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건은 317년에 태어나 355년에 사망한 전진의 초대 황제이다. 부홍의 아들로, 후조의 혼란 속에서 부친을 이어 장안을 점령하고 전진을 건국했다. 그는 동진의 관작을 받아 두홍을 안심시킨 뒤 장안을 점령하는 전략을 사용했으며, 천왕을 거쳐 황제에 즉위했다. 동진의 북벌을 격퇴하고 관중 지역의 지배력을 강화했지만, 말년에는 병으로 정무를 돌보지 못하고 반란을 진압한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17년 출생 -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로,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하고 사산 제국과의 전쟁과 내전을 겪었으며, 율리아누스의 반란으로 사망했다. - 317년 출생 - 데미스티우스
데미스티우스는 4세기에 활동한 로마 제국의 웅변가이자 철학자, 정치가로서, 여러 황제에게 정치 고문으로 활동하며 영향력을 행사했고, 아리스토텔레스 주석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는 등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355년 사망 - 장요령
장요령은 전량의 제5대 국왕으로, 353년에 즉위했으나 355년에 폐위되어 살해되었고 시호는 애공이다. - 355년 사망 - 장조 (전량)
장조는 전량의 인물로, 동생 장중화 사후 권력을 장악하여 왕을 자칭하고 폭정을 일삼다가 장관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후조 사람 - 장준 (전량)
장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량의 통치자로, 전조로부터 독립하고 동진에 복속을 표방하면서 서역 정벌과 하남 지역 재점령 등 세력을 확장하고 가량왕을 자칭하며 독자적인 통치 기반을 다졌다. - 후조 사람 - 봉추
봉추는 여러 시기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대상을 지칭하며, 부친상을 치른 후 모용외에게 발탁되어 정치에 기여하고 고구려로 망명하여 군사력 강화에 기여한 인물을 포함하여 그의 아들, 종자, 특정 인물의 아버지 등 여러 형태로 사용된다.
부건 | |
---|---|
기본 정보 | |
![]() | |
휘 | 부건 |
자 | 건업 |
묘호 | 고조 (高祖) |
시호 | 경명황제 (景明皇帝) |
생년 | 317년 |
몰년 | 355년 |
정치 | |
칭호 | 도독 관중 제군사 (都督關中諸軍事) 대장군 (大將軍) 대선우 (大單于) 대진천왕 (大秦天王) (351년 ~ 352년) 황제 (352년부터) |
재위 기간 | 351년 3월 4일 ~ 355년 |
즉위 | 351년 3월 4일 (천왕) |
황제 즉위 | 352년 2월 2일 (황제) |
연호 | 황시 (皇始) (351년 ~ 355년) |
후임 | 부생 |
가족 관계 | |
부친 | 부홍 |
배우자 | 황후 강씨 |
자녀 | 부생 |
기타 | |
가문 | 부 (蒲) |
왕조 | 전진 |
2. 생애
317년, 부홍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부건은 350년 아버지 부홍이 후조의 장군 마추에게 독살되자 마추를 처형하고 뒤를 이었다. 이후 관중을 장악하고 있던 두홍을 속이고 장안을 점령했다.
351년 정월, 국호를 대진(大秦)으로 정하고 천왕 및 대선우에 즉위하여 황시(皇始)를 연호로 사용했다. 352년에는 황제에 즉위했다. 이후 두홍의 잔당을 토벌하고, 전량, 동진의 사마훈(司馬勳) 등과 싸우면서 관중을 통치하였다. 한편 은호의 북벌군이 사주로 침공해오자 이에 맞서 승상 부웅(苻雄)을 파견하여 물리쳤으나 겨울에는 허창을 빼앗겼다.
353년 장안에서 장우(張遇)의 모반이 일어나 진압하였으나 다시 각지에서 모반이 일어났다. 부건은 부웅 등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였다. 354년 동진의 환온이 이끄는 북벌군이 쳐들어와 위기를 맞았으나, 청야작전을 펼쳐 환온군의 보급을 곤란하게 만들고, 부웅에게 기병을 주어 사마훈을 요격하게 하여 물리쳤다.
355년 태자 부장(苻萇)이 죽자 부생을 태자로 삼았다. 6월, 부건이 병에 걸려 앓아눕자 부건이 죽은 것으로 착각한 부청(苻菁) 등이 모반을 일으켰는데, 부건은 직접 출정하여 이 반란을 진압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4]
2. 1. 초기 생애와 후조 붕괴
317년, 부건은 부홍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350년 아버지 부홍이 후조의 장군 마추에게 독살되자, 부건은 마추를 처형하고 뒤를 이었다. 부건은 관중을 장악하고 있던 두홍(杜洪)을 방심시키기 위해 삼진왕(三秦王) 칭호를 버리고 동진의 관작을 받았으며, 주둔지에 보리를 파종하는 척했다. 이에 두홍은 방비를 소홀히 했고, 부건은 이 틈을 타 350년 겨울 장안을 점령했다.[4]351년 정월, 부건은 국호를 대진(大秦)으로 정하고 천왕 및 대선우에 즉위하여 황시(皇始)를 연호로 사용했다.[4] 352년에는 황제에 즉위했다.
