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82년은 서구 열강의 식민지 경쟁 심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위협, 청나라와 일본의 안정과 문화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해이다. 프랑스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으로 궁정을 옮겼고, 윌리엄 펜은 필라델피아를 건설했다. 러시아에서는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공동 차르로 즉위했으나, 소피아 알렉세예브나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조선은 숙종 통치 하 당쟁 심화와 허목의 죽음으로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할레이 혜성의 관측, 루이지애나 식민지 건설, 첼시 왕립 병원 건설 등이 있었다. 이 해에는 조반니 바티스타 모르가니, 칼 12세 등이 태어났고, 허목, 표도르 3세, 클로드 로랭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82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기년법 | 단기 4015년 불기 2226년 간지 임술년 (壬戌年) 서력기원 1682년 |
주요 사건 | |
발생 | 음력 2월 28일 조선 인현왕후 폐위 음력 3월 2일 조선 숙종의 계비로 인현왕후를 책봉하다. 4월 러시아 제국의 황제 표트르 1세가 통치에 합류했다. 5월 6일 프랑스의 왕 루이 14세가 베르사유 궁전으로 이주하다. |
탄생 | |
1월 26일 | 요한네스 구테르 (독일의 천문학자) |
2월 12일 | 히데타다 (일본 에도 막부의 제2대 쇼군) |
6월 27일 | 칼 12세 (스웨덴의 국왕) |
8월 1일 | 파울 스티어 (오스트리아의 예술가) |
9월 18일 | 아놀드 빌머 (영국의 법률가) |
10월 20일 | 마리아 안나 (오스트리아 여대공) |
10월 28일 | 요한 프리드리히 폰 라이너 (독일의 외과 의사) |
11월 12일 | 요한 폰 바크 (오스트리아의 변호사) |
사망 | |
1월 15일 | 마르그리트 드 부르고뉴 (프랑스의 귀족) |
3월 15일 | 야코프 폰 키르히텐 (독일의 의사) |
3월 24일 | 프란체스코 코르벨리니 (이탈리아의 작곡가) |
4월 2일 | 프란츠 3세 (에스토니아의 귀족) |
5월 25일 | 니콜라이 아프리치노 (러시아의 정치가) |
7월 7일 | 에드워드 스티어링 (영국의 변호사) |
8월 13일 | 프란츠 베르너 폰 슈테인바흐 (독일의 대학교수) |
9월 2일 | 리나드 폰 호프만 (독일의 지리학자) |
9월 15일 | 카스파 데르 (프랑스의 작가) |
10월 3일 | 지나 피사 (이탈리아의 화가) |
10월 6일 | 마카리오 1세 (세르비아 정교회의 대주교) |
10월 15일 | 토마스 딕슨 (영국의 정치가) |
12월 2일 | 로베르토 비탈레 (이탈리아의 화가) |
12월 5일 | 아돌프 폰 미힐렌 (독일의 예술가) |
12월 23일 | 엘리자베스 팔츠 (독일의 귀족) |
2. 역사적 배경
1682년, 서구 열강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식민지 경쟁을 심화시켰다. 프랑스는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이 미시시피 강 하구를 탐험하고, 현재 루이지애나주 베니스 근처에 프랑스령 ''라 루이지안''을 선포했다.[1] 영국은 윌리엄 펜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를 건설하고, 찰스 칼버트, 제3대 볼티모어 남작과 펜실베이니아와 메릴랜드 식민지의 경계(북위 40도선)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신성 로마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빈 공격 계획을 세웠다.[2]
동아시아에서는 청나라가 강희제 통치 아래 안정을 유지하며 발전했고, 일본은 에도 막부 시대의 안정 속에 덴나 원년(天和元年)에 에도(현재 도쿄)에서 대화재가 발생했다.
조선 숙종 시대에는 허목이 사망했다.[1]
2. 1. 국제 정세
1682년, 서구 열강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식민지 경쟁을 심화시켰다. 프랑스는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이 미시시피 강 하구를 탐험하고, 현재 루이지애나주 베니스 근처에 프랑스령 ''라 루이지안''을 선포하며 식민지를 확장했다.[1] 영국은 윌리엄 펜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를 건설하고, 찰스 칼버트, 제3대 볼티모어 남작과 펜실베이니아와 메릴랜드 식민지의 경계(북위 40도선)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등 식민지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오스만 제국은 신성 로마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빈 공격 계획을 세우며 유럽을 위협했다.[2]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청나라가 강희제의 통치 아래 안정을 유지하며 발전했고, 일본은 에도 막부 시대의 안정 속에 덴나 원년(天和元年)에 에도(현재 도쿄)에서 대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사건을 겪으면서도 문화가 발전했다.
