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난독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난독증은 단어 읽기 및 철자법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신경 발달 장애로, 발달성 난독증과 후천성 난독증으로 분류된다. 발달성 난독증은 선천적으로 나타나며, 후천성 난독증은 뇌 손상 후에 발생한다. 난독증의 원인은 신경생물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뇌 기능, 인지 처리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음운 인식, 시각적 인지, 자동화 등의 인지 능력과 관련이 있다. 난독증의 증상으로는 읽기, 쓰기, 음운 인식, 단어 검색, 맞춤법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있으며, 다른 학습 장애와 동반되기도 한다. 진단은 다학제적 팀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며, 평가 방법과 진단 기준을 통해 내려진다. 관리 방법으로는 교육적 중재, 보조 기술 활용, 심리적 지원 등이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인식 개선을 통해 난독증 환자의 학습과 사회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독증 - 순수실독증
    순수실독증은 뇌 손상으로 시각적 문자 인식 능력은 있지만 읽기 능력을 잃는 질환으로, 주로 좌측 후대뇌동맥 경색이나 시각 피질 손상으로 발생하며, 환자는 축자적 읽기 전략을 사용하고 재활 치료를 통해 회복을 시도한다.
  • 발달장애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발달장애 - 보호 작업장
    보호 작업장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취업 기회와 기술 습득을 제공하여 자립을 지원하는 시설이지만, 낮은 수익성과 열악한 근로 조건, 사회 통합 부족 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가별 운영 현황 및 논쟁점이 존재한다.
  • 학습 장애 - 치매
    치매는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며,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기억력 저하, 언어 능력 장애, 판단력 저하 등의 증상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 학습 장애 -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으로 뇌 조직 손상으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치매 유형으로, 기억력 감퇴, 운동 장애, 행동 변화, 언어 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혈관계 질환 및 생활 습관, 유전자형 등이 위험 요인이고, 기저 질환 관리로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난독증
기본 정보
글자와 단어 처리의 어려움
글자와 단어 처리의 어려움
분야신경학
소아과학
발병 시기학령기
증상
증상읽기 곤란
원인
원인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위험 요인가족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
진단연속 기억 검사
철자 검사
시력 검사
읽기 검사
감별 진단청력 또는 시력 문제
불충분한 교육
예방 및 치료
치료교육 방법 조정
빈도
빈도3–7%
질병 정보
DiseasesDB4016
ICD-10
OMIM127700
MedlinePlus001406
MeshIDD004410
기타
OpenDyslexic 글꼴
난독증에 배려한 OpenDyslexic 서체
관련 질환표면 실독증

2. 분류

난독증은 크게 발달성 난독증과 후천성 난독증으로 나뉜다.[16] 후천성 난독증은 외상성 뇌 손상이나 뇌졸중과 같은 신경학적 손상 이후에 발생한다. 후천성 난독증 환자는 발달성 난독증의 일부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평가 방법과 치료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17] '순수 알렉시아'는 '인식 불능 알렉시아' 또는 '순수 단어 맹'이라고도 불리며, "말초 난독증" 그룹을 구성하는 알렉시아의 한 형태이다.[18]

2. 1. 발달성 난독증

난독증은 발달성 난독증과 후천성 난독증으로 나뉜다.[16] 발달성 난독증은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난독증으로, 대부분의 난독증 사례가 여기에 해당한다.

국제 난독증 협회(en)는 난독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 장애이다. 그 특징은 정확하고/또는 유창한 단어 인식의 어려움, 철자 및 문자 기호의 음성화가 서투른 점에 있다. 이는 언어의 음운적 요소의 장애에 기인하며, 적절한 교육 환경에서도 나타나며 다른 인지 능력으로는 예측할 수 없다. 이차적으로 독해력 저하 및 읽기 기회의 감소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어휘 발달 및 배경 지식의 증대를 방해할 수 있다."[132] 2013년에 개정된 미국 정신 의학회의 진단 기준(DSM5)에서는 제한성 학습 장애 중 읽기에 한정된 증상을 보이는 유형의 대체 용어로 dyslexia(난독증)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였다. 발달성 난독증의 경우, 읽기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는 데 전혀 문제가 없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131] 반대로, 읽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쓰기가 어려운 경우는 있기 때문에, 쓰기 문제는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며, 일본에서는 '''발달성 읽고 쓰기 장애'''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131]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추정되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유전적 측면과 환경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136]

난독증은 다른 학습 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동반 이환의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4] 관련 장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장애설명
쓰기 장애쓰기 또는 타이핑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때로는 눈-손 협응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매듭 묶기 또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방향/순서 지향적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도 있다.[25] 난독증의 경우, 쓰기 장애는 문자 쓰기 자동화 손상, 조직 및 정교화의 어려움, 시각적 단어 형성 손상으로 인해 다인자적일 수 있으며, 이는 철자를 위해 필요한 단어의 시각적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주의력 유지, 과잉 행동 또는 충동적인 행동에 문제가 있는 장애.[26] 난독증과 ADHD는 흔히 함께 나타난다.[11][27][28] 난독증 환자의 약 15%[9] (또는 12~24%[29])가 ADHD를 가지고 있으며, ADHD 환자의 최대 35%가 난독증을 가지고 있다.[9]
청각 처리 장애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청취 장애.[30][31] 청각 기억 및 청각 순서와 관련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많은 난독증 환자는 청각 처리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자체 표의 문자 단서를 개발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청각 처리 기술이 난독증의 주요 결함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32][33]
발달성 협응 장애균형, 미세 운동 제어 및 운동 감각 협응과 관련된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신경학적 상태. 말소리 사용, 단기 기억 및 조직에 문제가 있다.[34]



환자의 문제가 아닌 요구에 맞춘 교육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난독증으로 인한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133][134] 시력을 대상으로 한 치료는 효과가 없다.[135]

난독증은 학습 장애 중 가장 흔한 장애이며, 세계 모든 지역에서 확인된다.[136][137] 인구의 3-7% 정도에서 나타나지만,[136][138] 그 증상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20% 정도이다.[139] 남성이 여성보다 난독증 진단을 받는 비율이 높지만,[136] 실제로는 남녀에게 동등하게 나타난다고 한다.[137] 일부 사람들은 난독증을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가진, 다른 학습 과정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40][141]

2. 2. 후천성 난독증

난독증은 발달성 난독증과 후천성 난독증으로 나뉜다.[16] 후천성 난독증은 외상성 뇌 손상이나 뇌졸중과 같은 신경학적 손상 이후에 발생한다. 후천성 난독증 환자는 발달성 난독증의 일부 징후 또는 증상을 보이지만, 다른 평가 전략과 치료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17] ''순수 알렉시아''는 ''인식 불능 알렉시아'' 또는 ''순수 단어 맹''이라고도 하며, "말초 난독증" 그룹을 구성하는 알렉시아의 한 형태이다.[18]

