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코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코시아는 헬만드강의 고대 페르시아어 이름에서 유래된 고대 지명으로, 현재 아프가니스탄 남부 지역을 가리킨다.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지배를 시작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마우리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파르티아, 쿠샨, 사산 제국 등을 거쳐 7세기 이후 이슬람 세력의 영향을 받았으며, 가즈나 왕조 시기에 이르렀다. 아라코시아 주민은 이란 민족으로, 파슈툰족과 연관될 수 있으며, 크로아티아인의 기원과 관련한 가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적 지역 - 박트리아
박트리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서부 일대에 해당하는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양 문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종교가 융성했던 곳이다. -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적 지역 - 토카리스탄
토카리스탄은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알라이 산맥 사이 옥수스강 상류 계곡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2세기부터 9세기까지 동이란 박트리아어를 사용하고 에프탈 제국과 서돌궐의 영향을 받았으며 간다라 미술과 이슬람 미술이 발전했다. - 간다라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 간다라 - 두샨베
두샨베는 타지키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월요일에 열리는 바자르에서 유래된 페르시아어 이름을 가지며, 1929년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된 후 급성장하여 스탈리나바드로 개명되었다가 1961년 다시 두샨베로 변경, 현재는 중앙아시아의 외교 및 경제 중심지로서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 고대 인도 - 가나상가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했고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인도 - 인도-스키타이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 북서부로 이주한 스키타이인(사카족)의 한 갈래로, 월지족에 밀려 간다라 지방에 왕국을 세우고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며 서북 인도에 세력을 확장, 불교와 연관되어 예술과 종교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아라코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고대 페르시아어: (하라우바티슈) 고대 그리스어: (아라코시아) |
유형 | 사트라피 |
위치 |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아르간다브 지역 및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와 파키스탄 북부 인접 지역 |
설명 | 칸다하르와 퀘타에서 인더스 강 서안까지 뻗어 있었으며, 북쪽으로는 간다라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
![]() | |
역사 | |
관련 제국 |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제국 |
어원 | 고대 페르시아어: 하라우바티슈 (Harauvatiš) 고대 그리스어: 아라코시아 (Arachōsíā) |
위치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국경 지역에 있는 산악 지역 |
2. 어원
아라코시아는 헬만드강의 고대 페르시아어 이름인 '''하라후바티스'''의 그리스식 형태인 '''아라코토스'''에서 유래했다.
아라코시아의 어원으로 제시되는 다른 명칭은 다음과 같다.

"아라코시아"는 Ἀραχωσία|아라코시아elc의 라틴어화된 그리스어 형태이다. 같은 지역이 아베스타어 ''비데브닷''(1.12)에 토착 방언 형태인 𐬵𐬀𐬭𐬀𐬓𐬀𐬌𐬙𐬍|하라흐바이티ae (그것의 ''-axva-''는 전형적인 비 아베스타어이다)로 나타난다.[6] 고대 페르시아어 비문에서, 이 지역은 𐏃𐎼𐎢𐎺𐎫𐎡𐏁, 즉 ''h(a)-r(a)-u-v(a)-t-i''로 언급된다.[6] 이 형태는 문자 그대로 "물/호수가 풍부한"을 의미하며 "호수, 연못"을 뜻하는 ''sáras-''에서 파생된 베다 산스크리트어 사라스바티강의 "어원학적 등가물"이다.[6] (''cf.'' 아레드비 수라 아나히타).
"아라코시아"는 고대 그리스어로 ''Arachōtós''로 알려졌고 오늘날에는 아르간다브강으로 알려진 이 지역을 관통하는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헬만드강의 좌안 지류이다.[6]
3. 지리
아라코시아는 서쪽으로 드라기아나, 북쪽으로 파로파미사다이, 동쪽으로 힌두스, 남쪽으로 게드로시아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7] 프톨레마이오스는 아라코시아의 도시 목록을 제공했는데, 그 중 하나는 알렉산드리아로, 아라코토스 강에 위치해 있었다. 이 도시는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의 칸다하르와 자주 동일시되며, "알렉산드리아"에서 ("이스칸데리야"를 거쳐) 유래한 것으로 여겨졌다.[8]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의 인도 원정에서 이 도시를 방문한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최근 점토판 비문 발견으로 '칸다하르'가 알렉산드로스 시대 훨씬 이전부터 페르시아와 활발하게 교역하던 도시였음이 증명되었다. 스트라본과 플리니우스도 이 도시를 "아라코시아의 수도"라고 언급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아라코토스(Arachote|아라코테영어; Ἀραχωτός|아라코토스grc) 또는 아라코티 (스트라본에 따르면)라고 불리는 도시도 언급하는데, 이곳은 그 땅의 이전 수도였다. 대 플리니우스와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이 도시의 원래 이름이 코펜(Κωφήν)이었다고 언급했다. 현장은 이 이름을 '카오푸'라고 언급한다.[9] 이 도시는 오늘날 칸다하르 북서쪽에 위치한 아르간다브와 동일시된다.
