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과 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과 날은 헤시오도스가 쓴 시로, 제우스와 무사들에게 찬가를 바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인간 세상의 두 가지 에리스에 대한 이야기, 판도라와 인류의 다섯 시대 신화, 페르세스에 대한 권고 등을 담고 있다. 이 시는 동생 페르세스와의 재산 분쟁을 다루며, 정당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의와 노동을 통해 재산을 모으라고 권고한다. 또한,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이야기, 시대의 신화를 통해 인류의 역사를 설명하며, 농경 생활, 일상생활에 대한 지침과 함께 천문학적 지식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식민주의 - 렐란토스 전쟁
    렐란토스 전쟁은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 중반에 칼키스와 에레트리아가 렐란토스 평원의 지배권을 두고 벌인 전쟁으로, 여러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연루되어 고대 그리스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에우보이아의 쇠퇴와 지중해 패권 경쟁 변화를 가져왔다.
  • 헤시오도스 - 신통기
    《신통기》는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로, 우주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 크로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3대 교체 신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며 후대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7세기 작품 - 신통기
    《신통기》는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로, 우주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 크로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3대 교체 신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며 후대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과 날
개요
제목일과 날
원제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
원제 (로마자 표기)Érga kaì Hēmérai
국가아이올리스
장르교훈시
주제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이야기, 소위 다섯 시대의 신화
출판일기원전 700년
행 수828
운율약장육보격
언어고대 그리스어
다음에 오는 작품새점 치기
위키소스헤시오도스, 호메로스 찬가 및 호메리카/일과 날

2. 신화

헤시오도스는 시의 서두에서 제우스뮤즈에게 찬가를 바치며, 정의를 실현하고 진실을 말할 수 있도록 기원한다. 이어서 인간 세상에 존재하는 두 가지 에리스(Ἔριςgrc, 불화)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헤시오도스는 형제 페르세스와의 재산 다툼을 언급하며, 부당한 재판관들을 비판한다. 그는 페르세스에게 뇌물을 주는 대신 노동의 가치를 가르치려 한다.

그는 테오고니아에서처럼 뮤즈에게 짧은 찬가를 바치며, 제우스의 권능을 통해 인간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말한다. 그는 제우스에게 정의를 통해 법을 바로잡고, 자신이 페르세스에게 진실을 말할 수 있게 해달라고 간청한다.[2]

에리스(Ἔριςgrc, "투쟁")는 하나가 아니라 둘인데,[3] 하나는 전쟁과 불화를 일으키지만, 다른 하나는 사람들로 하여금 명예롭게 일하고 경쟁하도록 만든다.[4] 그는 페르세스에게 나쁜 에리스를 피하고 아고라에서의 논쟁 대신 생계를 위해 일하라고 권한다.

가족 간의 불화는 "제우스의 정의"를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페르세스가 "뇌물을 먹는 왕들"(δωροφάγοι βασιλεῖςgrc, ''dōrophagoi basileis'')에게 영향을 미쳐 더 많은 몫을 요구했다고 밝힌다.[6]

이후의 내용은 페르세스가 올바른 길을 따르도록 설득하기 위한 신화적 예시와 격언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교훈은 불멸자들이 왜 인간에게 쉬운 생계를 숨겼는지에 대한 것이며, 프로메테우스판도라의 이야기가 그 답으로 제시된다.

F. S. Church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판도라 신화의 조각


시대의 신화에서는 황금 시대, 은의 시대, 청동 시대, 영웅 시대, 철의 시대가 간략하게 묘사된다.[10]

루카스 크라나흐, 《황금 시대》


헤시오도스는 나이팅게일과 매의 우화를 통해 왕들에게 교훈을 전달한다. 하늘 높이 날아가는 매가 나이팅게일을 발톱에 잡고, 작은 새가 울부짖자 매는 자신보다 나은 자에게 대항하려는 자는 어리석다고 말한다.[16]

이후 생산적인 농장 운영과 관련된 미신, 성공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 노예에게 말하는 지침, 작물 수확 시기, 항해 시기 등에 대한 내용이 이어진다.

전통 관습에서는 "해악"이 있는 물건을 피하고 결혼 시기에 대한 지침 등이 제시된다. 마지막 부분은 달의 길일에 대한 것으로, 특정 날에 피해야 할 행동들을 알려준다.[18]

『일과 날』은 재산 다툼을 벌이던 동생 페르세스에게 하는 말로, 에리스, 판도라, 인류의 5가지 시대 신화를 이야기하고, 성실한 노동 생활에 대한 조언과 지혜를 가르치며, 부정한 돈벌이와 게으름, 그리고 부정직한 재판관을 비난한다. 헤시오도스는 정의와 부정 모두를 불멸의 신들이 꿰뚫어 보고 있으며, 노동은 모든 선의 근원이고, 신과 인간 모두 일하지 않는 자를 증오한다고 말한다.

『일과 날』은 플레이아데스 및 시리우스를 언급한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다.

