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마누엘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마누엘 칼리지(Emmanuel College)는 1584년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서 재무 장관이었던 월터 마일드메이 경에 의해 설립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이다. 청교도였던 마일드메이는 성공회 설교자 훈련을 위한 곳으로 칼리지를 설립했으며, 1979년 처음으로 여성 학생을 받았다. 엠마누엘 칼리지 졸업생들은 하버드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현재에도 하버드 대학교와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칼리지에는 렌이 설계한 예배당, 퀸스 빌딩 등 다양한 건물과 시설이 있으며, 학생 연합, 스포츠 클럽 등 활발한 학생 자치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 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1441년 헨리 6세가 설립한 킹스 칼리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소속 칼리지로, 예배당을 중심으로 건축되었으며 19세기 규정 개정을 통해 다양한 학생들의 입학이 허용되었고 현재는 킹스 칼리지 합창단을 비롯한 여러 학생 활동과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칼리지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 크라이스츠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는 1437년 설립되어 헨리 7세의 어머니 레이디 마가렛 보퍼트의 기증으로 현재의 이름을 얻었으며, 찰스 다윈, 존 밀턴 등 유명 인사를 배출하고 5월 무도회를 개최하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이다.
임마누엘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에마뉘엘 칼리지 |
라틴어 명칭 | Collegium Emanuelis |
약칭 | EM |
설립자 | 월터 밀드메이 경 |
이름 유래 | 나사렛 예수 (임마누엘) |
설립일 | 1584년 |
위치 | 세인트 앤드루 스트리트, 케임브리지 CB2 3AP (지도) |
대표 | 더글러스 챌머스 |
학부생 | 515명 (2022-23) |
대학원생 | 223명 (2022-23) |
자매 대학 | 엑서터 칼리지, 옥스퍼드 엘리엇 하우스, 하버드 세이브룩 칼리지, 예일 |
홈페이지 | 에마뉘엘 칼리지 |
중급 조합 방 (MCR) | MCR |
학생회 | 학생회 |
보트 클럽 | 보트 클럽 |
기부금 | 1억 3700만 파운드 (2022년) |
좌표 | 52.2037° N, 0.1244° E |
방문객 | 총장 직권 |
추가 정보 | |
MCR | MCR |
2. 역사
엠마누엘 칼리지(Emmanuel College)는 1584년 엘리자베스 1세 치하의 재무 장관이었던 월터 마일드메이 경에 의해 설립되었다.[20] 칼리지 부지는 1238년에 설립된 도미니코회 수도원이 있던 곳으로,[21] 수도원 시대 건물도 현존한다.[22]
청교도였던 마일드메이는 엠마누엘 칼리지를 영국 국교회 설교자 양성 학교로 만들고자 했다.[23] 초기 졸업생 중에는 하버드 대학교 설립에 기여한 John Harvard (clergyman)|존 하버드영어를 포함하여 뉴잉글랜드로 이주한 사람이 많았다.[24]
엠마누엘 칼리지는 초기 한국 개신교 선교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 건국 이후 학술 및 문화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1979년 처음으로 여학생을 받았다.[9]
2. 1. 설립과 초기 역사
엠마누엘 칼리지는 1584년 엘리자베스 1세의 재무부 장관인 월터 마일드메이 경에 의해 설립되었다.[6] 이 부지는 원래 45년 전 수도원 해산까지 케임브리지 도미니칸 수도원이 있던 곳이었다. 수도원 해산 이후, 부총장은 이 장소를 대학교에 넘겨달라고 청원했지만 거부되었다.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1583년 6월, 전 수도원은 550파운드에 매입되어 새로운 칼리지 부지로 사용되었다. 이는 마일드메이를 대신하여 예비 학장인 로렌스 채더튼과 그의 매형 리처드 컬버웰이 1582년 11월 23일에 재산을 그에게 넘겨주면서 이루어졌다.[7] 마일드메이는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칼리지를 설립했으며, 건축가는 랄프 시몬스였다. 1588년 새 건물이 봉헌 축제와 함께 개장되었고, 마일드메이가 참석했다.
