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큐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큐버스(Incubus)는 후기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악마에 의해 유발되는 악몽을 의미하며, 잠자는 사람을 덮치는 악마로 묘사된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기원하여, 잠자는 여성을 유혹하는 릴루와 남성에게 관능적인 꿈에 나타나는 릴리투와 같은 존재가 언급된다. 중세 시대에는 인큐버스가 인간과 성관계를 맺고 아이를 낳는다는 믿음이 있었으며,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큐버스와 서큐버스가 동일한 악마라고 주장했다. 현대에는 수면 마비와 같은 과학적 현상으로 설명되기도 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마 - 알프 (민속)
    알프는 중세 유럽 민속에서 악몽, 수면 마비, 질병 등을 유발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뱀파이어처럼 사람들을 공격하고 꿈을 조종하거나 가축에게 해를 입히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 몽마 - 나이트메어 (민속)
    나이트메어는 민속에서 악몽이나 악몽을 유발하는 존재를 지칭하며, 게르만 문화권과 슬라브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악령이다.
  • 기독교의 악마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기독교의 악마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인큐버스
개요
유형전설적인 악마
성별남성
관련몽마
문화중세 유럽 민속
종교기독교
상세 정보
특징여성과 성관계를 맺는 악마
기원중세 유럽
서식지여성의 침실
목적여성을 유혹하여 자손을 낳음
외형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남 (인간 남성, 동물 등)
능력꿈에 나타나 여성과 성관계, 여성을 임신시킴
방어기도, 십자가, 성수
문화적 영향
예술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
문학다양한 문학 작품의 소재
영화다양한 영화의 소재
게임다양한 게임의 소재
다른 언어
라틴어incubus
영어Incubus
프랑스어Incube
일본어インキュバス (Inkyubasu)

2. 기원 및 어원

몽마에게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개 사건 당시 몽유병이나 가위눌림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잠자는 동안 성적으로 흥분하거나 몽정을 하는 것은 성적인 죄를 짓게 만드는 행위로 여겨져 몽마의 탓으로 돌려졌다.[33] 실제 성폭행 피해 역시 몽마의 탓으로 무마되기도 했는데, 이는 주로 친구나 친척 관계인 가해자가 진실을 은폐하기 위한 경우가 많았다. 피해자들과 재판관들은 가까운 사람보다는 차라리 악마를 범인으로 여기는 것이 더 쉬웠을 것이다.[34]

인큐버스와 서큐버스는 모두 인간과 성교를 통해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큐버스는 여성과 성관계를 맺어 아이를 낳을 수 있는데, 이는 멀린 전설에서 처음 나타난다.[9][10] 마녀의 망치에서는 인큐버스의 공격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고해, 십자가 성호 긋기, 성모 마리아 암송, 피해자를 다른 장소로 옮기기, 파문 등을 제시한다.[11] 반면, 프란체스코 수도사 루도비코 마리아 시니스트라리는 인큐버스가 엑소시즘에 굴복하지 않고 성스러운 것에 경의를 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3]

인큐버스 개념에 대한 과학적 설명으로는 수면 마비와 입면 상태가 제시된다. 이 상태에서는 청각 및 시각적 환각을 경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짓눌림, 질식, 전기적 "찌릿함", 상상 속의 소리, 존재, 강렬한 공포나 행복감, 오르가즘과 같은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매우 현실적이고 생생하게 나타나며, 특히 음악에 대한 청각적 환각은 실제 연주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림자지거나 흐릿한 형상들은 다른 환각 상태보다 입면 상태의 환각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수면 마비와 입면 상태의 환각이 결합되면 "악마가 억누르고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될 수 있다. 야간 각성은 죄책감을 유발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존재로 여겨질 수 있으며, 몽정 현상과 함께 인큐버스에 대한 믿음을 강화한다.[12]

일부 성폭력 범죄는 인큐버스의 행동으로 위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저자들은 강간범들이 처벌을 피하기 위해 악마의 짓으로 돌렸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로버트 마셀로는 그러한 경우 가해자가 주로 친구나 친척이며, "영혼"의 개입으로 인해 폭행이 비밀로 유지된다고 주장한다.[13]