2. 1. 에리스(Ἔρις)

헤시오도스는 《일과 날》에서 두 가지 종류의 에리스(Ἔριςgrc, "투쟁")를 설명한다.[3] 하나는 전쟁과 불화를 일으키는 해로운 에리스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 사이에 건전한 경쟁심을 유발하여 명예롭게 일하고 서로 경쟁하도록 하는 유익한 에리스이다.[4]

2. 2.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헤시오도스는 《신통기》에서 다루었던 프로메테우스판도라 이야기를 다시 언급한다. 그는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의 행동과 그로 인한 결과를 설명한다. 프로메테우스가 신들에게서 불을 훔치자, 제우스는 이에 대한 벌로 인간들에게 "악"을 내리기로 결심한다.[8] 제우스는 신들에게 인류를 위한 "악"을 만들라고 지시했는데, 그것이 바로 판도라였다.[8] 프로메테우스의 형제 에피메테우스는 형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헤르메스에게서 판도라를 선물로 받았다.[8]

판도라가 오기 전, 인간들은 고통, 힘든 노동, 질병 없이 살았다. 그러나 판도라는 이 모든 저주가 담긴 항아리(흔히 '상자'로 알려짐)를 열었고, 그 안의 내용물들이 세상에 퍼져나갔다. 단, 엘피스(Ἔλπιςgrc, "희망" 또는 "기대")만이 항아리 안에 남게 되었다.[9] 이로써 인간 세상에는 고통과 질병, 그리고 희망이 함께 존재하게 되었다.

2. 3. 인류의 다섯 시대

헤시오도스는 인류의 시대를 황금 시대, 은의 시대, 청동 시대, 영웅 시대, 철의 시대로 구분했다.[10]

  • 황금 시대: 크로노스 시대에 해당하며, 풍요와 평화가 가득했다. 땅은 스스로 필요한 것을 제공했고, 경쟁은 없었다. 사람들은 늙지 않고 죽음을 잠처럼 맞이했다. 이 시대가 끝난 후, 사람들은 인류의 수호자가 되어 악을 막고 부를 가져다주었다.[11]
  • 은의 시대: 황금 시대보다 못한 시대였다. 사람들은 백 년 동안 어린아이로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성인이 된 후에는 어리석음으로 짧은 삶을 살았다. 서로 싸우고 신에게 불순종했으며, 제우스는 이들의 불경함에 분노하여 멸망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의 축복받은 필멸자"라는 영예를 얻었다.[12]
  • 청동 시대: 무섭고 호전적인 시대였다. 청동 무기를 사용하고, 청동 집에 살며, 청동 갑옷을 입었다. 검은 철은 아직 없었다. 이들은 서로의 손에 쓰러져 불명예스러운 최후를 맞았다.[13]
  • 영웅 시대: 더 정의롭고 고귀한 반신들이 살던 시대였다. 테베와 트로이 등 전쟁에서 쓰러졌지만, 죽은 후에는 축복받은 섬에서 황금 시대와 비슷한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14]
  • 철의 시대: 헤시오도스가 살았던 시대로, 고통과 고난이 가득했다. 헤시오도스는 인간이 흰 머리로 태어나고 모든 도덕적, 종교적 기준이 무시될 때 제우스가 이 시대도 파멸시킬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이도스와 네메시스는 땅을 떠나고, 어떤 방벽도 없는 악만이 남을 것이라고 했다.[15]

3. 페르세스에 대한 권고

헤시오도스는 동생 페르세스에게 재산 분쟁과 관련하여 부정한 재판관들에게 뇌물을 주고 소송을 제기하는 행위를 비판하며, 정당한 노동을 통해 재산을 모으라고 권고한다.

『일과 날』은 재산을 두고 다투던 동생 페르세스에게 말을 거는 형식으로, 여신 에리스, 판도라, 인류의 5가지 시대 (황금 시대, 은의 시대, 청동 시대, 영웅 시대, 철의 시대. Hesiod's Five Ages 참고)의 신화를 이야기하고, 성실한 노동 생활, 지혜, 처세술을 가르치며, 부정한 돈벌이, 게으름, 페르세스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린 재판관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헤시오도스는 정의와 부정 모두 불멸의 신들이 꿰뚫어 보고 있으며(『일과 날』 250), 노동은 모든 선의 근원이고, 신과 인간 모두 일하지 않는 자를 증오한다고 말한다(300). 『일과 날』은 플레이아데스 및 시리우스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다. 시리우스는 세이리오스( Σείριοςel)로 표기되며, "빛나는" 또는 "더 뜨거운"을 의미한다.

