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산법화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산법화원은 일본 천태종의 효시인 엔닌 대사의 《입당구법순례행기》를 토대로 건립된 사찰이다. 당나라 때 신라인 장보고가 창립을 기념하여 신라, 당나라, 일본의 승려들을 모아 법화경을 읽는 등, 9세기 동아시아 불교 교류의 중요한 장소였다. 1988년 중국 정부가 한중 우호를 기념하여 복원 공사를 시작, 1990년에 개관했으며, 주요 시설로 장보고 기념관, 대웅보전, 관음전, 삼불전 등이 있다. 적산법화원에서 거행된 법화원 법회는 신라의 법회 의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이하이시의 건축물 - 하얼빈 공업대학
하얼빈 공업대학은 1920년에 설립되어 철도 기술자 양성을 목표로 발전해 온 중국의 명문 공과 대학으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항공우주, 국방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웨이하이와 선전에 분교를 운영하고 있다. - 웨이하이시의 건축물 - 웨이하이 다슈이보 공항
웨이하이 다슈이보 공항은 중국 웨이하이에 위치한 4D급 공항으로, 2005년 확장 공사를 통해 보잉 767 및 에어버스 A300 크기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과 대한민국 주요 도시 연결 노선을 운항한다. - 신라의 불교 - 법흥왕
법흥왕은 신라의 제23대 왕으로, 율령 반포, 불교 공인, 군사 제도 개혁, 가야 정복 등을 통해 왕권 강화와 국가 체제 정비에 힘썼으며,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국교로 공인하고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적인 국가임을 천명했다. - 신라의 불교 - 백고좌
백고좌는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100명의 법사가 《인왕반야경》을 강독하는 불교 의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중요한 불교 의례로 자리 잡았으며, 정치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적산법화원 | |
|---|---|
| 기본 정보 | |
| 명칭 | 적산법화원 |
| 한자 표기 | 積善法華院 |
| 영어 표기 | Jeoksan Beophwa hermitage |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
| 상세 정보 | |
| 창건 시기 | 고려 시대 |
| 창건자 | 미상 |
| 소속 종단 | 대한불교조계종 |
| 웹사이트 | 적산법화원 |
| 문화재 지정 현황 | 양주 적산리 마애여래입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양주 적산동 석조여래입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
2. 역사
적산법화원은 일본 천태종의 효시인 엔닌 대사가 쓴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토대로 건립됐다. 제2권 개성 4년 유월(開成 四年 六月, 839년(당 문종 4년) 6월 7일) 배를 타고, 적산으로 가서 적산촌에 있는 적산 법화원을 소개하고 있다. 이 날의 일기에서 이 절은 장보고가 처음으로 세운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1]
또한 당나라 때 신라인 장보고가 창립을 기념하여 신라, 당나라, 일본의 승려들을 모아놓고 《법화경》(法華經)을 읽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의 일기에서 엔닌 대사는 장보고가 건립한 법화원(法華院)의 행사와 모습과 규모 등을 기행문에 상세히 담았고, 그도 귀국 후에도 교토에 적산선원을 세웠다.
1988년 중국 정부는 한중 양국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해 적산법화원의 복원공사를 시작해 1990년 5월에 개관했고, 1994년 7월 25일 대한민국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장보고기념탑에 친필로 '장보고 기념탑'(張保皐紀念塔)이라는 글을 남겼다.
2. 1. 건립 배경
2. 2. 엔닌의 기록
일본 천태종의 효시인 엔닌 대사가 쓴 《입당구법순례행기》를 토대로 적산법화원이 건립됐다.[1] 제2권 개성 4년 유월(839년 6월 7일) 배를 타고, 적산으로 가서 적산촌에 있는 적산 법화원을 소개하고 있다. 이 날의 일기에서 이 절은 장보고가 처음으로 세운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1]또한 당나라 때 신라인 장보고가 창립을 기념하여 신라, 당나라, 일본의 승려들을 모아놓고 《법화경》을 읽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엔닌 대사는 장보고가 건립한 법화원의 행사와 모습과 규모 등을 기행문에 상세히 담았고, 그도 귀국 후에도 교토에 적산선원을 세웠다.
1988년 중국 정부는 한중 양국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해 적산법화원의 복원공사를 시작해 1990년 5월에 개관했고, 1994년 7월 25일 대한민국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장보고기념탑에 친필로 '장보고 기념탑'(張保皐紀念塔)이라는 글을 남겼다.
