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베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베강은 체코에서 발원하여 독일을 거쳐 북해로 흘러드는 유럽의 주요 강이다. 고대 게르만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체코의 프라하, 독일의 드레스덴, 함부르크 등 주요 도시를 지나며, 블타바강, 잘레강 등 여러 지류와 운하를 통해 발트해 및 독일 내륙과 연결된다. 엘베강은 과거 로마 제국과 중세 유럽의 경계 역할을 했으며, 한자동맹의 무역로로도 활용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과 소련군이 만나는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했다. 현재는 산업 폐수로 인해 오염된 상태이며, 2002년 대홍수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드레스덴 엘베 계곡은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다리 건설로 인해 삭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강 - 아이더강
아이더 강은 북해에서 킬 운하로 이어지는 독일의 강으로, 아이더 방조제를 통해 선박 통행이 가능하며, 여러 항구가 위치해 있고, 갑문과 기젤라우 운하를 통해 킬 운하로 연결된다. - 엘베강 - 킬 운하
킬 운하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를 가로지르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인공 수로 중 하나로, 과거 "빌헬름 황제 운하"로 불렸으며 현재 독일의 행정하에 관리되고 있다. - 엘베강 - 함부르크 항
함부르크 항은 1189년에 설립되어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하며, 해상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유럽의 주요 물류 중심지 중 하나로 기능한다.
엘베강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Elve |
어원 | 알 수 없음 |
![]() | |
![]() | |
지리 | |
위치 | 체코 , 독일 |
흐르는 지역 (체코) | 흐라데츠크랄로베 주, 파르두비체 주, 중앙보헤미아 주, 우스티나트라벰 주 |
흐르는 지역 (독일) | 작센 주, 작센안할트 주, 브란덴부르크 주, 니더작센 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함부르크 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
도시 | 흐라데츠크랄로베, 파르두비체, 우스티나트라벰, 데친, 드레스덴, 마이센, 비텐베르크, 데사우, 마그데부르크, 함부르크, 슈타데, 쿡스하펜 |
길이 | 1,112 km |
수원 | 엘베 초원 |
수원 위치 | 체코 거인산맥 |
수원 좌표 | 50°46′32.59″N 15°32′10.14″E |
수원 고도 | 1,386 m |
하구 | 북해 |
하구 위치 | 독일 |
하구 좌표 | 53°55′20″N 8°43′20″E |
하구 고도 | 0 m |
유역 면적 | 148,268 km2 |
수문학 | |
하구 평균 방류량 | 870 m3/s |
하구 최소 방류량 | 493 m3/s |
하구 최대 방류량 | 1232 m3/s |
데친 평균 방류량 | 303 m3/s |
지류 (왼쪽) | |
지류 (오른쪽) |
2. 어원
엘베라는 이름의 어원은 ‘강’이라는 뜻의 스칸디나비아어 낱말 älvsv이다.
엘베강(체코어: Labecs, 독일어: Elbede)은 폴란드와 체코 국경에 위치한 수데텐 산맥의 일부인 크르코노셰산맥에서 발원한다. 구체적으로는 Violík 산 경사면 해발 1386m 지점에서 시작된다. 발원 직후 여러 작은 시내들이 모여 강을 이루고, 30m 높이의 엘베 폭포를 지나 Bílé Labe와 합류한다. 이후 남쪽으로 흐르다가 야로메르시에서 Úpa와 Metuje 강을 만나며 산골짜기를 벗어나 넓은 계곡인 폴라비로 들어선다.
라틴어로는 Albis|알비스la로 처음 언급된 Elbe|엘베de라는 이름은 "강" 또는 "강바닥"을 의미하며, 게르만어에서 발견되는 단어(*albī)의 고지 독일어 버전일 뿐이다. 고대 노르드어의 강 이름 Elfrnon, 스웨덴어 älvsv "강", 노르웨이어 elvno "강", 고대 영어의 강 이름 elfang, 중세 저지 독일어 elvegml "강바닥"과 비교해 볼 수 있다.[2]
3. 지리
흐라데츠 크랄로베(오를리체 강 합류)와 파르두비체를 지나며 남쪽으로 흐르던 강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콜린을 지나 약 43km 더 흐른 뒤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Brandýs nad Labem 근처 카라니 마을에서는 이제라 강과 합류한다.