3. 원인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같은 신경 영상 기술은 읽기 어려움을 겪는 아동의 뇌에서 기능적 및 구조적 차이를 보여주었다.[37]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은 하전두회, 하두정소엽, 중간 및 복측 측두 피질 등 읽기와 관련된 뇌 좌반구 일부 영역에서 활성이 덜 나타난다.[32]

국제 난독증 협회(en|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는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 장애이다. 그 특징은 정확하고/또는 유창한 단어 인식의 어려움, 철자 및 문자 기호의 음성화가 서투른 점에 있다. 이는 언어의 음운적 요소의 장애에 기인하며, 적절한 교육 환경에서도 나타나며 다른 인지 능력으로는 예측할 수 없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몇몇 가설이 추정되고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유전적 측면과 환경 요소가 있다고 여겨진다.[136]

3. 1. 유전적 요인

난독증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난독증의 잠재적 유전적 원인에 대한 연구는 난독증 환자의 사후 부검을 통한 뇌 검사에서 시작되었다.[36] 뇌의 언어 중추에서 관찰된 해부학적 차이점에는 뇌피질의 미세한 기형인 이소증과 드물게는 혈관 미세 기형, 그리고 비정상적으로 작은 뇌회인 소뇌회가 있다.[43] 이러한 기형은 임신 6개월 전이나 동안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피질 발달로 인해 유발되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4] 난독증 환자에게서 언어와 관련 없는 대뇌 및 피질하 뇌 구조에서도 비정상적인 세포 형성이 보고되었다.[45]

DCDC2[46] 및 KIAA0319[47](6번 염색체)와 DYX1C1 (15번 염색체)를 포함하여 여러 유전자가 난독증과 관련되어 있다.[48] 부모가 난독증인 경우, 유전으로 인해 자녀가 난독증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구에 따르면, 난독증을 가진 부모의 자녀 사이에서 난독증의 유병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난독증이 중간에서 강한 유전성을 가짐을 나타낸다.[147]

스웨덴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는 난독증이지만, 그의 장녀 빅토리아 왕세녀와 장남 칼 필립 왕자도 같은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1997년 실비아 왕비가 TV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작가 존 어빙이나 금융가 Charles M. Schwab|찰스 M. 슈와브영어, NPO 법인 에지의 후지토 에이코는 자녀가 난독증으로 진단된 후, 자신도 그렇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 프로 복서 고 무하마드 알리 또한 선천적으로 난독증을 앓고 있었으며, 알리의 딸 중 한 명인 미야 알리도 같은 장애가 있다.[148][149]

3. 2. 뇌 기능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같은 신경 영상 기술은 읽기 어려움을 겪는 아동의 뇌에서 기능적 및 구조적 차이를 보여주었다.[37]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은 하전두회, 하두정소엽, 중간 및 복측 측두 피질 등 읽기와 관련된 뇌 좌반구 일부 영역에서 활성이 덜 나타난다.[32] 지난 10년 동안 PET를 이용한 뇌 활성 연구는 언어의 신경학적 기초에 대한 이해를 크게 발전시켰다. 시각적 어휘와 청각적 언어 단기 기억 구성 요소에 대한 신경학적 기초가 제안되었으며,[38] 발달성 난독증의 관찰된 신경학적 발현이 구조적이라기보다는 기능적임을 시사한다.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의 fMRI는 읽기에서 소뇌와 대뇌 피질뿐만 아니라 다른 뇌 구조의 상호 작용 역할도 보여준다.[39][40]

아래마루엽 – 위쪽 시점 애니메이션


난독증의 소뇌 이론은 소뇌 조절 근육 운동의 손상이 혀와 얼굴 근육에 의한 단어 형성에 영향을 미쳐 난독증이 있는 일부 사람들이 겪는 유창성 문제를 일으킨다고 제안한다. 소뇌는 읽기와 같은 일부 과제의 자동화에도 관여한다.[41] 난독증이 있는 일부 아동이 운동 과제 및 균형 장애를 겪는다는 사실은 읽기 어려움에서 소뇌의 역할과 일치할 수 있지만, 통제된 연구에서는 소뇌 이론이 뒷받침되지 않았다.[42]

일반인은 뇌내 정보를 통합하는 영역에서 문자를 자동 처리하지만,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이 문자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통상과는 다른 뇌 기능을 보인다.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5000년 정도 전부터이며, 뇌에는 문자의 읽고 쓰기를 수행하는 중추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대체 기능을 사용하여 문자의 읽고 쓰기를 한다.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문자를 읽을 수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과는 다른 뇌 영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원활한 문자의 읽고 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어 난독증에서는 사용되는 문자의 종류(병음 또는 한자)를 고려해야 한다. 한자 또는 병음 문자를 읽을 때, 아래 전두회, 중간 측두회, 아래 측두회, 아래 두정 소엽 및 위 두정 소엽, 그리고 외선조체 영역을 포함하는 공통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 그러나 한자와 비교하여 병음을 읽을 때는 단일 언어 사용자 양측의 아래 두정 피질, 설전부, 그리고 전중 측두회의 활성화가 높아진다. 한자를 읽을 때는 왼쪽 방추상회, 양측 설상골, 후중 측두회, 오른쪽 아래 전두회, 양측 위 전두회가 더 활성화된다.[156]

3. 3. 인지 처리

난독증 발현에는 여러 인지 처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음운 인식
  • 시각적 인지
  • 자동화


일반적으로 뇌는 정보를 통합하는 영역에서 문자를 자동 처리하지만,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문자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뇌 영역을 사용한다.

4. 증상

난독증의 특징도 참조

유아기에는 언어 지연 및 음운 인식 부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난독증의 후기 진단과 관련이 있다.[9] 흔히 거울 글씨를 쓰거나 글자나 단어를 거꾸로 읽는 것이 난독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오해가 있지만, 이러한 행동은 많은 아이들이 읽고 쓰는 법을 배울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난독증의 특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9][9]

학령기에는 운율이 있는 단어를 식별하거나 생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단어의 음절 수를 세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음운 인식 능력의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20] 또한 단어를 개별 소리로 분할하거나(예: "cat"에서 'k', 'a', 't'의 세 소리를 소리 내는 것) 소리를 혼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이는 음소 인식 감소를 나타낸다.[21]

단어 검색 또는 사물 이름 지정의 어려움도 난독증과 관련이 있다.[22] 난독증이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맞춤법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때때로 ''난서법'' 또는 난문자증이라고 불리며, 철자법 코딩 기술과 관련이 있다.[9]

이러한 문제는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이야기 요약, 암기, 소리 내어 읽기 또는 외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난독증이 있는 성인은 종종 이해력 있게 읽을 수 있지만, 학습 장애가 없는 사람들보다 더 느리게 읽는 경향이 있으며, 맞춤법 시험이나 넌센스 단어 읽기에서 더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음운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척도이다.[23]

뇌량의 모습. 그림 상단에 전두엽 부분이 있다.


