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레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레강은 독일 중부의 강으로, 피히텔 산맥에서 발원하여 엘베강으로 합류하며 총 길이 413km이다.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며, 슬라브어 이름도 존재한다. 바이에른주, 튀링겐주, 작센안할트주를 지나며, 호프, 예나, 할레 등의 주요 도시를 통과한다. 슈바르차강, 일름강, 운슈루트강 등이 지류이며, 브라이로흐탈 댐 등 인공 호수가 있다. 잘레강 유역은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며, 자전거길과 고성들이 있어 관광 명소로도 활용된다. 과거 엘베/잘레 항로 개수 공사로 항로가 단축되었으며, 잘레 운하 건설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링겐주의 강 - 베라강
베라강은 "초원의 강"을 의미하는 고대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앙골라와 콩고민주공화국을 가로지르며 흐르고, 베저슈타인 기념비와 베라탈라트베크 자전거 도로가 있으며, 알레강, 아우구스티너강 등의 지류를 포함하고 아이제나흐, 바트잘충겐 등의 도시를 지나간다. - 작센안할트주의 강 - 하펠강
하펠강은 독일 북동부를 흐르는 325km 길이의 강으로, 메클렌부르크 호반 지대에서 발원하여 엘베강으로 합류하며 베를린과 포츠담을 지나고, 역사적으로 수운 교역 중심지이자 독일 분단 시기 동서 베를린 경계였으며 현재는 독일 주요 내륙 수로이자 수상 스포츠와 관광 명소를 제공한다. - 작센안할트주의 강 - 엘베강
엘베강은 체코에서 발원하여 독일을 거쳐 북해로 흘러드는 유럽의 주요 강으로, 과거 로마 제국과 중세 유럽의 경계이자 한자동맹의 무역로로 활용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과 소련군이 만나는 장소였으나, 현재는 산업 폐수로 오염되었고 2002년 대홍수로 피해를 입었다. - 바이에른주의 강 - 다뉴브강
다뉴브강은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여러 나라의 수도를 지나며 수운 및 문화적 경계 역할을 하고,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역사적 유산을 지닌 국제적인 강이다. - 바이에른주의 강 - 인강
인강은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오스트리아, 독일을 거쳐 다뉴브강으로 합류하는 강으로, 엥가딘 지역에서 시작하여 여러 호수와 도시를 지나며,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수력 발전소가 있으며 다양한 지류를 가진다.
잘레강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잘레강 |
![]() | |
![]() | |
지리 | |
국가 | 독일 |
주 | 바이에른, 튀링겐, 작센안할트 |
길이 | 413km |
유역 면적 | 24,167km2 |
수원 | 첼임피히텔게비르게 근처 |
수원 좌표 | 50.12056, 11.83056 |
수원 해발고도 | 728m |
