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가군은 기원전 111년 전한에 의해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배를 대는 말뚝을 의미하는 '장가'에서 유래되었다. 익주에 속했으며, 왕망 시대에는 동정군으로 개명되기도 했다. 후한, 서진, 동진, 남조 송, 남조 제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고, 수나라 대에 폐지되었다가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당나라 대에 이르러 장주로 개칭되면서 장가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이저우성의 군 - 무릉군
    무릉군은 중국 역사상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형주에 속했으며, 한나라, 삼국 시대, 남북조 시대 등을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동되었고, 무릉만 등의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 구이저우성의 군 - 건위군
    건위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전한 무제가 야랑국 정복 후 설치하여 여러 왕조를 거쳐 존속하다 수나라 때 폐지되었으며, 쓰촨성 일대에 위치하여 시대에 따라 관할 현의 수와 이름이 달랐다.
  • 윈난성의 군 - 월수군
    월수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윈난성 일대에 설치되어 15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후한 시대에 태수가 죽임을 당하는 사건을 겪기도 했고, 758년 궤주로 개칭되면서 명칭이 사라졌다.
  • 윈난성의 군 - 건위군
    건위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전한 무제가 야랑국 정복 후 설치하여 여러 왕조를 거쳐 존속하다 수나라 때 폐지되었으며, 쓰촨성 일대에 위치하여 시대에 따라 관할 현의 수와 이름이 달랐다.
  • 촉한의 군 - 파서군
    파서군은 중국 삼국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행정 구역으로, 201년 유장에 의해 파군에서 분리 신설되어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의 변화를 겪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현종 시기에 일시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개칭되기도 하였다.
  • 촉한의 군 - 파군 (행정 구역)
    기원전 316년 진나라가 파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파군은 현재의 충칭시와 쓰촨성 동부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수나라 때 유주로 개명되고 당나라 때 다시 유주로 개칭되면서 그 이름이 사라졌다.
장가군
지도
개요
국가중국
위치귀주성 서남부
시기전한
폐지 시기당나라
주요 민족야랑
역사
설치무제 (한) 시기, 야랑 지역에 설치
폐지당나라 초기에 폐지, 무주로 변경
행정 구역
속현평이현
고정현
담려현
동담현
무렴현
막양현
도몽현
도저현
밤마현
문화
관련 유적파서고국 유적

2. 유래

장가(牂柯)는 배를 대는 말뚝을 뜻한다고 한다. 《관자》에 이미 장가가 지명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된다. 《화양국지》에서는 장교(莊蹻)가 차란(且蘭)에서 싸울 때 강가에 배를 대고 싸워 차란을 장가라고 했다고 하나, 임내강(任乃强)은 이를 초주의 억측을 상거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을 뿐이라 했다.

3. 역사

장가(牂柯)는 배를 대는 말뚝을 뜻한다고 한다. 《관자》에 이미 장가가 지명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된다. 상거는 《화양국지》에서 장교가 차란(且蘭)에서 싸울 때 강가에 배를 대고 싸워 차란을 장가라고 했다고 하나, 임내강(任乃强)은 이를 초주의 억측을 상거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을 뿐이라 했다.

장가군은 여러 왕조를 거치며 그 영역과 명칭, 소속이 변화했다.


  • 전한 시대: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설치했다.
  • 시대: 왕망이 동정군(同亭郡)으로 개칭했다.
  • 후한, 촉한 시대: 명칭이 복구되었고, 촉한 시기에 영역이 축소되었다.
  • 서진, 성한 시대: 익주, 영주 등에 소속되었다.
  • 동진, 유송 시대: 녕주 소속이었으며, 6개 현을 관할했다.
  • 남제 시대: 남장가군(南牂柯郡)이 설치되었다.
  • 수나라, 당나라 시대: 군제가 폐지되면서 장주(牂州)로 개칭되었다.

3. 1. 전한 시대

기원전 111년(원정 6년), 한나라의 무제는 남월 정복을 위해 서남이 지역으로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야랑후를 회유하여 건위군을 설치하고 장가강까지 진격했으며, 훗날 장가군의 일부가 되는 폐현에 치소를 두었다.[9][10]

남월에서 한나라에 반기를 든 반란이 일어나자, 한나라는 서남이의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려 했다. 그러나 차란군(且蘭君)은 출병 중 주변국의 침략을 우려하여 반발하며 사자와 건위태수를 살해했다. 이에 파촉의 여덟 교위가 차란을 멸망시키고, 옛 차란군의 영토와 건위군의 일부를 합쳐 장가군을 설치했다. 2년 후 익주군이 설치되면서 장가군의 일부가 익주군으로 편입되었다.[9][10]