2. 2. 조선의 상황
1682년 조선 숙종 시대, 허목이 사망하였다.[1] 허목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였다.[1]3. 주요 사건
- 1월 7일 - 제노바 공화국이 무단 신문 인쇄 및 모든 필사본 뉴스지를 금지했으나, 3개월 후 해제되었다.
- 1월 12일 - 스코틀랜드 정부의 종교 탄압에 저항하는 코브넌터 중 한 명인 제임스 렌윅 목사가 라나크 선언을 발표했다.
- 1월 21일 - 오스만 제국 군대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동원되었다. 이 전쟁은 1683년 비엔나 전투로 절정에 달했다.
- 1월 24일 - 브뤼셀 최초의 공공 극장인 콰이 오 푸앵 오페라가 개장했다.
- 2월 5일 - 일본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덴나 원년(天和元年) 12월 28일에 대화재가 발생했다.
- 2월 9일 - 토마스 오트웨이의 고전 희곡 《베니스 보존 또는 음모 발각》이 듀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 3월 11일 - 잉글랜드 런던에 노병들을 위한 첼시 왕립 병원 건설이 시작된다.[1]
- 4월 7일 -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이 미시시피 강 하구를 탐험했다.
- 4월 9일 -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이 미시시피 강 하구에서 프랑스의 ''루이지애나''를 선포했다.
- 5월 6일 - 프랑스 왕 루이 14세가 궁정을 베르사유 궁전으로 옮겼다.
- 5월 7일 (율리우스력 4월 27일) - 러시아 차르 표도르 3세가 사망하고,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공동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 5월 11일 - 1682년 모스크바 폭동이 발생하여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러시아의 공동 통치자로 즉위하고, 소피아 알렉세예브나가 섭정을 맡았다.
- 6월 8일 - 영국 무역선 ''요하나''가 남아프리카 해안에서 난파되어 10명이 사망했다.
- 6월 17일 - 인도네시아 반다르람풍이 수마트라 섬에 건설되었다.
- 6월 25일 (율리우스력 6월 15일) -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러시아의 공동 차르로 즉위했다.
- 7월 19일 - 이야수 1세가 에티오피아 황제가 되었다.
- 8월 6일 - 오스만 제국이 신성 로마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빈 공격 계획을 세웠다.
- 8월 12일 - 베수비오 화산이 10일간 화산 활동을 시작했다.
- 8월 23일 - 핼리 혜성이 지구에서 관측되었다.[2] 에드먼드 핼리는 이 혜성이 1758년에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 8월 25일 - 비드퍼드 마녀 재판 이후 세 명의 여성이 영국 엑서터에서 마녀로 처형당했다.[3]
- 9월 14일 - 웨일스 스완지에 고어 주교 학교가 설립되었다.
- 9월 24일 - 진깐이 베트남 통킹의 새로운 통치자가 되었다.
- 10월 12일 - 술탄 메흐메드 4세가 이스탄불을 떠나 아드리아노플로 향했다.
- 10월 19일 - 카라 무스타파가 오스만 군대를 이끌고 아드리아노플로 출발했다.
- 10월 27일 - 윌리엄 펜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를 건설했다.
- 11월 22일 - 런던 웨이핑에서 화재로 약 1,000채의 집이 파괴되었다.[4]
- 12월 11일 - 윌리엄 펜이 찰스 칼버트와 펜실베이니아와 메릴랜드 식민지의 경계에 대한 논의를 했다.
- 12월 27일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령 출신 식민 개척자들이 가나에 브란덴부르크 골드 코스트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3. 1. 유럽
5월 6일 - 프랑스 왕 루이 14세가 궁정을 베르사유 궁전으로 옮기면서, 베르사유는 유럽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로 떠올랐다.[1]3월 11일 - 잉글랜드 런던에 노병들을 위한 첼시 왕립 병원 건설이 시작되었다.[1]
1월 7일 - 제노바 공화국이 무단 신문 인쇄 및 모든 필사본 뉴스지를 금지했으나, 3개월 후 해제되었다.
1월 12일 - 스코틀랜드 정부의 종교 탄압에 저항하는 코브넌터 중 한 명인 제임스 렌윅 목사가 라나크 선언을 발표했다.
1월 21일 - 오스만 제국 군대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동원되었다. 이 전쟁은 1683년 비엔나 전투로 절정에 달했다.
1월 24일 - 브뤼셀 최초의 공공 극장인 콰이 오 푸앵 오페라가 개장했다.
