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조는 자바 문조(Padda oryzivora)를 지칭하며,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학명이 명명되었다. 몸길이 약 15~17cm로 회색, 분홍색, 검은색 등의 특징적인 깃털을 가진다. 인도네시아 자바 섬과 발리 섬이 원산지이며,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아시아에서 애완조로 인기가 높았으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 현재는 멸종 위기종으로, 불법 거래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려조 -
    닭은 전 세계에서 고기와 알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흔한 가축으로, 다양한 품종과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약 3000년~4000년 전 야생 닭을 가축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사육 목적에 따라 육용계, 산란계, 관상계 등으로 나뉘며, 민속, 종교, 문학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반려조 - 집오리
    집오리는 청둥오리를 가축화하여 기원한 가금류로, 고기, 알, 깃털 등을 얻기 위해 사육되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오리농법에 활용되기도 하며, 문화 속에서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자와섬의 동물상 - 반텡
    반텡(Bos javanicus)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소과 야생 소의 일종으로, 수컷은 검은색, 암컷은 갈색을 띠며 초식 생활을 하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밀렵,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을 받으며, 가축화된 개체는 발리 소 등으로 불린다.
  • 자와섬의 동물상 - 작은과일박쥐
    작은과일박쥐는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누르스름한 갈색 털, 짧고 넓은 주둥이, 큰 눈을 가진 열매를 주로 먹는 중간 크기의 박쥐이다.
  • 인도네시아의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문조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분쬬
분쬬
학명Lonchura oryzivora
이명Loxia oryzivora
Padda oryzivora
영어 이름Java sparrow (자바 참새)
일본어 이름분쬬 (ブンチョウ)
한국어 이름문조
서식지
서식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납부리새과
마니킨방울새속 (Lonchura)
문조 (L. oryzivora)
보존 상태
IUCNEN (멸종 위기)
CITES부속서 II
기타
다른 뜻조선 문조 (조선)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2. 분류

우리 안의 자바 문조 한 쌍, 2023


자바 문조는 1758년 칼 린네가 처음 기술하였으며,[4] 당시 학명은 ''Loxia oryzivora''였으나, 2020년에 Lonchura 속으로 재분류되었다.[7]

2. 1. 학명

자바 문조는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에 의해 1758년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이명법에 따라 ''Loxia oryzivora''라는 이명으로 정식으로 기술되었다.[4] 종명 ''oryzivora''는 '쌀'을 의미하는 라틴어 ''oryza''와 '-을 먹는'을 의미하는 ''-vorus''의 합성어이다.[5] 린네는 1743년 영국의 박물학자 조지 에드워드가 그의 저서 《희귀 조류 자연사》에서 기술하고 삽화로 그린 '파다 또는 쌀새'를 바탕으로 자신의 설명을 작성했다. 에드워드는 자신의 표본이 중국에서 왔다고 생각했지만, '자바 문조'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언급했다.[6] 이 종은 2020년에 Lonchura속으로 재분류되었다.[7]

3. 형태

몸길이는 부리부터 꼬리 깃털 끝까지 약 15cm에서 17cm 정도이다. 크기는 집참새와 비슷하거나 약간 크며, 구관조과 내에서는 가장 큰 종에 속할 수 있다. 평균 몸무게는 24.5g으로, 검은배씨앗새보다 약간 더 무겁다.[8]

성조는 이마, 뒷목, 목 부분이 검은색이고 뺨은 흰색인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18] 몸의 윗면과 가슴은 청회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배와 몸 옆면은 옅은 분홍색을 띤다.[18] 꼬리 깃털은 검은색이다.[18][19] 눈 주위에는 붉은색 테가 있고 발은 분홍색이다. 부리는 두껍고 붉은색(분홍색)이다.[18][19]

암컷과 수컷은 외형상 거의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수컷은 윗부리 기부가 약간 솟아 있는 경우도 있다.[19]

어린 새는 전체적으로 회갈색을 띠며, 얼굴 부분은 옅은 갈색이다.[18] 성조와 달리 머리 부분에 뚜렷한 색 구분 없이 단색에 가깝다. 부리는 회흑색(검은색)이고, 부리 아랫부분(기부)은 옅은 분홍색을 띤다.[18]

4. 분포 및 서식지

하와이에서 서식하는 문조 성조


검은색/짙은 회색 부리를 가진 하와이의 어린 문조


일본 야토미의 흰색 문조(백문조)


문조의 원산지는 인도네시아의 자바 섬과 발리 섬이다. 주로 해발 고도 1500m 이하의 개방된 초원과 경작지, 농경지 주변, 민가 정원 등에서 서식한다. 과거에는 재배지에서 흔히 발견되어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인도 아대륙에도 도입되었으나,[10] 본토 정착에는 성공하지 못했다.[11] 현재는 하와이, 푸에르토리코, 필리핀,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피지, 브루나이, 멕시코 등 세계 각지로 유입되어 정착하였다.[15] 미국에서는 하와이 제도, 특히 오아후를 포함한 여러 섬과 푸에르토리코에 번식 개체군이 있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산후안 근처에서 흔하게 발견된다.[12] 자메이카에서도 관찰된 기록이 있으며,[12]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해안의 크리스마스 섬에도 도입되었다.

