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장 그르니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장 그르니에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파리에서 태어나 브르타뉴 지방에서 성장했다. 쥘 르키에의 영향을 받아 철학 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알제리에서 알베르 카뮈를 제자로 가르치며 우정을 쌓았다. 카뮈는 그의 저서에 영감을 받아 헌정하기도 했지만, 그르니에는 동양 철학의 무위와 기독교적 고요주의를 따르며 카뮈와는 다른 사상적 길을 걸었다. 그는 미학 및 예술 과학 교수로 재직하며 비구상 미술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으며, 1968년 문학 대국민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베르 카뮈 - 장 폴 사르트르
    장 폴 사르트르는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는 핵심 철학을 바탕으로 자유의지, 책임, 부조리를 탐구하고, 전쟁과 사회적 불의를 비판하며 인간관계와 도덕적 선택에 대한 질문을 던진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앙가주망 지식인으로서 20세기 지적 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알베르 카뮈 - 마리아 카자레스
    스페인 내전으로 프랑스로 망명한 마리아 카자레스는 프랑스에서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천국의 아이들》, 《오르페》 등의 영화와 연극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장 빌라르와 함께 프랑스 연극계에 큰 족적을 남긴 프랑스 배우이다.
  • 프랑스의 작가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작가 -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로, 탈구조주의의 주요 인물이며 서구 철학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을 해체하려 했으며,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 바깥은 없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 프랑스의 철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철학자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 그르니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앙리 장 그르니에
로마자 표기Henri-Jean Grenier
출생1898년 6월 8일
출생지파리
사망1971년 12월 5일 (73세)
사망지뇌이쉬르센
묘소브르타뉴의 생브리오
직업
직업철학자, 작가
학력
학력철학 교수
사상과 영향
주제예술, 실존, 고독, 동양 철학
사조실존주의
주요 작품
주요 작품《섬》(1928년)
《고독의 얼굴》(1950년)
《알베르 카뮈》(1968년)
영향
스승알랭
제자알베르 카뮈

2. 생애

파리에서 태어난 장 그르니에는 브르타뉴 지방 생브리외에서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보냈다. 이곳은 그르니에가 박사 논문을 헌정하게 될 철학자 쥘 르키에의 출생지였다. 루이 기유, 에드몽 랑베르, 막스 자코브를 알게 된 이 시기는 그의 자전적 소설 ''Les grèves''(1957)에 기록되어 있다. 1922년 철학 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앙리 보스코와 함께 나폴리의 ''프랑스 학원''에서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문학 저널 ''라 누벨 레뷔 프랑세즈(NRF)에서 잠시 일하다가 알제리 알제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알베르 카뮈와 사제 관계를 맺었다. 공산주의에 대한 입장 차이로 지식인 사회가 분열된 가운데, 그르니에는 중도적 입장을 견지했다.

1933년 출간된 ''레 질''의 영향을 받은 카뮈는 ''르네브르 에 랑드루아''를 그르니에에게 헌정했다. 카뮈의 ''반항하는 인간'' 역시 그르니에에게 헌정되었고, 카뮈는 1959년 ''레 질'' 재판에 서문을 썼다.

그러나 두 사람은 다른 사상적 길을 걸었다. 카뮈는 ''반항하는 인간''에서 폭력 혁명 비판과 ''전락''의 절망적 외침에도 불구하고 반항에 끌린 반면, 그르니에는 도교무위를 채택하고 기독교 고요주의를 실천했다.

그르니에의 1938년 저서 ''정통주의 정신에 관한 에세이''는 1936년과 1937년의 글을 요약한 것이다. 당시의 뜨거운 문제들을 다루지만, "그것들에 대한 반작용"을 의도했다. 이 에세이는 공산주의에 대한 태도에 따라 분열된 지식인 세대를 낳았다.

그르니에는 ''뢰이'', ''20세기'', ''프뢰브'' 등 여러 문학 저널에 기고했다. 장 폴랑의 친구인 그는 NRF에 자주 글을 썼다. 카뮈가 편집자로 있던 신문 ''Combat''에 예술 칼럼을, 장 다니엘 아래 ''렉스프레스''에 칼럼을 게재했다. 알렉산드리아카이로에서 교직 생활을 한 후 (그곳에서 앙드레 지드, 에드몽 자베, 장 콕토, 타하 후세인, 에티앙블, 조르주 페로를 만났다) 예술 학부에서 강의를 한 후,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소르본에서 미학 및 예술 과학 교수를 역임했다.

