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와표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와표범은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 서식하는 표범의 아종이다. 일반적인 장미무늬 털을 가지거나 검은색 털을 가질 수 있으며, 사슴, 멧돼지, 영장류 등을 먹이로 삼는다. 자와표범은 서식지 파괴, 먹이 고갈, 밀렵 등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개체 수 복원을 위해 사냥 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동물원에서의 사육 및 방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형태학적 연구에 따르면 다른 아시아 표범 아종과 구별되며, 약 80만 년 전 다른 아시아 표범 아종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범 - 아무르표범
아무르표범은 동시베리아에 서식하며 두꺼운 털과 로제트 무늬를 가진 표범의 아종으로, 서식지 감소와 밀렵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위급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표범 - 아프리카표범
아프리카표범은 고양이과 포유류로 아프리카 대륙에 분포하며, 털 색깔과 무늬가 다양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자와섬의 동물상 - 반텡
반텡(Bos javanicus)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소과 야생 소의 일종으로, 수컷은 검은색, 암컷은 갈색을 띠며 초식 생활을 하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밀렵,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을 받으며, 가축화된 개체는 발리 소 등으로 불린다. - 자와섬의 동물상 - 문조
문조는 인도네시아 자바 섬과 발리 섬이 원산지인 몸길이 약 15~17cm의 작은 새로, 회색 윗면, 분홍색 아랫면, 흰 뺨, 붉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애완조로 인기가 높지만 야생 개체 수 감소로 IUCN 적색 목록에 절멸위기종으로 등재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고유종 동물 - 바비루사
바비루사는 인도네시아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돼지과 동물로,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 인도네시아의 고유종 동물 - 코모도왕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은 인도네시아 코모도 섬 등지에 서식하며 몸길이 최대 3m까지 성장하는 대형 도마뱀으로, 육식성이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자와표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anthera pardus melas |
명명자 | G. 퀴비에, 1809년 |
종 | 표범 |
멸종 위기 등급 (IUCN 3.1) | 취약종 |
분포 면적 | 2267.9 ~ 3277.3 km2 |
![]()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표범아과 |
속 | 표범속 |
2. 특징
자와표범은 처음에는 짙은 검은색 반점과 은회색 눈을 가진 흑표범으로 묘사되었다.[2] 자와표범은 장미무늬가 있는 일반적인 반점 무늬 털을 가지고 있거나, 검은색 털을 갖는 열성 표현형을 가질 수 있다.[5]
자와표범은 인도네시아의 자바 섬에만 서식한다.[1]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국립공원은 다음과 같다.
자와표범의 먹이로는 사슴의 일종인 보르네오사슴, 멧돼지, 자바섬쥐사슴, 게잡이원숭이, 은색 루퉁, 자바긴팔원숭이와 같은 영장류가 있다. 자와표범은 또한 인근 마을에서 먹이를 찾기도 하며, 개, 닭, 염소와 같은 가축을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자와표범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1]
3. 분포 및 서식지
국립공원 할리문 산 국립공원 우중 쿨론 국립공원 게데팡란고 산 국립공원 세르마이 국립공원 메르바부 산 국립공원 메라피 국립공원 브로모 텡게르 세메루 국립공원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 이젠 산 발루란 국립공원 알라스 푸르워 국립공원
해수면부터 2540m 고도에 이르기까지, 울창한 열대 우림부터 건조한 낙엽성림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1] 보호구역 밖에서는 2008년과 2014년 사이에 2차림, 혼합 농업 지역, 생산림에서도 기록되었다.[3]
1990년대에는 천이 단계의 식생 패턴에서도 생존하는 모습을 보여, 다른 많은 포유류보다 인간의 개발 활동에 비교적 덜 취약한 것으로 여겨졌다.[4]
2001년부터 2004년까지 할리문 산 국립공원 내 20km2 면적에서 카메라 트랩과 무선 추적을 이용한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 지역에서 총 7마리의 표범이 확인되었으며, 국립공원 전체의 개체수는 42마리에서 58마리 사이로 추정되었다. 성체 암컷의 평균 행동권은 9.82km2로 나타났다.[5]
4. 생태 및 행동
두 마리의 표범이 할리문 산 국립공원에서 무선 추적을 위해 무선 발신기가 부착되었다. 이들의 일일 활동 패턴은 오전 6시에서 9시 사이, 그리고 오후 3시에서 6시 사이에 정점을 보였다.[5]
5. 위협 요인
자와표범은 인구 증가와 농업 확장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 먹이 부족, 밀렵의 위협을 받고 있다.[1] 현지인과 표범 사이의 갈등 또한 자와표범의 주요 위협 요인으로 간주된다.