3. 1. 정의와 노동의 중요성

헤시오도스는 형제 페르세스와의 재산 다툼을 배경으로, 부당한 재판관들을 비판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뇌물을 받고 부당한 판결을 내리는 재판관들을 강하게 비판하며, 페르세스에게 돈을 주는 대신 노동의 미덕을 가르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2]

그는 뮤즈에게 제우스의 권능을 노래하도록 간청하며, 제우스가 인간의 운명을 좌우하고 정의를 실현한다고 말한다. 헤시오도스는 두 가지 에리스(투쟁)가 있다고 설명한다. 하나는 전쟁과 불화를 일으키는 나쁜 에리스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이 명예롭게 일하고 경쟁하도록 만드는 좋은 에리스이다.[3][4] 그는 페르세스에게 나쁜 에리스를 피하고, 아고라에서의 논쟁 대신 생계를 위해 열심히 일할 것을 권한다.[5]

헤시오도스는 프로메테우스판도라 신화를 통해 인간에게 고난이 닥친 이유를 설명한다. 판도라는 인간에게 재앙을 가져왔지만, 항아리 속에 엘피스(희망 또는 기대)는 남겨두었다.[9]

이어서 시대의 신화를 통해 인류의 역사를 황금 시대, 은의 시대, 청동 시대, 영웅 시대, 철의 시대로 구분한다. 그는 현재 철의 시대가 고통과 고난으로 가득 차 있으며, 아이도스와 네메시스가 땅을 떠나면 더 큰 악이 닥칠 것이라고 예견한다.[15]

헤시오도스는 나이팅게일과 매의 우화를 통해 강자의 횡포를 경고한다.[16] 또한, 생산적인 농장 운영과 관련된 미신, 성공적인 삶을 위한 조언, 항해 시기, 전통 관습, 달의 길일 등 다양한 지혜를 제시한다.[17][18]

헤시오도스는 정의와 부정 모두 불멸의 신들이 지켜보고 있으며, 노동은 모든 선의 근원이라고 강조한다. 신과 인간 모두 일하지 않는 자를 증오한다고 말한다.[16]

3. 2. 농경 생활 지침

헤시오도스는 노예에게 말하는 지침, 그리스 신화에 기초하여 특정 작물을 수확할 적절한 시기에 대한 지침, 항해할 시기에 대한 예시를 제공한다.[17]

3. 3. 일상생활의 지혜

헤시오도스는 전통 관습에서 "해악"이 있는 물건, 예를 들어 매력 없는 냄비 등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결혼해야 할 때 등 다양한 일상생활에 대한 미신적인 지침도 포함되어 있다.[18] 헤시오도스는 달의 길일에 대해 언급하며, 어떤 날이 번영할 가능성이 높고, 어떤 날은 털깎기, 파종 또는 출산과 같은 행동을 피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18]

4. 천문학적 지식

『일과 날』에는 플레이아데스 및 시리우스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18] 시리우스는 세이리오스(Σείριοςel)로 표기되며, 그 의미는 "빛나는" 또는 "더 뜨거운"이다.[18] 이는 당시 그리스인들의 천문학적 지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5. 평가 및 영향

『일과 날』은 고대 그리스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사상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헤시오도스는 이 작품에서 정직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으는 것을 비판한다. 특히, 뇌물을 받고 부당한 판결을 내리는 재판관들을 강하게 비난하며, 정의로운 사회의 중요성을 역설한다.[2]

작품 속에는 에리스, 판도라, 인류의 5가지 시대 (황금 시대, 은의 시대, 청동 시대, 영웅 시대, 철의 시대) 등 다양한 신화가 등장한다. 이러한 신화들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운명, 그리고 정의와 불의에 대한 헤시오도스의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판도라 이야기는 인간 세상에 고통과 질병이 존재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며, 인류의 5가지 시대 이야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인간 사회가 타락해 간다는 인식을 보여준다.[7]

헤시오도스는 노동을 모든 선의 근원으로 여기며, 신과 인간 모두 일하지 않는 자를 증오한다고 말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노동이 얼마나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는지를 보여준다.[16] 또한, 『일과 날』에는 농사, 항해 등 실생활에 필요한 지혜와 조언이 담겨 있어, 고대 그리스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일과 날』은 후대 문학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강조하는 교훈적인 내용으로 인해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으며, 서사시의 전통을 이어받아 다양한 신화와 격언을 담고 있어 문학적 가치도 높게 평가받는다. 플레이아데스 및 시리우스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다.

참조

[1] 문서 Works and Days
[2] 문서 Works and Days
[3] 문서 Theogony
[4] 문서 Works and Days
[5] 문서 Works and Days
[6] 문서 Works and Days
[7] 문서 Theogony
[8] 문서 Works and Days
[9] 문서 Works and Days
[10] 문서 Works and Days
[11] 문서 Works and Days
[12] 문서 Works and Days
[13] 문서 Works and Days
[14] 문서 Works and Days
[15] 문서 Works and Days
[16] 문서 Works and Days
[17] 웹사이트 HESIOD, WORKS AND DAYS - Theoi Classical Texts Library https://www.theoi.co[...] 2023-12-04
[18] 웹사이트 Works and Days Greek mythology, Ancient Greece, Hesiod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05
[19] 서적 인간의 경제 2 交易・貨幣および市場の出現 岩波書店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