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떡잎식물은 씨앗 안에 두 개의 떡잎을 가지고 있는 속씨식물의 한 갈래이다. 외떡잎식물과 비교하여 4 또는 5의 배수(4수성 또는 5수성)의 꽃잎을 가지며, 꽃가루는 세 개의 구멍을 가지고, 줄기의 관다발은 동심원상으로 배열되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쌍떡잎식물은 전통적으로 목련강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의 APG 분류 체계에서는 진정쌍떡잎식물과 원시적인 쌍떡잎식물군으로 나뉘며,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APG 분류 체계는 쌍떡잎식물의 분류에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분류학 - 장미군
장미군은 1830년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바르틀링이 발표한 식물 분류군에서 유래한 아강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17개 목, 135개 과로 분류되며, 포도목과 진정장미군으로 나뉜다. - 식물분류학 - 학명
학명은 칼 폰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단어로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하여 생물 종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하나의 종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 측계통군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측계통군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식물형태학 - 나무
나무는 목부를 형성하고 육상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문화적으로 숭배받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식물형태학 - 뿌리
뿌리는 식물체의 지하 기관으로, 물과 양분 흡수, 지지, 저장, 호르몬 생성, 공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와 특수 기능을 가진 뿌리도 존재하고, 식량, 약재 등으로 활용되며 환경 보호와 부정적 영향 모두에 관여한다.
쌍떡잎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Dicotyledoneae |
동의어 | Magnoliatae 쌍자엽식물강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포함 | 진정쌍떡잎식물군 목련군 암보렐라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크롤란투스목 개구리밥과 |
제외 | 외떡잎식물군 |
특징 | |
자엽 | 2개 |
![]() |
2. 외떡잎식물과의 비교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을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떡잎의 수이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들이 항상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초기 쌍떡잎식물 그룹 중 일부는 흩어진 관다발, 3수성 꽃, 단구형 꽃가루 등 외떡잎식물의 특징을 공유하기도 하고, 반대로 일부 외떡잎식물은 그물맥과 같은 쌍떡잎식물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
2. 1. 주요 특징 비교
특징 | 외떡잎식물 | 쌍떡잎식물 |
---|---|---|
각 꽃의 부분 수 | 3의 배수 (3수성 꽃) | 4 또는 5의 배수 (4수성 또는 5수성) |
꽃가루의 구멍 또는 흠의 수 | 하나 | 세 개 |
떡잎의 수 (씨앗 속의 잎) | 하나 | 두 개 |
줄기의 관다발 배열 | 흩어져 있음 | 동심원상 배열 |
뿌리 | 부정근 | 뿌리원기에서 발생 |
주요 잎맥의 배열 | 평행맥 | 그물맥 |
부피생장 | 드묾 | 종종 있음 |
기공 | 잎의 상피와 하피 양쪽에 존재 | 잎의 하피에 더 흔함 |
쌍떡잎식물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APG 분류 체계 등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라 다르게 분류된다.
떡잎 수 외에도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사이에는 다른 중요한 차이점들이 관찰되었지만, 이러한 차이점들은 주로 외떡잎식물과 진정쌍떡잎식물 사이의 차이점임이 밝혀졌다. 많은 초기 분화 쌍떡잎식물 그룹은 흩어진 관속다발, 3수성 꽃, 비삼구형 꽃가루와 같은 외떡잎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일부 외떡잎식물은 그물맥과 같은 쌍떡잎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분류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쌍떡잎식물을 목련강(Magnoliopsida)이라고 부르며, 목련속(''Magnolia'')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이 체계는 목련처럼 중앙에 많은 수술과 암술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것이 원시적인 꽃의 형태이며, 점차 수가 감소하면서 형태를 갖추었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반면, APG 분류 체계는 1990년대 이후 게놈 분석의 발전을 통해 쌍떡잎식물이 단일 계통군이 아닌 측계통군임을 밝혀내고, 진정쌍떡잎식물과 원시적인 쌍떡잎식물군으로 나누었다. 진정쌍떡잎식물은 삼구형 꽃가루 식물(Tricolpates)이라고도 불리며, 형태적으로도 원시 쌍떡잎식물군과 구별된다.
다흘그렌 분류 체계와 쏜 분류 체계는 상위목(Superorder) 수준에서 쌍떡잎식물을 다르게 분류한다. 두 시스템은 공통적인 상위목 이름을 사용하지만, 각 상위목 내에 포함되는 분류군 목록은 다를 수 있다.
엔글러 분류 체계는 버드나무나 족제비쑥처럼 각각의 꽃이 수술과 암술을 하나씩 갖는 형태가 원시적이며, 진화하면서 수가 증가하고 형태가 정비되었다고 보는 반면,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APG 분류 체계는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3. 1. APG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APG 분류 체계에서 새롭게 분류되는, 이전에 쌍떡잎식물로 분류되었던 목(目) 목록은 다음과 같다.
APG IV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통 발생 나무는 전통적으로 쌍떡잎식물로 취급되는 그룹이 외떡잎식물에 대해 측계통군임을 보여준다.
