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능은 "모든"을 의미하는 라틴어 접두사 "omni-"와 "유력한" 또는 "강력한"을 의미하는 "potens"에서 유래된 단어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스콜라 철학에서는 신의 전능함이 논의되었으며, 중세 신학자들은 전능한 신조차 할 수 없는 특정 행위가 있다고 주장했다. 심리학에서는 프로이트가 유아기의 거대망상증과 전능의 연관성을, 위니콧은 초기 전능에 대한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일부 유일신교에서는 신의 전능함에 대한 제한을 두거나,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를 창조하기 위해 스스로 전능함을 제한했다고 보기도 한다. 과정 신학은 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무제한적인 전능성을 거부하며, 성경적 근거에 대한 해석도 다양하다.

2. 어원

'전능'이라는 단어는 "모든"을 의미하는 라틴어 접두사 'omni-'와 "유력한" 또는 "강력한"을 의미하는 'potens'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이 용어는 "전능한"을 의미한다.[1]

3. 의미

토마스 아퀴나스는 "모두가 신이 전능하다고 고백하지만, 그의 전능함이 정확히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설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하며, "'신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구절은 신이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올바르게 이해된다"고 설명했다.[5] 아퀴나스는 신의 지식과 의지가 효과적인 원리로서 힘의 개념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신의 지식과 의지에 대한 고려는 그의 힘에 대한 고려보다 앞선다고 설명한다.[7]

전능함과 관련하여, 신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수 없다는 모순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이는 궤변이라고 주장된다. 신이 가능한 모든 것을 실현할 수 있지만, 실현된 가능성의 어떤 숫자도 그의 힘을 소진시키지 못한다는 것은 모순이 아니다. 전능함은 모든 잠재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완벽한 힘이기 때문이다. 신의 활동은 진화나 변화 없이 단순하고 영원하며, 가능성에서 현실로의 전환은 창조물에서만 발생한다.[6]

중세 신학자들은 전능한 신조차 할 수 없는 특정 것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걷기, 앉기, 출산과 같은 인간의 행위는 힘의 이점이라기보다는 인간의 힘의 결함 때문에 가능하며, 죄를 지을 수 있는 능력은 힘이 아니라 결함 또는 허약함이다. 신이 불가능한 일(예: 사각형 원)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아퀴나스는 "모순을 내포하지 않는 모든 것은 신이 전능하다고 불리는 가능한 것들 안에 포함된다"고 답했다.[5]

C. S. 루이스는 그의 저서 ''고통의 문제''에서 "그의 전능함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고 말하며, 아퀴나스의 모순에 대한 견해를 따랐다.[9]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성인 신경증 환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전능'을 부여하는 것은 "유아기의 오래된 거대망상증의 유물에 대한 솔직한 인정"이라고 생각했다.[10] 프로이트는 대부분의 편집성 장애에서 거대망상증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본질적으로 유아적이며 발달 과정에서 사회적 고려에 의해 희생된다고 결론 내렸다.[11]

에드먼드 버글러는 프로이트와 페렌치의 연구를 인용하며, 아이는 오랫동안 일종의 거대망상증 속에서 살며, 자신의 과대평가된 자아만을 척도로 삼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거대망상증은 매우 어린 아이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하인츠 코헛은 자기애적 환자의 '거대망상증'을 정상적인 발달의 일부로 간주했다.

도널드 위니콧은 초기 전능에 대한 믿음을 아이의 웰빙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고, "충분히 좋은" 어머니의 역할이 아이가 "전능감 상실의 엄청난 충격에 대처"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15]

3. 1.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능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했다. 그는 "모두가 신이 전능하다고 고백하지만, 그의 전능함이 정확히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설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하며, "'신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구절은 신이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올바르게 이해된다"고 설명했다.[5] 스콜라 철학에서 전능함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한이나 제약과 양립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능함과 관련하여, 신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수 없다는 모순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이는 궤변이라고 주장된다. 신이 가능한 모든 것을 실현할 수 있지만, 실현된 가능성의 어떤 숫자도 그의 힘을 소진시키지 못한다는 것은 모순이 아니다. 전능함은 모든 잠재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완벽한 힘이기 때문이다. 신의 활동은 진화나 변화 없이 단순하고 영원하며, 가능성에서 현실로의 전환은 창조물에서만 발생한다.[6]