일본에서는 오사카부, 도쿄도, 효고현, 후쿠오카현 등지에서 정착 사례가 보고되었다.[17]

5. 생태

해발 고도 1500m 이하에 있는 초원이나 트인 관목림 등에 서식하며, 농경지 주변이나 민가의 정원에서도 발견된다[18]. 매우 사교적인 새로, 주로 짝을 이루거나 소규모 무리를 형성하여 생활하지만, 때로는 대규모 무리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18].

주로 초본의 씨앗이나 곡물을 먹고 살며, 과실, 소형 곤충 등도 먹는다[18]. 개방된 초원과 경작지를 자주 찾으며, 과거 재배지에서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했는데, 이것이 학명의 유래가 되었다.

번식 방식은 난생이다. 나무 위나 건물에 마른 풀 등을 조합한 공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한 번에 5~7개의 을 낳는다[19]. 포란 기간은 17~18일이며[19], 새끼는 부화 후 약 20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19].

근연종인 티모르문조와의 교배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20].

5. 1. 울음소리

울음소리는 "칩" 소리이며, 노래는 "chipchipchipchipchipchip"와 같이 빠른 일련의 울음 소리이다.

후루타니(Furutani) 등의 2018년 연구에 따르면 문조는 서로 다른 행동 맥락에서 뚜렷한 떨림 소리를 낸다. 이러한 떨림 소리는 음향적으로 유사하지만 상황에 따라 반복 속도가 달라진다. 공격적인 상호 작용에서 문조는 더 빠른 떨림 소리를 내며, 더 높은 음압 레벨과 엔트로피를 보인다. 반대로, 친밀한 행동을 하는 동안 떨림 소리는 더 느리고 부드럽다. 이러한 떨림 소리의 변화는 새의 사회적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의도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9]

6. 인간과의 관계

문조는 수 세기 동안 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애완조였다. 중국명나라 시대를 거쳐 17세기부터는 일본에서 특히 널리 길러졌으며, 일본 회화나 판화에도 자주 등장했다. 메이지 시대의 작가 나쓰메 소세키는 애완 문조에 관한 에세이를 남기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는 미국에서도 인기 있는 애완조 중 하나였으나, 농업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져 수입이 금지되었고, 특히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소유가 불법으로 남아 있다. 반면, 중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사육된다.

아시아에서는 오랫동안 사람과 함께하며 길들여져 애완동물로서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6. 1. 사육

문조는 수 세기 동안 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애완조였으며, 처음에는 중국의 명나라 시대에, 이후 17세기부터는 일본에서 인기를 얻어 일본 회화나 판화에도 자주 등장했다. 메이지 시대의 작가 나쓰메 소세키는 애완용 문조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는 미국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애완조 중 하나였으나, 이후 수입이 금지되었다. 현재 중국, 대만, 일본 등에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지만, 캘리포니아에서는 농업에 대한 위협 때문에 소유가 불법이다.

아시아에서 문조는 대부분 사람이 어릴 때부터 길러 매우 길들여지고 사람에게 애착을 갖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새장 안에 보관할 수 있지만, 탈출을 시도하지 않고 실내 운동을 위해 풀어줄 수도 있다. 애완동물로 기를 때는 주로 새장이나 뜰 안의 새장에서 사육한다[23]。 문조는 목욕을 좋아하므로 물 용기를 마련해주고, 물이 쉽게 더러워지므로 위생을 위해 매일 갈아주는 것이 좋다[23]。 먹이로는 조, 수수, 와 같은 곡물 외에도 푸성귀, 굴 껍데기 가루, 배합 사료 등을 준다[23]

부화 후 5~18일 된 어린 새를 어미에게서 떼어내 사람이 직접 숟가락이나 스포이트 등으로 먹이를 주며 키우면 사람을 잘 따르게 된다. 이렇게 길들여진 문조는 '손타기 문조'라고 불리며, 훈련을 통해 손 위에 올려놓는 것도 가능하다[19][23]。 사람을 잘 따르는 개체는 목욕 후에 주인이 몸을 닦아주기를 바라기도 한다.