대부분 오른손잡이의 경우, 뇌의 좌반구가 언어 처리에 더 특화되어 있다.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 연구는 난독증 환자에게서 이러한 특성화가 덜 두드러지거나 나타나지 않음을 시사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난독증이 좌우 반구를 연결하는 신경 섬유 묶음인 뇌량의 해부학적 차이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57]

확산 텐서 MRI를 통한 데이터는 읽기 및 언어와 관련된 영역의 연결성 또는 회백질 밀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왼쪽 아래 이마이랑은 난독증 환자에게서 음운 처리의 차이를 보였다.[57] 신경생리학적 및 영상 절차는 난독증 환자의 표현형 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어 난독증 관련 유전자의 영향을 식별한다.[58]

국제 난독증 협회(en|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는 난독증을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 장애"로 정의하며,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식의 어려움, 철자 및 문자 해독 능력 부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는 언어의 음운적 요소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적절한 교육 환경에서도 나타나고 다른 인지 능력과 관련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독해력 저하 및 읽기 경험 부족으로 인해 어휘력 및 배경 지식 습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32]

2013년 미국 정신 의학회의 진단 기준(DSM5)에서는 제한성 학습 장애 중 읽기에 특화된 증상을 보이는 유형의 대체 용어로 dyslexia(난독증)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발달성 난독증의 경우, 읽기는 어렵지만 쓰기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는 보고되지 않았다.[131] 반면 읽기는 문제가 없지만 쓰기가 어려운 경우는 존재하므로, 쓰기 문제는 난독증의 필수적인 증상으로 간주되며, 일본에서는 '발달성 읽고 쓰기 장애'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131]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6] 환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 방법을 통해[133] 어려움을 줄일 수 있으며,[134] 시력 교정 치료는 효과가 없다.[135]

난독증은 가장 흔한 학습 장애로,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며,[136][137] 인구의 3-7% 정도에서 나타나지만,[136][138] 실제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20% 정도이다.[139] 남성의 진단율이 더 높지만,[136] 실제로는 남녀에게 비슷한 비율로 나타난다.[137] 일부에서는 난독증을 장단점을 모두 가진 다른 학습 방식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40][141]

문자 인식은 문자나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에 연결하여 분석하는 "음운 처리"(주로 음소 문자)와 단어, 문장 자체에서 직접 의미를 이해하는 "정자법적 처리"(표의 문자 포함)의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난독증은 이러한 다양한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난독증 아동의 증상은 단순히 "전혀 문자를 읽고 쓸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양하며, 아동기 초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난독증은 남자아이(8.4%)에게서 여자아이(2.3%)보다 더 흔하게 나타난다.[143]

정확하고 유창하게 읽고 쓰는 능력은 난독증의 주요 증상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다.[144]

구분정확성유창성
읽기문자를 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다.[144]천천히 더듬거리며 읽거나, 부적절하게 멈추거나, 같은 부분을 반복해서 읽는 증상이 나타난다.[145]
쓰기의미나 개념, 음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과정의 장애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다.[145]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데 시간이 걸려, 일정 시간에 쓸 수 있는 문자 수가 적어진다.[146]


4. 1. 읽기의 어려움

읽기에는 "음독"과 "독해"의 두 가지 과정이 있다. 발달성 난독증에서의 읽기 장애는 문자를 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에 있다.[144] 중증의 경우, 히라가나 한 글자의 음독 습득에 큰 어려움을 보인다.[144] 탁음이나 반탁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거나, 장음, 요음, 촉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144] 단어 전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어도, 한 글자를 하나의 음으로 변환하는 것이 충분히 습득되지 않아 단어는 읽을 수 있지만, 한 글자에서 오류가 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44] 또한, 문장 끝부분 등 가나 부분에서 읽기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144] (예: "している" → "した"). 한자 음독에서는 "모르겠다", "알지 못한다"는 반응이 많다.[144] 또한, 단어에 포함된 문자로부터 추측하는 듯한 반응(예: "文字" → "さくぶん"), 의미적 오류(예: "遠足" → "さんぽ"), 형태적으로 유사한 문자에 대한 읽기 오류(예: "人口" → "いりぐち")가 나타난다.[144] 단어를 부분적으로 소리 내어 읽거나, 개별 한자 읽기는 옳지만, 단어 전체로는 잘못 읽는 경우도 있다.[144]

4. 2. 쓰기의 어려움

발달성 난독증에서의 쓰기 장애는 의미나 개념, 음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과정의 장애이다.[145] 발달성 협응 운동 장애나 상지의 기능 저하, 주의력 저하 등이 원인으로 글씨가 지저분하거나 틀 안에 쓸 수 없는 문제는 포함되지 않는다.[145]

  • '''정확성''': 중증의 경우, 히라가나가타카나 1문자씩의 습득에 어려움이 보인다.[145] 탁음이나 반탁음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나, 장음, 요음, 촉음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145] 한자 쓰기에서는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이며,[145] 쓴 경우에는 형태적인 오류가 많다.[145] 문장에서는 히라가나가 다용되는 경우도 많다.[146]
  • '''유창성''': 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일정 시간에 쓸 수 있는 문자 수는 적어진다.[146]

4. 3. 기타 증상

난독증은 음운 인식, 단어 검색, 작업 기억 등 다양한 인지 영역에서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20][21][22]

  • 음운 인식의 어려움: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를 구별하고 조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운율이 있는 단어를 찾거나, 단어의 음절 수를 세거나, 단어를 개별 소리로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0][21]
  • 단어 검색의 어려움: 적절한 단어를 떠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2]
  • 작업 기억의 어려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야기 요약, 암기, 소리 내어 읽기, 외국어 학습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3]

5. 진단

난독증은 정확하고 유창하게 단어를 읽고 철자를 쓰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습 장애이다.[64][65] 음운 인식의 어려움, 구어에서 소리를 비효율적이고 부정확하게 처리하는 '음운 처리', 언어적 작업 기억 결함 등이 난독증의 특징으로 나타난다.[66][67]

난독증은 신경 발달 장애이며, 진단 지침에서는 '읽기 장애를 동반한 학습 장애'로 세분화된다.[68][69][70] 지능과는 관련이 없으며, 정서적 문제는 학습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71] 국립 신경 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는 난독증을 "음운 처리(소리의 조작), 철자법 및/또는 빠른 시각-언어 반응의 어려움"으로 정의한다.[1]

영국 난독증 협회는 난독증을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읽기 및 철자법과 관련된 기술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학습 어려움"으로 정의하며, "음운 인식, 언어 기억 및 언어 처리 속도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한다.[72] 국제 난독증 협회(en|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는 난독증을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 장애로,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식의 어려움, 철자 및 문자 기호 해독 능력 부족을 특징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문제는 언어의 음운적 요소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다른 인지 능력과는 관련이 없고 적절한 교육 환경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독해력 저하 및 읽기 기회 감소와 같은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어휘 발달 및 배경 지식 습득을 방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32]