13세기 프랑스 필사본 삽화로, 왼쪽의 마법사 멀린이 오른쪽의 필사 수도승과 대화하는 모습을 묘사함
멀린은 인큐버스와 인간의 관계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3세기 프랑스 필사본 삽화).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큐버스가 실제로 여성을 임신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진지하게 벌어졌다. 이는 당시 사회 변화로 인해 사람들이 성에 대해 방종해졌고, 도시의 젊은 여성들이 아버지 불명의 사생아를 갖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당시 기독교 교리에서는 혼전 성관계를 금지했기 때문에,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여성들은 인큐버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며 부정의 변명으로 삼았다.[29]

2. 1. 메소포타미아 기원

인큐버스는 기원전 24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왕 목록에 최초로 등장한다. 이 목록에서 길가메쉬의 아버지 릴루는 잠자는 여성을 유혹하는 존재로 묘사된다.[35] 릴리투는 남성의 꿈에 나타나는 여성 악마이다.[5] 이와 유사한 악마로는 밤에 남성을 찾아가는 아르다트 릴리와 밤에 여성을 찾아가 아이를 낳게 하는 이르두 릴리가 있다.[6][7] 이들은 원래 폭풍의 악마였으나, 어원 해석 오류로 밤의 악마로 여겨지게 되었다.[8]

2. 2. 어원

인큐버스(Incubus)는 후기 라틴어 단어이며, 라틴어 ''incubō'' ("악몽, 자는 동안 사람을 덮치는 것")에서 유래되었고, 더 나아가 ''incubāre'' ("위에 눕다, 부화하다")에서 유래되었다.[3] 또한, 인큐버스라는 이름은 라틴어의 "덮어씌우다(incubo)(남성형 명사)"에서 유래되었다.[26]

3. 역사적 묘사

인큐버스는 기원전 2400년 전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왕 목록에 처음 등장한다. 길가메쉬의 아버지인 릴루는 잠자는 여성을 유혹하는 존재로 묘사된다.[35] 여자 악마 릴리트는 꿈속에서 남자로 둔갑해 여자를 유혹한다고 알려졌다.[36] 아르다트 릴리는 밤에 남자를 찾아가 성관계를 맺고 자식을 낳으며, 이르두 릴리는 여자와 성관계를 맺고 자식을 얻는다. 이들은 원래 폭풍의 악마였으나, 어원 해석 오류로 밤의 악마로 여겨졌다.[37]

가위눌림이나 몽유병을 겪는 사람들이 몽마 피해를 주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몽정이나 성적 흥분은 몽마의 소행으로 여겨졌으며,[33] 실제 성폭행도 몽마 탓으로 돌려지는 경우가 있었다. 가해자는 주로 친척이나 친구였지만, 진실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34]

인큐버스가 양성애자라는 주장도 있었으나,[41]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42] 구마 예식을 통해 인큐버스나 서큐버스를 쫓아낼 수 있다고 믿었다.

인큐버스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캄비온이라 불린다.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의 "몽마"는 인큐버스를 묘사한 대표적인 그림이다.

수면 마비와 입면 상태에서 겪는 환각이 인큐버스 개념과 관련 있을 수 있다.

3. 1. 고대와 중세

성 아우구스티노는 저서 《신국론》에서 인큐버스들의 공격 사례가 워낙 많아서 그들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38] 그는 “일반적으로 인큐버스라고 불리는 실반스(sylvans)와 파운스(fauns)가 종종 여성들에게 사악한 공격을 했다”고 기록했다.[38]

800년 후,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큐버스와 서큐버스가 동일한 악마이며, 남자든 여자든 자유자재로 둔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40] 즉, 몽마는 여자로 둔갑하여 인간 남자와 잠자리에 들어 정액을 얻은 후, 다시 남자로 둔갑하여 인간 여자와 잠자리에 들어 그 정액을 주입한다는 것이다.[33] 이렇게 태어난 아이는 악마에 버금가는 초자연적인 힘을 갖게 된다고 여겨졌다.[33]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마법사 멀린은 인큐버스와 인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캄비온(반인반마)으로 알려져 있다.[34]

3. 2. 중세 시대의 믿음과 해석

중세 시대에는 몽마가 실제로 존재하며, 인간과 성관계를 맺고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다. 이러한 믿음은 성범죄나 원치 않는 임신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다.[33][34]