2. 2. 전진 건국
350년 3월, 아버지 부홍이 군사(軍師) 마추에게 독살당하자, 부건은 마추를 처형하고 뒤를 이었다. 부건은 삼진왕(三秦王) 칭호를 버리고 한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동진에 귀속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그해 8월, 관중 지역의 장안에 있던 호족(豪族) 두홍을 격파하고 장안을 점령하였다.[4]351년 1월, 국호를 '''대진'''(大秦)으로 정하고 장안에서 천왕(天王) 겸 대선우(大單于)로 즉위하여 황시(皇始)를 연호로 사용하였다.[4]
2. 3. 통치와 위기
부건은 부홍의 셋째 아들로 317년에 태어났다. 350년 부홍이 죽자 뒤를 이었다. 부건은 관중을 지배하던 두홍(杜洪)을 방심시키기 위해 삼진왕(三秦王) 칭호를 버리고 동진의 관작을 받았으며 주둔지에서 보리를 파종하였다. 두홍은 이러한 부건의 책략에 속아 방비를 하지 않았으며, 부건은 이를 틈타 장안을 점령하였다.351년 정월, 부건은 진(秦)을 건국하고 천왕에 즉위하였으며, 352년에는 황제에 즉위하였다. 두홍의 잔당을 토벌하고, 전량, 동진의 사마훈(司馬勳) 등과 싸우면서 관중을 통치하였다. 한편 은호(殷浩)의 북벌군이 사주로 침공해오자 이에 맞서 승상 부웅(苻雄)을 파견하여 물리쳤으나 겨울에는 허창을 빼앗겼다. 353년 장안에서 장우(張遇)의 모반이 일어나 진압하였으나 다시 각지에서 모반이 일어났다. 부건은 부웅 등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였다. 354년 동진의 환온의 북벌군이 쳐들어와 부건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환온은 주력군을 장안으로 보내 부건을 묶어두는 한편 사마훈을 파견하여 장안 서쪽의 비어있는 땅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에 부건은 청야작전을 펼쳐 환온군의 보급을 곤란하게 만드는 한편 부웅에게 7천의 기병을 주어 사마훈을 요격하게 하였다. 환온은 장안 바로 근처까지 진군하였다가 보급 문제로 철군하였으며, 사마훈은 부웅의 공격을 받아 크게 패하고 한중으로 퇴각하였다. 이로써 위기를 넘긴 부건은 8월에 관중을 평정하는 데 성공하였다.[4]
355년 태자 부장(苻萇)이 죽자 부생을 태자로 삼았다. 6월, 부건이 병에 걸려 앓아눕자 부건이 죽은 것으로 착각한 부청(苻菁) 등이 모반하였는데, 부건은 직접 출정하여 이 반란을 진압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4]
2. 4. 최후
355년 6월, 부건이 병에 걸려 앓아눕자, 태자 부장(苻萇)이 죽은 후 태자가 된 부생을 죽이고 황위를 찬탈하려던 부청(苻菁) 등이 모반을 일으켰다. 부건은 직접 출정하여 이 반란을 진압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4] 향년 39세.[4]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부홍(苻洪) | 본래 이름은 포홍(蒲洪). 350년에 개명. 스스로 산친왕(三秦王)이라 칭함. 시호는 무회황제(武惠皇帝). 350년 마추(麻秋)에게 독살됨. |
어머니 | 강씨 부인 | |
배우자 | 강황후(羌皇后) | 351년 책봉, 356년 사망 |
자녀 (참고: 부견의 모든 아들들은,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351년에 공작으로 책봉되었고, 352년에 왕(王)으로 진봉되었으나, 부견이 황제가 아닌 "천왕"(天王)의 칭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357년에 다시 공작으로 강등되었음. 여기에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왕이 아닌 공작으로만 언급함) | ||
아들 | 부창(苻萇) | 현애태자(獻哀太子). 351년 책봉, 354년 사망 |
부정(苻靚) | 평원공(平原公). 351년 책봉 | |
부생(苻生) | 회남공(淮南公, 351년 책봉), 태자(355년 책봉), 황제 | |
부적(苻覿) | 장락공(長樂公). 351년 책봉 | |
부방(苻方) | 고양공(高陽公). 351년 책봉. 385년 여산 전투에서 서연(西燕)에 의해 사망 | |
부석(苻碩) | 북평공(北平公). 351년 책봉 | |
부등(苻騰) | 회양공(淮陽公). 351년 책봉, 364년 처형 | |
부류(苻柳) | 진공(晉公). 351년 책봉, 368년 처형 | |
부동(苻桐) | 여남공(汝南公). 351년 책봉 | |
부수(苻廋) | 위공(魏公). 351년 책봉, 368년 자결 강요받음 | |
부무(苻武) | 연공(燕公). 351년 책봉, 368년 처형 | |
부유(苻幼) | 조공(趙公). 351년 책봉, 365년 전투 중 사망 | |
부동(苻東) | 클루공( Klu公). 351년 책봉, 368년 처형 |
4. 평가
전진의 통치자 부견은 근면하고 검소한 군주로 묘사되지만, 폭력적이고 쉽게 화를 내는 성격이었다. 예를 들어, 351년 그는 가(賈)가 황제 칭호 대신 왕의 칭호를 제안한 것에 분노하여 가(賈)와 그의 아들들을 죽였다.
4. 1. 부정적 평가
전진의 통치자 부견(苻堅)은 근면하고 검소한 군주로 묘사되지만, 폭력적이고 쉽게 화를 내는 성격이었다. 예를 들어, 351년 그는 가(賈)가 황제 칭호 대신 왕의 칭호를 제안한 것에 분노하여 가(賈)와 그의 아들들을 죽였다.참조
[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
서적
晋書
[3]
서적
十六国春秋
[4]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