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해는 종교적 행위로,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성공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일부 루터교에서 성사로 인정하며, 가톨릭은 성찰, 고백, 보속, 정개 등의 요소를 강조한다. 반면, 개신교는 만인제사장설에 따라 고해성사를 인정하지 않는다. 루터교는 예배 중 공동 고백과 개인 고백을 시행하며,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는 공동 고백을, 재세례파는 다른 사람에게 고백하는 것을 권장한다. 감리교, 어빙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등에서도 고해의 형태가 나타난다. 타 종교에서는 힌두교의 프라야시치타, 이슬람교의 이스티그파르, 알코올 중독자 모임의 12단계, 유대교의 비두이, 불교의 참회 등이 고해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전례 - 삼위일체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축일로, 오순절 다음 주일에 지켜지며 다양한 교파에서 예배와 전례에 차이가 있지만 아타나시우스 신경 낭송이나 특별 기도문 등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고백하는 날이다. - 가톨릭 전례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고해 (종교) | |
|---|---|
| 개요 | |
| 명칭 | 고해성사 |
| 로마자 표기 | gohae seongsasa |
| 종교 | 기독교 |
|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
| 다른 이름 | 고백성사 죄의 용서 화해성사 |
| 역사 | |
| 기원 | 예수 그리스도 |
| 발전 | 초대 교회 시기 공적 참회에서 사적 참회로 변화 |
| 현대적 형태 확립 | 중세 시대 |
| 신학적 의미 | |
| 목적 | 하느님과의 화해 교회 공동체와의 재결합 죄의 용서 |
| 필요성 | 세례 후 지은 대죄의 용서를 위해 필요 |
| 효과 | 죄의 용서 영혼의 치유 하느님과의 관계 회복 교회 공동체와의 일치 |
| 성사 절차 | |
| 준비 | 양심 성찰 및 통회 |
| 고백 | 사제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 |
| 사죄경 | 사제가 하느님의 이름으로 죄를 용서함 |
| 보속 | 죄에 대한 보상으로 기도, 선행, 희생 등을 수행 |
| 기타 | |
| 중요성 | 가톨릭교회 7성사 중 하나 |
| 관련 용어 | 양심 성찰 통회 고백 사죄경 보속 |
| 참고 문헌 | 가톨릭 교회 교리서 사목헌장 |
2. 기독교 교파별 고해성사
기독교에서 고해성사를 성사로 인정하는 교파로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그리고 일부 루터교회가 있다. 개신교에서는 만인제사장설 등의 교리적 이유로 고해성사를 인정하지 않는다.
2. 1. 가톨릭교회
고해성사는 가톨릭교회에서 세례 후에 범한 자죄를 성직자에게 고백하여 죄에 대한 하느님의 용서와 화해를 얻는 신앙 의례이다. 현재 가톨릭교회에서는 '''고해성사'''라고 부른다.가톨릭교회에서는 대죄를 범했을 경우, 죄를 용서받기 위해 이 성사가 필수적이다. 또한 1년에 한 번은 반드시 행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가톨릭에서는 성탄절과 부활절 전에 의무적으로 고해성사를 보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판공성사'''라고 한다.[69]
오래된 문헌에서는 '''참회의 성사'''라는 표기나, 현재는 일본 정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회'''라는 어휘도 보이지만[63], 현재의 가톨릭교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가톨릭 교회는 탕자의 비유를 근거로, 고해는 하느님에 의해 죄인처럼 정죄되는 재판소나 형사 법원이 아니라, "공동체가 죄와 죽음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그의 자비로운 용서의 기쁨으로 축하하는 결혼 잔치 홀"이라고 가르친다.[14]
일반적으로 고해소 상자, 부스 또는 화해실에서 수행되며, 참회자는 "아버지, 죄를 지었습니다. 마지막 고해 이후 [기간]이 지났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성사적 고해를 시작한다.[10]
가톨릭에서는 사제가 고해성사 중에 알게 된 어떠한 것도 밝히지 않는 것이 의무로 여겨진다. 이러한 공개로부터의 보호는 고해의 비밀로 알려져 있다.