2월 9일 - 토마스 오트웨이의 고전 희곡 《베니스 보존 또는 음모 발각》이 듀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8월 6일 - 오스만 제국이 신성 로마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빈 공격 계획을 세웠다.
8월 25일 - 비드퍼드 마녀 재판 이후 세 명의 여성이 영국 엑서터에서 마녀로 처형당했으며, 아마도 영국에서 마지막으로 교수형에 처해진 마녀일 것이다.[3]
9월 14일 - 웨일스 스완지에 고어 주교 학교가 설립되었다.
3. 2. 아메리카
4월 7일 -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살이 미시시피 강 하구를 탐험하고 4월 9일 프랑스의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선포했다.[4]10월 27일 - 윌리엄 펜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를 건설했다.[4]
3. 3. 아시아
- 5월 6일 - 로마노프 왕조 이반 5세가 표트르 1세와 함께 러시아의 공동 차르로 즉위했으나, 실권은 소피아 알렉세예브나가 행사했다.[2]
- 2월 5일 - 일본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덴나 원년(天和元年) 12월 28일에 대화재가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 1월 19일 (덴나 원년 12월 11일) - 호리타 마사토시가 로주에 취임했다.
- 키노시타 준안이 에도 막부 유관이 되었다.
- 이하라 사이카쿠의 『색정일대남』이 발간되어 인기를 끌었다.
- 9월 24일 - 진깐이 아버지 진탁의 사망 후 베트남 북부 하띤성까지 이르는 지역인 통킹의 새로운 통치자가 되어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 무굴 제국, 데칸 고원을 직할령으로 함.
4. 문화 및 과학
=== 문화 ===
=== 과학 ===
- 2월 25일 - 이탈리아의 해부학자이자 병리학자인 조반니 바티스타 모르가니가 태어났다.
4. 1. 문화
9월 - 할레이 혜성이 지구에 접근했고, 에드먼드 핼리가 이를 관측하였다. 같은 해, 토머스 오트웨이의 희곡 《베니스 보존》이 런던 듀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4. 2. 과학
- 2월 25일 - 이탈리아의 해부학자이자 병리학자인 조반니 바티스타 모르가니가 태어났다.
5. 인물
- 1월 1일 - 야코프 케틀러(Jacob Kettler), 독일 귀족 (1610년 출생)
- 1월 3일 - 올라우스 베렐리우스(Olaus Verelius), 고대 노르드어 및 스칸디나비아 연구 학자 (1618년 출생)
- 2월 2일 - 장 르 포트르(Jean Le Pautre), 프랑스 디자이너이자 판화가 (1618년 출생)
- 2월 10일 - 윌리엄 힉먼 경(Sir William Hickman, 2nd Baronet), 영국 하원 의원 (1629년 출생)
- 2월 15일
- * 클로드 드 라 콜롱비에르(Claude de la Colombière), 프랑스 예수회 사제이자 성인 (1641년 출생)
- * 구옌우(顧炎武, Gu Yanwu), 중국 청나라 학자이자 지리학자 (1613년 출생)
- 2월 18일 - 피에르 뒤푸이(Pierre Dupuis), 프랑스 화가 (1610년 출생)
- 2월 19일 - 다름슈타트의 프리드리히(Frederick of Hesse-Darmstadt), 독일 가톨릭 추기경 (1616년 출생)
- 2월 25일
- * 로버트 패커(Robert Packer), 영국 정치인 (1614년 출생)
- *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 이탈리아 작곡가 (1639년 출생)
- 3월 13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의 도로테아 아우구스타(Dorothea Augusta of Schleswig-Holstein-Gottorp), 독일 공녀 (1602년 출생)
- 3월 24일 - 뷔르템베르크-노이엔슈타트 공 프리드리히(Frederick, Duke of Württemberg-Neuenstadt), 독일 공작 (1615년 출생)
- 3월 31일 - 존 프레슈빌(John Frescheville, 1st Baron Frescheville), 영국 정치인 (1607년 출생)
- 4월 1일 - 휘르스텐베르크의 프란츠 에곤(Franz Egon of Fürstenberg), 독일 정치인이자 스트라스부르 대주교 (1625년 출생)
- 4월 6일 - 요한 폰 호버벡(Johann von Hoverbeck), 프로이센 외교관 (1606년 출생)
- 4월 8일 - 프랑수아 페로셸(François Perrochel), 프랑스 성직자 (1602년 출생)