청교도였던 마일드메이는 엠마누엘 칼리지를 성공회 설교자 훈련의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토머스 풀러에 따르면, 칼리지가 개장된 후 마일드메이가 궁정에 갔을 때, 여왕이 "월터 경, 칼리지를 청교도 재단으로 세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라고 말했고, 마일드메이는 "아닙니다, 여왕님. 폐하의 확립된 법률에 반하는 어떠한 것도 지지하는 것은 저와 거리가 멉니다. 하지만 저는 도토리를 심었습니다. 그것이 떡갈나무가 될 때, 그것의 열매가 무엇일지는 오직 신만이 아십니다"라고 대답했다.[8]
다른 오래된 케임브리지 칼리지처럼, 엠마누엘 칼리지도 원래는 남자 학생만 받았다. 1979년에 처음으로 여자 학생들을 입학시켰다.[9]
2. 2. 청교도 정신과 뉴잉글랜드
임마누엘 칼리지는 청교도 신념을 가진 월터 마일드메이 경(Sir Walter Mildmay)이 영국 국교회 설교자 양성을 목표로 설립했다.[23]
초기 졸업생 다수가 뉴잉글랜드로 이주했으며, 그중에는 하버드 대학교 설립에 기여한 John Harvard (clergyman)|존 하버드영어도 있었다.[24] 1630년대 뉴잉글랜드 이주 영국인의 약 3분의 1이 임마누엘 칼리지 출신이었다.[24]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현재도 하버드 대학교와 교류를 이어가고 있으며, 성적 우수자에게는 학비 전액 지원 1년 유학 기회를 제공한다.[24]
2. 3. 한국과의 관계
임마누엘 칼리지는 초기 한국 개신교 선교에 기여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건국 이후 학술 및 문화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2. 4. 여성 입학
1979년에 처음으로 여학생을 받아들였다.[25]3. 건물과 부지
마일드메이의 지시에 따라 원래 도미니크 수도원의 예배당은 칼리지의 식당으로, 수도사들의 식당은 예배당으로 개조되었다. 17세기 후반에 칼리지는 크리스토퍼 렌이 설계한 새로운 예배당을 의뢰했다. 렌의 건축물이 문을 연 후, 이전 예배당은 칼리지 도서관으로 사용되다가 1930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1911년에 완공되어 처음에는 강의실로 사용되었던 사우스 코트의 대형 건물이 현재 도서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1974년에 확장되었다.[10][11]
칼리지 부지는 세인트 앤드루스 스트리트에 면한 케임브리지 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부지에는 수도원의 유산인 큰 연못이 있으며, 여기에는 청둥오리 무리가 서식하고 있다. 펠로우 가든에는 수도사들의 수영장이었던 수영장이 있는데, 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수영장 중 하나이며, 영국에서 계속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야외 수영장이라고 한다.[12] 가든에는 또한 종의 일반적인 수명보다 훨씬 오래 산 것으로 알려진 동양 플라타너스 나무가 있다.[12]
칼리지가 영국에서 유일하게 개인 소유의 지하 통로를 가지고 있어 본관과 노스 코트를 연결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사실 오리엘 칼리지, 옥스퍼드는 오리엘 스트리트 아래에 자체 터널을 가지고 있어 아일랜드 부지와 주요 칼리지 건물을 연결한다.[13] 옥스퍼드의 보들리안 도서관도 브로드 스트리트 아래에 자체 터널을 가지고 있다.
3. 1. 크리스토퍼 렌의 예배당
크리스토퍼 렌이 설계한 예배당은 1677년에 완공되었으며, 케임브리지에 있는 세 개의 렌 건축물 중 하나이다.[10] 렌이 설계한 예배당이 문을 열기 전에는 원래 도미니크 수도원의 예배당을 칼리지 식당으로 사용하고 수도사들의 식당을 예배당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이전 예배당은 칼리지 도서관으로 사용되다가 1930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10]3. 2. 퀸스 빌딩
Sir Michael and Patty Hopkins가 설계한 퀸스 빌딩은 케턴 석회암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건축 디자인은 석재 외부 벽의 견고함과 바닥 콘크리트의 넓은 공간과 질량을 결합했다. 석회암 외벽은 하중을 지지하며 내부 케이블을 사용한 프리스트레스 석재를 사용한 최초의 건물이다. 지붕은 납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미국산 백색 참나무가 지붕과 패널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1995년에 완공되었다.퀸스 빌딩은 150석 규모의 극장, 리셉션 및 세미나실, 음악 연습 시설을 포함한다. 퀸스 빌딩 내부의 극장은 강의, 음악 동아리 콘서트, 입학 설명회, 컨퍼런스 장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칼리지에서 자주 활용된다.
3. 3. 기타 시설
펠로우 가든에는 수도사들의 수영장이었던 수영장이 있는데, 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수영장 중 하나이며, 영국에서 계속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야외 수영장이라고 한다.[12] 가든에는 또한 종의 일반적인 수명보다 훨씬 오래 산 것으로 알려진 동양 플라타너스 나무가 있다.[12]칼리지가 영국에서 유일하게 개인 소유의 지하 통로를 가지고 있어 본관과 노스 코트를 연결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사실 오리엘 칼리지, 옥스퍼드는 오리엘 스트리트 아래에 자체 터널을 가지고 있어 아일랜드 부지와 주요 칼리지 건물을 연결한다.[13] 옥스퍼드의 보들리안 도서관도 브로드 스트리트 아래에 자체 터널을 가지고 있다.
