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폐 스펙트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단일 원인이 아닌 유전적, 임신 전후 요인, 신경해부학적 이상, 환경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사의 제한 등이 주요 특징이며,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두고 관리한다. ASD는 자폐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기 붕괴성 장애, PDD-NOS 등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달장애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발달장애 - 난독증
    난독증은 신경학적 원인으로 지능, 교육, 문화적 기회에도 불구하고 읽기, 쓰기, 철자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특정 학습 장애이며, 음운 인식 및 해독 능력 결핍으로 읽기 정확성 및 유창성 저하, 이해력 부족, 어휘력 발달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 자폐 스펙트럼 - 히키코모리
    히키코모리는 사회적 고립으로 집 안에 틀어박혀 외부 활동을 극도로 제한하는 현상 또는 사람을 지칭하며, 일본에서 주로 나타나 1970년대 이후 심화되었고, 최근에는 중장년층 및 여러 국가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보고되는 사회 문제이다.
  • 자폐 스펙트럼 - 윌리엄스 증후군
    윌리엄스 증후군은 7번 염색체 일부 유전자 결손으로 인해 독특한 얼굴, 심장 이상, 지적 장애, 특이한 행동 양상을 보이며, 사교적이고 음악적 재능을 보이는 희귀 유전 질환이다.
  • 학습 장애 - 치매
    치매는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며,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기억력 저하, 언어 능력 장애, 판단력 저하 등의 증상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 학습 장애 -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으로 뇌 조직 손상으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치매 유형으로, 기억력 감퇴, 운동 장애, 행동 변화, 언어 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혈관계 질환 및 생활 습관, 유전자형 등이 위험 요인이고, 기저 질환 관리로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폐 스펙트럼
일반 정보
반복적으로 물건을 쌓거나 일렬로 늘어놓는 것은 자폐증과 관련된 일반적인 특징이다.
반복적으로 물건을 쌓거나 일렬로 늘어놓는 것은 자폐증과 관련된 일반적인 특징이다.
분야정신의학
다른 이름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범주, 자폐 범주성 장애
질병 분류
ICD-116A02
ICD-10F84
F84.0 (소아 자폐증)
F84.1 (비정형 자폐증)
F84.2 (레트 증후군)
F84.3 (다른 해체성 장애)
F84.4 (과잉 운동과 관련된 정신 지체와 관련된 연합 행동)
F84.5 (아스퍼거 증후군)
F84.8 (기타 침투성 발달 장애)
F84.9 (상세 불명의 침투성 발달 장애)
징후 및 증상사회적 상호 작용 및 의사 소통의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사 또는 활동
진단 방법행동 관찰 및 평가
감별 진단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SCD)
정신 지체
불안 장애
강박 장애 (OCD)
조현병 (Schizophrenia)
예방알려진 예방 방법은 없다
치료행동 치료
언어 치료
작업 치료
약물 치료 (증상 완화)
빈도약 100명 중 1명

2. 원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단일 원인이 아닌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 임신 전후 요인, 신경해부학적 이상, 환경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하여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3]

유전적 요인은 ASD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4][15] 특정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인지, 아니면 흔한 유전 변이들의 상호작용 결과인지도 불분명하다.[14][15] 이는 ASD 발현에 다수의 유전자, 환경적 영향, 후성유전학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16] 쌍둥이 연구에서 유전적 위험 요인이 잘 드러나며, ASD 진단을 받은 아이의 부모가 다음 아이를 낳았을 때 ASD 진단 확률은 7-20% 정도이다.[17] 취약 X 증후군과 같이 명확한 유전적 원인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전체 ASD 환자의 약 2%에 불과하다.[17] 진화정신의학에서는 관련 유전자가 인간의 지능, 창의성, 체계화 능력과 관련되어 오늘날까지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한다.[20][21]

ASD는 인종이나 사회경제적 집단과 관계없이 나타나지만, 남아의 진단율이 여아보다 높다.[22][23] 이러한 성별 차이에 대해 '각인된 뇌 가설', '극단적 남성 뇌 가설' 등이 제시되었으나,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24] 최근 연구에서는 X 염색체 상의 유전자 변이, 특히 NLGN4X 단백질이 ASD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5][26]

