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반중 정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반중 정서는 일본과 중국 간의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감정이다. 도쿠가와 시대의 쇄국 정책과 국학 운동은 일본의 민족적 자긍심을 높였고,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화 과정에서 중국을 쇠퇴하는 강대국으로 인식하면서 혐오 정서가 나타났다. 제2차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의 만행은 혐오감을 더욱 심화시켰으나, 냉전 시기에는 억압되었다. 2000년대 이후 역사 교과서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중국의 반일 감정 이용 등이 반중 감정 부활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일본인의 대중국 부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반공주의 - 홍콩 97
홍콩 97은 1997년 홍콩 반환을 배경으로 중국 본토 사람들을 적대적으로 묘사하고, 잔혹한 묘사로 논란이 된 슈팅 게임이며, 비디오 게임 산업을 조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되었다. - 일본의 민족 문제 - 반일망국론
반일망국론은 일본의 역사, 문화, 노동 운동 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일본 사회의 전복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일본 황실을 침략 세력의 후예로 보고 일본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죄악시하며 극단적이고 자기모순적인 사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 일본의 민족 문제 - 우토로
우토로는 일본 교토부 우지시에 위치한,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과 그 후손들이 집단 거주하며 형성된 마을로, 오랜 기간 토지 소유권 분쟁과 강제 퇴거 위기를 겪었으나, 현재는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이 진행되고 평화 기념관이 건립되었지만, 여전히 차별 및 혐오 범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일본-중국 관계 -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국가적 위기와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A급 전범을 포함한 전쟁 관련 인물들의 합사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며 과거사 논쟁의 중심에 있는 신사이다. - 일본-중국 관계 - 민생단 사건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이간책으로 만들어진 친일 조직을 구실로 중국 공산당이 항일 무장 투쟁을 하던 조선인들을 숙청한 사건으로, 무고한 희생과 조선인-중국인 간 불신 심화, 항일 연대 약화를 초래했으며 김일성이 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지도력을 강화했다.
| 일본의 반중 정서 | |
|---|---|
| 지도 정보 | |
| 개요 | |
| 정의 | 일본 내에서 중국 또는 중국인에 대해 존재하는 반감 또는 적대감 |
| 역사적 배경 | 중일 관계의 역사적 사건들과 관련된 인식 및 감정, 중국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태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 역사 | |
| 기원 |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의 제국주의 확장 과정에서 발생 |
| 주요 사건 | 난징 대학살과 같은 역사적 사건 센카쿠 열도 분쟁 등 영토 문제 중국산 제품의 품질 문제 및 식품 안전 문제 |
| 원인 | |
| 정치적 요인 | 중국 공산당에 대한 반감, 중국의 군사적 팽창에 대한 우려 |
| 경제적 요인 |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인한 경쟁 심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불신 |
| 사회문화적 요인 | 중국의 문화 및 가치관에 대한 이질감,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불편 |
| 현황 | |
| 표현 방식 | 인터넷 상의 혐오 표현 반중 시위 중국산 제품 불매 운동 |
| 여론 조사 결과 |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 추세 |
| 영향 | 중일 관계 악화 일본 내 외국인 혐오 증가 중국인 대상 범죄 발생 |
| 사회적 반응 | |
| 옹호 | 중국 공산당의 독재와 인권 문제 비판,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경계 |
| 비판 | 인종차별 및 외국인 혐오, 중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
| 법적 규제 | |
| 일본 | 혐오 표현 규제 노력, 외국인 차별 금지법 제정 논의 |
| 관련 항목 | |
| 관련 항목 | 혐한 감정 반미 감정 반일 감정 신냉전 색깔론 국수주의 |
| 외부 링크 | |
| 관련 기사 | 한겨레: “일본인 85% ‘중국에 친근감 없다’…역대 최악” 시사저널: 일본의 ‘반중’은 혐오, 한국의 ‘반중’은 비판? 동아일보: "日서 혐중 확산, 경제안보 위협 느끼는 기업들, 탈중국화 가속" |
2. 역사
2. 1. 도쿠가와 시대 (1603년 ~ 1868년)
도쿠가와 시대(1603년 ~ 1868년)는 오랜 내전을 끝내고 통일된 국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12] 이 시기 일본은 쇄국 정책을 통해 중국 문화를 포함한 외국의 문화적 영향을 차단하고, 고립 속에서 자국 문화를 발전시켰다.[13] 이러한 배경에서 일본은 민족적 자존감이 상승하여 스스로를 "오랑캐에 둘러싸인 문명 세계"이자 문화의 중심지로 인식하게 되었다.[13]이러한 인식 변화에는 국학(國學) 운동이 큰 영향을 미쳤다. 국학은 문자 그대로 "국민학"으로 번역되며, 일반적으로 "일본학"으로 번역된다. Kokugakuja-Latn는 수행자들(kokugakushuja-Latn로 알려짐)을 통해 일본 문화를 외국의 영향이 없는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kokugakuja-Latn 실천가들은 신토를 특히 중요하게 생각했는데,[3] 이는 외국, 특히 유교와 불교의 영향에 대한 방어벽으로 여겨지는 일본의 토착 종교였다.[4] 그러나 가 발전할 무렵 신토는 이미 유교와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5] 이로 인해 학문과 그 성과의 순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2. 2. 일본 제국 (1868년 ~ 1945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서구화와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여러 문제로 인해 쇠퇴하는 강대국으로 인식되었고, 이는 일본 내에서 중국인 혐오 정서가 형성되는 배경이 되었다.[17][6]제2차 중일 전쟁 (1937년 ~ 1945년) 동안 일본군의 만행은 이러한 혐오 정서를 더욱 심화시켰다. 특히, 난징 대학살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7] 전쟁으로 인해 2천만 명 이상의 중국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으며,[6] 중국이 입은 재산 피해는 1937년 7월 환율 기준으로 당시 일본 GDP의 약 50배에 달하는 3,830억 미국 달러로 추산된다.[17][6] 이는 당시 일본이 중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음을 보여준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일본과 중국은 냉전 기간에 반대되는 입장을 취했지만, 중국인에 대한 혐오감은 일본 주류 언론에서 억압되고 금기시되었다.[18][9] 지나/支那중국어라는 명칭은 남중국해의 일본식 명칭이나 라면의 대체 용어와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졌다.[18]
