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파계는 원래 머릿속에 전파로 전달되는 목소리, 사고, 지시, 방해 등을 느낀다고 호소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이러한 증상은 조현병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났으며, 과거에는 동물이나 영적인 존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전자기파의 인체 영향이 문제시되면서, 전자파 공격을 받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1981년 후카가와 묻지마 살인 사건의 범인이 "전파"가 명령했다는 증언을 하면서 일반에게 알려지게 되었지만, 현재는 사회 상식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까지 넓게 사용된다. 서브컬처, 오타쿠 매체에서 자주 사용되며, '틴 호일 햇'이 전파계 사람을 상징하는 표상으로 자리 잡았다. 전파를 소재로 한 다양한 창작물들이 존재하며, 소설, 만화, 게임 등에서 전파계 캐릭터나 설정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에 속성 - 얀데레
얀데레는 특정 인물에 대한 강한 집착, 질투심, 불안정한 정서를 보이며 때로는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캐릭터 유형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클리셰이며 극단적인 경우 범죄 행위로 묘사되기도 한다. - 모에 속성 - 부릿코
부릿코는 일본어 단어로, 애교를 부리거나 의도적으로 귀엽고 순수한 척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때때로 가식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사회적 맥락 속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귀축계 - 유작 (비디오 게임)
엘프에서 1996년 발매한 18금 어드벤처 게임 《유작》은 학교 구교사에 갇힌 주인공과 친구들이 던전 탐험 방식으로 탈출하는 호러·탈출 게임으로, 친구들의 탈출을 목표로 비디오테이프를 획득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팬디스크 '도작'과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존재하고, 엘프 사옥 이전 전 마지막 작품이라는 의미를 담아 화제를 모았다. - 귀축계 - 잭애스
조니 녹스빌과 뱀 마제라 등이 출연하는 잭애스는 위험하고 엉뚱한 스턴트와 장난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프랜차이즈로, 스케이트보드 잡지에서 시작하여 MTV TV 시리즈로 데뷔하며 인기를 얻은 후 TV 스페셜과 영화 시리즈 등으로 제작되어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일본의 대중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일본의 대중문화 - 갸루 문자
갸루 문자는 2002년경 일본 여중고생 사이에서 유행한 문자 표현 방식으로, 여러 문자를 변형하여 메시지 위장이나 감정 표현에 사용되며, 기성세대에게는 반항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 전파계 |
|---|
2. 역사
원래는 "머릿속에 누군가로부터의 목소리, 사고, 지시, 방해가 전파로 전달된다"고 호소하는 사람을 가리켰다. 이러한 피해망상 증상을 보이는 사람(조현병 과거의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많음)은, 과거 전파가 일반적이지 않았던 시대에는 "동물"이나 "영"에 의한 것으로 여겨져, "여우에 홀림" 등으로 불렸다. 자신이나 주변이 "전파에 조종당하고 있다"는 주장은, 근대화로 인해 전파를 수신하고 발성하는 기기가 가까이 놓이게 된 쇼와 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라디오로부터의 전파"에서 "텔레비전으로부터의 전파"와 같이 기술의 진전에 따라 "발생원"이 변화해 왔다.
창작물에서 전파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독전파'의 형태로 나타났다. 1936년 일본의 고전 SF 소설 우주의 저편으로에서는 적을 물리치기 위해 전차의 독전파가 사용되었다.[8] 1980년 9월 와타나베 카즈히로는 가로에 독전파라는, 전파의 공격에 괴로워하는 사람이 등장하는 만화 작품을 발표했다.[11]
1980년대 후반부터 전자기파의 인체에 대한 영향이 문제시되기 시작했고, 특히 머리나 뇌에 대한 영향이 시사되었다.[2] 동시에 주변에 전자레인지, 전자 유도 가열을 이용한 가전, 휴대 전화 등 강한 전파를 발하는 기기가 넘쳐나게 되면서, 전자기파 공격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전자파 과민증)도 나오게 되었다.
이러한 피해망상의 발현으로서의 "전파"는, 1981년 (쇼와 56년)의 후카가와 묻지마 살인 사건의 범인이 자신의 행동을 "'''전파'''가 명령했다"고 증언[5] 하면서 일반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일반화된 "전파・전파계"라는 용어의 사용법은, 이러한 엄밀한 의학적 정의(조현병의 진단 등)에 따른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이상한 주장을 하는 사람이나, 사회 상식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까지 사용된다.
그러한 의미에서의 전파계 사용은, 서브컬처나 오타쿠계 매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표현으로, 전파계 사람들과 장기간 교류를 이어온 『타카라지마30』, 『별책 타카라지마』 등을 출판했던 타카라지마 편집부, 또 전파계 사람을 국내뿐만 아니라 한국·북한까지 찾아다녔던 특수 만화가의 네모토 케이, 스스로 이러한 증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는 귀축계라이터의 무라사키 햐쿠로[6] 등의 활동이 배경에 있다.[7] 그들 및 창작물 속에서 전파계를 표현한 자들에 의해, 1990년대 초반부터 "전파"・"전파계"라는 말이 퍼져나갔다.