2013년에 개정된 미국 정신 의학회의 진단 기준(DSM5)에서는 제한성 학습 장애 중 읽기에 한정된 증상을 보이는 유형의 대체 용어로 dyslexia(난독증)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였다. 발달성 난독증의 경우, 읽기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는 데 전혀 문제가 없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131] 반대로 읽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쓰기가 어려운 경우는 있기 때문에, 쓰기 문제는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며, 일본에서는 '''발달성 읽고 쓰기 장애'''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131]

난독증은 신경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유전적 측면과 환경적 요소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136]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며,[136][137] 인구의 3-7% 정도에서 나타나지만,[136][138] 실제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20% 정도이다.[139] 남성이 여성보다 진단율이 높지만,[136] 실제로는 남녀에게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7]

문자 인식 과정은 문자와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음운 처리"(음소 문자)와 단어, 문장 자체에서 직접 의미를 이해하는 "정자법적 처리"(표의 문자 포함) 등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난독증은 이러한 다양한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142] 난독증 아동은 단순히 문자를 읽고 쓰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143] 아동기 초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남자아이(8.4%)가 여자아이(2.3%)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143]

난독증의 증상은 정확성과 유창성 측면에서 나타난다.


  • 정확성: 오류 없이 소리 내어 읽거나 쓰기
  • 유창성: 매끄럽고 오류 없이 소리 내어 읽거나 쓰기


대부분 정확성에 문제가 있으면 유창성을 획득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다.[144] 반대로 정확하게 읽고 쓸 수 있게 되어도 유창하게 읽고 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44]
읽기의 어려움

  • 정확성:
  • 읽기는 "음독"과 "독해"의 두 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발달성 난독증은 문자를 소리로 변환하는 과정(de-coding)에 어려움을 보인다.[144]
  • 중증의 경우, 히라가나 한 글자를 소리 내어 읽는 것조차 어려워한다.[144]
  • 탁음, 반탁음, 장음, 요음, 촉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144]
  • 단어 전체를 처리하는 능력이 생기면, 한 글자를 하나의 소리로 변환하는 것이 충분히 습득되지 않아 단어는 읽을 수 있지만 한 글자에서 오류를 보이기도 한다.[144]
  • 문장 끝 부분 등 가나 부분에서 읽기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예: "している" → "した")[144]
  • 한자를 소리 내어 읽을 때는 "모르겠다", "알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144]
  • 단어에 포함된 문자로부터 추측하거나(예: "文字" → "さくぶん"), 의미적으로 틀리거나(예: "遠足" → "さんぽ"), 형태적으로 유사한 문자로 읽는 오류(예: "人口" → "いりぐち")를 보이기도 한다.[144]
  • 단어를 부분적으로 소리 내어 읽거나, 개별 한자는 옳게 읽지만 단어 전체로는 잘못 읽는 경우도 있다.[144]

  • 유창성:
  • 천천히 더듬거리며 읽거나, 부적절하게 멈추거나, 같은 부분을 반복해서 읽는 증상을 보인다.[145]
  • 빨리 읽으면 읽기 오류가 늘어나는 경우도 있다.[145]
  • 매끄럽게 읽지 못하는 것은 독해를 방해한다.[145]

쓰기의 어려움

  • 정확성:
  • 발달성 난독증은 의미나 개념, 소리에 해당하는 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과정(encoding)에 어려움을 보인다.[145]
  • 발달성 협응 운동 장애나 상지 기능 저하, 주의력 저하 등으로 인해 글씨가 지저분하거나 틀 안에 쓰지 못하는 문제는 포함되지 않는다.[145]
  • 중증의 경우, 히라가나가타카나 한 글자씩 쓰는 것조차 어려워한다.[145]
  • 음독과 마찬가지로 탁음, 반탁음, 장음, 요음, 촉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145]
  • 한자를 쓸 때는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인다.[145]
  • 쓴 경우에는 형태적인 오류가 많다.[145]
  • 문장에서는 히라가나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46]

  • 유창성:
  • 문자의 형태를 떠올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일정 시간에 쓸 수 있는 문자 수가 적다.[146]

5. 1. 평가 방법

난독증 평가에는 다학제적 팀 접근 방식이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아동의 부모, 교사, 학교 심리학자, 소아과 의사, 필요에 따라 언어 병리학자(언어 치료사) 및 작업 치료사가 포함된다.[75] 평가 시 검사 결과뿐만 아니라 학교 및 가정 환경에서의 아동 관찰, 부모 면담도 중요하게 고려된다.[77][78]

반응적 중재(RTI) 접근 방식도 고려된다.[79] 이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효과적인 교육에 반응하지 않는 아동을 식별하는 방법이다.[80]

난독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및 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검사가 사용되며,[81] 초기 검사에서 난독증이 의심되는 경우 정밀 진단 평가가 이어진다.[82] 일부 검사는 교사나 컴퓨터로 시행할 수 있지만, 다른 검사는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며 심리학자가 실시한다.[83]

포괄적인 평가는 읽기 학습의 어려움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84]
주요 평가 및 검사

평가 항목설명
일반적인 인지 능력 측정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WISC), 우드콕-존슨 인지 능력 검사(Woodcock–Johnson Tests of Cognitive Abilities), 스탠포드-비네 지능 검사(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s)와 같은 검사를 통해 언어 능력, 비언어적 및 공간적 추론, 작업 기억, 처리 속도 등 다양한 인지 과정을 측정한다.[85]
정신 건강 상태 선별 또는 평가아동 행동 평가 시스템, 강점 및 어려움 설문지(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와 같은 평가 척도 또는 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정서적, 행동적 기능을 평가한다.[86] 밴더빌트 ADHD 진단 평가 척도(Vanderbilt ADHD diagnostic rating scale), 아동 불안 관련 정서 장애 검사(Screen for Child Anxiety Related Emotional Disorders (SCARED))와 같이 정신과 진단과 관련된 검사도 사용된다.[86]
학업 성취 및 기술 검토아이오와 교육 개발 검사(Iowa Tests of Educational Development)와 같은 그룹 검사나 광범위한 성취 검사(Wide Range Achievement Test), 우드콕-존슨 인지 능력 검사(Woodcock–Johnson) (성취 검사 세트 포함)와 같은 개별 검사를 통해 학업 성취도를 평가한다.[90][91][92]



선별 검사는 난독증 징후를 보이는 어린이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생물학적 부모와 형제자매에게 난독증 가족력이 있는 경우, 미취학 아동에게 유용하다.[93] 초등학교에서는 교사가 음성학 교육 과정을 통해 학생의 진척 상황을 관찰하고, 영국 학교에서 1학년 동안 사용하는 ''음성학 선별 검사''와 같은 검사로 보완할 수 있다.[94][95][96]