사육 과정에서 다양한 색상의 품종이 만들어졌다. 흰색, 은색/오팔, 황갈색(이사벨), 파스텔, 크림, 마노(현재 유럽 사육 개체 중에서는 희귀함)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얼룩무늬 문조를 "사쿠라 분초"라고 부른다.

한편, 문조는 1997년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16]。 또한, 사람이 기르던 문조가 유기되거나 탈출하여 야생에 정착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18]

6. 2. 품종

사육 상태에서는 흰색, 은색/오팔, 황갈색(이사벨), 파스텔, 크림, 마노 등 다양한 색상의 품종이 만들어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얼룩무늬가 있는 桜文鳥|사쿠라 분초jpn가 개발되기도 했다.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품종명주요 특징비고 (개발 시기/장소 등)
벚꽃 문조 (桜文鳥|사쿠라 분초jpn)야생형(노멀) 문조와 유사하지만 몸 전체에 흰 반점이 흩어져 있음.[19] 벚꽃잎 같은 반점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야생형과 백문조의 교배를 통해 만들어진 품종이다.[19]
백문조온몸이 흰색이다.[19]1865년(겐지 2년) 오와리번 지역에서 사육이 시작되어 메이지 9년(1876년)경 야토미에서 돌연변이로 나타난 개체를 고정시킨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21] 다만, 에도 시대에 이미 백문조가 있었다는 문헌[22]과 그림도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퍼지면서 재패니즈(ジャパニーズjpn)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나몬검은 색소가 없고 붉은 색소로 인해 몸 전체가 옅은 갈색(시나몬색)을 띤다. 눈동자도 붉은색이다.1960년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처음 나타난 개체를 1970년대 네덜란드에서 품종으로 고정시켰다.
실버검은 색소의 발현이 적어, 야생형 문조의 검은 머리 부분 등이 회색으로 나타난다.1980년대 유럽에서 만들어진 품종이다. 옅은 회색을 띠는 개체는 라이트 실버, 짙은 회색을 띠는 개체는 다크 실버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크림, 이노, 알비노, 뺨검둥이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한다.

6. 3. 일본에서의 문조 사육

일본에는 에도 시대 초부터 수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본초식감에는 이미 사육 하에서 번식에도 성공했다는 기록이 있다.[24] 사육 과정에서 흰색, 은색/오팔, 황갈색/이사벨, 파스텔, 크림, 마노 등 다양한 색상의 품종이 만들어졌으며[18][19][23], 특히 일본에서는 얼룩무늬 문조를 "사쿠라 분초"(桜文鳥)라고 부른다. 에도 시대의 우키요에 중에는 문조를 그린 작품도 있으며, 메이지 시대 작가 나쓰메 소세키는 애완 문조에 관한 에세이를 쓰기도 했다.

아이치현 야토미시는 "문조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야토미시의 문조 사육은 에도 시대에 나고야의 무사 저택에 일하러 간 여성이 벚꽃 문조를 양도받은 것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메이지 시대에 당시 가이사이군 야토미촌에서 흰색의 백문조가 태어나 일본 전국으로 퍼졌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백문조를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기록이나 전설은 남아있지 않다[25]. 야토미시 역사민속자료관에 따르면, 메이지 시대 야토미 문조 관련 자료는 전승이나 구전뿐이며[26], 그 출처도 불분명하다[27]. 한편, 백문조가 에도 시대 덴포 연간(1830-1844)에 만들어져 메이지 시대에 사육되었다는 기록도 있다[28].

10월 24일은 '손(て, 테=10의 다른 읽기 て)에(2) 행복(しあわせ=4, 시아와세)'이라는 의미를 담아 '문조의 날'로 정해졌다[30]. 이는 1급 애완동물 사육 관리사이자 일본 사조회, 도쿄 피이치쿠회 회원인 이토 미요코가 2005년에 제정한 것이다[31].