3. 창작물에서의 전파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1981년 영화 스캐너스에서는 전파를 이용해 타인을 조종하고 파괴하는 능력이 등장한다. 이 영화에서 전파는 피해를 받는 측면뿐만 아니라, 상대를 제어하고 가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묘사는 이후 일본 문예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오오츠키 켄지는 그의 작품 대부분에서 전파를 표현하여 큰 영향을 주었다. 인디즈 시절부터 근육소녀대의 가사와 제목에 '전파'를 사용했으며, 메이저 데뷔 후에도 '망상의 남자', '전파 BOOGIE', '빙글빙글 소녀' 등의 악곡에서 전파를 소재로 활용했다. 1992년 소설 신흥 종교 오모이데교에서는 스캐너스와 유사하게, 염력만으로 타인의 정신 이상을 유발하는 전파 '메구마파'를 이용해 적대 세력을 소탕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1996년 1월 타카하시 류야의 각본으로 미소녀 게임 시즈쿠가 발표되었다.[13] 이 작품에서는 사고 제어를 일으키는 힘이 '독전파'로 표현되었다.[14] 시즈쿠는 비주얼 노벨 형식을 18금 미소녀 게임 업계에 도입하여 큰 영향을 주었으며, '독전파'라는 용어가 널리 퍼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6]
1927년 줄리언 헉슬리는 『The Tissue-Culture King』에서 금속으로 머리를 감싸 텔레파시를 막는 방어구를 발명했다. 이는 알루미늄 포일로 머리를 감싸는 틴 호일 햇으로 현대화되어, 일본에서 전파계 사람을 가리키는 표상으로 정착했다.
3. 1. 전파를 소재로 한 작품
3. 1. 1. 게임 및 애니메이션
다음은 게임 및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전파계 캐릭터 목록이다.
참조
[1]
문서
宗左近が作詞をした福島県立清陵情報高等学校校歌『宇宙の奥の宇宙まで』が由来である。宗曰く「宇宙語」。歌詞に則れば発信が「ゆんゆん」受信が「よんよん」交信が「やんやん」
[2]
문서
電磁波の内、光より周波数の低いものが電波。
[3]
간행물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インフラにおける悪意ある電磁波攻撃に対する評価および防護技術に関する研究
https://www.soumu.go[...]
戦略的情報通信研究開発推進制度(SCOPE)第6回成果発表会
2010
[4]
웹사이트
Intention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EMI) and Its Impact on the U.S. Power Grid
http://www.ferc.gov/[...]
William Radasky,Edward Savage
2010
[5]
문서
「私が事件を引き起こしたのは、とても世間一般の常識では考えることのできない非人間的な、人間に対して絶対に行うべきではない、普通の人であったら一週間ももたないうちに神経衰弱になるだろう、心理的電波・テープによる男と女のキチガイのような声に、何年ものあいだ計画的に毎日毎晩、昼夜の区別なく、一瞬の休みもなく、この世のものとは思えない壮絶な大声でいじめられ続けたことが、原因なのであります」犯人が初公判で読み上げた書状より
[6]
문서
村崎は虚実交えた電波系の寄稿を行った末、そのような表現にひきつけられた読者により殺害された。
[7]
서적
あなたの隣の電波さん
[8]
서적
宇宙の彼方へ 前篇 (実在境横断記)
https://dl.ndl.go.jp[...]
1936
[9]
서적
日本経済新聞社110年史
日本経済新聞社
1986
[10]
간행물
日本百貨店協会会報 (976)
https://dl.ndl.go.jp[...]
日本百貨店協会
1977
[11]
웹사이트
手塚能理子インタビュー
https://www.1101.com[...]
2008-01-29
[12]
문서
根本敬は「荒唐無稽な主張をする」という意味で「電波」という言葉を始めて使用した作家に渡辺和博を挙げている。
[13]
웹사이트
TINAMIX Vol. 1.30 Leaf 高橋龍也&原田宇陀児インタビュー
http://www.tinami.co[...]
[14]
문서
元々、同作における電波能力を持つ者は、月島兄妹の妹である月島瑠璃子で、超感覚的知覚|ESPの一種テレパシーによる意思や感情の交信として電波を用いていた。彼女は「電波を集めている」「電波、届いた?」のセリフに代表されるように単なる“電波”としてそれを語る。一方、その妹と交わることで電波能力を開花させた兄拓也は、他者を操作・攻撃する手段としてそれを用い、そのような攻撃的電波の使用を毒電波と表現して区別している。
[15]
문서
ビジュアルノベル|ヴィジュアルノベルはゲームブックに影響を受けて作られた、チュンソフトの弟切草・かまいたちの夜が創り上げたサウンドノベルの様式を、改良して持ち込んだもの。
[16]
서적
エロゲー文化研究概論
[17]
문서
幻冬舎より解説を付して2010年12月に文庫本化。
[18]
서적
実録!サイコさんからの手紙―ストーカーから電波ビラ、謀略史観まで!
別冊宝島356
199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