의료 환경에서는 발달 장애 선별을 위해 간략한 발달 이력 조사, 예비 심리 사회적 발달 검사, 학교 보고서를 활용한다.[97]

5. 2. 진단 기준

DSM-5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서는 '특정 학습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읽기 장애'를 포함하며, 난독증을 대체 용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32] ICD-11 (국제질병분류 제11판)에서는 '발달성 학습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읽기 장애'를 포함한다.[68][69][70]

6. 관리

난독증 중재를 통해 보상 전략, 치료 및 교육 지원을 받으면 난독증 환자는 읽고 쓰는 법을 배울 수 있다.[192] 장애 증상 관리나 은폐에 유용한 기술과 기술적 도움이 존재한다.[193]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면 문해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194]

알파벳 쓰기 체계에서 난독증 중재의 핵심은 아이가 자소(문자)와 음소(소리)의 관계를 이해하고, 소리가 단어 안에서 어떻게 결합하는지 가르쳐 읽기와 철자를 문자-음성 대응과 연결하는 것이다. 읽기와 철자에 초점을 맞춘 강화 훈련은 구강 음운 훈련만 하는 것보다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195] 조기 개입은 난독증 감소에 효과적이다.[196]

Dyslexie나 OpenDyslexic 같은 특별히 고안된 글꼴이 읽기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197] 난독증이 있는 아이들은 타임스 뉴 로만(Times New Roman)이나 에어리얼(Arial) 같은 일반 글꼴로 된 텍스트를 더 빨리 읽고, 이러한 일반 글꼴을 더 선호한다.[197] 일부 연구에서는 자간을 늘리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한다.[197]

청소년 난독증 환자에게 음악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없다.[198]

6. 1. 교육적 중재

보상 전략, 치료 및 교육 지원을 통해 난독증 환자는 쓰고 읽는 것을 배울 수 있다.[192] 장애의 증상을 관리하거나 숨기는 데 유용한 기술과 기술적 도움이 있다.[193]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로 문자 이해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194]

알파벳 쓰기 체계에 대한 난독증 중재의 근본적인 목적은 아이의 자소(문자)와 음소(소리) 간의 일치를 알게 해주는 것, 그리고 음성이 단어에 섞이는 방식을 가르침으로써 읽기와 철자를 문자-음성 일치와 관련시키는 것이다. 병행하는 강화 훈련은 읽고 철자 대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구강 음운 훈련만 하는 것보다 더 오래갈 수 있다.[195] 조기 개입은 난독증 감소에 효과적이다.[196]

난독증이 있는 아동은 어릴 때부터 단어 분석 및 철자에 대한 특별한 지도를 받아야 한다.[105] 뉴욕 교육 시스템(NYED)은 개인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일 90분 동안 중단 없는 읽기 교육"과 "음소 인식, 파닉스, 어휘력 향상, 읽기 유창성 교육"을 명시하고 있다.[106]

일반적으로 말해서, 유년기에 발견되어 친구와 가족의 지원을 받는 개인의 예후는 긍정적이다.[1]

6. 2. 보조 기술 활용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보조 기술을 활용하여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99] 이러한 기술은 장애의 증상을 관리하거나 숨기는 데 도움을 준다.[99]

  •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읽어주는 소프트웨어로, 문자를 음성으로 바꾸어 이해를 돕는다.[162] 컴퓨터 화면의 텍스트를 인공 음성으로 읽어주고, 읽는 부분을 반전 표시하여 읽기 보조 효과도 있다.[164]
  •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한다.
  • 오디오북: 책 내용을 음성으로 들려주는 오디오북을 활용한다.
  • 난독증용 글꼴: 난독증 환자가 읽기 쉽도록 디자인된 글꼴(예: 디스렉시에(Dyslexie)[167], 오픈디스렉식(OpenDyslexic)[168])을 활용할 수 있다. 영어권에서는 난독증 환자도 읽기 쉬운 글꼴이 개발되었다.[167] 일본어에서는 UD 글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69][170]
  •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특수 글꼴이 타임스 뉴 로만(Times New Roman)이나 에어리얼(Arial)과 같은 일반 글꼴보다 읽기 속도를 높여주지는 않으며, 난독증이 있는 어린이들은 오히려 일반 글꼴을 선호한다.[103] 일부 연구에서는 글자 간격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한다.[103]


정보기술(ICT)을 활용하여 노트 필기나 시험을 돕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163] 스마트폰[165]이나 닌텐도 스위치[166]를 이용한 훈련처럼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장애 아동 및 학생을 위한 교과용 특정 도서 등의 보급 촉진 등에 관한 법률과 일본 저작권법 개정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읽어주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난독증 환자들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171] 합리적 배려의 관점에서 이러한 기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이는 학습 부담을 줄이고 학습 의욕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72]

6. 3. 심리적 지원

난독증 환자는 보상 전략, 치료 및 교육 지원을 통해 읽고 쓰는 법을 배울 수 있다.[98] 이 장애의 증상을 관리하거나 숨기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과 기술 지원이 있다.[99]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면 문해력이 향상될 수 있다.[100]

7. 한국의 상황

한국에서는 난독증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고,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인 실태 조사나 실정 파악도 미흡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난독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난독증 학생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발달 장애 학생에게 시험 시간 연장 등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7. 1. 한국어 난독증의 특징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음절 단위의 언어이기 때문에, 음운 인식보다는 정자법적 처리(단어 전체의 형태를 인식하는 능력)의 어려움이 난독증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글은 표음 문자이지만, 음절 단위로 모아쓰기를 하기 때문에, 시각-공간적인 정보 처리 능력도 난독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5]

8. 사회 문화적 측면

국제 난독증 협회(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는 난독증을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 학습 장애"로 정의하며,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식의 어려움, 철자 및 문자 해독 능력 부족을 특징으로 한다[131]. 이러한 문제는 언어의 음운 요소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적절한 교육 환경에서도 나타나고 다른 인지 능력으로는 예측할 수 없다. 난독증은 독해력 저하, 읽기 기회 감소로 이어져 어휘 발달과 배경 지식 습득을 방해할 수 있다. 미국 정신 의학회의 진단 기준(DSM5)에서는 읽기에 한정된 증상을 보이는 학습 장애 유형의 대체 용어로 난독증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132].

난독증은 학습 장애 중 가장 흔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3-7%에서 나타나지만, 이 중 약 20%가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는다[136][138][139]. 남성이 더 많이 진단받지만, 실제로는 남녀에게 비슷하게 나타난다[136][137]. 일부에서는 난독증을 장단점을 모두 가진 다른 학습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140][141].