2. 3. 현대의 복원
적산법화원은 일본 천태종의 효시인 엔닌 대사가 쓴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토대로 건립됐다.[1] 제2권 개성 4년 유월(開成 四年 六月, 839년) 6월 7일) 배를 타고, 적산으로 가서 적산촌에 있는 적산 법화원을 소개하고 있다. 이 날의 일기에서 이 절은 장보고가 처음으로 세운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1]
또한 당나라 때 신라인 장보고가 창립을 기념하여 신라, 당나라, 일본의 승려들을 모아놓고 《법화경》(法華經)을 읽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엔닌은 장보고가 건립한 법화원(法華院)의 행사와 모습과 규모 등을 기행문에 상세히 담았고, 귀국 후에도 교토에 적산선원을 세웠다.
1988년 중국 정부는 한중 양국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해 적산법화원의 복원공사를 시작해 1990년 5월에 개관했고, 1994년 7월 25일 대한민국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장보고기념탑에 친필로 '장보고 기념탑'(張保皐紀念塔)이라는 글을 남겼다.
3. 주요 시설
법화원(法華院)에는 총 다섯 채로 구성된 해상왕 장보고 기념관이 있으며, 높이 8m의 거대한 장보고 동상을 비롯해 그의 생애를 알 수 있는 다섯 개의 전시실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 그리고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 그리고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곳이다.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 대법당인 삼불전과 함께 법화원의 주요 건물이다.
법화원(法華院)에는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과 함께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
3. 1. 장보고 기념관
법화원(法華院)에는 총 다섯 채로 구성된 해상왕 장보고 기념관이 있으며, 높이 8m의 거대한 장보고 동상을 비롯해 그의 생애를 알 수 있는 다섯 개의 전시실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 그리고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
3. 2. 대웅보전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 그리고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3. 3. 관음전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곳이다.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 대법당인 삼불전과 함께 법화원의 주요 건물이다.3. 4. 삼불전
법화원(法華院)에는 석가모니 상이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관음전(觀音殿)과 함께 대법당인 삼불전(三佛殿)이 있다.4. 법화원 법회
신라의 법회의식을 가장 명확하게 알려주는 현존 기록은 당나라 등주 문등현 적산촌(登州文登縣赤山村)에 세워진 신라 승원 법화원에서 거행된 강경의식(講經儀式)과 1일강의식(一日講儀式) 등의 '''법화원 법회'''(法花院法會)이다.[2] 송경의식(誦經儀式)이 수록된 것은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권2 개성(開城) 4년(839) 11월 22일조이다.[2]
이 법화원 강경의식은 진시(辰時)에 강경종을 울려 대중을 집회시키며, 대중이 모두 법당에 모이면 강사가 등단하고 신라음으로 칭불(稱佛)하며, 또한 대중이 함께 계향, 정향, 혜향, 혜탈향 등을 합송한다.[2] 그 다음 강경할 제목을 올리고 그 제목에 준하여 문답형식으로 경전을 강설한다.[2] 정해진 시간에 주어진 강경이 끝나고 강사가 하단하면 한 승려가 "처세계여허공(處世界如虛空)"이라 창하고,[2] 그러면 모두가 승당 밖으로 나가고 1일법회는 끝나게 된다.[2] 이러한 법화원 강경법회는 11월 16일에 시작하여 그 다음해 정월 15일까지 거행된다.[2]
강경은 경전을 강의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출가 승려와 일반 신도를 청중으로 삼는다.[2] 불교의 대중화가 이 의식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민중의 교화도 이러한 법회 의식을 거쳐 이루어졌다.[2] 그러나 이와 같은 법회가 베풀어진다 하더라도 일반 대중이 그들의 강경 내용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어서,[2] 불전(佛典)의 내용을 손쉽게 이해시키는 길이 마련되어야 하였다.[2] 이처럼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직승을 '''범패사'''(梵唄師)라 한다.[2]
강경의식이 시설될 때 강사를 보조하여 범패를 창하여 불교 이해의 도를 높이는 것이 보통인데, 이때 범패를 부르는 승려를 '''작범법사'''(作梵法師)라 하여 대중 교화의 역할이 대단하였음을 강조하고 있다.[2] 엔닌(圓仁)의 《순례행기》 권2 개성 4년(839) 11월 22일조에 의하면 '''복강사'''(覆講師)가 나오는데, 이것도 작범법사와 같이 강사가 전날에 강연했던 경문을 되풀이하여 대중에게 경전의 깊은 뜻을 이해시키는 데 진력하였던 직승이다.[2]