익주에 속했던 장가군은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24,219호, 153,36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치소는 고저란현이었다.[11]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장가군은 총 17개의 현을 관할했다.[1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고차란현故且蘭縣첸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푸취안시 경계?원수(沅水)가 남동으로 익양에 이르러 강수(江水)로 들어가니, 세 군(장가·무릉·장사)을 지나 2530리를 간다.
심봉현鐔封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옌산현 북서·원산시 교외 일대온수{溫水: 지금의 난판 강(南盘江중국어)과 홍수이 하(紅水河중국어)}가 동으로 광울(廣鬱)에 이르러 울수{鬱水: 지금의 위 강(郁江중국어)과 쉰 강(浔江중국어)}[13]로 들어가니[14], 두 군(장가·울림)을 지나 560리를 간다.
폐현鄨縣쭌이시 서불랑산(不狼山)에서 폐수(鄨水)가 나와 동으로 원수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건위)을 지나 730리를 간다.
누와현漏卧縣취징시 뤄핑현 남응소에 따르면 옛 누와후(漏卧侯)의 나라 - 옛 서남이 나라다.
평이현平夷縣비제시 시할구 이동·다팡현 이북 교외 일대
동반현同竝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미러현 남동응소에 따르면 옛 동반후(同竝侯)의 읍 - 옛 서남이 나라다.
담지현談指縣첸시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전펑현 서북 일대
완온현宛溫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추베이현 남·옌산현 북 일대
무렴현毋斂縣첸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두산현 북강수{剛水: 지금의 두류 강(都柳江중국어)}가 동으로 담중(潭中)에 이르러 담수{潭水: 지금의 룽 강(融江중국어)}[15]에 들어간다.
야랑현夜郎縣안순시 관링부이족먀오족자치현 서부 일대돈수(豚水)가 동으로 울수(鬱水)에 이른다. 도위가 다스린다.
무단현毋單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미러현 북서 일대
누강현漏江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루시현 동
서수현西隨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위안양현 남동 일대미수{麋水}가 서쪽 요외에서 나와서 동으로 미령(麊伶)에 이르러 상룡계(尙龍谿)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교지)을 지나 1106리를 간다.
도몽현都夢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원산시·옌산현·시처우현 교외 일대호수{壺水: 지금의 판룽 하(盘龙河중국어)}[16]가 남동으로 미령에 이르러 상룡계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교지)을 지나 1160리를 간다.
담고현談稾縣류판수이시 판저우시 남서
진상현進桑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핑볜먀오족자치현남부도위가 다스린다. 관문이 있다.
구정현句町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광난현 북서문상수{文象水: 지금의 시양 강(西洋江중국어)과 퉈냥 강(驮娘江중국어)}가 동으로 증식(增食)에 이르러 울수로 들어간다.[17] 또 노유수(盧唯水), 내세수(來細水), 벌수(伐水)가 있다.



왕망 시대에는 장가군이 동정군으로 개명되었다.[2]

3. 2. 신나라 시대

왕망을 건국하면서 장가군(牂柯郡)의 이름을 동정군(同亭郡)으로 바꾸고, 현의 이름도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2]

전한
무렴유렴(有斂)
야랑동정(同亭)
구정종화(從化)


3. 3. 후한, 촉한 시대

225년(건흥 3년), 촉한은 장가군의 서남부 지역을 흥고군으로 분리하면서 장가군의 영역이 구이저우 성 일대로 축소되었다.[19]

촉한 시대 장가군에 속했던 현들은 다음과 같다.

촉한 시대 장가군 현 목록
현명한자비고
고차란현故且蘭縣이후에 고(故)자가 빠져 저란현으로 개명됨.
평이현平夷縣
폐현鄨縣
무렴현毋斂縣
담지현談指縣
야랑현夜郎縣
동병현同幷縣미러 시 북동쪽에 위치. 촉한대에 건녕군으로 이관됨.
담고현談稾縣촉한 시기 폐현되었다가 촉한의 멸망 이후 복치됨.
누강현漏江縣촉한 시기 폐현되었다가 촉한의 멸망 이후 복치됨.
무단현毋單縣촉한대에 건녕군으로 이관됨.
완온현宛溫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된 후 흥고군의 치소를 둠.
심봉현鐔封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됨.
누와현漏卧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됨.
구정현句町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됨.
진승현進乘縣한나라 때의 진상현(進桑縣)과 같음. 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됨.
서수현西隨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됨.
광담현廣潭縣안순 시 핑바 구 남쪽에 위치.