아퀴나스는 신의 지식과 의지가 효과적인 원리로서 힘의 개념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신의 지식과 의지에 대한 고려는 그의 힘에 대한 고려보다 앞선다고 설명한다.[7]

중세 신학자들은 전능한 신조차 할 수 없는 특정 것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걷기, 앉기, 출산과 같은 인간의 행위는 힘의 이점이라기보다는 인간의 힘의 결함 때문에 가능하며, 죄를 지을 수 있는 능력은 힘이 아니라 결함 또는 허약함이다. 신이 불가능한 일(예: 사각형 원)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아퀴나스는 "모순을 내포하지 않는 모든 것은 신이 전능하다고 불리는 가능한 것들 안에 포함된다"고 답했다.[5]

C. S. 루이스는 그의 저서 ''고통의 문제''에서 스콜라 철학의 입장을 채택했다. 루이스는 "그의 전능함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고 말하며, 아퀴나스의 모순에 대한 견해를 따랐다.[9]

3. 2. 정상적인 아동 발달 단계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성인 신경증 환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전능'을 부여하는 것은 "유아기의 오래된 거대망상증의 유물에 대한 솔직한 인정"이라고 생각했다.[10] 프로이트는 대부분의 편집성 장애에서 거대망상증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본질적으로 유아적이며 발달 과정에서 사회적 고려에 의해 희생된다고 결론 내렸다.[11]

에드먼드 버글러는 프로이트와 페렌치의 연구를 인용하며, 아이는 오랫동안 일종의 거대망상증 속에서 살며, 자신의 과대평가된 자아만을 척도로 삼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거대망상증은 매우 어린 아이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하인츠 코헛은 자기애적 환자의 '거대망상증'을 정상적인 발달의 일부로 간주했다.

도널드 위니콧은 초기 전능에 대한 믿음을 아이의 웰빙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고, "충분히 좋은" 어머니의 역할이 아이가 "전능감 상실의 엄청난 충격에 대처"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15]

4. 거부 또는 제한

일부 유일신교 신봉자들은 신이 전능하다는 견해를 거부하거나,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를 창조하기로 선택함으로써 신이 자신의 전능함을 제한했다고 본다. 보수 유대교, 개혁 유대교, 개방 신학을 포함한 개신교 일부 종파에서는 신이 강압이 아닌 설득을 통해 세상에 작용한다고 말한다. 신은 기적이나 자연 법칙 위반이 아니라 영감과 가능성의 창조를 통해 세상에 나타난다.[17][18]

4. 1. 철학적 근거

과정 신학은 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무제한적인 전능성을 거부하며, 고전적으로 이해되는 전능성은 완벽함보다 못하며, 따라서 완벽한 신의 개념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아이디어는 플라톤이 자주 간과하는 "존재는 힘이다"라는 진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19]

플라톤에 따르면, 다른 존재에게 영향을 주거나 받는 힘을 가진 모든 것은 실재하며, 존재의 정의는 단순히 힘이다.[19]

이 전제에서 찰스 하츠혼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힘은 영향력이며, 완벽한 힘은 완벽한 영향력이다. 힘은 적어도 어떤 대상에 작용해야 한다. 그러나 통제되는 대상은 절대적으로 비활성적일 수 없다. 왜냐하면 단순히 수동적인 것은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작용을 받는 대상이 부분적으로 능동적이라면, "절대적인" 힘에 대한 저항이 어느 정도 존재해야 한다. 저항을 받는 힘이 어떻게 절대적일 수 있는가?

이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존재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떤 능동적인 경향을 가져야 한다.

# 존재가 어떤 능동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면, 창조주에게 저항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 존재가 창조주에게 저항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면, 창조주는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젤리 푸딩 덩어리를 거의 완전히 제어할 수 있지만, 그 푸딩이 어떤 저항도 할 수 없다는 것은 그 사람의 힘을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게 만든다. 힘은 방어 수단과 자체적인 의제를 가진 대상에 대한 경우에만 위대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신의 힘이 위대하려면, 적어도 어느 정도의 방어 수단과 의제를 가진 존재에 대한 힘이어야 한다. 따라서 신이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힘의 특성과 설득의 특성을 어느 정도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견해는 양극적 유신론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옹호하는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은 해롤드 쿠쉬너의 작품(유대교)이다. 전능성에 대한 수정된 견해의 필요성은 20세기 초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에 의해 명확히 표현되었고 찰스 하츠혼에 의해 확장되었다. 하츠혼은 과정 신학으로 알려진 신학 체계의 맥락에서 진행했다.

