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신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서신초등학교는 1937년 6월 1일 이동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했다. 이후 이동공립심상소학교, 이동공립국민학교를 거쳐 1958년 전주서신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1996년 현재의 전주서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철쭉을 교화, 소나무를 교목, 비둘기를 교조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시의 초등학교 - 전주풍남초등학교
전주풍남초등학교는 1919년 전주여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오랜 역사를 지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의 초등학교로, 풍남역사관을 개관하여 학교의 역사를 보존하고 있으며, 강승규, 김택수, 김환, 박성일, 송하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 전주시의 초등학교 - 전주완산초등학교
전주완산초등학교는 1906년 사립함육학교로 개교하여 1913년 전주제2공립보통학교로 개편된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현재 위치로 이전 후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 1937년 개교 - 상명고등학교
상명고등학교는 1937년 배상명 선생이 설립한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에서 시작되어 상명여자고등학교를 거쳐 2003년 현재의 상명고등학교로 전환되었으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해 있다. - 1937년 개교 - 해운대초등학교
해운대초등학교는 1937년 개교하여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명이 변경되었고, 분리 설립을 통해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시설 확충으로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의 공립 초등학교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초등학교 - 풍산초등학교 (전북)
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에 위치한 풍산초등학교는 1932년 풍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두 차례 분교 및 통합을 거쳤으며, 전라북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 및 자율학교로 운영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초등학교 - 계남초등학교 (전북)
전주서신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주서신초등학교 |
한자 표기 | 全州西新初等學校 |
영문 표기 | Jeonju Seosin Elementary School |
교훈 | 알 수 없음 |
개교 | 1937년 6월 1일 |
설립 형태 | 공립 |
교장 | 김향숙 |
교감 | 김용현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룡로 119 (서신동 31-1) |
학생 수 | 220명 (2020년 5월 1일) |
교직원 수 | 28명 (2020년 5월 1일) |
상징 | 철쭉(교화) 소나무(교목) 비둘기(교조) |
학교 법인 | 알 수 없음 |
관할 관청 | 전북특별자치도전주교육지원청 |
기타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학교 연혁
날짜 | 내용 |
---|---|
1937년 6월 1일 | 이동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 |
1938년 4월 1일 | 이동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2학급 편성) |
1941년 4월 1일 | 이동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1958년 9월 20일 | 전주서신국민학교로 개칭 (13학급 편성) |
1996년 3월 1일 | 전주서신초등학교로 개칭 |
2019년 2월 14일 | 제78회 졸업 (31명, 총 12,146명) |
2019년 3월 1일 | 초등 11학급, 특수학급 2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019년 9월 1일 | 제39대 김향숙 교장 부임 |
2020년 2월 11일 | 제79회 졸업 (44명, 총 12,190명) |
2020년 3월 1일 | 초등 15학급, 특수지원 2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 1. 설립 초기 (1937년 ~ 1941년)
1937년 6월 1일, 일제강점기 당시 교육기관인 '''이동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후 1938년 4월 1일에는 '''이동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당시 2개 학급으로 편성되었다. 1941년 4월 1일에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에 따라 '''이동공립국민학교'''로 다시 교명이 변경되었다.2. 2. 전주서신국민학교 시대 (1958년 ~ 1996년)
1958년 9월 20일, 이동공립국민학교에서 '''전주서신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13학급으로 편성되었다. 이후 1996년 3월 1일 전주서신초등학교로 개칭되기 전까지 이 명칭을 사용하였다.2. 3. 전주서신초등학교 시대 (1996년 ~ 현재)
- 1996년 3월 1일: 전주서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2019년 2월 14일: 제78회 졸업식을 통해 3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총 졸업생 수: 12,146명).
- 2019년 3월 1일: 초등 11학급, 특수학급 2학급, 유치원 2학급으로 편성하였다.
- 2019년 9월 1일: 제39대 김향숙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20년 2월 11일: 제79회 졸업식을 통해 4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총 졸업생 수: 12,190명).
- 2020년 3월 1일: 초등 15학급, 특수지원 2학급, 유치원 2학급으로 편성하였다.
3. 학교 동문
자세한 내용은 분류:전주서신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4. 학교 상징
전주서신초등학교를 상징하는 교화, 교목, 교조는 다음과 같다.
4. 1. 교화
철쭉: 쌍떡잎식물 합판화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한국, 중국,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산지에서 서식하며, 크기는 높이 2cm~5cm 정도이다. 어린 가지에는 선모(腺毛)가 있지만 점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지만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것처럼 보이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월에 피고 연분홍색을 띠며, 3~7개씩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핀다.4. 2. 교목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크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고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는 8cm~9cm, 나비는 1.5mm이며, 잎 밑부분의 비늘은 2년이 지나서 떨어진다.4. 3. 교조
비둘기는 조류 비둘기과에 속하는 새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몸에 비해 머리가 작고 목은 가늘며, 부리는 굵고 짧으면서 부드러운 편이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앞으로 3개, 뒤로 1개가 나 있으며, 짧고 튼튼한 발톱을 가지고 있어 나무나 땅 위에서 생활하기에 알맞다. 몸의 깃털은 부드럽지만 쉽게 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분우(粉羽)라는 특수한 깃털에서 나오는 가루가 몸깃에 붙어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거나 물에 젖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