부지에는 수도원의 유산의 일부인 큰 연못이 있다. 연못에는 청둥오리 무리가 서식하고 있다.
4. 학생 생활
임마누엘 칼리지에는 학생 연합(ECSU)과 중 조합실(Emma MCR) 외에도 다양한 스포츠 클럽과 학생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스포츠 클럽에는 테니스, 배드민턴, 크리켓, 스쿼시, 럭비, 축구, 하키, 네트볼 등이 있으며, 학생 단체로는 임마누엘 칼리지 음악 협회(ECMS),[14] 기독교 연합, 등산 협회, 임마누엘 채식주의자 협회, 정치 및 경제 협회, 칼리지 풍자 신문인 ROAR, 임마누엘 칼리지 보드 게임 협회 등이 있다.
4. 1. 학생 자치 활동
임마누엘 칼리지 학생 연합(ECSU)은 임마누엘 칼리지의 모든 학부생 단체이다. 상점, 바, 공용 라운지, 스포츠 및 기타 단체에 자금을 지원한다. ECSU 집행 위원회는 매년 미카엘절 학기 말에 선출된다.[14] ECSU 위원회는 학부생으로 구성되며, 회장, 복지 담당관, 엔츠 담당관 등의 직책을 맡고 있다.임마누엘 칼리지 중 조합실(Emma MCR)은 임마누엘 칼리지의 모든 대학원생 단체이다. 이 방은 Furness Lodge에 있는 편안하고 잘 갖춰진 공간이다. MCR 위원회는 몇 주마다 열리는 성대한 공식 만찬을 포함하여 대학원생을 위한 정기적인 사교 행사를 조직한다.[15]
4. 2. 스포츠 및 동아리
임마누엘 칼리지에는 테니스, 배드민턴, 크리켓, 스쿼시, 럭비, 축구, 하키, 네트볼 등 다양한 스포츠 클럽과 임마누엘 칼리지 음악 협회(ECMS),[16] 기독교 연합, 등산 협회, 임마누엘 채식주의자 협회, 정치 및 경제 협회, ROAR(칼리지 풍자 신문), 임마누엘 칼리지 보드 게임 협회 등 여러 학생 단체가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임마누엘 칼리지 학생 연합(ECSU)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5. 엠마누엘 칼리지 관련 인물
엠마누엘 칼리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하버드 대학교의 이름이 유래된 존 하버드, 천문학자 제레마이아 호록스, 노벨 화학상 수상자 조지 포터, 무한대 기호()를 발명한 수학자 존 왈리스, 과학자이자 박학자 토머스 영 등이 대표적이다.[9]
조너선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의 주인공 레뮤엘 걸리버도 엠마누엘 칼리지를 다닌 것으로 묘사된다.
5. 1. 저명한 동문
엠마누엘 칼리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학문: 하버드 대학교의 이름이 유래된 존 하버드, 천문학자 제레마이아 호록스, 노벨 화학상 수상자 조지 포터, 무한대 기호()를 발명한 수학자 존 왈리스, 과학자이자 박학자 토머스 영 등이 엠마누엘 칼리지 출신이다. 의사 우롄더, 식물 병리학자 로렌스 오길비도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 문학: 소설가 세바스찬 포크스와 휴 월폴이 엠마누엘 칼리지를 졸업했다.
- 종교: 윌리엄 샌크로프트는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했다.
- 기타: 영화 제작자 카렐 라이스가 엠마누엘 칼리지를 졸업했다.
엠마누엘 칼리지 졸업생들은 북미 영국 식민지 개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 뉴잉글랜드 최초의 대학 졸업생 100명 중 3분의 1이 엠마누엘 칼리지 졸업생이었다. 미국 최초의 대학인 하버드 대학교는 엠마누엘 칼리지의 모델을 따서 조직되었으며, 존 하버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엠마누엘 칼리지와 하버드 대학교는 허셜 스미스 장학금, 하버드 장학금, 폴 윌리엄스 장학금, 매년 2월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열리는 피터 고메스를 기리는 고메스 강연 및 만찬과 같은 학생 교류를 통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초기 엠마누엘 칼리지 졸업생으로는 1611년 공인 성경 번역가인 로렌스 채더튼과 윌리엄 브랜스웨이트 등이 있다.