2. 1. 1. 고해성사의 요소
고해성사에는 다섯 가지 요소가 있다.- '''성찰''': 참회자가 지은 죄를 뉘우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통회''':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상등통회와 죄로 인해 받을 벌이 두려워하는 하등통회가 있다. 상등통회는 그 자체로 소죄를 사해주며, 죄를 고백할 결심을 동반하면 대죄도 용서받을 수 있다. 하등통회는 반드시 고해성사를 통해서만 대죄를 용서받을 수 있다.
- '''죄의 고백''': 사제에게 죄를 솔직하게 고백하는 것이다.
- '''보속''': 죄에 대한 갚음이다.
- '''정개''': 다시는 같은 죄를 범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것이다.
성찰과 정개는 엄격히 말해 통회에 속하는 요소이다.

2. 2. 성공회
대한성공회에서는 성탄주일과 부활주일에 고해성사를 하도록 권한다.[69] 성공회에는 성례전 중 하나인 '''개인 참회'''(참회 또는 고해라고도 함)와 '''공동 참회'''가 있다.[67][62]개인 고해는 앵글로-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흔하며, 전통적인 고해소나 사제와의 개인 면담으로 이루어진다. 고해의 비밀은 엄격하게 지켜지며, 이를 어길 시 사제는 해임 및 면직될 수 있다.[29]
개인 고해는 필수는 아니지만, 개인의 상황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모두 할 수 있고, 아무도 할 필요 없으며, 일부는 해야 한다"는 격언은 성공회에서 이 관행을 설명하는 말이다.[30]
2. 3. 정교회
정교회에서는 성사 명칭으로 '''참회성사'''라고 부른다. 참회성사는 죄로 인해 정교회 신자가 교회 생활에서 멀어졌을 때, 교회에서 하느님과의 화해를 위한 정식 의례이다.[64]'''고해 예식'''이라는 의례 명칭이 있지만,[65] 일상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주로 "참회", "참회성사"라는 어휘가 사용된다.
러시아 정교회 등의 슬라브계 정교회나 일본 정교회에서는 통상적으로 성체의 영성체(성찬식) 전에 사제 또는 주교에게 참회를 한다. 단, 그리스 정교회 등의 그리스계 정교회에서는 참회가 영성체의 필수 요건은 아니다.[66]
2. 4. 개신교
대부분의 개신교 교파에서는 고해성사를 성례전 (예전)으로 인정하지 않고 의무도 부과하지 않는다. 장 칼뱅은 고해성사가 성경적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70] 만인제사장설 등의 교리적 이유로 개신교에서는 고해성사를 인정하지 않는다.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는 '고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4. 1. 루터교
루터교는 "고해와 사죄"를 두 가지 형태로 시행한다. 하나는 예배 중에 회중이 함께 고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목사에게 개인적으로 하는 "성스러운 사죄"이다. 루터교인들은 야고보서 5장 16절[16]과 요한복음 20장 22-23절[17]을 고해의 성경적 근거로 본다.[18]
예배 중에는 회중이 침묵하며 고백하고, ''confiteor''를 낭송하며, 목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자이자 명령에 따라, 나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당신의 모든 죄를 용서합니다."[19]와 같은 말로 용서를 선언한다.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스러운 사죄"에서는, 고백하는 사람이 죄를 고백하고 참회 행위를 하면, 목사는 그리스도의 인격으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자이자 명령에 따라, 나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당신의 모든 죄를 용서합니다."[20]라고 사죄한다. 루터의 소 교리문답에 따르면, 목사는 고해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18]
첫 영성체를 하기 전에는 고해와 사죄가 요구된다.[21]
2. 4. 2.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
칼뱅주의 전통에서 공동 고백은 일반적인 관행이다. 매 주일 성찬 예식 또는 예배에서 고백을 실행하며, 죄 사함의 확신을 선포한다.[40]2. 4. 3. 감리교
제시된 소스와 요약문에는 감리교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감리교"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은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입니다. 주어진 소스는 성공회(Anglican)에 대한 내용입니다.2. 4. 4. 어빙파