멜니크에서는 체코의 주요 강인 블타바 강과 만나 유량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비록 합류점 상류에서는 블타바 강이 엘베강보다 더 길고(434km 대 294km) 유량도 많지만, 합류 지점에서 엘베강이 더 넓은 계곡을 따라 흐르고 블타바 강이 거의 직각으로 흘러들어오는 모습 때문에 역사적으로 엘베강이라는 이름이 유지되었다. 리토메르지체에서는 오르제 강과 합류하며 강폭이 140m에 달하게 되고, 체스케 스트레도호리의 현무암 지대를 통과하며 깊고 좁은 바위 협곡을 형성한다.
체코-독일 국경을 넘어 엘베 모래산의 사암 협곡을 지나면, 강은 북해에 도달할 때까지 대체로 북서쪽 방향을 유지한다. 드레스덴과 마이센을 통과한 후 북독일 평원으로 들어서며 긴 여정을 시작한다. 이 구간에서는 과거 동독의 서쪽 경계를 따라 토르가우, 비텐베르크, 데사우, 마그데부르크, 비텐베르게, 함부르크 등의 도시를 지난다. 서쪽에서는 물데와 잘레 강, 동쪽에서는 슈바르체 엘스터, 하펠, 엘데 강 등이 합류한다. 북부 지역의 강 양쪽 둑은 평탄하고 비옥한 습지(엘베 습지) 지대로, 과거에는 범람원이었으나 현재는 제방으로 보호받고 있다.
마그데부르크에는 마그데부르크 수도교가 있어 운하의 선박들이 엘베강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중부 엘베강 구간 중 일부는 냉전 시대 동독과 서독 사이의 철의 장막의 일부였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강둑이 비교적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곳이 많다.
게스트하흐트의 갑문(586km 지점)부터 하류 구간은 조수의 영향을 받으며, 이 구간을 운터엘베(Unterelbe, 하부 엘베)라고 부른다. 운터엘베는 함부르크 시를 관통하며 도베 엘베, 고제 엘베, 쾰브란트, 노르더엘베(북부 엘베), 라이어슈티크, 쥐더엘베(남부 엘베) 등 여러 갈래로 나뉜다. 이 중 일부는 1390년(고제 엘베)과 1437-38년(도베 엘베)에 습지 보호와 함부르크 항구의 용수 공급 개선을 위한 수리 공학 작업으로 제방이 쌓여 주류에서 분리되었다. 1962년 북해 홍수 이후에는 남부 엘베의 서쪽 구간도 분리되었다. 현재는 쾰브란트브뤼케가 놓인 쾰브란트가 남부 엘베의 물을 받아 북부 엘베와 합류한다. 북부 엘베는 엘프필하모니 함부르크를 지나고 구 엘베 터널 아래를 통과하며, 쾰브란트와 다시 합쳐진 후 신 엘베 터널 아래를 지난다. 함부르크의 뮐렌베르거 로흐 만(634km 지점)에서 노르더엘베와 쥐더엘베(구 남부 엘베)가 다시 만나며, 이 지점부터 니더엘베(Niederelbe, 하부 엘베)가 시작된다고 본다.
함부르크를 벗어난 하부 엘베는 홀슈타인과 엘베-베저 삼각지대 사이를 흘러 슈타데를 지나 쿠스하펜 부근에서 북해(바덴 해[11])로 흘러 들어간다. 하구 근처 브룬스뷔텔에서는 킬 운하와 연결된다. 엘베강 중하류는 북독일의 고대 빙퇴석(모레인) 지형과 U자곡 지형인 Elbe-Urstromtal|엘베-우어슈트롬탈de을 흐르며, 곳곳에 충적 평야가 발달해 있다.[12] 하류는 온대 해양성 기후에 속한다.