후한이 건국되자 장가군(牂柯郡)이라는 명칭이 복구되었다. 후한의 장가군은 고차란, 부, 평이, 야랑, 무렴, 동병, 담지, 담고, 루강, 무단, 완온, 금봉, 루와, 서수, 진상, 구정의 16개 현을 관할했다.[3]

3. 4. 서진, 성한 시대

서진 시대에는 익주에 속해 있었으며, 8현 1,200호를 거느렸다. 서진 무제 집권 말기에 폐지된 영주가 서진 혜제 시기에 부활하면서 영주로 소속이 이관된 것으로 보인다.[20] 311년(영가 5년), 영주자사 손분은 본군과 주제군, 건녕군 일대에서 야랑군을 신설하고, 폐현과 평이현 지역에 평만군을 신설했다.[21] 이후 성한이 성립되면서 성한으로 소속이 이관되었으며, 환온에 의해 성한이 멸망하면서 동진으로 복귀하였다.

장가군(서진, 성한 시대)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만수현萬壽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웡안 현 북동쪽 고당진무제대에 신설된 현으로 군의 치소를 이곳에 두었다.[21]
저란현且蘭縣|
담지현談指縣|
야랑현夜郎縣311년 야랑군으로 이관되었고 야랑군의 치소를 두었다.[21]
무렴현毋斂縣송서에는 고무렴현(故毋斂縣)으로 기록되어있다.[21]
광담현廣潭縣광담현(廣談縣)으로 개명되었다. 야랑군으로 이관되었다.[21]
폐현鄨縣311년 손분이 신설한 평만군으로 이관되었다.[21]
평이현平夷縣평만현(平蠻縣)으로 개명되어서 평만군으로 이관되었다. 평만군의 치소가 있었다.[21]
진악현晉樂縣구이양 시|


3. 5. 동진, 유송 시대

남조 시대에 장가군은 녕주에 속했으며, 만수, 차란, 무렴, 진락, 단남, 신녕의 6개 현을 관할했다.[21][5] 당시 장가군은 6현 1,970호를 거느렸고 1,5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경도까지는 수운으로 12,000리였다.[21]

남조 시대 장가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
만수현萬壽縣변화없음현령(縣令)
저란현且蘭縣
고무렴현故毋斂縣
진악현晉樂縣
단남현丹南縣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레이산 현현장(縣長)
신녕현新寗縣


3. 6. 남제 시대

南齊|남제중국어 시대에 녕주에 남장가군(南牂柯郡)이 설치되었고, 남장가군은 만수, 차란, 무렴, 진락, 단남, 신녕의 6개 현을 관할했다.[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만수현萬壽縣변함없음
저란현且蘭縣
무렴현毋斂縣
진악현晉樂縣
수녕현綏寧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두산 현 남
단남현丹南縣변함없음


3. 7. 수, 당 시대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장가군은 폐지되어 장주(牂州)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장주는 장가군으로 개칭되었다. 장가군은 장가, 빈화 2개 현을 관할했다.[7]

620년(무덕 3년) 나라가 사룡우를 귀순시키자 장가군은 장주로 개칭되었고, 장가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8]

4. 행정 구역

장가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관할 지역과 현의 구성이 달라졌다.

당몽이 남월 정복을 위해 무제에게 길을 열 것을 청하면서 서남이 원정이 시작되었고, 이 과정에서 건위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11년(원정 6년) 남월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한나라는 서남이 군대를 동원하려 했으나, 차란군(且蘭君)이 반발하여 한나라 사자와 건위태수를 죽였다. 이후 한나라는 차란을 멸하고 옛 차란군의 땅과 건위군의 일부를 합쳐 장가군을 설치했다.[9][10]

왕망 시대에는 동정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후한 건국 후 장가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2][3] 진 시대에는 익주에 속했다가, 303년(태안 2년) 녕주의 속군이 되었다. 338년(함강 4년) 안주의 속군으로 변경되었다가, 곧 녕주의 속군으로 되돌아갔다.[4]

남조 시대에는 녕주에 속했으며, 남조 제 시대에는 남장가군(南牂柯郡)이 설치되었다.[5][6]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장가군은 폐지되어 장주(牂州)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다시 설치되면서 장주는 장가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 620년(무덕 3년) 당나라가 사룡우를 귀순시키면서 장가군은 장주(牂州)로 개칭되었고, 장가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8]

