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규 함수는 순서수를 다루는 함수로, 순증가 함수이면서 순서 위상에 대해 연속 함수인 자기 함수를 의미한다. 정규 함수는 임의로 큰 고정점을 가지며, 이를 통해 도함수와 베블런 위계와 같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오즈월드 베블런이 1908년 정규 함수 개념과 베블런 고정점 정리를 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규 함수 |
|---|
2. 정의
집합론적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비가산 도달 불가능한 기수 를 고르자. (만약 모임 이론을 사용한다면 로 놓을 수 있다. 여기서 는 모든 순서수들의 모임이다.)
2. 1. 정규 함수의 조건
자기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정규 함수'''라고 한다.
3. 성질
정규 함수는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을 가진다. 기본적으로 정규 함수 는 순서수 에 대해 항상 를 만족하며,[1] 상한에 대해 연속적인 성질, 즉 비어 있지 않은 순서수 집합 에 대해 를 만족한다.
또한, 모든 정규 함수는 정규 함수의 고정점 보조정리에 따라 임의로 큰 고정점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정규 함수의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2] 이러한 도함수 개념은 베블렌 함수와 같은 더 복잡한 함수 계층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기본 성질
정규 함수는 다음 기본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임의의 순서수 ''α''에 대해, ''f''(''α'') ≥ ''α''이다.[1]
- 임의의 비어 있지 않은 순서수 집합 ''S''에 대해, ''f''(sup ''S'') = sup ''f''(''S'')가 성립한다. 여기서 sup ''S''는 집합 ''S''의 상한이며, sup ''f''(''S'')는 { ''f''(''s'') | ''s'' ∈ ''S'' }의 상한을 의미한다. 이 성질은 정규 함수가 극한 순서수에서 연속적임을 보여준다.
3. 2. 도함수와 베블런 고정점 정리
'''베블런 고정점 정리'''(Veblen fixed-point theorem영어)에 따르면, 정규 함수 의 고정점들의 모임의 상한은 이다. 모든 정규 함수 는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해 를 만족하며,[1] 정규 함수의 고정점 보조정리에 따라 임의로 큰 고정점을 가진다. 또한, 비어 있지 않은 순서수 집합 에 대해 가 성립한다.이 정리에 따라, 정규 함수 의 '''도함수'''(derivative영어)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번째 고정점을 나타낸다. 정규 함수의 도함수 역시 정규 함수라는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2]
도함수가 다시 정규 함수이므로, 이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유한 순서수 에 대해 계 도함수 을 정의할 수 있다 (). 더 나아가, 극한 순서수 에 대해서도, 그보다 작은 차수의 모든 도함수들의 공통 고정점들의 집합
:
은 와 순서 동형이다. 따라서 이 집합의 원소들을 순서대로 열거하여 를 공통 고정점 집합의 번째 원소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초한 순서수 에 대해 도함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초한 함수열 을 의 '''베블런 위계'''(Veblen hierarchy영어)라고 부른다.
특히, 순서수 에 대하여 정규 함수 에 대한 베블런 위계를 '''진 베블런 위계'''(base- Veblen hierarchy영어)라고 한다. 만약 특별히 함수를 명시하지 않고 "베블런 위계"라고 하면, 보통 함수의 베블런 위계를 의미한다. 정규 함수의 계층 구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베블렌 함수 문서에서 다룬다.
4. 예
다음과 같은 함수들은 정규 함수이다.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함수 는 정규 함수이다. 예를 들어 는 가장 간단한 정규 함수 중 하나이다(서수 산술 참조). 하지만 함수 은 극한 서수에서 연속적이지 않으므로 정규 함수가 아니다.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함수 는 정규 함수이다.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함수 는 정규 함수이다.
- 알레프 수 함수 는 정규 함수이다.
- 베트 수 함수 는 정규 함수이다.
알레프 수 함수와 베트 수 함수는 서수와 기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예시이다. 이 두 함수가 정규 함수인 이유는 도달 불가능한 기수가 이 함수들의 고정점이기 때문이다.[3][4]
5. 역사
정규 함수의 개념과 베블런 고정점 정리는 오즈월드 베블런이 1908년에 도입하였다.[5] 베블런은 정규 함수를 "연속 증가 함수"(continuous increasing functioneng)라고 불렀다.[5]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The higher infinite: large cardinals in set theory from their beginnings
Springer-Verlag
2003
[4]
서적
Introduction to cardinal arithmetic
https://archive.org/[...]
[5]
논문
Continuous increasing functions of finite and transfinite ordinals
19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