함부르크 남동쪽에서는 엘베-뤼베크 운하가 발트해의 뤼베크만과 연결된다.
엘베강 유역은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독일의 작센안할트 주, 브란덴부르크 주, 니더작센 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 5개 주에 걸쳐 있는 엘베강 유역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12] 또한, 유역의 습지는 고니, 큰고니, 혹고니, 흰뺨검둥오리, 청머리오리, 검은 기러기, 흑두루미, 청둥오리, 넓적부리 등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13][14], 작센안할트 주의 「Altmärkische Wische|알트메르키셰 비셰de와 Jelbitz|옐리호de의 엘베 범람원」[13], 니더작센 주의 「엘베 범람원, Schnackenburg|슈나켄부르크de·Lauenburg|라우엔부르크de」[15]와 「Unterelbe|운터엘베de, Barnkrug|반크루크de·오터른도르프」[16], 함부르크의 「Mühlenberger Loch|뮐렌베르거 로흐de」[14] 등이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3. 1. 유역의 주된 도시
엘베강은 체코와 독일을 흐르며 여러 도시를 지난다. 강 유역의 주요 도시와 각 도시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도시 | 인구 |
---|---|
슈핀들레루프 믈린 | 979 |
브르흐라비 | 11,968 |
드부르 크랄로베 나트 라벰 | 15,170 |
야로메르시 | 12,260 |
스미르지체 | 2,969 |
흐라데츠 크랄로베 | 90,596 |
파르두비체 | 88,520 |
콜린 | 32,046 |
포데브라디 | 14,536 |
브란디스 나트 라벰-스타라 볼레슬라프 | 18,755 |
멜니크 | 19,472 |
슈테티 | 8,438 |
루드니체 나트 라벰 | 12,506 |
리토메르지체 | 22,950 |
로보시체 | 8,605 |
우스티 nad 라벰 | 90,378 |
데친 | 47,029 |
바트 장다우 | 3,423 |
쾨니히슈타인 (작센) | 2,085 |
피르나 | 38,361 |
하이데나우 | 16,540 |
드레스덴 | 555,351 |
라데보일 | 33,743 |
코스비히 (작센) | 20,462 |
마이센 | 28,080 |
리에자 | 28,850 |
슈트렐라 | 3,651 |
벨게른-쉴다우 | 7,579 |
토르가우 | 19,625 |
비텐베르크 | 44,984 |
코스비히 (작센-안할트) | 11,494 |
데사우-로슬라우 | 78,731 |
아켄 (엘베강) | 7,363 |
바르비 | 8,173 |
쉐네베크 | 30,067 |
마그데부르크 | 236,188 |
탕어뮌데 | 10,350 |
비텐베르게 | 16,682 |
뢸미츠 | 2,991 |
히츠아커 | 5,020 |
블레케데 | 9,613 |
보이젠부르크 | 10,689 |
라우엔부르크 | 11,644 |
게스트하흐트 | 31,539 |
함부르크 | 1,906,411 |
베델 | 34,151 |
슈타데 | 47,579 |
글뤼크슈타트 | 10,719 |
브룬스뷔텔 | 12,381 |
오터른도르프 | 7,443 |
쿠스하펜 | 48,318 |
3. 2. 주된 지류
엘베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일부 인공 수로도 포함되어 있다.''하류부터 기재''
- 킬 운하
- 일메나우 강
- 엘베-뤼베크 운하
- 하펠 강
- * 슈프레 강
- 잘레 강
- * 백 엘스터 강
- ** 프라이세 강
- * 운슈트루트 강
- 에거 강
- 블타바 강: 멜니크에서 엘베강과 합류하는 가장 중요한 지류 중 하나이다. 합류점 이전까지의 길이(434km)나 유량, 유역 면적은 엘베강(294km)보다 크지만, 역사적인 이유와 합류 지점의 지형적 특징 때문에 주류는 엘베강이라는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이 외에도 북독일 평원 구간에서 서쪽에서는 물데강, 동쪽에서는 슈바르체 엘스터강, 엘데강 등이 엘베강으로 흘러든다.