어빙파 교회(새 사도 교회 등)에서는 사도에게 죄를 고백할 수 있으며,[44] 사도는 죄 사함을 선포할 수 있다.[44] 긴급 상황에서는 모든 사제가 고백을 듣고 죄 사함을 선포할 수 있다.[44]2. 4. 5.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몰몬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고해를 완전한 용서를 위한 필수 요건으로 가르친다.[1] 고백은 교회 침례 전,[45] 교회 부름을 성임받기 전, 또는 연례 성전 추천서를 받기 전 합당성 면담에서 이루어진다.죄인은 고해를 통해 하나님과 죄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고백해야 한다.[46] 또한 감독, 지부 회장, 스테이크 회장, 선교부 회장과 같은 권한 있는 신권 지도자에게 고백해야 할 수도 있다. 신권 지도자에게 고백해야 하는 죄의 확정적인 목록은 없지만,[47] 간음, 음행, 기타 성적 위반 및 일탈, 그리고 이와 유사한 심각한 죄,[48] 포르노의 의도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이 포함된다.[49] 죄의 심각성에 따라 신권 지도자는 죄인에게 징계 평의회의 권위에 복종하도록 권고할 수 있지만, 죄를 용서할 권한은 없으며 용서는 오직 하나님으로부터만 올 수 있다.[1] 신권 지도자에게 하는 고백은 고백자가 징계 평의회에 공개하도록 허락하지 않는 한, 엄격하게 기밀로 유지되어야 한다.[1] LDS 교회는 고백이 하나님으로부터 회개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전부라는 믿음을 거부한다.[50]
3. 타 종교의 고해
힌두교에서 고해는 프라야시치타의 일부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참회하여 카르마적 결과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의도적 및 비의도적 잘못 모두에 대한 속죄가 포함되며, 참회 방법으로는 고행, 단식, 순례, 성수 목욕 등이 있다.[51]
이슬람교에서는 이스티그파르를 통해 알라에게 직접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한다. 다른 사람에게 고백하는 경우는 피해 보상을 위한 필수 단계일 때뿐이다. 무슬림은 알라에게 용서를 구하고 다시는 같은 죄를 짓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AA의 12단계 프로그램 중 5단계에서는 하느님,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잘못을 시인함으로써 고해가 이루어진다.[57] 이를 통해 하느님의 용서와 완전한 용서를 얻게 된다.[58]
유대교에서 고해는 하느님과 다른 사람에게 저지른 죄에 대한 용서를 얻는 중요한 부분이다. 하느님께 하는 고백은 공동체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사람에게 저지른 죄는 피해자에게 개인적으로 고백해야 한다. 고백(viduy|비두이he)은 임종 시에도 수행된다.
불교에서는 승려들이 승가 내에서 정기적으로 자신의 잘못을 참회(忏悔|참회중국어)하는 것이 의무이다.[59] 팔리 경전의 suttas에서는 Bhikkhu들이 부처님에게 직접 잘못을 고백하기도 했다.[60]
3. 1. 힌두교
힌두교에서 고해는 프라야시치타의 일부이며, 이는 달마와 관련된 용어로, 자신의 과오와 잘못을 자발적으로 인정하고, 고백하고, 참회하며, 카르마적 결과를 없애거나 줄이기 위한 속죄 및 참회의 수단을 의미한다.[51] 여기에는 의도적 및 비의도적 잘못에 대한 속죄가 포함된다. 참회, 속죄, 그리고 속죄에 대한 고대 힌두 문헌은 광범위하며, 가장 초기의 언급은 베다 문헌에서 발견된다.[51][52] 의도적 및 비의도적 잘못에 대한 참회의 예시에는 자신의 잘못 인정, 고행, 단식, 순례, 성수에서의 목욕, 금욕적인 생활 방식, 야즈나sa(불의 제사, 호마(의례)|호마sa), 기도, 요가, 가난하고 어려운 이들에게 선물 주기 등이 있다.[51][53][54]로버트 링갓에 따르면, 프라야시치타sa에 대해 논의하는 텍스트들은 부적절한 행위 뒤에 숨겨진 의도와 생각을 논하며, "결과"의 균형을 맞춰야 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할 때 참회가 적절하다고 여긴다.[52]
3. 2. 이슬람교
이스티그파르는 알라에게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행위이다. 죄는 다른 사람을 통하지 않고 알라에게 직접 고백한다. 유일한 예외는 피해 보상을 위한 필수 단계로 다른 사람에게 고백하는 경우이다. 죄는 개인적으로 알라에게 용서를 구하기 위해 자신에게만 간직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알라는 용서를 구하고 죄를 다시 짓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사람들을 용서한다. 일반적으로 무슬림은 알라에게 용서를 구하고 다시는 같은 실수나 죄를 저지르지 않겠다고 다짐한다.3. 3. 알코올 중독자 모임 (AA)
AA의 12단계 프로그램 5단계에서는 하느님,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잘못을 시인하며, 이를 통해 고해가 이루어진다.[57] 이 단계를 따르지 않으면 고백하지 않은 죄가 계속해서 몸과 정신을 쇠퇴하게 만들고, 잘못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된다.[58] 5단계를 완료하면 하느님의 용서와 감독, 힘을 얻고 완전한 용서를 받게 된다.[58]3. 4. 유대교