비구상 미술 발전에 관심이 많았던 그르니에는 ''현대 회화의 정신'', ''현대 회화에 관한 에세이'', ''17명의 비구상 화가와의 대화'' 등 현대 회화에 관한 글을 썼다. 소르본 학생들을 위해 쓴 미학 역사 성찰 요약은 ''예술과 그 문제들''에서 볼 수 있다.

1971년 사망할 때까지 ''선택'', ''자유의 올바른 사용에 관한 대화'', ''도의 정신'', ''불행한 존재'' 등 철학적 문제에 대한 작품을 정기적으로 출판했다. ''어떤 개의 죽음에 관하여'', ''일상생활'' 등 세속적인 주제도 다루었다. 프랑신 카뮈, 르네 샤르, 루이 기유, 장 지오노, 앙드레 말로, 마네스 스페르버, 누벨 누벨 레뷔 프랑세즈 편집 팀과 관계, 수많은 현대 예술가들과의 대화를 기록한 노트를 남겼다. 1968년 11월, 알베르 카뮈 – 추억집 출판 직후, ''문학 대국민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파리에서 태어났지만, 브르타뉴 지방의 생브리외에서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보냈다. 생브리외는 그르니에가 박사 논문을 헌정하게 될 철학자 쥘 르키에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그는 생브리외에서 루이 기유, 에드몽 랑베르, 막스 자코브 등과 교류하였다. 이 시기는 그의 자전적 소설 ''Les grèves''(1957)에 기록되어 있다. 1922년, 그르니에는 철학 교사 자격을 취득했다.

2. 2. 학문 및 문학 활동

나폴리 프랑스 학원에서 앙리 보스코와 함께 학문 경력을 시작했다. 라 누벨 레뷔 프랑세즈(NRF)에서 잠시 활동한 후, 알제리 알제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알베르 카뮈와 사제 관계를 맺었다. 공산주의에 대한 입장 차이로 지식인 사회가 분열된 가운데, 그르니에는 중도적 입장을 견지했다.

그르니에는 ''뢰이'', ''20세기'', ''프뢰브'' 등 다양한 문학 저널에 기고했으며, 장 폴랑과 교류하며 NRF에 자주 기고했다. ''Combat'' 및 ''렉스프레스''에 칼럼을 기고했다.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등에서 교직 생활을 하며 앙드레 지드, 에드몽 자베, 장 콕토, 타하 후세인, 에티앙블, 조르주 페로 등과 교류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예술 학부와 소르본에서 미학 및 예술 과학 교수를 역임했다.

2. 3. 카뮈와의 관계

알베르 카뮈알제에서 그르니에의 철학 수업을 들었고, 이들은 깊은 우정을 맺었다. 카뮈는 자신의 첫 저서인 ''르네브르 에 랑드루아''와 ''반항하는 인간''을 그르니에에게 헌정했다. 1959년에는 그르니에의 ''레 질'' 재판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

두 사람은 사상적으로는 다른 길을 걸었지만, 1932년부터 1960년까지 꾸준히 편지를 주고받았다. 카뮈는 ''반항하는 인간''에서 폭력 혁명에 대한 비판과 ''전락''의 절망적인 외침에도 불구하고 반항에 끌렸지만, 그르니에는 도교무위 사상을 수용하고 기독교의 고요주의를 실천하는 등 좀 더 사색적인 태도를 보였다.

2. 4. 말년

1968년 문학 대국민상을 수상했다. 프랑신 카뮈, 르네 샤르, 루이 기유, 장 지오노, 앙드레 말로, 마네스 스페르버와 교류했으며, 누벨 누벨 레뷔 프랑세즈 편집팀과 관계를 맺고, 수많은 현대 예술가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1971년 사망하였다.

3. 사상

장 그르니에는 알베르 카뮈에게 큰 영향을 준 스승이자, 실존주의동양 철학에 깊이 경도되었던 철학자 겸 작가였다. 주요 저서로는 ''Les Îles''(1933), ''정통 신앙에 관하여''(1938), ''선택''(1941), ''자유에 관하여''(1948), ''불행한 존재''(1945) 등이 있다.

