The Commercial Press
2016-09-01
[32]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웹아카이브
Qin Dynasty Map
https://archive.toda[...]
2015-01-05
[34]
서적
Water Engineering in Ancient Civilizations: 5,000 Years of History
CRC Press
2017
[35]
서적
Facts on File Dangerous Weather Series: Flood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
[36]
서적
Sediments of Time: Environment and Society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 Press
1998
[37]
논문
Socio-economic Impacts on Flooding: A 4000-Year History of the Yellow River, China
2012
[38]
서적
The Rise and Splendour of the Chinese Empi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39]
서적
The Yellow R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40]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6
[41]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42]
서적
The Jews of Kaifeng, China: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Inc
2003
[43]
서적
Late Victorian Holocausts
Verso
[44]
서적
From the Yellow River to the Huai, chapter 15 in Elvin and Ts'ui-jung, Sediments of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5]
서적
Late Victorian Holocausts
Verso
[46]
간행물
Overview on River Management (《河防一覽》Héfáng yīlǎn)
1590
[47]
서적
The Influence of the Yellow River on Hangzhou Bay since AD 1000, chapter 10 in Elvin and Ts'ui-jung, Sediments of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8]
웹사이트
Before the Deluge
http://international[...]
International Rivers Report
2007
[49]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 1. Introductory Orientations
Caves Books Ltd. (Taipei)
1986
[50]
서적
The Waters Covered the Earth: China's War-Induced Natural Disaster
Rowman & Littlefield
2004
[51]
서적
An Ecological History of Modern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52]
웹사이트
China Exploration & Research Society
https://web.archive.[...]
2021-01-06
[53]
웹사이트
Yellow River Conservancy Commission
http://www.yellowriv[...]
2013-02-04
[54]
논문
Holocene development of the Yellow River's subaqueous delta, North Yellow Sea
2004
[55]
서적
Atlas of the Huai River Basin Water Environment: Digestive Cancer Mortality
Springer
2014
[56]
논문
Reclamation and Sediment Control in the Middle Yellow River Valley
http://emw21.com/CTS[...]
1996
[57]
뉴스
China's Yellow River, Part 1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5-30
[58]
뉴스
Yellow River Delta Shrinking 7.6 Square Kilometers Annually
http://china.org.cn/[...]
China Daily
2005-02-01
[59]
뉴스
Yellow River Upstream Important to West-East Power Transmission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0-12-14
[60]
논문
Fish assemblage changes over half a century in the Yellow River, China
2018
[61]
서적
Fishes of the Yellow River and Beyond
The Sueichan Press
2015
[62]
뉴스
A third of fish species killed in Yellow Riv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1-19
[63]
서적
Fish of the Upper Yellow River
Springer Geography. Springer, Cham
2016
[64]
논문
Species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freshwater fishes in the Yellow River basin
2020
[65]
웹사이트
The Yangtze River has entered a ten-year fishing ban. What about the Yellow River
https://www.seetao.c[...]
[66]
웹사이트
农业农村部关于调整黄河禁渔期制度的通告
http://www.moa.gov.c[...]
[67]
웹사이트
Ten thousand of mu of fish ponds in the riverside Xingyang
https://web.archive.[...]
2011-09-30
[68]
웹사이트
Turtles of the World, 7th Edition: Annotated Checklist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with Maps, and Conservation Status
http://www.iucn-tfts[...]
IUCN/SSC Turtle Taxonomy Working Group
2014
[69]
논문
Evidence for the massive scale of turtle farming in China
2008
[70]
웹사이트
Construction started in Xingyang on the province's largest Yellow River Turtle farm
https://web.archive.[...]
2007-07-24
[71]
논문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exemplifies the hidden extinction of cryptic species
[72]
뉴스
One-third of China's Yellow River 'unfit for drinking or agriculture' Factory waste and sewage from growing cities has severely polluted major waterway, according to Chinese research
https://www.theguard[...]
2008-11-25
[73]
뉴스
行程3000公里 亲眼目睹黄河水污染现状(组图)
http://finance.sina.[...]
2004-09-16
[74]
사전
Chang Chên-chou
[75]
서적
Berkshire encyclopedia of China
Berkshire Publishing Group
[76]
논문
Rediscovering the Yellow River and the Yangtze River: the Circulation of Discourses on the North–South Dichotomy between Late Qing China and Meiji Japan
https://www.cambridg[...]
[77]
웹사이트
基于黄河灾害研究综述的思考 On a Review of the Disasters from the Yellow River
http://36.112.18.13/[...]
[78]
웹사이트
黄河安澜呼唤生态保护和高质量发展
https://cdo.develpre[...]
[79]
논문
The True Dates of the Chinese Maritime Expeditions in the Early Fifteenth Century
[80]
웹사이트
Zhaling Lak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7-09-21
[81]
웹사이트
Eling Lak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2-01-01
[82]
웹사이트
Gansu Yellow River Shouqu Wetland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0-08-28
[83]
서적
大河失調 直面する環境リスク
岩波書店
2009-08-04
[84]
서적
世界地誌シリーズ2 中国
朝倉書店
2011-07-20
[85]
서적
黄河断流 中国巨大河川をめぐる水と環境問題
昭和堂
2008-01-15
[86]
서적
黄河断流 中国巨大河川をめぐる水と環境問題
昭和堂
2008-01-15
[87]
서적
生命体『黄河』の再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05-20
[88]
서적
海洋学 原著第4版
東海大学出版会
2010-03-31
[89]
웹사이트
Shandong Yellow River Delta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3-10-16
[90]
논문
歴史地理研究におけるGIS の応用 : 1855 年黄河下流古河道復元の実践(リモートセンシングデータを活用した東アジア古代研究)
http://glim-re.glim.[...]
[91]
서적
漢書
[92]
뉴스
迫力満点、黄河のダムで大放水 中国・河南省
https://www.afpbb.co[...]
AFPBB
2013-07-25
[93]
서적
生命体『黄河』の再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05-20
[94]
서적
生命体『黄河』の再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05-20
[95]
서적
生命体『黄河』の再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05-20
[96]
서적
中国古代の社会と黄河
早稲田大学
2009-03-30
[97]
문서
1972년 4월 23일, 산동성에서 단류가 처음 관측됨.
[98]
서적
地球観測報告II
岩波書店
[99]
서적
大河失調 直面する環境リスク
岩波書店
2009-08-04
[100]
뉴스
気候変動で中国の湿原が減少 アジア全土に影響を及ぼす恐れ
https://www.afpbb.co[...]
AFPBB
2007-07-18
[101]
웹사이트
Sichuan Ruoergai Wetland National Nature Reserv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8-02-02
[102]
서적
生命体『黄河』の再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05-20
[103]
서적
世界地誌シリーズ2 中国
朝倉書店
2011-07-20
[104]
서적
世界地誌シリーズ2 中国
朝倉書店
2011-07-20
[105]
뉴스
兰州开建首条穿越黄河地铁
http://bjrb.bjd.com.[...]
北京日報
2014-03-29
[106]
뉴스
Yellow River Upstream Important to West-East Power Transmission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0-12-14
[107]
웹사이트
国务院关于发布第七批国家级风景名胜区名单的通知 国函〔2009〕152号
http://www.gov.cn/zw[...]
中華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09-12-28
[108]
웹사이트
郑州黄河风景名胜区
https://www.zgbk.com[...]
2022-12-23
[109]
웹사이트
Yellow River (Huang He) Delta, China, Asia
http://www.geol.lsu.[...]
2013-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