유대교에서 고해는 하느님과 다른 사람에게 저지른 죄에 대한 용서를 얻는 중요한 부분이다. 하느님께 하는 고백은 복수형으로, 공동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욤 키푸르 예배 동안 유대인들은 "우리가 죄를 지었습니다"라고 고백한다. 다른 사람에게 저지른 죄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피해자에게 개인적으로 고백하는 것이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얻는 데 필요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하느님으로부터 용서를 얻는 데 필요한 조건이다. 피해자가 용서하기를 거부하면, 가해자는 점점 더 많은 청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고백한다. 고백(viduy|비두이he)은 가능하다면 임종 시에도 수행된다.3. 5. 불교
불교는 시작부터 금욕과 수도주의의 전통을 주로 이어왔다. 승가의 수도원 체계(Vinaya) 내에서 다른 승려들에게 잘못을 정기적으로 참회(忏悔|참회중국어)하는 것은 의무적이다.[59] 팔리 경전의 suttas에서 Bhikkhu들은 때때로 부처님에게 직접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기도 했다.[60] 팔리 경전의 일부인 Vinaya는 승려들이 Patimokkha를 낭송하기 위해 격주로 모이기 전에 개인적인 죄를 고백하도록 요구한다.참조
[1]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www.scborrome[...]
2021-01-09
[2]
웹사이트
Dictionary: PERFECT CONTRITION
http://www.catholicc[...]
[3]
Bibleverse
John 20:22–23
ESV
[4]
웹사이트
Fourteenth Session of the Council of Trent
https://www.ewtn.com[...]
2021-01-10
[5]
Bibleverse
Matthew 18:18
ESV
[6]
웹사이트
The biblical basis for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https://catholicphil[...]
2022-03-05
[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VII. The Acts of the Penitent nn. 1450–1460.
https://www.vatican.[...]
2022-03-05
[8]
간행물
Penance
[9]
웹사이트
sub rosa
https://www.merriam-[...]
2021-02-06
[10]
웹사이트
How to go to Confession: The Basics
https://www.universi[...]
2022-03-05
[11]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11-05-30
[12]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 1458
[13]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 1456
[14]
문서
Evangelizatio.Va: 24 Hours for the Lord, Part 1: Confession
http://www.evangeliz[...]
[15]
웹사이트
Confession, Communion and Preparation for Communion
http://www.orthodox-[...]
2016-04-11
[16]
Bibleverse
James 5:16
[17]
Bibleverse
John 20:22–23
[18]
문서
Luther's Small Catechism with Explanation
[19]
문서
Lutheran Service Book, Divine Service I
[20]
문서
Lutheran Service Book, Individual Confession and Absolution
[21]
문서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article 24, paragraph 1. Retrieved 2010-06-06
[22]
서적
Lutheran Ecclesiastical Culture: 1550 – 1675
https://archive.org/[...]
Brill Publishers
[23]
웹사이트
Resources for Private Confession
https://allsaintsjon[...]
All Saints Lutheran Church and School
2023-10-17
[24]
웹사이트
Order of Worship
https://www.graceref[...]
Grace Reformed Presbyterian Church
2024-09-23
[25]
웹사이트
Book of Order, W-3.3301d
https://www.presbyte[...]