알제에서 제자였던 알베르 카뮈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나, 카뮈와는 다른 사상적 길을 걸었다. 카뮈가 반항하는 인간에서 폭력적 혁명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도 반항에 이끌린 반면, 그르니에는 도교의 무위 사상과 기독교의 고요주의를 따르는 등 사색적인 태도를 보였다.

1938년 저서 ''정통주의 정신에 관한 에세이''는 1936년과 1937년의 글을 요약한 것으로, 공산주의에 대한 태도로 분열된 당시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술 학부에서 강의한 후,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소르본에서 미학 및 예술 과학 교수를 역임했다. 비구상 미술에 관심을 가지며 현대 회화에 관한 글을 쓰기도 했다.

3. 1. 실존주의와 동양 철학의 영향

장 그르니에는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인간 존재의 불안, 부조리, 자유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또한, 도교의 무위 사상과 기독교의 고요주의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알베르 카뮈와 달리 폭력적인 혁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보다 사색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3. 2. 예술 철학

장 그르니에는 비구상 미술의 발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현대 회화에 대한 비평 활동을 했다. 그는 ''현대 회화의 정신'', ''현대 회화에 관한 에세이'', ''17명의 비구상 화가와의 대화'' 등의 저술을 통해 예술의 본질, 미학적 가치, 예술가의 역할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었다. 소르본 학생들을 위해 쓴 미학사 관련 글은 ''예술과 그 문제들''에 요약되어 있다.

3. 3. 주요 저서의 사상


  • 《Les Îles》(1933): 알베르 카뮈에게 큰 영향을 준 작품으로, 섬이라는 고립된 공간을 통해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고독과 자유, 유한성 등의 문제를 탐구한다. 카뮈는 이 책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첫 저서인 《안과 겉》을 그르니에에게 헌정하기도 했다.
  • 《정통 신앙에 관하여》(''Essai sur l'esprit d'orthodoxie'', 1938): 1936년과 1937년에 걸쳐 쓰인 글들을 모은 책으로, 당시 공산주의를 포함한 이념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 개인의 자유와 정신적인 가치를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당시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선택》(''Le Choix'', 1941): 개인이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자유에 관하여》(''Entretiens sur le bon usage de la liberté'', 1948): 자유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자유에 따르는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 《불행한 존재》(''L’Existence'', 1945):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느끼는 고독, 불안, 소외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4. 저작 목록