8. 1. 낙인과 차별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사회는 종종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난독증에 대한 평가를 내린다. 1980년대 이전에는 난독증이 신경학적 장애가 아니라 교육의 결과로 여겨졌다. 그 결과 사회는 종종 이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오판한다.[100] 직장에서도 난독증 환자에 대한 낙인과 부정적인 태도가 존재하기도 한다.[122] 난독증이 있는 사람의 교육자가 이 질환이 있는 아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훈련을 받지 못하면 학생의 학습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123]

난독증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지 과정과 이 장애에 대한 사회적 낙인 때문에, 난독증이 있는 개인은 종종 자신의 장애에 대처하기 위해 자기 낙인과 완벽주의적인 자기 제시 행동을 사용한다.[125] 완벽주의적인 자기 제시는 개인이 완벽한 이상적인 모습을 제시하고 모든 결점을 숨기려고 시도하는 것이다.[125] 이러한 행동은 정신 건강 문제와 장애에 대한 도움을 거부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125]

대학수학능력시험도 2011년부터는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시험 시간 연장 등의 배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타인에게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이러한 증상 때문에 사회적으로 차별이나 멸시를 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난독증 환자들의 권리를 옹호하는 단체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활동하고 있다.[176][177]

8. 2. 유명인

나구모 아키히코[178], 야나기야 카로쿠[179]처럼 자신이 난독증이라고 공언하며 난독증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부당한 취급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사람들도 많다. 연예인 중에는 밋츠 망그로브도 활자 암기를 할 수 없는 유형의 학습 장애라고 밝혔다. 일본인으로는 나구모 아키히코, 야나기야 카로쿠, 다이가쿠라사 카가미 센세이 등이 있다[188] .

할리우드 스타인 톰 크루즈가 자신을 난독증이라고 공표[180]하면서 이 장애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톰 크루즈 외에도, 키아누 리브스나 존 드 랜시, 아놀드 슈워제네거[181][182] 등도 자신이 난독증임을 밝혔다[183] . 제니퍼 애니스톤도 20대 초반에 난독증으로 진단받았다고 2015년에 공표했다[184] .

올랜도 블룸은 어린 시절 난독증으로 고통받았지만, 성경 낭독 등으로 현재는 개선되고 있다[185] . 또한, 키이라 나이틀리는 녹음된 책으로 학습하거나, 색깔 안경을 쓰고 문자의 글자가 섞여 보이지 않도록 궁리하며 독서하고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도 자신이 난독증 진단을 받았음을 고백했다. 실제로 난독증 때문에 학교 졸업이 2년 늦어졌고,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나 학교에 가는 것이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현재도 각본 등을 읽는 데 다른 사람의 두 배의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186] .

2008년 및 2014-2015년, 2017-2018년 F1 월드 챔피언십을 제패한 F1 드라이버인 루이스 해밀턴은 아이들의 질문을 받은 독일 신문 Stuttgarter Zeitung|슈투트가르터 차이퉁de과의 인터뷰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질문을 받고 "나는 난독증이라 힘들었다"고 말했다.

배우 우피 골드버그는 글자를 좌우 반대로 써버리는 증상을 가진 난독증 환자이다. 빌리 부트 캠프로 잘 알려진 빌리 대장인 빌리 블랭크스도 읽고 쓰는 것이 어려운 난독증임을 밝혔다[187] .

