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윤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윤성은 대한민국의 지휘자이다.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작곡 및 지휘를 전공하고, 오스트리아 빈 국립 음악 대학교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유학했다. 1993년 프로코피예프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서 2위, 1997년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부문에서 2위를 수상했다. 마린스키 극장에서 발레리 게르기예프에게 사사했으며, 펜데레츠키의 교향곡 5번 "코리아" 유럽 초연을 지휘했다.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 울산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고,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등 국내외 주요 오케스트라와 객원 지휘 활동을 했다. 2008년 오사카 음악 대학 더·컬리지·오페라하우스 관현악단 수석 지휘자로 취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 동문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 동문 - 안톤 브루크너
    안톤 브루크너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11개의 교향곡과 종교 음악 등을 작곡했으며,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서양 고전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지휘자 - 임원식
    임원식은 평안북도 의주 출신으로, 일본과 미국에서 음악을 수학하고 지휘자, 피아니스트, 교육자로 활동하며, 아시아인 최초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했고, 고려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지휘자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 - 윤시내
    윤시내는 1978년 데뷔하여 18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동하며, TBC 방송가요대상, KBS 가요대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 - 박현선 (아나운서)
    박현선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출신으로 2003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KBS 1TV, KBS 2TV 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을 했다.
장윤성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장윤성
로마자 표기Jang Yunseong
한글장윤성
한자張允聖
가타카나チャン・ユンソン
기본 정보
출생일1963년 12월 9일
출생지서울
직업지휘자
학력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경력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조교수
서울시립교향악단 수석 객원 지휘자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울산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창원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오사카음악대학 더 컬리지 오페라하우스 관현악단 수석 지휘자
대전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지휘전공 교수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3대 상임지휘자
수상프로코피에프 국제 지휘자 콩쿨 2위
도쿄 국제 지휘 콩쿨 2위
웹사이트장윤성 웹사이트 (예시)
울산시립교향악단
전임유종 (1998-2000)
임기2000-2003
후임이대욱 (2003-2007)
창원시립교향악단
전임김도기 (1991-2003)
임기2003-2007
후임정치용 (2008-)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
전임김종덕 (1993-1999)
임기1999-2000
후임박태영 (2000-)
대전시립교향악단
전임에드몬 콜로메르 (2007-2009)
임기2009-2010
후임금노상 (2011-)

2. 생애 및 경력

장윤성은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예술고등학교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지휘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빈 국립 음악 대학교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유학하며 지휘 경력을 쌓았다. 1993년 프로코피예프 국제 지휘자 콩쿠르 2위, 1997년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부문 2위 등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1]

귀국 후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1999-2000), 울산시립교향악단(2000-2003), 창원시립교향악단(2003-2007)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2004년에는 쇤베르크의 '구레의 노래' 한국 초연을 지휘했다.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국내 오케스트라뿐만 아니라, 상트페테르부르크 필, 키로프 극장 관현악단,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해외 유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했다. 유니버설 발레단과 함께 영국,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

특히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는데, 도쿄 교향악단, 오사카 필하모니 교향악단 등을 객원 지휘했고, 2002년에는 '5000인의 제9' 콘서트에서 외국인 최초로 지휘봉을 잡았다.[2] 2005년 한일 우정의 해 기념 세종문화회관·서울시 오페라단의 '심청' 일본 공연[3], 2007년 아시아 오케스트라 위크에 KBS 교향악단을 이끌고 참가하는 등[4][5] 한일 문화 교류에도 기여했다. 2008년에는 오사카 음악 대학 더·컬리지·오페라하우스 관현악단의 수석 지휘자로 취임했다.

2. 1. 초기 생애 (1963-1993)

1963년 12월 9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고등학교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에서 작곡을 배웠다.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휘과에 진학하여 지휘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수료 후 오스트리아의 빈 국립 음악 대학교 지휘과와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으로 유학했다.

러시아 유학 중이던 1993년, 프로코피예프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 출전하여 2위 입상했다. 이 입상을 계기로 1년간 마린스키 극장(키로프 극장)에 지휘 연구원으로 소속되어, 거기서 발레리 게르기예프에게 사사했다.[1]

2. 2. 국제 무대 진출 (1993-1997)

러시아 유학 중이던 1993년, 프로코피예프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 출전하여 2위로 입상했다. 이를 계기로 1년간 마린스키 극장(키로프 극장)에서 지휘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발레리 게르기예프에게 사사했다.[1]

1995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펜데레츠키교향곡 5번 "코리아(KOREA)" (한국 정부 위촉 작품)의 유럽 초연을 지휘했다.[1]

1997년, 제11회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에서 1위 없이 2위에 입상하고, 동시에 사이토 히데오 상도 수상했다. 귀국 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조교수로 취임했다.

2. 3. 국내 활동 및 교육 (1997-2007)

1997년, 제11회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에서 1위 없이 2위(사이토 히데오 상 동시 수상)를 하고 귀국 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조교수로 취임했다.[1]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현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 단장 겸 음악 감독을 맡았고,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울산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창원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2004년, 서울과 통영에서 쇤베르크 작곡 『구레의 노래』의 한국 초연을 했다.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 울산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 외에도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에 객원 출연했으며, 유니버설 발레단과 협력하여 영국, 미국, 캐나다에서 순회 공연을 했다.

2. 4. 국제 교류 및 협력

장윤성은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국내 주요 오케스트라에 객원으로 출연하였고, 유니버설 발레단과 협력하여 영국, 미국, 캐나다에서 순회 공연을 하였다.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 키로프 극장 관현악단,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심포니 오케스트라, 폴란드의 크라쿠프 방송 교향악단 등 외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와도 객원 활동을 진행하였다.

2. 5. 일본과의 관계

장윤성은 도쿄 교향악단, 오사카 필하모니 교향악단 등과 객원 지휘를 하는 등 일본과도 관계를 맺어왔다.

2002년 2월 도쿄에서 개최된 "제18회 5000인의 제9"에서 외국인 지휘자로는 처음으로 지휘봉을 잡아 성공을 거두었다.[2] 2005년 10월에는 한일 우정의 해 2005 관련 사업으로, 간사이 2기회 등이 주최한 세종문화회관·서울시 오페라단 첫 일본 공연 "심청"을 오사카와 효고(아마가사키)에서 개최했을 때 더 컬리지 오페라 하우스 관현악단과 협력하여 김동진 작곡의 오페라 '심청'을 연주했다.[3]

2007년 10월, 도쿄와 오사카에서 개최된 "아시아 오케스트라 위크 2007"에 KBS 교향악단을 이끌고 참가하여, 도쿄와 오사카 두 도시에서 최성환 작곡의 '아리랑'을 비롯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4][5]

참조

[1] 웹사이트 <韓国文化>オーケストラ通しアジアを"体感"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07-09-14
[2] 웹사이트 関西クラシック音楽情報・・・コンサート アーカイブ・・・ 2005年10月前半の演奏会 http://www.jkcf.or.j[...] 日韓文化交流基金
[3] 웹사이트 ソウル市オペラ団公演「沈清」(兵庫公演) http://www.jkcf.or.j[...] 日韓文化交流基金
[4] 웹사이트 アジア オーケストラ ウィーク2007 http://www.orchestra[...] 日本オーケストラ連盟
[5] 웹사이트 アジア オーケストラ ウィーク2007 http://www3.realint.[...] 日本オーケストラ連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