  • Interiora rerum프랑스어 (사물의 내면), 그라세(Grasset), "레 카이에 베르"(Les Cahiers verts) 컬렉션, 70, 1927
  • Cum apparuerit프랑스어 (그것이 나타났을 때), "테라스 드 루르마랭"(Terrasses de Lourmarin) 컬렉션 19, 오댕(Audin), 1930
  • ''레 질(Les Îles)'' (1933) / 섬
  • La philosophie de Jules Lequier프랑스어 (쥘 르키에의 철학), 브랭(Vrin), 1936
  • Santa Cruz et autres paysages africains프랑스어 (산타 크루스와 그 외 아프리카 풍경), "메디테라네"(Méditerranéennes) 4 컬렉션, 샤를로(Charlot), 1937
  • ''정통주의 정신에 대한 에세이(Essai sur l'esprit d'orthodoxie)'' (1938) / 정통 신앙에 관하여
  • ''선택(Le Choix)'' (1941) / 절대와 선택
  • Inspirations méditerranéennes프랑스어 (지중해의 영감) (1941)
  • L’Existence프랑스어 (실존), 갈리마르(Gallimard), "라 메타피지크"(La Métaphysique) 컬렉션, 1945
  • Sextus Empiricus프랑스어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번역) 오비에(Aubier), 1948
  • ''자유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대화(Entretiens sur le bon usage de la liberté)'' (1948) / 자유에 관하여
  • L'esprit de la peinture contemporaine프랑스어 (현대 회화의 정신), 비네타(Vineta), 1951
  • Œuvres complètes de Jules Lequier프랑스어 (쥘 르키에의 전집) (서문), 라 바코니에르(La Baconnière), 1952
  • Lexique프랑스어 (어휘), 갈리마르(Gallimard), "메타모르포즈"(Métamorphoses) n°48 컬렉션, 1955
  • A propos de l'humain프랑스어 (인간에 관하여), 갈리마르(Gallimard), "레 제세"(Les Essais) n°74 컬렉션, 1955
  • ''그레브(Les Grèves)'' (1957) / 모래톱
  • Sur la mort d'un chien프랑스어 (어떤 개의 죽음에 관하여), 갈리마르(Gallimard), 1957
  • L'esprit du Tao프랑스어 (타오의 정신), 플라마리옹(Flammarion), 1957
  • L'existence malheureuse프랑스어 (불행한 실존), 갈리마르(Gallimard), 1957
  • Essais sur la peinture contemporaine프랑스어 (현대 회화에 대한 에세이), 갈리마르(Gallimard), 1959
  • Lanskoy프랑스어 (랑스코이), 아잔(Hazan), "오늘의 화가들"(Peintres d'aujourd'hui) 컬렉션, 1960
  • Absolu et choix프랑스어 (절대와 선택), 프랑스 대학 출판사(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철학 입문), 1961
  • Borès프랑스어 (보레스), 베르브(Verve), 1961
  • Lettres d'Égypte프랑스어 (이집트 편지) 와 Un Été au Liban프랑스어 (레바논에서의 여름) 수록, 갈리마르(Gallimard), 1962
  • L'Imitation et les principes de l'esthétique classique프랑스어 (모방과 고전 미학의 원리), C.D.U.(소르본 강좌: 미학), 1963
  • ''비구상 화가 17인과의 대담(Entretiens avec dix-sept peintres non figuratifs)'' (1963) / 17인의 비구상 화가와의 대화
  • Vicissitudes de l'esthétique et révolution du goût프랑스어 (미학의 변천과 취향의 혁명), C.D.U.(소르본 강좌: 미학), 1965
  • Célébration du miroir프랑스어 (거울의 찬미), 로베르 모렐(Robert Morel), 1965
  • La vie quotidienne프랑스어 (일상), 갈리마르(Gallimard), 1968
  • Jules Lequier – La dernière page프랑스어 (쥘 르키에 – 마지막 페이지), 위박(Ubac) 삽화, 가스통 퓌엘(Gaston Puel), 1968
  • ''알베르 카뮈 – 추억(Albert Camus – Souvenirs)'' (1968) / 까뮈를 추억함
  • Senancour: les plus belles pages프랑스어 (세낭쿠르: 가장 아름다운 페이지) (서문), 메르퀴르 드 프랑스(Mercure de France), 1968
  • Lexique프랑스어 (어휘), 아듀(Hadju) 삽화, 파타 모르가나(Fata Morgana), 1969
  • Entretiens avec Louis Foucher프랑스어 (루이 푸셰와의 대담), 갈리마르(Gallimard), 1969
  • Quatre prières프랑스어 (네 개의 기도), 마들렌 그르니에(Madeleine Grenier) 삽화, 가스통 퓌엘(Gaston Puel), 1970
  • L'art et ses problèmes프랑스어 (예술과 그 문제), 에디시옹 르콩트르(Éditions Rencontres), 1970
  • Quatre prières프랑스어 (네 개의 기도), 마들렌 그르니에(Madeleine Grenier) 삽화, 가스통 퓌엘(Gaston Puel), 1970
  • Music프랑스어 (음악), 르 뮈제 드 포슈(Le Musée de Poche), 1970
  • Molinos: le guide spirituel프랑스어 (몰리노스: 영적 안내자) (서문), 파야르(Fayard), 1970
  • Mémoires intimes de X프랑스어 (X의 내밀한 기억), 로베르 모렐(Robert Morel), 1971
  • Voir Naples프랑스어 (나폴리를 보다), 갈리마르(Gallimard), 1973
  • Les poèmes brûlés프랑스어 (불타는 시), 낸 스턴(Nane Stern), 1973
  • Réflexions sur quelques écrivains프랑스어 (몇몇 작가에 대한 성찰), 갈리마르(Gallimard), 1973
  • Jacques프랑스어 (자크), 칼리그램(Calligrammes), 1979
  • Portrait de Jean Giono프랑스어 (장 지오노의 초상), 로베르 모렐(Robert Morel), 1979
  • Miroirs프랑스어 (거울), 아르파드 세네스(Arpad Szenes) 삽화, 파타 모르가나(Fata Morgana), 1980
  • Jean Grenier – Georges Perros : correspondence 1950–1971프랑스어 (장 그르니에 – 조르주 페로스: 서신 1950–1971), 칼리그램(Calligrammes), 1980
  • ''알베르 카뮈와의 서신(Correspondence avec Albert Camus)'' (1932–1960) (1981) / 편지 2(까뮈)
  • Écrire et publier프랑스어 (쓰고 출판하기), 칼리그램(Calligrammes), 1982
  • Vie de Saint-Gens프랑스어 (생-장 생) 과 앙드레 드 리쇼(André de Richaud)의 Saint-Gens프랑스어 (생-장) 이미지 수록, 칼리그램(Calligrammes), 1983
  • Prières프랑스어 (기도), 조란 뮤직(Zoran Music) 삽화, 파타 모르가나(Fata Morgana), 1983
  • Le chant du voleur d'amour by Bilhana프랑스어 (빌하나의 사랑 도둑의 노래) (서문), 칼리그램(Calligrammes), 1983
  • Écrits sur le quiétisme프랑스어 (퀘이에티즘에 관한 글), 칼리그램(Calligrammes), 1984
  • Jean Grenier – Jean Paulhan : correspondence 1925–1968프랑스어 (장 그르니에 – 장 폴랑: 서신 1925–1968), 칼리그램(Calligrammes), 1984
  • Premier voyage en Italie – 1921프랑스어 (이탈리아로의 첫 번째 여행 – 1921), 칼리그램(Calligrammes), 1986
  • Ombre et lumière프랑스어 (그림자와 빛), 피에르 탈 코트(Pierre Tal Coat) 삽화, 파타 모르가나(Fata Morgana), 1986
  • Mes candidatures à la Sorbonne프랑스어 (소르본에 대한 나의 지원), 칼리그램(Calligrammes), 1987
  • Les A-peu-près프랑스어 (어림잡아), 람제이, 1987
  • La dernière page프랑스어 (마지막 페이지), 장 클레르(Jean Clair) 서문, 람제이(Ramsay), 1987
  • Mes candidatures à la Sorbonne프랑스어 (소르본에 대한 나의 지원), 칼리그램(Calligrammes), 1987
  • Jean Grenier – René Etiemble : correspondence 1945–1971프랑스어 (장 그르니에 – 르네 에티엠블: 서신 1945–1971), 폴 아브아닌(Folle Avoine), 1988
  • Carnets 1944 – 1971프랑스어 (수첩 1944 – 1971), "부 메모아"(Pour Mémoire) 컬렉션, 세제르(Seghers), 1991 (레 에디시옹 클레르 폴랑(les Éditions Claire Paulhan)에서 1999년에 재출간)
  • Sur l’Inde프랑스어 (인도에 관하여), 올리비에 제르맹-토마 서문, 파타 모르가나(Fata Morgana), 1994
  • Sous l'occupation프랑스어 (점령 하에서), 에디시옹 클레르 폴랑(Editions Claire Paulhan), 1997