아이치현의 문조 생산량은 1970년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일부 농가에서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이치현의 문조 생산 (발췌)[32]
연도사육 농가 수사육 쌍 수생산량 (어미)생산량 (손으로 기르기)
1975년21055,00090,000370,000
1985년12016,50030,000100,000
1998년214,7857,65630,624
2008년81,2354902,963
2010년3760411,335
2014년41,2692201,360
2015년58652361,609
2016년49532201,800
2017년275001,430
2020년393701,874


7. 보존 상태

야생 문조는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1만 마리 이하로 크게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절멸위기종(EN)으로 등재되어 있다.[41][13] 또한 국제 거래를 규제하는 사이테스(CITES) 부속서 II에도 포함되어 있다.[41][13]

문조가 멸종 위기에 처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애완동물로 기르려는 수요와 그로 인한 국제 거래[42]
  • 일부 지역에서 벼 농사에 피해를 주는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어 포획되는 문제[13]
  • 자연 서식지의 지속적인 파괴[13]
  • 일부 지역에서의 사냥[13]


특히, TRAFFIC에 따르면 독특한 노랫소리 때문에 불법적인 애완동물 거래가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14]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야생에서의 목격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13]

참조

[1] IUCN Padda oryzivora 2022-05-08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Java Sparrow – ''Padda oryzivora'' (may change to ''Lonchura oryzivora'') http://www.efinch.co[...]
[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6] 서적 A Natural History of Uncommon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the author at the College of Physicians
[7]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and taxonomic evaluation of the waxbills (Aves: Estrildidae) https://doi.org/10.1[...]
[8]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9] 논문 Trill-calls in Java sparrows: Repetition rate determines the category of acoustically similar calls in different behavioral contexts 2018-12
[10] 서적 The Nests and Eggs of Indian Birds, Volume II https://books.google[...] R. H. Porter
[11] 웹사이트 Ceylon Bird Club Rarities and Records Committee : Appendix II http://www.ceylonbir[...] 2022-03-22
[12] 서적 Birds of the West Indi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04-23
[13] 뉴스 Red List: Northern Bald Ibis, Pink Pigeon making a comeback http://www.birdlife.[...] 2018-11-23
[14] 웹사이트 Asian Songbirds - Species we work with at TRAFFIC https://www.traffic.[...] 2019-01-10
[15] IUCN Lonchura oryzivora 2021-07-24
[16] 웹사이트 Lonchura oryzivora https://www.speciesp[...] 2021-07-24
[17]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18]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19] 서적 原色ワイド図鑑4 鳥 学習研究社
[20] 웹사이트 Timor Dusky Sparrow My birds (java sparrow) http://www.timor-spa[...] 2023-09-06
[21] 웹사이트 白文鳥 https://apec.aichi-c[...] 2023-05-26
[2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着色図編飼鳥集成 著者 鷹司信輔 著 出版者 養賢堂 出版年月日 昭和5 p54 https://dl.ndl.go.jp[...] 2023-05-26
[23] 서적 原色ワイド図鑑11 飼育I(陸生動物) 学習研究社
[24] 논문 明治前動物渡来年表
[2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洋鳥巣引の鍵 後編  著者 大塚公道 著 出版者 蘆沢日新堂 出版年月日 大正15 https://dl.ndl.go.jp[...] 2023-05-26
[26] 웹사이트 明治41(1908)年以前に白文鳥(白無地の文鳥)が日本にいたことがわかる資料を探している。できれば... https://crd.ndl.go.j[...] 2023-05-26
[27] 웹사이트 ~日本における 文鳥 白文鳥 の歴史 (まとめ)~ - 日日草の日記帖 https://blog.goo.ne.[...] 2023-05-26
[28] 웹사이트 東京家禽雑誌 (40) https://dl.ndl.go.jp[...] 東京家禽雑誌社 1893-10
[29] 웹사이트 painting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3-05-26
[30]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プラス「文鳥の日」の解説 https://kotobank.jp/[...] 株式会社VOYAGE MARKETING 2021-07-25
[31] 웹사이트 伊藤 美代子著・文鳥の本なら - 文鳥ロードショー 全部小鳥♪小鳥雑貨とアクセサリー100%の通販セレクトショップ https://www.bunchou.[...] 2023-05-27
[32] 웹사이트 愛知県 畜産課 あいちの畜産(統計資料編)5.小家畜 http://www.pref.aich[...]
[33]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プラス「文鳥の日」の解説 https://kotobank.jp/[...] 株式会社VOYAGE MARKETING 2021-07-25
[34] IUCN Lonchura oryzivora https://www.iucnredl[...] 2022-05-08
[35]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6]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2012
[3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2001
[38] 서적 原色ワイド図鑑4 鳥 学習研究社 1984
[39] 웹사이트 문조 Dadda oryzivora https://www.nibr.go.[...]
[40] 템플릿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41] 뉴스 Red List: Northern Bald Ibis, Pink Pigeon making a comeback http://www.birdlife.[...] 2018-11-23
[42] 웹인용 Asian Songbirds - Species we work with at TRAFFIC https://www.traffic.[...] 2019-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