하구 | 바르비 근처의 엘베강 |
하구 좌표 | 51.95472, 11.91389 |
하구 해발고도 | 49.5m |
평균 유량 | 115m3/s |
통과 지역 | 도시: 예나, 할레 (잘레) 큰 마을: 호프 (잘레), 잘펠트/잘레, 루돌슈타트, 나움부르크 (잘레), 바이센펠스, 메르제부르크, 베른부르크 (잘레) |
오른쪽 지류 | 바이스 엘스터 강, 오를라 강 (잘레), 남부 레그니츠 강, 북부 레그니츠 강 |
왼쪽 지류 | 슈바르차 강 (잘레), 일름 강 (튀링겐), 운스트루트 강, 잘차 강 (잘레), 비퍼 강 (잘레), 보데 강 (강) |
참조 번호 | DE: 56 |
수운 | |
항구 | 할레 (잘레)의 하펜 할레 (잘레), 할레 (잘레)의 조피엔하펜 |
다리 | 잘레 다리, 루돌프슈타인, 올드 잘레 다리, 예나-부르가우 |
항해 가능 구간 | 하구에서 바트 뒤렌베르크까지; 유럽 선박은 할레-트로타까지 항해 가능 |
기타 | |
작센 잘레강 (독일어) | Sächsische Saale |
튀링겐 잘레강 (독일어) | Thüringische Saale |
2. 어원
잘레(Saale)라는 이름은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근 *''séles'' '늪'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웨일스어의 ''hêl, heledd'' '강변 초원', 콘월어의 ''heyl'' '강어귀', 고대 그리스어의 ''hélos'' '늪, 초원', 산스크리트어의 ''sáras'' '호수, 연못', ''Sárasvati'' '성스러운 강', 고대 페르시아어의 ''Harauvati'' 'Hārūt 강; 아라코시아', 아베스타어의 ''Haraxvatī''와 유사하다. 또한 인도유럽어 어근 *''sal'', "소금"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3]
잘레강은 나움부르크에서부터 항해가 가능하며, 로이나에서 미완성 운하를 통해 라이프치히 근처 백색 엘스터와 연결될 예정이다.[1] 하천 하류의 토양은 매우 비옥하며, 특히 사탕무를 대량 생산한다.[1] 상류는 물살이 빠르며, 메르제부르크까지의 계곡에는 주변 고지에 많은 성들이 있다.[1]
잘레의 슬라브어 이름인 ''솔라와''(Solawa)는 소르브어 문헌에서 여전히 발견되며, 고대 고지 독일어의 ''sol'', "소금", ''awa'', "물"에서 유래되었다.[4]
3. 지리
왼쪽 지류 오른쪽 지류
3. 1. 발원지 및 유로
잘레강은 바이에른주 오버프랑켄 피히텔 산맥의 첼 근처 그로세르 발트슈타인 산기슭, 해발 728m 지점에서 발원한다. 북쪽으로 구불구불 흐르며, 호프 공업 도시를 지나 튀링겐주로 들어간다. 튀링겐 숲의 숲이 우거진 낮은 산들을 지나 잘펠트 계곡에 이른다. 잘펠트를 지나 루돌슈타트에 도착하며, 이곳에서 슈바르차의 물을 받아들인다. 슈바르차 계곡에는 과거 통치 가문인 슈바르츠부르크 가문의 슈바르츠부르크 폐허가 있다.
잘레강은 잘펠트에서 튀링겐 숲 북쪽의 석회암 구릉 지역으로 들어가 예나의 예나 대학 도시를 둘러싼 언덕 아래로 흐른다. 작센안할트주로 들어가 바트 쾨센 온천을 지나, 나움부르크에서 깊고 항해 가능한 운스트루트를 받아들인 후 바이센펠스, 메르제부르크, 할레, 베른부르크 및 칼베를 지난다. 결국 바르비 바로 위에서 엘베강과 합류하며, 413km를 흐른다. 자연적인 길이인 427km에서 우회로를 통해 14km 단축되었다.[1]