5. 평가 및 영향

알베르 카뮈는 장 그르니에의 제자였으며, 그들 사이에는 깊은 우정이 있었다. 카뮈는 그르니에의 저서 ''레 질''에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의 첫 저서 ''결혼 · 여름''을 그르니에에게 헌정했다. 카뮈의 ''반항하는 인간'' 또한 그르니에에게 헌정되었으며, 1959년 ''레 질''의 두 번째 판 서문을 쓰기도 했다.

두 사상가는 서로 다른 길을 걸었는데, 카뮈는 반항에 이끌린 반면, 그르니에는 도교무위 사상을 수용하고 기독교의 고요주의를 실천했다.

그르니에는 당시 지식인 사회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여러 문학 저널에 기고했다. 장 폴랑의 친구였던 그는 라 누벨 레뷔 프랑세즈(NRF)에 자주 글을 기고했으며, 카뮈가 편집자로 있던 신문 ''Combat''과 장 다니엘 아래의 ''렉스프레스''에 칼럼을 게재했다.

그르니에는 비구상 미술의 발전에 특히 관심을 가졌으며, 현대 회화에 관한 글을 썼다. 소르본 대학교 학생들을 위해 쓴 미학사에 대한 그의 성찰은 ''예술과 그 문제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68년, 알베르 카뮈 추억집이 출판된 직후, 그르니에는 ''문학 대국민상''을 수상했다.

6. 한국에서의 수용

장 그르니에는 한국에서 주로 알베르 카뮈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저작 중 일부가 번역되어 소개되었는데, 예를 들어 ''섬'' (Les Îles)과 ''알베르 카뮈를 추억하며'' (Albert Camus - Souvenirs) 등이 있다. 그러나 그의 사상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