냉전 이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접촉은 거의 없었다.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 이전까지 중국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중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배상금을 포기했는데, 부분적으로는 타이완보다 덜 관대하게 보이는 것을 피하고 소련에 대한 입장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일본에서는 이에 대해 상당한 감사와 호의를 보였으며, 중국 혐오는 반공주의에 국한되었다.[18][9]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대중의 반감은 소련에 대한 반감에 비해 미미했고 우호적인 분위기가 팽배했다.[18][9] 재일조선인, 아이누족 등 다른 소수 민족들과 함께 일본 화교 거주자들에 대한 사회적 태도도 개선되었다.[18]
그러나 2000년 이후 일본은 점차 반중 감정의 부활과 함께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적 관계가 긴장되는 효과와 맞물렸다. 그 이유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와 야스쿠니 신사에 대한 공식적인 참배에서 비롯된다. 또한 중국인들이 자국의 국내 정치를 떠받치기 위해 반일 감정을 이용하는 것도 포함된다.[19][10] 2005년 반일 시위는 중국 내의 긴장과 중국 내에 거주하는 일본 국민들의 두려움을 고조시켰던 사건으로 기억된다.[19] 간바레 닛폰(힘내라 일본)과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 등 많은 일본 민족주의 단체들이 반중 성향을 가지고 있다.[19][10]
퓨 글로벌 태도 프로젝트(2008)의 자료를 보면, 일본인의 85%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고, 일본인의 73%가 중국인들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이코노미스트'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호감'을 느끼는 지에 대한 질문에서 18~29세 일본인의 40% 이상이 중국에 '호감'을 느낀다고 답했고 60~70대 중국에 호감을 느끼는 일본인은 13%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20][11]
3. 현대 일본 사회와 반중 감정
3. 1. 우익 단체의 활동
3. 2. 언론과 대중 매체
3. 3. 사회적 차별과 혐오 범죄
4. 한국의 관점
4. 1. 역사적 배경
4. 2.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
4. 3.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okugawa Period
https://web.archive.[...]
2008-08-24
[2]
웹사이트
II. Japan's Identity: Is Asia One? Is Japan Part of the East?
http://www.jfir.or.j[...]
2008-08-24
[3]
웹사이트
Tokugawa Enlightenment
http://www.wsu.edu/~[...]
[4]
웹사이트
Shinto
http://www.japan-gui[...]
2008-08-24
[5]
웹사이트
The I Ching in the Shinto Thought of Tokugawa Japan
http://ccbs.nt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08-24
[6]
웹사이트
BBC - History - World Wars: Nuclear Power: The End of the War Against Japan
https://www.bbc.co.u[...]
2016-03-28
[7]
웹사이트
Large Majorities Say China Does Not Respect the Personal Freedoms of Its People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21-06-30
[8]
웹사이트
Unfavorable Views of China Reach Historic Highs in Many Countries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20-10-06
[9]
웹사이트
asahi.com: English
http://www.asahi.com[...]
2016-03-28
[10]
뉴스
Why China Loves to Hate Japan
https://web.archive.[...]
2005-12-10
[11]
뉴스
Japanese youngsters want to look like Chinese starlets
https://www.economis[...]
2023-01-19
[12]
웹사이트
Tokugawa Period
https://web.archive.[...]
2008-08-24
[13]
웹사이트
II. Japan's Identity: Is Asia One? Is Japan Part of the East?
http://www.jfir.or.j[...]
2008-08-24
[14]
웹사이트
Tokugawa Enlightenment
http://www.wsu.edu/~[...]
[15]
웹사이트
Shinto
http://www.japan-gui[...]
2008-08-24
[16]
웹사이트
The I Ching in the Shinto Thought of Tokugawa Japan
http://ccbs.nt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08-24
[17]
웹인용
BBC - History - World Wars: Nuclear Power: The End of the War Against Japan
https://www.bbc.co.u[...]
2016-03-28
[18]
웹인용
asahi.com: English
http://www.asahi.com[...]
2016-03-28
[19]
뉴스
Why China Loves to Hate Japan
https://web.archive.[...]
2005-12-10
[20]
뉴스인용
Japanese youngsters want to look like Chinese starlets
https://www.economis[...]
2023-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