4. 1. 전한

기원전 111년(원정 6년), 남월에서 한나라에 반기를 든 사건이 발생했다. 한나라는 서남이의 군대를 동원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차란군(且蘭君)은 주변국의 침략을 우려하여 반발하며 사자와 건위태수를 살해했다. 이에 파촉의 여덟 교위가 차란을 멸망시키고, 옛 차란군의 영토와 건위군의 일부를 합쳐 장가군을 설치했다.[9][10] 2년 후에는 익주군 설치로 장가군의 일부가 익주군으로 편입되었다.[9][10]

익주에 속했던 장가군은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서 24,219호, 인구 153,360명으로 기록되었다. 치소는 고저란현이다.[11]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장가군은 총 17개의 현을 관할했다.[1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고차란현故且蘭縣첸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푸취안시 경계원수(沅水)가 남동으로 익양에 이르러 강수(江水)로 들어가며, 세 군(장가·무릉·장사)을 지나 2530리를 간다.
심봉현鐔封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옌산현 북서·원산시 교외 일대온수{溫水: 지금의 난판 강(南盘江중국어)과 홍수이 하(紅水河중국어)}가 동으로 광울(廣鬱)에 이르러 울수{鬱水: 지금의 위 강(郁江중국어)과 쉰 강(浔江중국어)}[13]로 들어가니[14], 두 군(장가·울림)을 지나 560리를 간다.
폐현鄨縣쭌이시 서불랑산(不狼山)에서 폐수(鄨水)가 나와 동으로 원수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건위)을 지나 730리를 간다.
누와현漏卧縣취징시 뤄핑현 남응소에 따르면 옛 누와후(漏卧侯)의 나라, 옛 서남이 나라다.
평이현平夷縣비제시 시할구 이동·다팡현 이북 교외 일대
동반현同竝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미러현 남동응소에 따르면 옛 동반후(同竝侯)의 읍, 옛 서남이 나라다.
담지현談指縣첸시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전펑현 서북 일대
완온현宛溫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추베이현 남·옌산현 북 일대
무렴현毋斂縣첸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 두산현 북강수{剛水: 지금의 두류 강(都柳江중국어)}가 동으로 담중(潭中)에 이르러 담수{潭水: 지금의 룽 강(融江중국어)}[15]에 들어간다.
야랑현夜郎縣안순시 관링부이족먀오족자치현 서부 일대돈수(豚水)가 동으로 울수(鬱水)에 이른다. 도위가 다스린다.
무단현毋單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미러현 북서 일대
누강현漏江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루시현 동
서수현西隨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위안양현 남동 일대미수{麋水}가 서쪽 요외에서 나와서 동으로 미령(麊伶)에 이르러 상룡계(尙龍谿)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교지)을 지나 1106리를 간다.
도몽현都夢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원산시·옌산현·시처우현 교외 일대호수{壺水: 지금의 판룽 하(盘龙河중국어)}[16]가 남동으로 미령에 이르러 상룡계로 들어가니 두 군(장가·교지)을 지나 1160리를 간다.
담고현談稾縣류판수이시 판저우시 남서
진상현進桑縣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핑볜먀오족자치현남부도위가 다스린다. 관문이 있다.
구정현句町縣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광난현 북서문상수{文象水: 지금의 시양 강(西洋江중국어)과 퉈냥 강(驮娘江중국어)}가 동으로 증식(增食)에 이르러 울수로 들어간다.[17] 또 노유수(盧唯水), 내세수(來細水), 벌수(伐水)가 있다.



왕망 시대에는 장가군이 동정군으로 개명되었다.[2]

4. 2. 신

왕망이 장가군을 동정군으로 개명하면서, 현의 이름도 바뀌었다. 다음은 전한 시대와 신 시대의 현 이름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전한
무렴유렴(有斂)
야랑동정(同亭)
구정종화(從化)

[2]

4. 3. 후한, 촉한

225년(건흥 3년), 촉한은 장가군의 서남부 지역을 흥고군으로 분리하면서 구이저우 성 일대로 축소하였다.[19]

촉한, 후한 시대 장가군 현 목록
현명한자비고
고차란현故且蘭縣이후에 앞의 고(故)자가 빠져 저란현으로 개명되었다.
평이현平夷縣
폐현鄨縣
무렴현毋斂縣
담지현談指縣
야랑현夜郎縣
동병현同幷縣미러 시 북동쪽에 있었다. 촉한대에 건녕군으로 이관되었다.
담고현談稾縣촉한 시기 폐현되었다가 촉한의 멸망 이후 복치되었다.
누강현漏江縣촉한 시기 폐현되었다가 촉한의 멸망 이후 복치되었다.
무단현毋單縣촉한대에 건녕군으로 이관되었다.
완온현宛溫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는데, 이관된 이후 흥고군의 치소를 두었다.
심봉현鐔封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다.
누와현漏卧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다.
구정현句町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다.
진승현進乘縣한대의 진상현(進桑縣)과 같다. 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다.
서수현西隨縣225년 흥고군으로 이관되었다.
광담현廣潭縣안순 시 핑바 구 남쪽에 있다.