자바는 자연 식생의 90% 이상을 잃었으며,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섬 중 하나이다. 1400m 이상의 고도에 위치한 산악 지역에만 원시림이 남아 있다.[4]
6. 보전 노력
자와표범 개체군을 복원하고 멸종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냥 법규가 엄격하게 시행되고 있다. 2005년에는 자와표범, 은색긴팔원숭이(''Hylobates moloch'') 및 자와말똥가리(''Nisaetus bartelsi'')의 보호를 위해 할리문 산 국립공원이 원래 크기의 3배로 확장되었다.[5]
6. 1. 사육 현황
1997년 기준으로 유럽의 동물원들에서는 14마리의 자와표범이 사육되고 있었다. 하지만 자와표범은 유럽이나 미국에서 사육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히 관리되지는 않는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여러 동물원에서 자와표범을 사육하고 있다. 2007년 보고르에 위치한 타만 사파리 동물원에서는 수컷 7마리와 암컷 10마리, 총 17마리의 자와표범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네 쌍은 번식이 가능한 쌍이었다. 이 외에도 라구나 동물원과 수라바야 동물원에서도 자와표범을 사육 중이다.
2011년 12월에는 독일의 베를린 동물원에서 수컷 2마리와 암컷 1마리가, 라구나 동물원에서는 수컷 1마리와 암컷 1마리가 사육되고 있었다. 2013년에는 베를린 동물원에 있던 수컷 자와표범 한 마리가 체코의 프라하 동물원으로 옮겨졌다.
한편, 치카낭가 야생동물 구조 센터에서는 야생으로 돌려보낼 수 있을 때까지 자와표범을 특별 관리 시설에서 보호하고 있다. 2023년 5월에는 '와유'(Wayhuind)라는 이름의 자와표범이 인도네시아 환경산림부(MoeF, KKHSG), 서부 자바 천연자원보존국(BBKSDA), 할리문-살락 국립공원의 협력을 통해 할리문-살락 국립공원에 방사되었다. 와유는 2017년 인간과의 충돌로 인해 구조되어 치카낭가 야생동물 구조 센터로 오게 된 어린 수컷이었다. 구조 당시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집중 치료를 받았으나 잘 회복하여, 방사 준비가 된 건강한 성체 수컷으로 성장했다. 와유의 성공적인 야생 복귀에는 치카낭가 사육사들의 헌신적인 보살핌, 자와표범 전용 재활 시설, 그리고 방사 전 추가적인 재활 훈련이 큰 도움이 되었다.
7. 진화
형태학적 연구에 따르면 자와표범은 다른 아시아 표범 아종과 두개골 계측학적으로 다르며, 약 80만 년 전 중기 홍적세에 다른 아시아 표범 아종에서 분리된 별개의 분류군이다. 중기 홍적세에 수마트라와 보르네오를 우회하는 육교를 통해 남아시아에서 자바로 이동했을 수 있다.[12]
참조
[1]
간행물
Panthera pardus ssp. melas
[2]
논문
Recherches sur les espėces vivantes de grands chats, pour servir de preuves et d'éclaircissement au chapitre sur les carnassiers fossils
[3]
논문
Identifying priority conservation landscapes and actions for the Critically Endangered Javan leopard in Indonesia: Conserving the last large carnivore in Java Island
[4]
논문
Status of the leopard (Panthera pardus) in Java, Indonesia
http://wild-cat.org/[...]
2011-04-21
[5]
간행물
Ecological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the Javan Leopard Panthera pardus melas in Gunung Halimun National Park, West Java, Indonesia
https://u-ryukyu.rep[...]
The 21st Century Center of Excellence Program International Symposium
[6]
논문
Taxonomic uniqueness of the Javan Leopard: an opportunity for zoos to save it
http://www.repositor[...]
[7]
웹사이트
ISIS Species Holdings: Panthera pardus melas, December 2011
https://www.isis.org[...]
2011-11-13
[8]
웹사이트
Rare Leopard in Prague Zoo
http://www.praha.eu/[...]
Portal of Prague
[9]
웹사이트
Cikananga Wildlife Center {{!}} Wanicare Foundation
https://www.wanicare[...]
2024-01-11
[10]
논문
Architectural design assessment of Javan leopard rehabilitation facility regarding the occurrence of stereotypical pacing
2020
[11]
웹사이트
Save the Javan Leopard {{!}} Wanicare Foundation
https://www.wanicare[...]
2024-01-11
[12]
논문
Biogeographic history of the Javan leopard Panthera pardus based on craniometric analy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