4. 역사
인류는 약 20만 년 전 중기 구석기 시대에 엘베강 북부 지역에 처음 거주하기 시작했다. 고대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엘베강을 게르만족 언어로 '강'을 의미하는 Albisgem로 기록했으며, 강의 발원지는 Asciburgisde 산맥(자이언트 산맥)이고 당시 그곳에는 게르만족의 일파인 반달족(Vandaliide)이 살고 있었다고 전한다. 로마 제국 역시 이 강을 Albisla라는 이름으로 알고 있었다. 로마는 제국의 국경을 라인강에서 엘베강까지 확장하려 했으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서기 9년)에서 패배한 후 이 계획을 포기했다. 한편, 게르만족의 일파인 알레만니족은 원래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유틀란트 반도에서 남하하여 엘베강 유역에 거주했으나, 3세기경 로마 제국 침략에 더 유리한 라인강 상류 및 중류 지역으로 이동했다.
중세 시대에 엘베강은 샤를마뉴가 다스리던 카롤링거 제국(769년~814년)의 동쪽 경계를 이루었다. 6세기 초부터는 슬라브족(특히 폴라비안 슬라브족)이 인구가 줄어든 엘베강과 잘레강 동쪽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이 지역의 선주민으로는 서슬라브족 계열의 소르브인도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독일인과 동화되었다. 10세기 오토 왕조(919년~1024년)는 이 지역을 정복하기 시작했으며, 1147년의 벤디시 십자군 등을 통해 점진적인 독일화가 진행되었다. 또한 작센족의 일부도 작센의 북서 독일 지역에서 이주해 왔다.[17] 엘베강의 항해 가능한 구간은 후기 중세 시대에 한자동맹의 무역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엘베강은 오랫동안 독일 서부와 동부, 이른바 동부 엘비아 지역을 나누는 지리적 경계선 역할을 했다. 동부 엘비아 지역은 강 서쪽 지역보다 토지 소유권과 농노제가 더 강하게 유지되었으며, 봉건 영주들이 더 넓은 토지를 소유하는 구츠헤르샤프트 체제가 특징적이었다. 이 지역의 대지주들은 융커로 불렸다. 이러한 동서 간의 차이는 19세기까지 이어져, 엘베강은 서유럽(프랑스, 영국 등)과 동유럽(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등)을 구분하는 상징적인 경계선 중 하나로 여겨졌다. 서유럽에서는 근세 초기에 농노제가 해체된 반면, 동유럽에서는 19세기 초중반까지 농노제가 지속되었다. 한편, 엘베강의 이름은 여러 행정 구역 명칭에 사용되기도 했다. 베스트팔렌의 ''엘베 데파르트망''(1807-1813)과 ''하부 엘베 데파르트망''(1810), 프랑스의 부슈-드-레르브(1811-1814) 등이 그 예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4월, 독일 제12군 사령관 벵크 장군은 베를린 서쪽에서 진격해오는 미국 및 영국군에 맞서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러나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이 서쪽으로 빠르게 진격해오면서, 엘베강 동쪽 지역은 소련군을 피해 도망치는 독일 난민들로 가득 찬 거대한 피난처가 되었다. 벵크 장군은 이들에게 식량과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한때 제12군은 매일 25만 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식량을 공급한 것으로 추산된다. 벵크는 이후 할베 전투를 치르며 자신의 군대와 제9군의 남은 병력, 그리고 수많은 민간인들을 이끌고 엘베강을 건너 미국 육군이 점령한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같은 해 4월 25일, 미국 육군과 소련군(붉은 군대)은 엘베강 유역의 토르가우에서 마침내 조우했다. 이 역사적인 만남은 "엘베의 약속" 또는 엘베의 날로 불리며, 연합군의 승리와 전쟁 종식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었다.