성 아우구스티노는 저서 《신국》에서 몽마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38]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몽마가 여성으로 둔갑하여 인간 남성과 성관계를 맺고 정액을 얻은 후, 다시 남성으로 둔갑하여 인간 여성과 성관계를 맺어 정액을 주입한다고 주장했다. 즉, 몽마는 남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39][40] 이러한 방식으로 태어난 아이는 악마에 버금가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다고 믿어졌다.[33]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마법사 멀린은 몽마와 인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캄비온으로 알려져 있다.[34]

''마녀의 망치''에서는 몽마의 공격을 막는 방법으로 고해, 십자가 성호, 구마 등을 제시했다.[11]

4. 다양한 문화권의 몽마

전 세계적으로 인큐버스 테마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잘 알려진 것으로는 게르만 또는 독일 민담의 알프가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몽마와 유사한 존재들이 나타난다.


  • 스웨덴 민담에서 마라 또는 마르는 잠자는 인간의 가슴을 타고 다니며 악몽을 선사하는 영 또는 고블린이다.[18] 마라에 대한 믿음은 13세기 노르드 잉글링가 사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19] 그 믿음은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라는 수면 마비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남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전해지는 전승에는 Drude|드루데de가 있다. 드루덴푸스(Drudenfuss)라는 역오망성, Adder stone|애더 스톤de, 드루덴메서(Drudenmesser)라는 몽마 퇴치용 칼을 사용하는 의식을 행하는 등으로 물리친다고 한다.

4. 1. 유럽

독일 민담의 알프는 잠자는 사람의 가슴을 누르고 악몽을 꾸게 하는 존재이다. 우크라이나 민담에서 페르레시니크는 유성, 번개, 불과 관련된, 인큐버스와 유사한 존재이다. 이 초자연적인 존재는 불타는 용이나 젊은 남자로 변신하여 굴뚝, 문 또는 창문을 통해 집에 들어가 죽은 배우자나 연인의 모습을 취하여 여성을 유혹한다고 믿었다. 유혹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여겨지는 페르레시니크는 밤에는 보물을 주었지만, 해가 뜨면 가치 없는 물건으로 변했다. 그의 손길은 활력을 앗아가고 죽음을 재촉할 수 있었다. 대처법에는 "아멘"을 외치거나 십자가를 착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레샤 우크라인카의 "숲의 노래"와 같은 우크라이나 문학에서 이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는 이 존재가 초자연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창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보여주면서 문화적 영향을 보여준다.[20][21][22][23]

4. 2. 아프리카

잔지바르의 포포 바와는 주로 남성을 공격하는 몽마이다.[14] 남아프리카의 토콜로시는 다소 키가 작은 몽마로, 정숙한 여성들은 이들이 잠자는 형태를 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침대를 벽돌 위에 놓는다고 한다. 코사, 폰도 및 줄루 문화의 임푼둘루는 여성을 유혹하고 피를 빨아먹는 몽마이다.[24]

4. 3. 아메리카

칠레 칠로에 주의 전통 신화에서 트라우코는 매력적인 젊은 여성들을 유혹하는 흉측하게 변형된 난쟁이다.[14] 트라우코는 특히 미혼 여성의 원치 않는 임신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 에콰도르의 "틴틴"은 풍성한 머리털을 가진 여성을 좋아하고 밤에 창문 밖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유혹하는 난쟁이다. 이 신화는 연구자들이 식민 시대에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보호자와 함께 다니는 여성의 임신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믿고 있다.

브라질아마존 분지의 열대 우림에서 아마존강 돌고래(보토)는 사이렌과 인큐버스가 결합된 존재로 여겨진다. 보토는 매우 매력적이고 잘생긴 남자로 변신하여 젊은 여성들을 유혹하고 강으로 데려간다.[16] 보토는 사라짐과 원치 않는 임신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17] 전설에 따르면, 보토는 인간의 모습일 때 머리 꼭대기에 있는 호흡 구멍을 숨기기 위해 항상 모자를 쓰고, 낮에는 돌고래로 변한다.