3. 분류

자폐 스펙트럼의 분류

  • 일반적인 자폐 장애: 해당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이다.
  •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 장애: 사회화나 제한적 관심사 등 일부 증상을 보이나 언어 능력이나 지능 발달에 지연이 적은 경우이다.
  • 아동기 붕괴성 장애: 만 2세경까지 정상적으로 발달하다가 이후 발달이 거의 멈추고 퇴행을 보이는 경우이다. 정도가 심한 자폐 스펙트럼으로 여겨진다.
  • 기타 (PDD-NOS): 대체로 자폐증의 특징을 보이나 진단 기준은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총칭한다.

4. 특징 및 성격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영아기나 유아기에 시작되어 보통 완치 없이 평생 지속된다.[4]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환자들은 일부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평균이거나 우수한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5][6] 명백한 특징은 생후 6개월 후부터 조금씩 나타나며 2~3세에 완전히 드러난다.[7] 이러한 특징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지만, 종종 약화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16] 비정상적인 섭식과 같은 다른 증상도 흔하지만, 진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8]

임상의는 환자에게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날 때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한다.


  • 일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 자기 자극 행동(stimming)이라고도 불리는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된 관심사


이러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함께 나타날 때 전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취업이나 교육을 획득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정신 건강이나 학습 장애 서비스와의 연계
  • 신경 발달 증상(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포함) 혹은 정신 건강 질환 이력[9][10]

5. 치료

자폐 스펙트럼의 관리는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상담을 통해 가족 등 주변인과의 불화를 낮추고, 약물이나 심리치료로 여러 증상을 줄이고, 행동 교정을 통해 사회적, 직업적 문제를 최소화하는 시도가 있다. 대체로 지능이 높을수록 치료가 비교적 효과적이고 예후가 좋다.[1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명확한 치료법은 없으나 아스퍼거 증후군은 경우에 따라 사회적 경험을 쌓으며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12] 일각에서는 환자들의 특징에 따라 각자에게 맞는 방식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한다.[13]

참조

[1] 저널 The 'fractionable autism triad': a review of evidence from behavioural, genetic, cognitive and neural research 2008-12-01
[2] 저널 Time to give up on a single explanation for autism 2006-10-01
[3] 저널 The origins of social impairmen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ies of infants at risk
[4] 웹인용 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10-10
[5] 서적 Handbook of pragmatic language disorders : complex and underserved populations Springer 2021-01-01
[6] 서적 Biopsychology Pearson
[7] 저널 What are infant siblings teaching us about autism in infancy? 2009-06-01
[8] 저널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1999-12-01
[9] 인용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dult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NICE 2021-06-14
[10] 웹인용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ttps://www.canada.c[...] 2016-01-18
[11] 저널 Meta-analysis of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2009-05-01
[12] 저널 Asperger's syndrome 2006-10-01
[13] 저널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pediatrics.aa[...] 2007-11-01
[14] 저널 Advances in autism genetics: on the threshold of a new neurobiology 2008-05-01
[15] 저널 Multiple rare variants in the et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16] 저널 Autism: definition, neurobiology, screening, diagnosis 2008-10-01
[17] 저널 Autism spectrum disorder 2018-08-01
[18] 저널 Copy-number variations associated with neuropsychiatric conditions 2008-10-01
[19] 저널 Frequency and Complexity of De Novo Structural Mutation in Autism 2016-04-01
[20] 저널 Autism As a Disorder of High Intelligence 2016-06-30
[21] 서적 The pattern seekers: how autism drives human invention 2020-11-10
[22] 저널 New developments in autism 2009-03-01
[23] 저널 Gene linked to sex differences in autism https://www.nih.gov/[...]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20-04-13
[24] 저널 Sex on the brain 2003-07-10
[25] 저널 A Cluster of Autism-Associated Variants on X-Linked NLGN4X Functionally Resemble NLGN4Y 2020-06-03
[26] 저널 Mutations of the X-linked genes encoding neuroligins NLGN3 and NLGN4 are associated with autism 2020-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