잘레강은 체르에서 발원하여 슈파르네크, 바이스도르프, 조울비츠, 푀르바우, 슈바르첸바흐 안 데어 잘레, 파티가우, 오버코트차우, 호프, 브루넨탈, 잘렌슈타인, 요디츠, 바이에른/튀링겐 주 경계, 히르슈베르크, 슈파른베르크, 루돌프슈타인, 블랑켄베르크, 블랑켄슈타인, 하라, 잘도르프, 잘부르크, 푀리치, 그레펜바르트, 부르크, 발스부르크, 지겐뤼크, 나이덴베르가, 호엔바르테, 아이히히트, 카울스도르프, 피셔스도르프, 바이스비츠, 레스비츠, 브레테르니츠, 잘펠트, 슈바르차, 폴크슈테트, 루돌슈타트, 카타리나우, 콜크비츠, 바이센, 울슈테트, 뤼커스도르프, 조이치, 니더크로센, 오를라문데, 프라이에노를라, 그로스오이터스도르프, 클라이네이터스도르프, 카라, 그로스퓌르슈츠, 예거스도르프, 로텐슈타인, 마우아, 로베다, 예나, 츠베첸, 포르스텐도르프, 도른부르크, 도른도르프-슈토이츠니츠, 비흐마르, 캄부르크, 튐플링, 그로스헤링겐, 클라이네헤링겐, 튀링겐/작센안할트 주 경계, 슈텐도르프, 잘레크, 바트 쾨센, 나움부르크, 셸리츠, 쇤부르크, 오일라우, 고제크, 라이슬링, 로비츠, 위히테리츠, 마크베벤, 바이센펠스, 델리츠, 슈코르트레벤, 클라인코르베타, 그로스코르베타, 오블레스-슐레히트비츠, 벵겔스도르프, 바트 뒨렌베르크, 쾰리츠, 로이아, 트레브니츠, 메르제부르크, 메우샤우, 프라이임펠데, 슈코파우, 코르베타, 호엔바이덴, 로켄도르프, 홀레벤, 할레, 쾰리츠, 레틴, 브라히비츠, 시에프치히, 잘름문데, 퓌츠탈, 되블리츠, 자슈비츠, 베틴, 클로슈비츠, 룸핀, 도비스, 프리덴부르크, 지커리츠, 로텐부르크, 넬벤, 귈츠비츠, 트레브니츠, 알슬레벤, 포플리츠, 그로스비르슈레벤, 푄츠카우, 괴로나, 노이보르나, 베른부르크, 뢰벨, 니엔부르크, 베들리츠, 다마슈케플란, 비스피츠, 칼베 (잘레), 트라비츠, 그로스 로젠부르크, 베르크라이츠를 거쳐 흐른다.
오버프랑켄 체르 근처 피히텔 산맥의 발트슈타인 북서 사면, 해발 707m 지점에 있는 오래된 광산 갱도 부근에서 발원한다. 잘려진 채로 남겨진 화강암을 쌓아 만든 벽에는 "잘레강 수원: 뮌히베르크, 슈바르첸바흐, 호프, 바이센펠스, 할레가 1869년에 이 비를 헌정한다"는 비문이 새겨진 섬록암이 박혀 있다. 이는 당시 이 수원비 건립을 주도했던 뮌히베르크시가 이름이 열거된 도시에 비용을 부담시키려 한 것이었다. 이 일대 전체는 보호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수원지는 총 길이 427km의 "잘레 자전거 도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체르와 호프 사이의 상류는 완만한 흐름을 보인다. 이후 튀링겐 쉴퍼 산지를 가로질러 자알펠트, 루돌슈타트, 예나에 접한다.
중류에서는 자알레강은 여러 번 댐에 의해 막힌다. 가장 큰 인공 호수는 5단 폭포를 가진 호헨발테 인공 호수 또는 브라이로흐 인공 호수이다.
하류에서는 평평한 지형 속에서 바이센펠스, 바트 듀렌베르크, 메르제부르크, 할레와 같은 마을을 흐른다. 할레 시의 남쪽에는 여러 개의 섬과 클라우스베르그, 크렐비츠 바위, 또는 동명의 성터가 남아있는 기비히헨슈타인과 같은 암괴로 이루어진 제방을 가진 생태학적으로 가치 있는 자알레 초원이 있다. 할레 하류에서 자알레강은 브라하비처 알프의 절벽 해안과 베틴, 로텐부르크의 반암 암반, 베른부르크 마을을 지나 발비에서 엘베강과 합류한다.