4. 역사
아라코시아는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기 시작했다. 다리우스 1세 시기에 페르시아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6]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 이후 헬레니즘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마우리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스키타이, 파르티아, 쿠샨 제국, 사산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7세기 이후 이슬람 세력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으며, 11세기에는 가즈나 왕조의 지배하에 놓였다. 아랍 지리학자들은 이 지역(또는 그 일부)을 '아로카지', '로카지', '로카지' 또는 단순히 '로'라고 불렀다.
4. 1. 아케메네스 왕조 시기
이 지역은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의 엘람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점토판에서 처음 언급된다. 다리우스 1세와 크세르크세스 1세의 고대 페르시아어, 아카드어, 아람어 비문에서도 피지배 민족과 국가 목록에 다시 나타나며,[6] 다리우스가 수사 궁전에서 사용한 상아의 원천으로도 확인되었다.[6] 베히스툰 비문 (DB 3.54-76)에서 왕은 아라코시아의 아케메네스 총독 비바나가 페르시아인을 세 번이나 격파하여 이 지역이 다리우스의 통제하에 있도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6] 이 "전략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교전"은 "조로아스터교 신앙과 관련된 페르시아와 아라코시아 간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반란군이 감행한 것으로 추정된다.[6]4. 2. 헬레니즘 시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왕조를 정복한 후, 마케도니아는 자신의 장군들을 총독으로 임명했다.[6] 기원전 316년,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는 4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베테랑 마케도니아 군단인 정예 아르기라스피데스를 인도와의 동부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아라코시아로 보냈다. 그러나 이들은 아라코시아의 마케도니아 사트라프 시비르티우스에게 소수의 그룹으로 위험한 임무를 보내 병력이 급격히 줄어들도록 명령받았는데, 이는 시비르티우스의 권력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제거하기 위함이었다.[6]
디아도코이 전쟁 이후,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동맹의 일환으로 기원전 305년에 마우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숭가 왕조는 기원전 185년에 마우리아 왕조를 전복했지만, 곧 아라코시아를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에 빼앗겼다. 그 후 기원전 2세기 중반에 분리된 인도-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0]
4. 3. 마우리아 제국과 그 이후
이 지역은 원래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에 엘람어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점토판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다리우스 1세와 크세르크세스 1세의 고대 페르시아어, 아카드어, 아람어 비문에서도 피지배 민족과 국가 목록에 다시 나타난다. 베히스툰 비문에서 다리우스는 아라코시아의 아케메네스 총독 비바나가 페르시아인을 세 번 격파하여 이 지역이 자신의 통제하에 있도록 했다고 기록했다.[6]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왕조를 정복한 후, 마케도니아는 자신의 장군들을 총독으로 임명했다. 기원전 316년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는 베테랑 마케도니아 군단인 아르기라스피데스를 아라코시아로 보냈으나, 이들은 아라코시아의 마케도니아 사트라프 시비르티우스에게 위험한 임무를 보내 병력이 줄어들도록 명령받았다.
디아도코이 전쟁 이후,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기원전 305년에 마우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숭가 왕조는 기원전 185년에 마우리아 왕조를 전복했지만, 곧 아라코시아를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에 빼앗겼다. 그 후 기원전 2세기 중반에 분리된 인도-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인도-그리스인을 몰아냈지만, 이 지역을 아르사케스와 인도-파르티아에게 빼앗겼다. 서기 1세기에 이 지역의 일부는 아르사케스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고, 파르티아인들은 그 지역을 Ἰνδική Λευκή|인디케 레우케|백색 인도grc라고 불렀다.[10]
쿠샨은 인도-파르티아로부터 아라코시아를 점령하여 서기 230년경까지 지배하다가 사산에게 패배했다. 서기 420년에는 키다르 왕국을 세운 키오니트족이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쿠샨샤를 몰아냈다. 키다리트족은 서기 460년대에 에프탈에게 대체되었고, 서기 565년에는 페르시아와 투르크 군대의 연합에 의해 패배했다. 아라코시아는 카피사와 카불의 생존한 쿠샤노-에프탈 왕국의 일부가 된 후 무슬림 아랍의 공격을 받았다. 서기 870년경에는 쿠샤노-에프탈족이 사파르 왕조, 그 다음에는 사만 왕조와 11세기 초의 가즈나 왕조로 대체되었다.
4. 4. 파르티아와 쿠샨 시기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인도-그리스인을 몰아냈지만, 이 지역을 아르사케스와 인도-파르티아에게 빼앗겼다. 언제(그리고 어떤 형태로) 파르티아가 아라코시아 지배를 다시 확립했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이시도르의 기록에 따르면, 서기 1세기에 이 지역의 일부(아마도 작은 부분)는 아르사케스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고, 파르티아인들은 그 지역을 '인디케 레우케'(Indikē Leukē), 즉 "백색 인도"라고 불렀다.[10]쿠샨은 인도-파르티아로부터 아라코시아를 점령하여 서기 230년경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그 후 사산 제국에 패배했다.
