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요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요령은 전량의 제5대 국왕으로, 343년에 태어나 353년에 즉위했으나, 355년에 사망했다. 장중화의 아들로, 10세에 세자가 되었고 아버지의 사후 대사마, 대장군 등의 직위를 가졌다. 그러나 장조와 조장의 계략으로 폐위되어 량녕후로 강등되었다. 이후 장관의 복위 시도가 있었으나 장조에게 체포되어 살해되었으며, 시호는 애공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34년 출생 - 혜원 (동진)
    혜원은 동진 시대의 승려이자 불교 사상가로, 유교와 도가 사상에도 능통했으며, 도안의 제자가 되어 출가 후 동림사를 창건하여 염불 수행 지도와 불교 교리 연구, 구마라습과의 서신 교환, 사문불경왕자론을 통해 불교의 정치적 독립성을 주장하는 등 당대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355년 사망 - 부건
    부건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진의 초대 황제로, 관중 지역을 장악한 후 대진을 건국하여 후조 잔존 세력 평정 및 동진의 북벌을 막아 전진의 기틀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폭력적인 아들에게 제위를 물려주어 혼란을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355년 사망 - 장조 (전량)
    장조는 전량의 인물로, 동생 장중화 사후 권력을 장악하여 왕을 자칭하고 폭정을 일삼다가 장관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장요령
기본 정보
이름장요령 (張曜靈)
작위서평공
시호애공 (哀公, 전량에서 추증)
생몰년344년 - 355년
아버지장중화
관직
관직 이름대사마, 호강교위, 량주자사, 서평공
재임 기간353년
이전장중화
이후장좌
묘호 및 시호
묘호없음
시호애공 (哀公)
연호
연호 이름건흥 (建興)
연호 기간353년
개인 정보
장요령 (張曜靈)
원슈 (元舒)

2. 생애

343년(건흥 31년), 장중화(張重華)의 아들로 태어났다. 353년(건흥 41년) 10월, 장중화가 병을 앓게 되자 10세의 장요령이 세자로 옹립되었다.

11월, 장중화가 위독해지자 공신 사애에게 장요령의 보정을 명하려 했으나, 장녕후 장조(張祚)·우장사 조장의 계략으로 저지당했다. 장중화가 세상을 떠나자 장요령이 뒤를 이어 대사마·대장군·호강교위·량주자사·량주·서평공을 칭했다. 아버지 장중화를 현릉에 장사지내고 소공(昭公)이라는 시호를 올렸다. 조장 등은 장중화의 유조를 조작하여 장조를 사지절·도독중외제군사·무군대장군에 임명하고 장요령의 보정을 위임했다.

12월, 조장 등은 "시기적으로 어려움이 아직 평정되지 않았고, 연장자인 군주를 세워야 합니다. 요령은 어리고 어려서, 부디 장녕후 좌를 세워주시길 바랍니다."라고 건의했다. 장조는 미리 장중화의 어머니인 마씨에게 이 일을 전했고, 마씨는 장조를 총애했기에 이를 인정했다. 이로 인해 장요령은 폐위되어 량녕후로 강등되어 유폐되었고, 장조가 대도독·대장군·량주목·량공이 되었다.

355년(화평 2년) 7월, 하주 자사 장관이 장조 토벌을 내걸고 거병하여, "장조를 폐하고 량녕후 장요령을 복위시켜야 한다"는 격문을 주군에 보냈다. 8월, 표기장군 송혼 또한 장관에 호응하자, 장조는 양추호를 파견하여 장요령을 체포하게 했다. 장요령은 동원에서 체포되어 살해되었고, 유해는 사구에 묻혔다. 시호는 애공(哀公)이라 하였다. 9월, 무시에 둔영하고 있던 송혼은 장요령을 위해 상을 치렀다.

2. 1. 출생과 즉위

343년 (건흥 31년), 장중화(張重華)의 아들로 태어났다. 353년(건흥 41년) 10월, 장중화가 병을 앓게 되자 10세의 장요령이 세자로 옹립되었다.

11월, 장중화가 위독해지자 공신 사애에게 장요령의 보정을 명하려 했으나, 장녕후 장조(張祚)·우장사 조장의 계략으로 저지당했다. 장중화가 세상을 떠나자 장요령이 뒤를 이어 대사마·대장군·호강교위·량주자사·량주·서평공을 칭했다. 아버지 장중화를 현릉에 장사지내고 소공(昭公)이라는 시호를 올렸다. 조장 등은 장중화의 유조를 조작하여 장조를 사지절[3]·도독중외제군사·무군대장군[4]에 임명하고 장요령의 보정을 위임했다.

12월, 조장 등은 "시기적으로 어려움이 아직 평정되지 않았고, 연장자인 군주를 세워야 합니다. 요령은 어리고 어려서, 부디 장녕후 좌를 세워주시길 바랍니다."라고 건의했다. 장조는 미리 장중화의 어머니인 마씨에게 이 일을 전했고, 마씨는 장조를 총애했기에 이를 인정했다. 이로 인해 장요령은 폐위되어 량녕후로 강등되어 유폐되었고, 장조가 대도독·대장군·량주목·량공이 되었다.

355년(화평 2년) 7월, 하주 자사 장관이 장조 토벌을 내걸고 거병하여, "장조를 폐하고 량녕후 장요령을 복위시켜야 한다"는 격문을 주군에 보냈다. 8월, 표기장군 송혼 또한 장관에 호응하자, 장조는 양추호를 파견하여 장요령을 체포하게 했다. 장요령은 동원에서 체포되어 살해되었고, 유해는 사구에 묻혔다. 시호는 애공(哀公)이라 하였다. 9월, 무시에 둔영하고 있던 송혼은 장요령을 위해 상을 치렀다.

2. 2. 장조의 정변과 폐위

353년 장중화(張重華)가 병에 걸리자 10세의 장요령이 태자가 되었으며, 장중화가 죽은 뒤 뒤를 이었다. 그러나 장중화의 서형(序兄)인 장조(張祚)가 장중화의 유언을 조작하여 후견인이 되어 정권을 장악하였다. 장조는 곧 장요령을 폐위하여 양녕후(凉寧候)로 삼았다.

355년 장관이 장요령을 복위시키려 하자, 장조는 양추호를 파견하여 장요령을 체포하고 살해했다. 장요령의 시체는 모래 구덩이에 매장되었으며, 시호는 애공(哀公)이라 하였다.

2. 3. 복위 시도와 죽음

장요령은 장중화(張重華)의 아들로 343년에 태어났다. 353년 장중화가 병에 걸리자 10세의 장요령이 태자가 되었으며, 곧이어 장중화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장중화의 서형(序兄)인 장조(張祚)가 장중화의 유언을 조작하여 후견인이 되어 정권을 장악하였다. 장조는 곧 장요령을 폐위하여 양녕후(凉寧候)로 삼았다.

355년장관이 장요령을 복위시키려 하였기 때문에 장조에게 살해당했고, 시체는 모래 구덩이에 매장당했다. 시호는 애공(哀公)이라 하였다.

3. 시호와 평가

4. 연호

건흥 (353년)

5. 가계

6. 둘러보기

참조

[1] 서적 Book of Jin
[2] 문서 『資治通鑑』には'''張曜霊'''と、『十六国春秋』には'''張霊耀'''と記載される
[3] 문서 『晋書』には持節とある
[4] 문서 『晋書』には撫軍将軍と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