3. 2. 주요 도시
주 | 도시 |
---|---|
바이에른주 | 체르, 바이스도르프, 슈바르첸바흐 안 데어 잘레, 오버코차우, 호프 |
튀링겐주 | 히르슈베르크, 포티가, 블랑켄슈타인, 하라, 자알도르프, 잘부르크, 잘펠트, 루돌슈타트, 울슈테트-키르히하젤, 카라, 예나, 도른부르크, 캄부르크, 그로스헤링겐 |
작센안할트주 | 잘레크, 바트 쾨센, 슐푸포르타, 나움부르크, 바이센펠스, 바트 뒨렌베르크, 로이나, 슈코파우, 메르제부르크, 할레 (잘레 강 유역 최대의 도시), 베틴, 로텐부르크, 쾨네른, 알슬레벤, 아데르슈테트, 베른부르크, 칼베, 바르비 |
3. 3. 지류
왼쪽 | 오른쪽 |
---|---|
3. 4. 호수
체르와 호프 사이의 상류는 완만한 흐름을 보인다. 이후 튀링겐 쉴퍼 산지를 가로질러 자알펠트, 루돌슈타트, 예나에 접한다.중류에서 잘레강은 여러 댐으로 막혀 있다. 가장 큰 인공 호수는 5단 폭포를 가진 호헨발테 인공 호수 또는 브라이로흐 인공 호수이다.
잘레강 상류 유역에는 다음 인공 호수들이 있다.
인공 호수 이름 |
---|
브라이로흐탈 댐 |
부르크함머 댐 |
발스부르크 댐 |
호엔발테탈 댐 |
아이히히트 댐 |
이들은 잘레 캐스케이드(Saale-Kaskade)라고 불리며,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수력 발전 연합체를 형성한다.[1]
4. 문화
잘레강은 브루크 성, 하이덱스부르크 성, 로이히텐부르크 성(--), 도른부르거 소성, 잘레크 성, 루델스부르크 성, 바트 쾨젠 등 고성 옆을 흐르고 있다. 이 강을 따라 장거리 자전거길인 잘레 자전거길이 뻗어 있으며, 특히 상류에서 중류에 걸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
잘레강과 그 지류인 운슈트루트 강을 따라 와인의 대규모 생산지인 잘레-운슈트루트가 위치해 있다.
4. 1. 관광
잘레강은 브루크 성, 하이덱스부르크 성, 로이히텐부르크 성(--), 도른부르거 소성, 잘레크 성, 루델스부르크 성, 바트 쾨젠 등 고성 옆을 흐르고 있다. 이 강을 따라 장거리 자전거길인 잘레 자전거길이 뻗어 있으며, 특히 상류에서 중류에 걸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잘레강과 그 지류인 운슈트루트 강을 따라 와인의 대규모 생산지인 잘레-운슈트루트가 위치해 있다.
4. 2. 교통
1933년부터 1942년까지 엘베/잘레 항로 개수 공사로 항로가 직선화되면서 전체 길이가 427km에서 413km로 단축되었다.[1] 당시 시작된 라이프치히까지의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엘스터-잘레 운하는 현재까지 한 번도 완성되지 않았다.[1] 하류부를 EU 기준에 적합한 운하로 만들려는 계획(잘레 운하)은 환경 보호 단체와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는 사람들로부터 비판받고 있다.[1] 이는 투자를 회수할 수 있는 시설이 아니며, 엘베강과의 연계 없이 확충하더라도 교통로로서의 의미는 희박하다는 것이다.[1]"왕의 길"(Via Regia)은 그 일부가 잘레 강 유역을 지나고 있다.[1]
잘펠트와 나움부르크 사이의 잘레 강 협곡은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이곳에는 연방 도로 B88, 잘레 철도가 나란히 지나고 있다.[1]
메르제부르크 근교에서는 NBS 에르푸르트 - 라이프치히/할레선의 다리가 건설되었다.[1] 뉘른베르크-베를린 간을 잇는 철도가 지나는 잘레-엘스터-고가교는 2012년에 완공되었으며, 전체 길이 8.6km로 독일에서 가장 긴 다리가 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esamtliste der Fließgewässer im Elbeeinzugsgebiet
http://www.fgg-elbe.[...]
Arbeitsgemeinschaft für die Reinhaltung der Elbe
2015-07-01
[2]
웹사이트
Federal Water and Navigation Authority
https://web.archive.[...]
2010-05-09
[3]
서적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A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a Proto-Language and Proto-Culture. Part I: The Text. Part II: Bibliography, Index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0-12-15
[4]
서적
Die Ortsnamen des Herzogthums Meiningen
https://books.google[...]
Kesselring
[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