역사 속 위인 중에는 토머스 에디슨,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조지 패튼, 제2대 아이버 백작루퍼트 기네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넬슨 록펠러, 리콴유 등이 난독증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yslexia Information Page https://www.ninds.ni[...]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18-11-02
[2] 논문 Perspectives on dyslexia 2006-11
[3] 웹사이트 What are the symptoms of reading disorders? https://www.nichd.n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6-12-01
[4] 논문 Developmental dyslexia 2012-05
[5] 웹사이트 What are reading disorders? https://www.nichd.n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6-12-01
[6] 논문 The Co-occurrence of Reading Disorder and ADHD: Epidemiology, Treatment, Psychosocial Impact, and Economic Burden 2012-11
[7] 웹사이트 How are reading disorders diagnosed? http://www.nichd.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3-15
[8] 웹사이트 What are common treatments for reading disorders? http://www.nichd.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3-15
[9] 논문 Learning disabilities, dyslexia, and vision. 2011-03
[10] 서적 Neurological Rehabilita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1] 서적 Adult ADHD diagnostic assessment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
[12]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are affected by/at risk for reading disorders? http://www.nichd.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3-15
[13] 논문 Explaining the sex difference in dyslexia https://doi.org/10.1[...]
[14] 잡지 The Unappreciated Benefits of Dyslexia https://www.wired.co[...] 2011-09
[15] 웹사이트 The Advantages of Dyslexia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14-08
[16] 서적 dyslexia, n https://oed.com/view[...] Oxford University Press
[17] 논문 Connectionist neuropsychology: uncovering ultimate causes of acquired dyslexia 2014-01-19
[18] 논문 Acquired dyslexia
[19] 서적 50 Great Myths of Popular Psychology: Shattering Widespread Misconceptions about Human Behavio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15
[20] 웹사이트 Dyslexia and Related Disorders http://idaalabama.or[...] 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2003-01
[21] 서적 Multilingualism, Literacy and Dyslex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서적 Handbook of Learning Disabilities Guilford Press
[23] 논문 Procedural learning is impaired in dyslexia: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of serial reaction time studies 2013-10
[24] 논문 Dyslexia, dysgraphia, procedural learning and the cerebellum 2009-09
[25] 서적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01-02
[26] 웹사이트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ttp://www.nimh.nih.[...] 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03
[27] 서적 Psychology Around Us https://books.google[...] RR Donnelley 2011
[28] 논문 Comorbidity of ADHD and Dyslexia http://pdfserve.info[...]
[29] 서적 The Medical Basis of Psychia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0] 서적 Neuropsycholinguistic Perspectives on Dyslexia and Other Learning Disabilities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31]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2011-07
[32] 논문 Brain mechanisms and reading remediation: more questions than answers. 2014-01
[33] 논문 relationship of phonological ability, speech perception, and auditory perception in adults with dyslexia 2014
[34] 서적 Working Memory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Psychology Press
[35] 서적 The SAGE Handbook of Dyslex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6] 논문 Dyslexia: the Role of Vision and Visual Attention
[3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Brain and Language https://books.google[...] Elsevier
[38] 논문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first 20 years of Pet and fMRI studies of heard Speech, Spoken Language and Reading 2012-08-16
[39] 논문 Neuroimaging essentials in essential tremor: a systematic review. 2014-05
[40] 논문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handedness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014-02
[41] 서적 Reading development and difficulties https://books.google[...] TJ International 2015-03-21
[42] 서적 Psychiatric and Behavioral Disorders in Israel: From Epidemiology to Mental health https://books.google[...] Green Publishing 2015-03-21
[43] 서적 The Handbook of the Neuropsycholog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4] 논문 Neurobiology and neurogenetics of dyslexia 2010-11
[45] 논문 The molecular genetics and neurobiology of developmental dyslexia as model of a complex phenotype 2014-09
[46] 서적 Current Issues in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7] 논문 The chromosome 6p22 haplotype associated with dyslexia reduces the expression of KIAA0319, a novel gene involved in neuronal migration 2006-05-15
[48] 서적 The Dyslexic Brain: New Pathways in Neuroscience Discove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9] 논문 Parental Education Moderates Genetic Influences on Reading Disability 2008-11
[50] 논문 Teacher Quality Moderates the Genetic Effects on Early Reading
[51] 논문 Gene × Environment Interaction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9-01
[52] 논문 Epigenetic regulation of genes in learning and memory 2010-09
[53] 논문 Approach to epigenetic analysis in language disorders 2011-12
[54] 서적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unimpaired and dyslexic reading: Behavioral and functional anatomical observations in readers of regular and irregular orthographies. Chapter 12 in Reading and Dyslexia in Different Orthographi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55] 서적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Guilford Publications
[56] 논문 Annual Research Review: The nature and classification of reading disorders – a commentary on proposals for DSM-5 2012-05-01
[57] 서적 Pediatric Neurology Part I 2013
[58] 논문 Genetics of dyslexia: the evolving landscape 2007
[59] 논문 Nonword reading: comparing dual-route cascaded and connectionist dual-process models with human data 2012-10
[60] 서적 Cognitive Psychology 6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1] 서적 Cognitive Psychology 6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2] 서적 Reading and Spelling: Development and Disord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3] 논문 Prevalence and Reliability of Phonological, Surface, and Mixed Profiles in Dyslexia: A Review of Studies Conducted in Languages Varying in Orthographic Depth https://hal.archives[...] 2011
[64] 논문 Understanding the Comorbidity Between Dyslexia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12
[65] 논문 From single to multiple deficit models of developmental disorders 2006-09
[66] 논문 Developmental Dyslexia 2015-03-28
[67] 서적 Dyslexia: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6A03.0 Developmental learning disorder with impairment in reading https://icd.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9]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70] 논문 Dyslexia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and What Makes It Different from a Chess Disorder 2018-10-19
[71]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9
[72] 서적 Assessment of Learners with Dyslexic-Type Difficulties https://books.google[...] SAGE 2017-01-09
[73] 학술지 Defin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reading. 1994
[74] 학술지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emic Perception in 4-Year-Old Children With Delayed Expressive Phonology Skills 2003-11-01
[75] 서적 Identifying, Assessing, and Treating Dyslexia at School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6] 서적 Essentials of Dyslexia Assessment and Intervention John Wiley & Sons
[77] 서적 The Dyslexia Assessment Bloomsbury
[78] 서적 Developmental Assessment of the School-Aged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Clinician's Guide Jessica Kingsley
[79] 서적 Handbook of Response to Interventi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Multi-Tiered Systems of Support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80] 학술지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s for Dyslexia: A Contemporary View
[81] 웹사이트 Tests for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ies http://dyslexiahelp.[...] University of Michigan 2015-03-15
[82] 서적 Introduction to Dyslex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1-09
[83] 웹사이트 Screening and assessment http://www.bdadyslex[...] 2015-03-11
[84] 학술지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lexia 2010-10
[85] 서적 Handbook of Intelligence: Evolutionary Theory, Historical Perspective, and Current Concep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1-10
[86] 학술지 Ten-Year Review of Rating Scales. V: Scales Assess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ttps://jaacap.org/a[...] 2003-09-01
[87] 학술지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 and teacher version in children aged 4–7 2015-02-20
[88] 학술지 The Clinician's Guide to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89] 학술지 The Screen for Child Anxiety Related Emotional Disorders (SCARED): scale construction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90] 서적 The Iowa tests of educational development: how to use the test results; a manual for teachers and counselors https://books.google[...]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53
[91] 학술지 Test Review: Wilkinson, G. S., & Robertson, G. J. (2006). Wide Range Achievement Test—Fourth Edition.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WRAT4 Introductory Kit (includes manual, 25 test/response forms [blue and green], and accompanying test materials): $243.00 2008-10-01
[92] 서적 Child Neuropsych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for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