후한 건국 후, 장가군(牂柯郡)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후한의 장가군은 고차란, 부, 평이, 야랑, 무렴, 동병, 담지, 담고, 루강, 무단, 완온, 금봉, 루와, 서수, 진상, 구정의 16개 현을 관할했다.[3]

4. 4. 서진, 성한

서진에서는 익주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8현 1,200호를 거느렸다. 서진 무제 집권 말기 폐지된 영주가 서진 혜제 시기 부활할 때 영주로 소속이 이관된 것으로 보인다.[20] 311년(영가 5년)에 영주자사 손분이 본군과 주제군, 건녕군 일대에서 야랑군을 신설했고 폐현과 평이현 지역에 평만군을 신설했다.[21] 성한이 성립된 후 성한으로 소속이 이관되었으며 환온에 의해 성한이 멸망하면서 동진으로 복귀되었다.

장가군(서진, 성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만수현萬壽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웡안 현 북동쪽 고당진무제대에 신설된 현으로 군의 치소를 이곳에 두었다.[21]
저란현且蘭縣|
담지현談指縣|
야랑현夜郎縣311년 야랑군으로 이관되었고 야랑군의 치소를 두었다.[21]
무렴현毋斂縣송서에는 고무렴현(故毋斂縣)으로 기록되어있다.[21]
광담현廣潭縣광담현(廣談縣)으로 개명되었다. 야랑군으로 이관되었다.[21]
폐현鄨縣311년 손분이 신설한 평만군으로 이관되었다.[21]
평이현平夷縣평만현(平蠻縣)으로 개명되어서 평만군으로 이관되었다. 평만군의 치소가 있었다.[21]
진악현晉樂縣구이양 시|


4. 5. 동진, 유송

남조 송나라 때 장가군은 만수(萬壽), 차란(且蘭), 고무렴(故毋斂), 진락(晉樂), 단남(丹南), 신녕(新寗)의 6개 현을 관할했다.[21][5]

송나라 시기 장가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
만수현萬壽縣변화없음현령(縣令)
저란현且蘭縣변화없음현령(縣令)
고무렴현故毋斂縣변화없음현령(縣令)
진악현晉樂縣변화없음현령(縣令)
단남현丹南縣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레이산 현현장(縣長)
신녕현新寗縣현장(縣長)



당시 1,970호에 1,5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경도까지 수운으로 12,000리였다.[21]

4. 6. 남제

남조 제 시대에 녕주에 남장가군(남장가군)이 설치되었고, 남장가군은 만수, 차란, 무렴, 진악, 단남, 신녕의 6개 현을 관할했다.[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만수현萬壽縣변함없음
저란현且蘭縣변함없음
무렴현毋斂縣변함없음
진악현晉樂縣변함없음
수녕현綏寧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두산 현 남
단남현丹南縣변함없음


4. 7. 수

583년(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장가군은 폐지되어 장주(牂州)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장주는 장가군으로 개칭되었다. 장가군은 장가, 빈화 2개 현을 관할했다.[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장가현牂柯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웡안현 북동
빈화현賓化縣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룽리현 서남


5. 태수

전한 진립은 기원전 27년에 장가군 태수를 지냈다.[1] 서진 방환은 태강 연간에 장가군 태수를 지냈다.[1]

5. 1. 전한

진립은 기원전 27년에 장가군에 있었다.[1]

5. 2. 서진

방환은 태강 연간에 장가군에 속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牂牁郡 https://kotobank.jp/[...] 2020-11-01
[2] 서적 漢書
[3] 서적 後漢書
[4] 서적 晋書
[5] 서적 宋書
[6] 서적 南斉書
[7] 서적 隋書
[8] 서적 新唐書
[9] 서적 사기
[10]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1] 문서 온수주
[12] 서적 한서 28권 상 지리지 제8 상 https://zh.wikisourc[...]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9] 서적 후한서 113권 지 제23 군국5 익주 장가군 https://zh.wikisourc[...]
[20] 서적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익주 장가군 https://zh.wikisourc[...]
[21] 서적 송서 38권 지 제28 주군지 4 영주 장가군, 영주 야랑군 https://zh.wikisourc[...]
[22] 서적 남제서 15권 지 제7 주군지 下 영주 장가군 https://zh.wikisourc[...]
[23] 서적 수서 29권 지 제24 지리지 上 장가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