전쟁 후 냉전 시대(1949년~1990년) 동안 엘베강은 동독과 서독을 가르는 독일 내부 국경의 일부가 되었다. 1970년대에는 소련이 아돌프 히틀러의 유해를 원래 매장지에서 꺼내 화장한 뒤 엘베강에 뿌렸다고 발표하기도 했다.[9][10]
2004년, 드레스덴 근교의 엘베강 유역은 그 문화적 경관의 가치를 인정받아 "드레스덴 엘베 계곡"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하지만 2009년 6월 25일, 경관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은 다리 건설 강행을 이유로 세계 유산 목록에서 제외되는 일이 있었다.
5. 항해
엘베강은 예로부터 상업 선박의 항해가 가능했으며,[3] 프라하까지 내륙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무역로 역할을 해왔다. 이 강은 엘베 측면 운하, 엘베-하펠 운하, 미텔란트 운하 등 여러 운하를 통해 독일의 주요 산업 지역 및 수도 베를린과 연결된다. 엘베-뤼베크 운하는 엘베강과 발트해를 이어주고, 킬 운하의 서쪽 입구 또한 엘베강 하구 근처에 위치한다. 엘베-베저 해운수로는 엘베강과 베저강을 연결하는 수로이다.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엘베강의 항해는 드레스덴에 본부를 둔 엘베강 국제 위원회의 관할 아래 놓였다.[4] 위원회 규약은 1922년 2월 22일 드레스덴에서 서명되었다.[5] 베르사유 조약 제363조 및 제364조는 체코슬로바키아가 함부르크에 자체 항만 구역인 몰다우하펜을 임대할 권리를 부여했다. 영국의 감독 아래 독일과의 임대 계약이 1929년 2월 14일에 체결되었으며, 이 계약은 2028년에 만료될 예정이다. 1993년 이후 체코가 옛 체코슬로바키아의 법적 지위를 승계했다.
독일 통일 이전에는 서독에서의 수로 운송이 동독을 통과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함부르크로의 내륙 항해가 제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텔란트 운하의 서독 구간과 하부 엘베강 사이에 엘베 측면 운하(엘베-자이텐카날)가 건설되었다. 독일 통일 이후에는 기존의 수로 연결을 개선하고 복원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특히 마그데부르크 수교의 건설로 대형 바지선이 강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엘베강을 건너 베를린 등 내륙 지역으로 항해하는 것이 용이해졌다.[6] 엘베강의 잦은 수위 저하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설 개선 덕분에 베를린으로의 항해는 더 이상 큰 방해를 받지 않는다.
엘베강에는 승객과 차량을 운송하는 다수의 페리(ferry)가 운행되고 있다. 하류 방향 순서대로 주요 페리는 다음과 같다.[7]
페리 이름 | 위치 (출발지 - 도착지) | 비고 |
---|---|---|
돌니 즐레브 페리 | 데친의 일부인 돌니 즐레브 | |
라텐 페리 | 라텐 | |
필리츠 클라인자흐비츠 페리 | 드레스덴 동쪽 교외 (필리츠 - 클라인자흐비츠) | |
라우베가스트 니더포이리츠 페리 | 드레스덴 (라우베가스트 - 니더포이리츠) | |
요한슈타트 노이슈타트 페리 | 드레스덴 (요한슈타트 - 노이슈타트) | |
벨게른 오터시츠 페리 | 벨게른 - 오터시츠 | |
돔미취 프레틴 페리 | 돔미취 - 프레틴 | |
마우켄 프레츠슈 페리 | 마우켄 - 프레츠슈 | |
바르텐부르크 엘스터 페리 | 바르텐부르크 - 엘스터 | |
뵈를리츠 코스비히 페리 | 뵈를리츠 - 코스비히 | |
슈토이츠 아켄 페리 | 슈토이츠 - 아켄 | |
토흐하임 페리 | 토흐하임 - 브라이텐하겐 근처 알트 토흐하임 | |
로니 바르비 페리 | 바르비 - 발터니엔부르크 | |
베스터휘젠 페리 | 마그데부르크 근처 베스터휘젠 | |
샤르타우 로게츠 페리 | 샤르타우 - 로게츠 | |
페르클란트 그리벤 페리 | 페르클란트 - 그리벤 | |
산다우 뷔트너스호프 페리 | 산다우 - 뷔트너스호프 | |
레벨 하펠베르크 페리 | 레벨 - 하펠베르크 | |
렌첸 페베스토르프 페리 | 렌첸 - 페베스토르프 | |