4. 4. 아시아

인도 북동부 아삼 주에서는 주로 ''포리''(아삼어: পৰী, "천사"를 의미)라고 부른다. 힌디어로는 파리라고 하며, 요정이라는 단어와 어원이 같다. 신화에 따르면, 포리는 밤에 꿈속에서 남자를 유혹한다. 희생자의 건강은 점차 악화되고, 어떤 경우에는 자살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14]

터키 문화에서 인큐버스는 ''카라바산''으로 알려져 있다. 카라바산은 밤에 잠자는 사람에게 내려오는 사악한 존재이다. 이 존재들은 영혼이나 ''''으로 여겨진다. 악몽에서 보거나 들을 수 있으며, 가슴에 무거운 압박감을 느낀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상태에서 깨어날 수 없다. 그 원인 중 일부는 몸을 제대로 가리지 않고 잠을 자는 것(특히 여성)과 침대에서 식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5. 현대적 해석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큐버스가 실제로 여성을 임신시키는가?"라는 논쟁이 진지하게 이루어졌다. 당시 사회는 생활 환경의 변화로 성에 대해 개방적으로 변하면서, 도시의 젊은 여성들이 사생아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기독교 교리에서는 혼전 성관계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여성이 원치 않는 아이를 임신했을 때 "인큐버스의 소행이다"라고 하여 부정의 변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9]

서큐버스에게 덮쳐진 남성은 몽정을 한 상태가 된다고 믿어졌으며, 이는 서큐버스의 소행이라고 여겨졌다.

5. 1. 과학적 설명

몽마에 대한 과학적 설명으로는 수면 마비와 입면 상태가 있다. 이 두 상태에서는 청각 및 시각적 환각을 경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짓눌리는 느낌, 질식하는 느낌, 전기의 "찌릿찌릿함" 또는 "진동", 상상 속의 말소리와 기타 소리, 보이지 않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 때로는 강렬한 공포나 행복감, 오르가즘과 같은 느낌이 나타날 수 있다.[12] 이러한 현상은 매우 현실적이고 생생하게 나타나며, 특히 음악에 대한 청각적 환각은 실제 연주되는 음악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사람과 동물의 형상, 종종 그림자지거나 흐릿하게 나타나는 형상들은 다른 환각 상태보다 입면 상태의 환각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수면 마비와 입면 상태의 환각이 결합되면 어떤 사람은 "악마가 그들을 억누르고 있다"고 믿게 만들 수 있다. 야간 각성 등은 죄책감을 유발하는 행동을 일으키는 존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여기에 야간 각성과 몽정의 일반적인 현상을 더하면, 인큐버스를 믿는 데 필요한 모든 요소가 존재한다.[12]

또한, 일부 성폭력 범죄는 인큐버스의 행동으로 넘겨졌을 가능성이 높다. 강간범들이 처벌을 피하기 위해 잠자는 남녀에 대한 강간을 악마의 짓으로 돌렸을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로버트 마셀로는 그러한 경우의 최우선 순위에 친구나 친척이 있으며, "영혼"의 개입으로 인해 폭행이 비밀로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한다.[13] 몽마에 의해 피해를 당했다는 사람들은 대개 사건 당시 몽유 증세나 가위눌림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33] 실제 성폭행에 의한 피해 역시 몽마에 의한 것으로 무마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가해자는 친구나 친척 관계인 경우가 많았으며 진실이 밝혀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희생자들과 재판관들은 성범죄의 가해자가 가깝게 지내던 믿을 만한 사람으로 여기기보다는 차라리 악마라고 여기는 것이 더 생각하기 쉬웠을지도 모른다.[34]

5. 2. 심리적, 사회적 관점

몽마 이야기는 성적인 욕망이나 불안, 죄책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몽마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개 사건 당시 몽유병이나 가위눌림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잠을 자던 중 성적으로 흥분하거나 몽정을 하는 것은 몽마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다.[33] 또한 실제 성폭행 피해 역시 몽마에 의한 것으로 여겨져 덮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 경우 가해자는 친구나 친척 관계인 경우가 많았으며, 진실이 밝혀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피해자들과 재판관들은 성범죄 가해자가 가까운 사람보다는 차라리 악마라고 여기는 것이 더 쉬웠을지도 모른다.[34]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큐버스가 실제로 여성을 임신시키는가에 대한 논쟁이 진지하게 이루어졌다. 당시 기독교 교리에서는 혼전 성관계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여성이 원치 않는 아이를 임신했을 때 인큐버스의 소행이라고 하여 부정의 변명으로 쓰이기도 했다.[29]