4. 5. 사산 제국과 이슬람 시기
쿠샨이 인도-파르티아로부터 아라코시아를 점령하여 서기 230년경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그 후 사산에게 패배하면서[10] 쿠샨은 쿠샨샤 또는 인도-사산으로 알려진 사산의 봉신으로 대체되었다. 서기 420년, 키다르 왕국을 세운 키오니트족이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쿠샨샤를 몰아냈다.[10] 키다리트족은 서기 460년대에 에프탈에게 대체되었고, 서기 565년에는 페르시아와 투르크 군대의 연합에 의해 패배했다. 이후 아라코시아는 카피사와 카불의 쿠샤노-에프탈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무슬림 아랍의 공격을 받았다. 이 왕국들은 처음에는 사산 왕조의 봉신이었다. 서기 870년경에는 쿠샤노-에프탈족(일명 투르크샤히 왕조)이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그리고 11세기 초 가즈나 왕조로 대체되었다.[10]아랍 지리학자들은 이 지역(또는 그 일부)을 '아로카지', '로카지', '로카지' 또는 단순히 '로'라고 불렀다.
5. 주민
아라코시아의 주민은 이란 민족으로, '아라코시안' 또는 '아라코티'라고 불렸다.[6] '팍티안'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오늘날의 파슈툰족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11]
카락스의 이시도르는 1세기 저서 "파르티아 역참"에서 "아라코시아의 수도 알렉산드로폴리스"가 그 당시에도 여전히 고대 그리스적이었다고 기록했다.
5. 1. 크로아티아인과의 연관성 (가설)
크로아티아인의 기원과 관련된 이론 중 하나는 크로아티아인의 기원을 아라코시아 지역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관성은 크로아티아어 (Hrvatskahr, 크로아티아 - Hrvatihr / 차카비아 방언: Harvati / 카이카비아 방언: Horvati)와 아라코시아 이름의 유사성 때문에 처음 제기되었다.[12][13] 다른 연구들은 언어적, 문화적, 농생물학적, 유전적 연관성도 있음을 보여준다.[14][15] 1991년 크로아티아가 독립 국가가 된 이후, 이란 이론은 더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많은 과학 논문과 서적이 출판되었다.[16][17][18][19][20][21][22][23]참조
[1]
웹사이트
Arachosia
https://iranicaonlin[...]
2022-05-14
[2]
서적
Afghanistan Country Study Guide Volume 1 Strategic Information and Development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3-08-01
[3]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Border Trade and Travel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1-10
[4]
서적
Identity in Persian Egypt: The Fate of the Yehudite Community of Elephantine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20-08-04
[5]
서적
The Grandeur of Gandhara: The Ancient Buddhist Civilization of the Swat, Peshawar, Kabul and Indus Valleys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1-01-01
[6]
간행물
Arachosia
http://www.iranicaon[...]
2011-08-10
[7]
웹사이트
Arachosia
https://iranicaonlin[...]
2022-05-14
[8]
웹사이트
Alexandria in Arachosia
https://www.livius.o[...]
livius.org
2020-03-26
[9]
서적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10-09-18
[10]
서적
The Greeks in Bactria and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2-31
[11]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0-09-24
[12]
웹사이트
Identity of Croatians in Ancient Afghanistan
http://www.iranchamb[...]
iranchamber.com
[13]
학술지
Sarasvati Civilization Volume 1
https://www.scribd.c[...]
Babasaheb (Umakanta Keshav) Apte Smarak Samiti
2017-09-08
[14]
학술지
Anthropogenic and agrobiological arguments of the scientific origin of Croats
http://crosbi.znanst[...]
Staroiransko podrijetlo Hrvata: zbornik simpozija / Lovrić, Andrija-Željko (ed). - Teheran: Iranian Cultural Center
[15]
웹사이트
Common Origin of Croats, Serbs and Jats
http://www.iranchamb[...]
iranchamber.com
[16]
문서
Iranian elements in the Proto-Bulgarians
http://members.tripo[...]
1967-01-01
[17]
문서
The Slavs. Their Early History and Civilization.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Boston, USA.
1956-01-01
[18]
뉴스
Scholars assert Croats are Descendants of Iranian Tribes
http://www.hina.hr
Hina News Agency
2000-10-15
[19]
문서
Iranisehe Herkunft des kroatischen Volksnamens
1949-01-01
[20]
문서
The Iranian origin of the Croatians according to Constantine Porphyrogenitus
Chicago
1955-01-01
[21]
문서
Iranica Proto-Bulgarica
http://members.tripo[...]
1985-01-01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indunet.[...]
Cultural center of I.R. of Iran in Croatia, Zagreb, 1999
1998-06-24
[23]
문서
Der sarmatische Hintergrund der germanischen Voelkerwanderung
195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