노이 다르하우 다르하우 페리 | 다르하우 - 노이 다르하우 | |
블레케데 페리 | 블레케데 - 노이 블레케데 | |
촐렌슈피커 페리 | 함부르크 키르히베르더 - 니더작센주 빈젠 후프테 | |
함부르크 항구 페리 | 함부르크 항구 내 | HADAG 운영[8] |
비스하펜 글뤼크슈타트 페리 | 비스하펜 - 글뤼크슈타트 (함부르크 서쪽) | |
브룬스뷔텔 쿠스하펜 페리 | 브룬스뷔텔 - 쿠스하펜 (강 하구) | 2022년 10월 현재 운행 중단 |
이 페리들 중 다수는 강의 흐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통적인 케이블 페리의 일종인 반응 페리 방식으로 운행된다.
6. 환경
엘베강은 산업 폐수 유입으로 인해 수은, 카드뮴, 납과 같은 중금속과 염화물 등으로 오염되었다. 이렇게 오염된 강물은 북해로 흘러 들어갔으며, 오늘날에도 엘베강은 북해로 유입되는 주요 강들 가운데 가장 오염된 강으로 지적받고 있다.
7. 2002년 홍수
2002년 엘베강 유역 곳곳에서 홍수가 발생했다. 이 홍수로 프라하와 드레스덴 대부분 지역이 물에 잠기는 큰 피해를 입었다. 홍수의 원인 중 하나로는 옛 동유럽 지역의 낡은 관개 시설이 지목된다. 독일과 체코 양국 정부는 정보 교환, 관개 시설 확충, 감시 체계 강화 등을 통해 홍수 재발을 막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lbe River basin
http://www.ikse-mkol[...]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Elbe River
2018-03-20
[2]
서적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Brill
2003
[3]
논문
Die Rolle der Binnenschiffahrt für die Entwicklung der mittelalterlichen Städte
http://www.mgh.de/in[...]
Akademie Verlag
1991
[4]
서적
Der Große Brockhaus: Handbuch des Wissens in zwanzig Bänden
F. A. Brockhaus
1928-1935
[5]
간행물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6]
웹사이트
NoorderSoft Waterways Database
http://www.noorderSo[...]
[7]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maps.google.[...]
Google Maps
2008-02-03
[8]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 operators co-operating in the HVV partnership
http://www.hvv.de/en[...]
2009-03-26
[9]
서적
Magda Goebbels, First Lady of the Third Reich
[10]
뉴스
Official: KGB chief ordered Hitler's remains destroyed
http://www.cnn.com/2[...]
2009-12-11
[11]
웹사이트
Wattenmeer, Elbe-Weser-Dreieck
https://rsis.ramsar.[...]
1976-02-26
[12]
웹사이트
Flusslandschaft Elbe Biosphere Reserve, Germany
https://en.unesco.or[...]
2018-10-26
[13]
웹사이트
Aland-Elbe-Niederung und Elbaue Jerichow
https://rsis.ramsar.[...]
2003-02-21
[14]
웹사이트
Mühlenberger Loch
https://rsis.ramsar.[...]
1992-06-09
[15]
웹사이트
Elbauen, Schnackenburg-Lauenburg
https://rsis.ramsar.[...]
1976-02-26
[16]
웹사이트
Niederelbe, Barnkrug-Otterndorf
https://rsis.ramsar.[...]
1976-02-26
[17]
문서
저지대 작센어의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