APG IV (단계통이 아님) |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목련강 Magnoliopsida) |
---|---|
이전부터 쌍떡잎식물은 단일 계통의 집단이 아니라는 설이 있었지만, 1990년대 이후 게놈 분석의 발전으로 쌍떡잎식물은 단일 계통군으로 취급할 수 없다는 것, 즉 측계통군임이 명확해졌다.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APG 분류 체계에서는 종래의 쌍떡잎식물 그룹은 단일 계통군인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과 원시적인 쌍떡잎식물군으로 나뉜다. 즉, 쌍떡잎식물 전체는 진정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이라는 두 개의 큰 단일 계통군과, 소수의 다계통적인 원시 쌍떡잎식물군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의 다른 이름은 트리콜페이츠(Tricolpates), 즉 삼구형 꽃가루 식물이며, 형태적으로도 다른 단구형 꽃가루 식물인 원시 쌍떡잎식물군과 구별할 수 있다.
3. 2.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속씨식물의 분류 체계 중 하나로,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체계에서는 쌍떡잎식물을 목련강(Magnoliopsida)이라고 부르며, 목련속(''Magnolia'')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 따른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아강 | 목 |
---|---|
목련아강 | 목련목, 녹나무목, 후추목, 쥐방울덩굴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수련목, 미나리아재비목, 양귀비목 |
조록나무아강 | 수레나무목, 조록나무목, 굴거리나무목, 디디멜레스목, 두충목, 쐐기풀목, 레이트네리아목, 가래나무목, 소귀나무목, 카수아리나목 |
석죽아강 | 석죽목, 마디풀목, 갯질경목 |
딜레니아아강 | 딜레니아목, 차나무목, 아욱목, 레키티스목, 벌레잡이풀목, 제비꽃목, 버드나무목, 카파리스목, 바티스목, 진달래목, 암매목, 감나무목, 앵초목 |
장미아강 | 장미목, 콩목, 프로테아목, 포도스테뭄목, 개미탑목, 도금양목, 홍수목, 층층나무목, 단향목, 라플레시아목, 노박덩굴목, 대극목, 갈매나무목, 원지목, 무환자나무목, 쥐손이풀목, 미나리목 |
국화아강 | 용담목, 가지목, 꿀풀목, 별이끼목, 질경이목, 현삼목, 초롱꽃목, 꼭두서니목, 산토끼꽃목, 칼리케라목, 국화목 |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목련과 같이 중앙에 많은 수술과 암술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것이 원시적인 꽃의 형태이며, 점차 수가 감소하면서 형태를 갖추었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APG 분류 체계와는 다른 관점이다. APG 분류 체계는 1990년대 이후 게놈 분석의 발전을 통해 쌍떡잎식물이 단일 계통군이 아닌 측계통군임을 밝혀내고, 진정쌍떡잎식물과 원시적인 쌍떡잎식물군으로 나누었다.
3. 3. 기타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APG 분류 체계는 쌍떡잎식물을 다르게 분류한다. 다음은 이전에 쌍떡잎식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두 분류 체계에서 다르게 분류되는 목(目)들의 목록이다.APG II |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
---|---|
목련군 (Magnoliids) |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조록나무아강 (Hamamelidae) |
핵심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 석죽아강 (Caryophyllidae) |
장미군 (rosids) | 딜레니아아강 (Dilleniidae) |
진정장미군 I (eurosids I) | 장미아강 (Rosidae) |
진정장미군 II (eurosids II) | |
국화군 (asterids) | |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국화아강 (Asteridae) |
진정국화군 II (euasterids II) | |
다흘그렌 분류 체계와 쏜 분류 체계는 상위목(Superorder) 수준에서 쌍떡잎식물을 다르게 분류한다. 아래 표는 두 체계의 상위목 분류를 비교한 것이다.
다흘그렌 분류 체계 | 쏜 분류 체계 |
---|---|
두 시스템은 공통적인 상위목 이름을 사용하지만, 각 상위목 내에 포함되는 분류군 목록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쏜의 ''Theanae''는 다흘그렌 시스템에서 5개의 상위목으로 나뉘며, 그 중 하나만 ''Theanae''라고 불린다.
쌍떡잎식물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 엔글러 분류 체계는 버드나무나 족제비쑥처럼 각각의 꽃이 수술과 암술을 하나씩 갖는 형태가 원시적이며, 진화하면서 수가 증가하고 형태가 정비되었다고 본다. 반면,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목련처럼 중앙에 많은 수술과 암술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것이 원시적이며, 점차 수가 감소하면서 형태를 갖추었다고 본다.
1990년대 이후 게놈 분석의 발전으로 쌍떡잎식물은 단일 계통군이 아닌 측계통군임이 밝혀졌다. APG 분류 체계에서는 쌍떡잎식물을 단일 계통군인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과 원시적인 쌍떡잎식물군으로 나눈다. 즉, 쌍떡잎식물은 진정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이라는 두 개의 큰 단일 계통군과, 소수의 다계통적인 원시 쌍떡잎식물군으로 구성된다. 진정쌍떡잎식물은 삼구형 꽃가루 식물(Tricolpates)이라고도 불리며, 형태적으로도 원시 쌍떡잎식물군과 구별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