[93] 서적 Identifying, Assessing, and Treating Dyslexia at School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94] 서적 Dyslexia: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5] 간행물 Letters and Soun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High Quality Phonics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United Kingdom)
[96] 웹사이트 Phonics screening check: 2019 materials https://www.gov.uk/g[...]
[97] 서적 Developmental assessment of the school-aged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clinician's guid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98] 학술지 TVA based assessment of visual attention functions in developmental dyslexia 2014-10
[99] 서적 Supporting Dyslexic Adult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Workpla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4-10
[100] 학술지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lexia 2010-10
[101] 서적 Blackwell Handbook of Languag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lackwell 2017-01-09
[102] 학술지 Dyslexia and early intervention: what did we learn from the Dutch Dyslexia Programme? 2013-11-01
[103] 학술지 Dyslexie font does not benefit reading in children with or without dyslexia 2018-04
[104] 학술지 Music education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yslexia https://researchonli[...] 2012-08-15
[105] 학술지 Dyslexia: what do paediatricians need to know? 2010
[106] 웹사이트 Response to Intervention Guidance – Minimum Requirements of a Response to Intervention Program (RtI) – Instruction Matched to Student Need: Special Education : P12 : NYSED https://web.archive.[...] 2019-01-10
[107] 서적 Psychiatry, 2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1-29
[108] 논문 From temporal processing to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mind the gap 2013
[109] 논문 The visual magnocellular-dorsal dysfunction in Chines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impedes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2014-11
[110] 서적 Current Issues in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11] 서적 Brain, Mind,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Childhood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2012-01-16
[112] 논문 Phonological processing deficits as a universal model for dyslexia: evidence from different orthographies
[113] 논문 Über die Wortblindheit, ein Stammeln im Sprechen und Schreiben, ein Fehl im Lesen https://books.google[...]
[114] 간행물 Medicinisches Correspondenzblatt des Württembergischen Ärztlichen Landesvereins Correspondence Sheet of the Württemberg Medical Association
[115]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Merriam-Webster
[116] 논문 Über Dyslexie
[117] 서적 Annual of the Universal Medical Sciences and Analytical Index: A Yearly Report of the Progress of the General Sanitary Sciences Throughout the World https://books.google[...] F. A. Davis Company
[118]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SAGE 2014
[119] 논문 Medial efferent mechanisms in children with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2014-10
[120] 논문 Understanding Dyslexia in Children through Human Development Theories 2012
[121] 논문 Dyslexia: The evolution of a scientific concept 2009
[122] 논문 Factors influencing work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2014
[123] 논문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yslexia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Using Narrative Synthesis 2014-11-01
[124] 웹사이트 The Battle over Dyslexia http://www.theguardi[...] 2020-09-17
[125] 논문 Perfectionism, self-stigma, and coping in students with dyslexia: The central rol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2021-02
[126]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Dyslex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7] 논문 Functional neuroanatomy of developmental dyslexia; the role of orthographic depth 2014-05
[128] 웹사이트 Reading Difficulty and Disability https://web.archive.[...] NIH 2019-01-10
[129] 서적 読みたいのに読めない君へ、届けマルチメディア DAISY 日本図書館協会 2018-09-30
[130]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31] 서적 言語発達障害学
[132] 웹사이트 ディスレクシア | 子どもの病気 https://www.ncchd.go[...] 国立成育医療研究センター
[133] 웹사이트 NINDS Dyslexia Information Page http://www.ninds.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9-11
[134] 웹사이트 What are common treatments for reading disorders? http://www.nichd.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3-15
[135] 논문 Learning disabilities, dyslexia, and vision. 2011-03
[136] 논문 Developmental dyslexia. http://pediatrics.uc[...] 2012-05-26
[137] 서적 Neurological Rehabilita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38] 서적 Adult ADHD diagnostic assessment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
[139]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are affected by/at risk for reading disorders? http://www.nichd.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3-15
[140] 웹사이트 The Unappreciated Benefits of Dyslexia http://www.wired.com[...] Wired 2011-09
[141] 웹사이트 The Advantages of Dyslexia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14-08-00
[142] 논문 Altered brain activity for phonological manipulation in dyslexic Japanese children 2013-00-00
[143] 논문 The prevalence of dyslexia in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chinese literacy assessment in shantou, china 2020-00-00
[144] 서적 言語発達障害学 第3版
[145] 서적 言語発達障害学 第3版
[146] 서적 言語発達障害学 第3版
[147] 논문 The intergenerational multiple deficit model and the case of dyslexia http://journal.front[...] 2014-06-02
[148] 웹사이트 10 Olympian athletes with dyslexia https://www.dyslexia[...] 2021-08-11
[149] 웹사이트 Muhammad Ali - Boxer https://athome.readi[...]
[150] 서적 Psychiatry, 2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1-29
[151] 웹사이트 病の起源 第4集 読字障害〜文字が生んだ病〜 http://www.nhk.or.jp[...]
[152] 웹사이트 全米教育進行状況調査 http://nces.ed.gov/n[...]
[153] 웹사이트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http://www.nap.edu/o[...] 全米研究評議会
[154] 서적 Reading and Dyslexia in Different Orthographi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06-10
[155] 논문 Are phonological skills as crucial for literacy acquisition in Japanese as in English as well as in accounting for developmental dyslexia in English and in Japanese? 2023-00-00
[156] 논문 Testing for dual brain processing routes in reading: a direct contrast of Chinese character and pinyin reading using fMRI 2002-00-00
[157] 논문 Dyslexia in Chinese: Clues from cognitive neuropsychology 2003-00-00
[158] 서적 読みのアセスメント・指導パッケージ:多層指導モデルMIM つまずきのある読みを流暢な読みへ Gakken 2010-00-00
[159] 웹사이트 日本人の英語ディスレクシア(読み書き障害)|ディスレクシアの英語学習 - ディスレクシア(読み書き障害)の触読版学習|触るグリフ https://sawaruglyph.[...] 2020-12-10
[160] 논문 英語のみのディスレクシアを呈した一例 https://doi.org/10.5[...] 東北神経心理懇話会 2019-00-00
[161] 웹사이트 映画 DXな日々 美んちゃんの場合 http://dxnahibi.com/
[162] 웹사이트 デイジー http://www.dinf.ne.j[...]
[163] 웹사이트 学習に困難のある子どもの ICT 活用実践例 https://www.microsof[...]
[164] 문서 text to speech
[165] 웹사이트 ディスレクシア音読指導アプリ 単音直音統合版 https://apps.apple.c[...]
[166] 웹사이트 読むトレGO https://www.yomutore[...]
[167] 웹사이트 Dyslexie font .com https://www.dyslexie[...]
[168] 웹사이트 OpenDyslexic https://opendyslexic[...]
[169] 웹사이트 エビデンス(科学的根拠) 公共団体向け UDフォントプラン フォント製品 製品/ソリューション https://www.morisawa[...]
[170] 웹사이트 認知されにくい読み書き障害 UDフォントを使うと https://www.sankei.c[...] 2019-04-24
[171] 논문 ディスレクシアとテクノロジー : 英国の教育における現状と課題 https://rikkyo.repo.[...] 立教日本語教育実践学会 2016-03-00
[172] 논문 発達性学習症 2021-00-00
[173] 논문 Can very early music interventions promote at‐risk infants’ development? 2018-00-00
[174] 논문 Infant mismatch responses to speech-sound changes predict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ers at risk for dyslexia 2024-00-00
[175] 문서 私のディスレクシア 東京書籍
[176] 웹사이트 NPO法人エッジ http://www.npo-edge.[...]
[177] 웹사이트 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IDA) http://www.interdys.[...]
[178] 서적 僕は、字が読めない。 読字障害(ディスレクシア)と戦いつづけた南雲明彦の24年 集英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
[179] 뉴스 「発達障害」の過去告白「お陰で今の自分」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180] 웹사이트 Tom Cruise:My Struggle to Read http://www.people.co[...] People 2003-07-21
[181] 웹사이트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4-08-04
[182] 웹사이트 Arnold Schwarzenegger Shares How He Manages His Dyslexia https://www.mensheal[...] 2024-08-04
[183] 웹사이트 スピルバーグ監督「謎が解けた」! 学習障害「ディスレクシア」を告白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2-10-04
[184] 웹사이트 ジェニファー・アニストン、失読症を激白! https://web.archive.[...] Yahoo! 2015-01-22
[185] Youtube Orlando Bloom offers advice to kids who have dyslexia http://www.youtube.c[...]
[186] 뉴스 スピルバーグ、学習障害を告白 診断は5年前…子ども時代は理解がなく、いじめも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2-09-26
[187] 웹사이트 https://sp.mbga.jp/_[...]
[188] 웹사이트 「失読症で文字が読めない...」ハンデを乗り越え”人間国宝”を目指す https://www.tv-tokyo[...] 2018-10-02
[189] 저널 Special Font For Dyslexia? http://www.ilo.gw.ut[...] 2017-10-16
[19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inds.nih[...] 2015-04-29
[191] 웹사이트 난독증 http://100.naver.com[...]
[192] 저널 TVA based assessment of visual attention functions in developmental dyslexia 2014-10
[193] 서적 Supporting Dyslexic Adult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Workpla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4-10
[194] 저널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lexia 2010-10
[195] 서적 Blackwell Handbook of Languag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lackwell
[196] 저널 Dyslexia and early intervention: what did we learn from the Dutch Dyslexia Programme? 2013-11-01
[197] 저널 Dyslexie font does not benefit reading in children with or without dyslexia 2018-04
[198] 저널 Music education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yslexia https://researchonli[...] 2012-08-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