참조

[1] 웹사이트 Incubus (demo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7-10-16
[2] 서적 Demon Lov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3] 웹사이트 Incubus http://dictionary.re[...] Reference.com 2014-09-26
[4] 서적 The Hebrew Goddess: Third Enlarged Edition
[5] 서적 Lilith: The First Eve
[6] 서적 The Sumerian King List Orienti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3
[7] 서적 Semitic Magic: Its Origins and Development Weiser books 2000-02-01
[8] 서적 The Hebrew Goddess
[9] 문서 Merlin's father was said to be an incubus in [[Geoffrey of Monmouth]]'s ''[[Historia Regum Britanniae]]'' and many later tales. See [[Norris J. Lacy|Lacy, Norris J.]] (1991). "Merlin". In Norris J. Lacy, ''The New Arthurian Encyclopedia'', p. 322. (New York: Garland, 1991).
[10] 서적 The True History of Merlin the Magician Yale University Press 2020
[11] 문서 Kramer, Heinrich and Sprenger, James (1486), Summers, Montague (translator – 1928), ''The Malleus Maleficarum'', Part 2, Chapter 1, "The Remedies prescribed by the Holy Church against Incubus and Succubus Devils", at sacred-texts.com http://www.sacred-te[...]
[12] 서적 Angels A to Z Visible Ink Press 1996
[13] 서적 Fallen Angels and Spirits of The Da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2004
[14] 웹사이트 Belief in sex-mad demon tests nerves http://wwrn.org/arti[...] World-Wide Religious News 2011-12-11
[15] 서적 A Field Guide to Demons, Fairies, Fallen Angels and Other Subversive Spirits Henry Holt and Company, LLC 1999
[16] 웹사이트 Whales and Dolphins http://www.ancientsp[...]
[17] 웹사이트 Boto http://library.think[...]
[18] 문서
[19] 문서
[20] 웹사이트 Perelesnyk https://www.encyclop[...]
[21] 서적 Українська міфологія. Божества і духи Фоліо
[22] 서적 Український народ у своїх легендах, релігійних поглядах та віруваннях Довіра
[23] 서적 Нарис української міфології Ін-т народознавства НАН України
[24] 서적 Dreaming, Religion and Society in https://books.google[...] BRILL
[25] 문서 『妖精事典 異世界からの訪問者』、222頁。
[26] 문서 Neil R. Carlson 著『第2版 カ-ルソン神経科学テキスト 脳と行動』、泰羅雅登・中村克樹 監訳、平成20年1月10日 発行、丸善株式会社、298ページ
[27] 웹사이트 Succuba https://www.dictiona[...] dictionary.com 2019-03-05
[28] Wikisourc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Volume II/City of God/Book XV/Chapter 23
[29] 문서 『萌える!淫魔事典』TEAS事務所([[호비재팬]]、2012年)140頁 ISBN 978-4-7986-0351-3
[30] 문서
[31] 문서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영국의 연대기]](Historia Regum Britanniae)》와 후대의 많은 이야기에서는 멀린의 아버지가 인큐버스라고 언급한다. [[노리스 J. 레이스]]의 ''The New Arthurian Encyclopedia'', p. 322. (New York: Garland, 1991).
[32] 서적 Demon Lov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33] 서적 Angels A to Z Visible Ink Press 1996
[34] 서적 Fallen Angels and Spirits of The Da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2004
[35] 서적 The Hebrew Goddess: Third Enlarged Edition
[36] 서적 Lilith: The First Eve
[37] 서적 The Hebrew Goddess: Third Enlarged Edition
[38] 서적 신국론 http://www.ccel.org/[...] 410
[39] 서적 신학대전(Summa Theologica) http://www.ccel.org/[...] 1265-1274
[40] 서적 The History of The Devil and The Idea of Evil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www.sacred-te[...] 1900
[41] 서적 Witchcraft in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and London 1972
[42] 서적 Demon Lov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