조너선 스위프트의 레뮤엘 걸리버와 같은 소설 속 인물도 엠마누엘 칼리지를 다닌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세바스찬 포크스의 소설 엥글비와 토마스 리처드슨도 엠마누엘 칼리지에 입학한 것으로 묘사된다. 새뮤얼 버틀러의 소설 ''모든 육체의 길''의 주인공도 엠마누엘 칼리지를 다녔다. 미완성 닥터 후의 에피소드 ''샤다''는 칼리지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으며, 등장인물 크로노티스 교수는 뉴 코트에 방을 가지고 있다.



6. 기타
엠마누엘 칼리지에서는 공식 만찬 전에 라틴어 그레이스(''Oratio Ante Cibum'')를 낭독한다. 식사 후 기도문(''Oratio Post Cibum'')은 때때로 저녁 식사 후에 읽는다.
라틴어 원문 | 한국어 번역 |
---|---|
Oculi omnium in te sperant, Domine, et tu das escam illorum in tempore opportuno. Aperis tu manum tuam et imples omne animal benedictione. Benedic, Domine, nos et dona tua quae de tua largitate sumus sumpturi; per Christum Dominum nostrum. Amen.la | 주님, 모든 이의 눈이 당신을 바라보나이다. 당신은 적절한 때에 그들에게 양식을 주시나이다. 당신은 손을 펼치시어 모든 생물을 축복으로 채우시나이다. 주님, 저희와 당신의 선물을 축복하소서. 이는 당신의 너그러우심으로 저희가 받게 될 것이니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
Confiteantur tibi, Domine, omnia opera tua, et sancti tui benedicant te. Agimus tibi gratias, omnipotens Deus, pro universis beneficiis tuis, qui vivis et regnas Deus per omnia saecula saeculorum. Amen.la | 주님, 당신의 모든 업적이 당신을 인정하게 하소서. 그리고 당신의 성도들이 당신을 축복하게 하소서. 전능하신 하느님, 당신의 모든 선하심에 감사드리나이다. 영원무궁토록 하느님으로 살아계시고 다스리시는 분께 감사드리나이다. 아멘. |
참조
[1]
간행물
Notice by the Editor
https://www.admin.ca[...]
2019-03-06
[2]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Financial Statement 21/22
https://www.emma.cam[...]
2023-05-26
[3]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https://www.undergra[...]
2022-01-19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lege | History & Archives | About | Emmanuel College, Cambridge
https://www.emma.cam[...]
2019-04-11
[5]
웹사이트
Nobel Prize
https://www.cam.ac.u[...]
University of Cambridge
2013-01-28
[6]
서적
A History of Emmanuel College, Cambridge
Boydell Press
[7]
웹사이트
The colleges and halls: Emmanuel | British History Online
https://www.british-[...]
[8]
서적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885–1900
Smith, Elder & Co.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lege
https://www.emma.cam[...]
Emmanuel College
2019-04-11
[10]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Library
http://www.cambridge[...]
Cambridge 2000
[11]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Library extens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2000
[12]
웹사이트
The Great Oriental Plane Tree at Emmanuel College
http://www.emma.cam.[...]
Emmanuel College, Cambridge
[13]
문서
http://www.oriel.ox.ac.uk main site accessibility map 2019.pdf
[14]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Students' Union
http://ecsu.org.uk/
2014-09-13
[15]
웹사이트
Emma MCR
http://www.emmamcr.o[...]
2014-09-13
[16]
웹사이트
Emmanuel College Music Society
http://www.emmamusic[...]
2014-09-13
[17]
간행물
Notice by the Editor
https://www.admin.ca[...]
2019-03-06
[18]
서적
A History of Emmanuel College, Cambridge
https://www.amazon.c[...]
Boydell Press
[19]
웹사이트
Nobel Prize
https://www.cam.ac.u[...]
2013-01-28
[20]
서적
A History of Emmanuel College, Cambridge
https://www.amazon.c[...]
Boydell Press
[21]
서적
Emmanuel College Cambridge: An Historical Guide
Emmanuel College
2017
[2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lege
https://www.emma.cam[...]
2020-05-07
[23]
논문
Metamorphoses of Visualisation: Experiences of Interpreting Stained-Glass Artworks of Anglican Emmanuel College Chapel of Cambridge University
https://files.eric.e[...]
2016
[24]
서적
留学ジャーナル別冊2015-2016「海外の大学・大学院留学完全ガイド」
留学ジャーナル
2014-10-10
[2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lege
https://www.emma.cam[...]
2019-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