토마스 제이 오드는 전능성이 수천 가지 철학적 수식으로 죽어간다고 주장한다. 어떤 의미를 가지려면, 이 단어는 다양한 논리적, 존재론적, 수학적, 신학적, 실존적 수식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성을 잃게 된다.[20]

4. 2. 성서적 근거

킹 제임스 성경을 비롯한 여러 다른 번역본에서, 요한 계시록 19장 6절은 "전능하신 주 하나님이 통치하신다"라고 언급하고 있다.(παντοκράτωρ|판토크라토르grc, "전능자").[21]

토마스 제이 오드는 '전능'이 히브리어와 헬라어 성경에서 발견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히브리어 단어인 '샤다이'(젖)와 '사바오트'(군대)는 "전능하신 하나님" 또는 "신적 전능"으로 잘못 번역되었다. 신약성경과 칠십인역에서 영어로 "전능하신"으로 종종 번역되는 헬라어 단어 '판토크라토르'는 실제로 전능하거나 전능자라기보다는 "모든 것을 붙잡는 자"를 의미한다. 오드는 하나님의 통제하지 않는 사랑의 최대 권능인 "아미포턴스(amipotence)"라고 부르는 신적 권능에 대한 대안적 견해를 제시한다.[22]

5. 불확실성

데카르트적인 의미에서 전능하다는 것은 전능한 존재가 논리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논리적 근거로 전능함을 설명하거나, 부여하거나, 거부하려는 시도는 별 의미가 없다. 이는 르네 데카르트가 지지하는 관점이다.[23] 그는 그의 저서 ''성찰''에서 이 생각을 제시했다. 이러한 관점을 보편적 가능주의라고 한다.[24]

힌두 철학에 따르면, 브라만의 본질은 결코 이해되거나 알려질 수 없다. 왜냐하면 브라만은 존재와 비존재 모두를 초월하며, 시간, 인과관계, 공간을 초월하고 포함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어떤 개념이나 대상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물질적 의미로는 결코 알려질 수 없기 때문이다.[25]

6. 한국 사회와 전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한국 사회와 전능' 섹션 내용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Omnipotence https://www.oed.com/[...]
[2] 문서 City of God
[3] 웹사이트 The 1st World Congress On Logic And Religion http://page.mi.fu-be[...] Freie Universität Berlin
[4] 서적 Science and Religion
[5] 웹사이트 The Summa Theologica of St. Thomas Aquinas, Second and Revised Edition, 1920, translated by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at New Advent, copyright 2008 by Kevin Knight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1-11-21
[6] 서적 Summa Theologiae
[7] 웹사이트 The Summa Theologica of St. Thomas Aquinas, Second and Revised Edition, 1920, translated by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at New Advent, copyright 2008 by Kevin Knight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1-11-21
[8] 서적 Summa Theologiae
[9] 서적 The Problem of Pain HarperSanFrancisco 2001
[10] 서적 Case Histories II
[11] 서적
[12] 서적 From Obstacle to Ally 2004
[13] 서적 The Psychology of Gambling London 1974
[14] 서적 The Psychodynamics of Gambling
[15] 서적 On Flirtation London 1994
[16] 웹사이트 Infantile Omnipotence http://www.enotes.co[...] Enotes.com 2012-01-21
[17] 웹사이트 Process The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2-10-06
[18] 웹사이트 Open Theism https://www.theopedi[...] Theopedia 2022-10-06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hilosophy.es[...] 2006-05-12
[20] 서적 The Death of Omnipotence and Birth of Amipotence SacraSage Press 2023
[21] 웹사이트 Strong's Greek Dictionary: 3841. pantokrator (pan-tok-rat'-ore) http://strongsnumber[...] Strongsnumbers.com 2011-04-07
[22] 서적 The Death of Omnipotence and Birth of Amipotence SacraSage Press 2023
[23] 웹사이트 Descartes' Ontological Argument http://plato.stanfor[...] Plato.stanford.edu 2011-04-07
[24] 웹사이트 Logical Truth and Omnipotence http://www.reasonabl[...] 2014-05-20
[25] 문서 brahmano hi pratisthah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