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는 1983년 욕은지 지정을 시작으로 2019년 7월 29일까지 총 29점이 지정되었다. 이 문화유산자료에는 조선시대의 건축물, 유물, 불교 문화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시대별 역사적 가치를 보여준다. 주요 문화유산으로는 욕은지, 어사대, 각국조계석, 원인재, 전등사 대조루, 철종 외가, 선수돈대, 망월돈대, 참성단 중수비, 강화 서도 중앙교회, 중구 남북동 조병수 가옥, 장도포대지, 인천해관문서,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등이 있다.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는 1983년 욕은지, 학익지석묘 지정을 시작으로 현재(2019년 7월 29일 기준)까지 총 29점이 지정되었다. 학익지석묘는 1995년 11월 4일 지정 해제 후 인천 기념물 제34호로 재지정되었다. 강화향교는 1995년 11월 4일 지정 해제 후 인천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승격되었다.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은 2003년 10월 27일 지정 해제 후 인천 유형문화재 제52호로 재지정되었다.
2. 지정 현황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지정일 참조 1호 욕은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 (부평초등학교내) 인천광역시교육청 1983년 3월 2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10000,23] 3호 어사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 (부평초등학교내) 인천광역시교육청 1990년 11월 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30000,23] 4호 각국조계석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60번길 26 (옥련동,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 인천광역시립박물관 1990년 11월 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40000,23] 5호 원인재 인천 연수구 연수동 584 인천이씨종중 1990년 11월 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50000,23] 6호 이세주묘출토관덮개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60번길 26 (옥련동,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 인천광역시립박물관 1994년 11월 4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60000,23] 7호 전등사대조루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인천광역시(교육감) 1995년 3월 1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70000,23] 8호 철종외가 인천 강화군 선원면 냉정리 264외 3필지 파주염씨대종호외 1인 1995년 3월 1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80000,23] 9호 원층사지 인천 강화군 하점면 이강리 산177 한명열 1995년 3월 1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090000,23] 10호 선수돈대 인천 강화군 화도면 내리 1831외 1필지 강화군 1995년 3월 1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00000,23] 11호 망월돈대 인천 강화군 하점면 망월리 2107번지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1995년 3월 1일 지정,
2008년 8월 18일 명칭변경[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10000,23] 13호 참성단중수비 인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산42-1 이영순 1995년 3월 1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30000,23] 14호 강화 서도 중앙교회 인천 강화군 서도면 주문도리 718외 2필지 재단법인기독교조선감리회유지재단외 1인 1997년 7월 14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40000,23] 16호 중구남북동조병수가옥 인천 중구 남북동 868 조병수 1997년 7월 14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60000,23] 17호 화도돈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54 강화군 1999년 3월 2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70000,23] 18호 무태돈대 인천 강화군 화도면 창후리 산151-4외 1필지 강화군 1999년 3월 2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80000,23] 19호 장도포대지 인천 남동구 논현동 111-13외 2필지 남동구 2001년 4월 2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90000,23] 20호 인천해관문서 인천 동구 화수동 140-60(화도진도서관) 화도진도서관 2002년 2월 4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00000,23] 21호 전등사대웅보전후불탱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대한불교조계종전등사 2002년 12월 23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10000,23] 22호 전등사강설당아미타불탱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대한불교조계종전등사 2002년 12월 23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20000,23] 23호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인천 동구 송현동 23-62 동구, 인천상수도사업본부 2003년 10월 27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30000,23] 24호 능인교당 현왕탱화 인천 중구 용동 237 능인사 경내 능인사 2009년 3월 2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40000,23] 25호 김취려 묘 인천 강화군 양도면 산71 언양김씨대종회 2010년 12월 6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50000,23] 26호 용수사 철조여래좌상 인천 서구 신석로51번안길 14-2 (석남동, 용수사(조계종)) 용수사 2014년 4월 16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60000,23] 27호 흥륜사 아미타불도 인천 연수구 동춘동 산14 흥륜사 2014년 4월 16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70000,23] 28호 흥륜사 신중도 인천 연수구 동춘동 산14 흥륜사 2014년 4월 16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80000,23] 29호 양주성금속비 인천 중구 운중로 13-35(운남동) 인천광역시 중구청장 2019년 7월 29일 지정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290000,23]
2. 1. 선사 시대
2. 2. 고려 시대
2. 3. 조선 시대
계양구 계산동 부평초등학교 내에 위치한 욕은지는 조선시대 부평도호부 관아의 연못으로, 관아의 정문 앞에 있던 것이다. 어사대 역시 부평초등학교 내에 위치하며, 조선시대 문신 이의복이 활을 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연수구 연수동에 위치한 원인재는 인천 이씨 중시조 이허겸의 묘소 재실이다.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이세주묘 출토 관 덮개는 16세기 중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묘 주인의 신분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강화군 길상면에 위치한 전등사 대조루는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지어진 정면 5칸, 측면 2칸의 건물이다. 선원면에 위치한 철종 외가는 조선 철종의 외삼촌인 염보길의 집으로, 건축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강화군에는 조선시대에 설치된 여러 돈대가 있다. 화도면 내리에 위치한 선수돈대, 하점면 망월리에 위치한 망월돈대, 선원면 연리에 위치한 화도돈대, 화도면 창후리에 위치한 무태돈대가 대표적이다.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에 위치한 참성단 중수비는 조선 숙종 때 참성단을 고쳐 쌓고 그 내용을 기록한 비석이다. 강화향교는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이었으나, 현재는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승격되었다.
2. 4. 근대 (개항기 ~ 일제강점기)
1883년 개항 이후 인천광역시에는 각국조계석(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60번길 26)이 설치되었다. 1923년에는 강화 서도 중앙교회가 건립되었다. 강화 온수리 성공회 건물은 2003년 10월 27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2호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으로 재지정되었다. 중구 남북동 조병수 가옥은 19세기 말에 지어진 건물이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1879년에는 장도포대지(인천 남동구 논현동 111-13)가 설치되어 해안 방어 시설로 사용되었다. 1883년 개항과 함께 설치된 인천해관에서는 인천해관문서가 작성되었다. 1908년에는 송현배수지 제수변실이 준공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상수도 시설로 사용되었다.
1919년 3.1 운동 이후, 1928년에는 영흥도에서 양주성 금속비가 건립되었다.
2. 5. 불교 문화재
3. 해제된 기념물
4. 관리 및 보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