- 5월 28일 - 베르뇌유 공작 앙리(Henri, Duke of Verneuil), 프랑스 주교 (1601년 출생)
- 7월 12일 - 장 피카르(Jean Picard), 프랑스 천문학자 (1620년 출생)
- 7월 19일 - 요한네스 1세(Yohannes I), 에티오피아 황제 (1640년경 출생)
- 8월 12일 - 장-루이 라뒤 드 수슈(Jean-Louis Raduit de Souches), 독일 제국 원수 (1608년 출생)
- 8월 24일
- * 존 메이트랜드(John Maitland, 1st Duke of Lauderdale) (1616년 출생)
- * 마리 샤를로트 드 라 트레무이유(Marie Charlotte de la Trémoille), 프랑스 귀족 (1632년 출생)
- 8월 26일 - 다운-팔켄슈타인 백작 빌헬름 비리히(William Wirich, Count of Daun-Falkenstein), 독일 귀족 (1613년 출생)
- 9월 8일 - 후안 카라무엘 이 로브코비츠(Juan Caramuel y Lobkowitz), 스페인 작가 (1606년 출생)
- 9월 16일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 Yamazaki Ansai), 일본 철학자 (1619년 출생)
- 10월 19일 - 토마스 브라운 경(Sir Thomas Browne), 영국 작가, 의사, 철학자 (1605년 출생)
- 10월 20일 - 안토니우 다스 샤가스(António das Chagas), 포르투갈 프란체스코 수도사이자 영적 작가 (1631년 출생)
- 11월 2일 - 프랜시스 브라운(Francis Browne, 3rd Viscount Montagu), 영국 귀족 (1610년 출생)
- 11월 4일 - 디르크 렘브란츠 판 니에롭(Dirck Rembrantsz van Nierop),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지도 제작자 (1610년 출생)
- 11월 14일 - 리클로프 판 고엔스(Rijcklof van Goens), 네덜란드 식민지 총독 (1619년 출생)
- 11월 29일 - 라인의 루퍼트 공(Prince Rupert of the Rhine), 독일 군인, 영국 내전의 왕당파 지휘관 (1619년 출생)
- 12월 18일
- * 헤니지 핀치(Heneage Finch, 1st Earl of Nottingham), 영국 정치인 (1621년 출생)
- * 구드리두르 시모나르도티르(Guðríður Símonardóttir), 터키 납치 사건의 희생자였던 아이슬란드 여성 (1598년 출생)
- 날짜 미상
- * 필립 캘버트(Phillip Calvert), 메릴랜드 식민지 총독 (1626년경 출생)
- * 마리아 닷디아니(Mariam Dadiani), 카르틀리 왕태후 (1599년/1609년 출생)
- * 5대 달라이 라마, 티베트 (1617년 출생)
5. 1. 탄생
- 2월 25일 - 조반니 바티스타 모르가니, 이탈리아의 해부학자이자 병리학자. (1771년 사망)
- 4월 16일 - 존 해들리, 영국의 발명가. (1744년 사망)
- 5월 17일 - 바르톨로뮤 로버츠, 흑수염 바트로도 알려진 웨일스 출신 해적. (1722년 사망)

- 6월 17일 - 스웨덴의 칼 12세, 스웨덴 국왕. (1718년 사망)
- 7월 10일 - 로저 코츠, 영국의 수학자. (1716년 사망)
- 8월 16일 - 부르고뉴 공 루이, 프랑스 왕위 계승자. (1712년 사망)
- 10월 29일 - 피에르 프랑수아 자비에르 드 샤를르부아, 프랑스 역사가. (1761년 사망)
- 날짜 미상 - 마르가레타 캅시아, 핀란드 화가. (1759년 사망)
5. 2. 사망
6. 연호 및 기년
국가 | 연호 | 재위 기간 | 비고 |
---|---|---|---|
동녕 | 영력 36년 | 정극상 원년 | |
청나라 | 강희 21년 | 성조 강희제 21년 | |
일본 | 덴나(天和|덴나일본어) 2년 | 황기 2342년 | |
후 레 왕조 | 찐호아(正和) 3년 | 희종 7년 | |
조선 | 숙종 8년 | 단기 4015년 | |
류큐왕국 | 쇼테이왕(尚貞王|쇼테이왕일본어) 14년 |
참조
[1]
서적
Penguin Pocket On This Day
Penguin Reference Library
[2]
서적
Atlas of Great Com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Trial of the Bideford Witches
[3]
웹사이트
The Devon "Witches"
https://exetercivics[...]
Exeter Civic Society
2022-07-27
[4]
서적
The Insurance Cyclopeadia: Being an Historical Treasury of Events and Circumstances Connected with the Origin and Progress of Insurance
C. & E. Lay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