이 적산촌 법화원에서 이루어진 강경의식은 신라뿐만 아니라 당나라의 불교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2]
4. 1. 강경의식
신라의 법회의식을 가장 명확하게 알려주는 현존 기록은 당나라 등주 문등현 적산촌(登州文登縣赤山村)에 세워진 신라 승원 법화원에서 거행된 강경의식(講經儀式)과 1일강의식(一日講儀式) 등의 '''법화원 법회'''(法花院法會)이다.[2] 송경의식(誦經儀式)이 수록된 것은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권2 개성(開城) 4년(839) 11월 22일조이다.[2]이 법화원 강경의식은 진시(辰時)에 강경종을 울려 대중을 집회시키며, 대중이 모두 법당에 모이면 강사가 등단하고 신라음으로 칭불(稱佛)하며, 또한 대중이 함께 계향, 정향, 혜향, 혜탈향 등을 합송한다.[2] 그 다음 강경할 제목을 올리고 그 제목에 준하여 문답형식으로 경전을 강설한다.[2] 정해진 시간에 주어진 강경이 끝나고 강사가 하단하면 한 승려가 "처세계여허공(處世界如虛空)"이라 창하고,[2] 그러면 모두가 승당 밖으로 나가고 1일법회는 끝나게 된다.[2] 이러한 법화원 강경법회는 11월 16일에 시작하여 그 다음해 정월 15일까지 거행된다.[2]
강경은 경전을 강의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출가 승려와 일반 신도를 청중으로 삼는다.[2] 불교의 대중화가 이 의식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민중의 교화도 이러한 법회 의식을 거쳐 이루어졌다.[2] 그러나 이와 같은 법회가 베풀어진다 하더라도 일반 대중이 그들의 강경 내용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어서,[2] 불전(佛典)의 내용을 손쉽게 이해시키는 길이 마련되어야 하였다.[2] 이처럼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직승을 '''범패사'''(梵唄師)라 한다.[2]
강경의식이 시설될 때 강사를 보조하여 범패를 창하여 불교 이해의 도를 높이는 것이 보통인데, 이때 범패를 부르는 승려를 '''작범법사'''(作梵法師)라 하여 대중 교화의 역할이 대단하였음을 강조하고 있다.[2] 엔닌(圓仁)의 《순례행기》 권2 개성 4년(839) 11월 22일조에 의하면 '''복강사'''(覆講師)가 나오는데, 이것도 작범법사와 같이 강사가 전날에 강연했던 경문을 되풀이하여 대중에게 경전의 깊은 뜻을 이해시키는 데 진력하였던 직승이다.[2]
이 적산촌 법화원에서 이루어진 강경의식은 신라뿐만 아니라 당나라의 불교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2]
4. 2. 1일강의식
4. 3. 의의
신라의 법회의식을 가장 명확하게 알려주는 현존 기록은 당나라 등주 문등현 적산촌(登州文登縣赤山村)에 세워진 신라 승원 법화원에서 거행된 강경의식(講經儀式) '''·''' 1일강의식(一日講儀式) 등의 '''법화원 법회'''(法花院法會)이다.[2] 송경의식(誦經儀式)이 수록된 것은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권2 개성(開城) 4년(839) 11월 22일조이다.[2]이 법화원 강경의식은 진시(辰時)에 강경종을 울려 대중을 집회시키며, 대중이 모두 법당에 모이면 강사가 등단하고 신라음으로 칭불(稱佛)하며, 또한 대중이 함께 계향 '''·''' 정향 '''·''' 혜향 '''·''' 혜탈향 등을 합송한다.[2] 그 다음 강경할 제목을 올리고 그 제목에 준하여 문답형식으로 경전을 강설한다.[2] 정해진 시간에 주어진 강경이 끝나고 강사가 하단하면 한 승려가 "처세계여허공(處世界如虛空)"이라 창하고, 모두 승당 밖으로 나가면 1일법회는 끝나게 된다.[2] 이러한 법화원 강경법회는 11월 16일에 시작하여 그 다음해 정월 15일까지 거행된다.[2]
강경은 경전을 강의·해석하는 것으로 출가 승려와 일반 신도를 청중으로 삼는다.[2] 불교의 대중화가 이 의식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민중의 교화도 이러한 법회 의식을 거쳐 이루어졌다.[2]
그러나 이와 같은 법회가 베풀어진다 하더라도 일반 대중이 그들의 강경 내용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어서, 불전(佛典)의 내용을 손쉽게 이해시키는 길이 마련되어야 하였다.[2] 이처럼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직승을 '''범패사'''(梵唄師)라 한다.[2]
그리고 강경의식이 시설될 때 강사를 보조하여 범패를 창하여 불교 이해의 도를 높이는 것이 보통인데, 이때 범패를 부르는 승려를 '''작범법사'''(作梵法師)라 하여 대중 교화의 역할이 대단하였음을 강조하고 있다.[2]
엔닌(圓仁)의 《순례행기》 권2 개성 4년(839) 11월 22일조에 의하면 '''복강사'''(覆講師)가 나오는데, 이것도 작범법사와 같이 강사가 전날에 강연했던 경문을 되풀이하여 대중에게 경전의 깊은 뜻을 이해시키는 데 진력하였던 직승이다.[2]
이 적산촌 법화원에서 이루어진 강경의식은 신라뿐만 아니라 당나라의 불교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2]
참조
[1]
서적
입당구법순례행기
0839-00-00
[2]
백과사전
법화원 법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