Presbyterian Church (U.S.A.)
[26]
웹사이트
pcusa.org
http://www.pcusa.org[...]
2010-04-24
[27]
서적
The Essential Handbook of Denominations and Ministries
Baker Books
[28]
서적
The Riddle of Amish Culture
JHU Press
2003-05-01
[29]
문서
Proviso to Canon 113 of the Code of 1603, retained in the Supplement to the present Code
[30]
문서
Confession: None must, All may, Some should
[31]
서적
Dictionary of Doctrinal and Historical Theology
Longmans, Green & Co.
[32]
웹사이트
Where The Line Is Drawn: Ordination and Sexual Orientation in the UMC
http://rethinkbishop[...]
Rethink Bishop
2014-04-27
[33]
서적
Pastoral Care and the Means of Grace
Fortress Press
[34]
서적
The Ghost of Wesley [extracts from his writings]
https://books.google[...]
2014-04-27
[35]
웹사이트
Methodist Christianity
http://orderofsaintp[...]
The Order of Saint Patrick
2019-05-31
[36]
서적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37]
서적
Last Words: Approaches to Death in New Zealand's Cultures and Faiths
Bridget Williams Books
[38]
서적
The Unofficial United Methodist Handbook
Abingdon Press
[39]
웹사이트
Prayers of Confession
http://www.interpret[...]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4-04-27
[40]
서적
This Holy Mystery: A United Methodist Understanding of Holy Communio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5
[41]
서적
1996 Discipline ¶ 332
The United Methodist Church
[42]
서적
The Book of Offices and Services
Order of Saint Luke
[43]
웹사이트
Must I confess my sins?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Singapore
2013-09-06
[44]
웹사이트
12.4.4 Confession
https://nak.org/en/k[...]
New Apostolic Church
2020-12-18
[45]
웹사이트
12: How Do I Prepare People for Baptism and Confirmation?
https://www.churchof[...]
[46]
간행물
Repentance
https://www.churchof[...]
1980-11
[47]
간행물
Why and What Do I Need to Confess to My Bishop?
https://www.churchof[...]
2013-10
[48]
간행물
Confession
https://www.churchof[...]
1980-11
[49]
웹사이트
Finding Strength to Abandon Sin
https://www.churchof[...]
LDS Church
2006
[50]
간행물
The Divine Gift of Repentance
https://www.churchof[...]
2011-11
[5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ume 2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52]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3]
서적
History of Dharmasastra (Ancient and Mediaeval Religious and Civil Law), Volume 4
https://archive.org/[...]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953
[54]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5]
웹사이트
qa.sunnipath.com
http://qa.sunnipath.[...]
2011-05-08
[56]
웹사이트
hadithcollection.com
http://hadithcollect[...]
2011-05-08
[57]
웹사이트
aa-history.com
http://aa-history.co[...]
2014-10-11
[58]
웹사이트
Alcoholics Anonymous History – A.A. History Articles,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aa-history.co[...]
[59]
웹사이트
The Bhikkhus' Rules: A Guide for Laypeople
https://www.accessto[...]
[60]
웹사이트
Ethics of Buddha and Buddhism by Sanderson Beck
http://www.san.beck.[...]
[61]
웹사이트
大辞林
http://dic.yahoo.co.[...]
[62]
웹사이트
第20章 聖奠的諸式
http://www5.ocn.ne.j[...]
熊本聖三一教会
2015-04-26
[63]
서적
カトリック大辞典
冨山房
[64]
서적
正教入門シリーズ2 奉神礼
西日本主教区(日本正教会)
[65]
서적
聖事経
https://dl.ndl.go.jp[...]
大日本正教会
[66]
서적
信仰の機密
東京復活大聖堂教会(ニコライ堂)
[67]
웹사이트
聖公会の祈り
http://www.rikkyo.ne[...]
立教大学
2003-03
[68]
웹인용
한국천주교주교회의
http://www.cbck.or.k[...]
2016-07-25
[69]
웹인용
카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m.catholicnew[...]
2018-12-20
[70]
웹인용
가톨릭의 회개와 고해성사, 보속과 연옥설에 대한 비판
http://www.ecumen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