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릉동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둘째 왕비 신덕왕후 강씨의 능인 정릉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행정동이다. 1911년 경성부 숭신면에 속했으며, 1914년 고양군 숭인면 정릉리로 통합되었다가, 1955년 정릉1동과 정릉2동으로 분리되었고, 이후 정릉3동, 정릉4동으로 분동되었다. 현재 국민대학교, 서경대학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우이신설선이 지나간다. 과거 서울 최고령 아파트였던 정릉 스카이아파트가 위치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법정동 - 돈암동
돈암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되너미고개'의 한자 표기인 '돈암현'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시대 한성부에 속했고 일제강점기에는 돈암정으로 불리다 해방 후 돈암동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지하철 4호선과 여러 학교, 성신여자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 서울 성북구의 법정동 - 길음동
길음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미아리고개 북쪽 긴 골짜기의 옛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조선시대부터 행정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지하철 4호선 길음역과 여러 교육기관이 있다. - 서울 성북구의 행정 구역 - 안암동
안암동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앉일바위에서 유래된 이름과 조선시대부터의 역사를 가지며, 고려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가와 사찰, 성북천 등의 자연환경이 어우러지고 안암역으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 서울 성북구의 행정 구역 - 돈암동
돈암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되너미고개'의 한자 표기인 '돈암현'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시대 한성부에 속했고 일제강점기에는 돈암정으로 불리다 해방 후 돈암동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지하철 4호선과 여러 학교, 성신여자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 1950년 설치 - 평창동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평창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재와 촬영지가 있는 곳이다. - 1950년 설치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정릉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한글) | 정릉동 |
이름 (한자) | 貞陵洞 |
로마자 표기 | Jeongneung-dong |
매큔-라이샤워 | Chŏngnŭng-dong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
관련 정보 | 정릉 위치 |
정릉제1동 | |
면적 | 0.48 km² |
세대 (2017.6.30.) | 7,044 |
인구 (2022년 2월) | 18,111 명 |
법정동 | 정릉동 길음동 |
통 | 14 |
반 | 113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38마길 33 |
홈페이지 | 정릉1동 주민센터 |
![]() | |
정릉제2동 | |
면적 | 1.23 km² |
세대 (2017.6.30.) | 9,629 |
인구 (2022년 2월) | 22,962 명 |
법정동 | 돈암동 정릉동 |
통 | 22 |
반 | 170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26길 1 |
홈페이지 | 정릉2동 주민센터 |
![]() | |
정릉제3동 | |
면적 | 3.58 km² |
세대 (2017.6.30.) | 7,567 |
인구 (2022년 2월) | 15,174 명 |
법정동 | 정릉동 |
통 | 24 |
반 | 169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솔샘로1길 6-3 |
홈페이지 | 정릉3동 주민센터 |
![]() | |
정릉제4동 | |
면적 | 3.18 km² |
세대 (2017.6.30.) | 10,969 |
인구 (2022년 2월) | 24,784 명 |
법정동 | 정릉동 |
통 | 24 |
반 | 216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106-1 |
홈페이지 | 정릉4동 주민센터 |
![]() |
2. 역사
2. 1. 지명 유래
정릉동이라는 지명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둘째 왕비 신덕왕후 강씨의 능인 정릉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3] 원래 이곳 지명은 사을한리(沙乙閑里)라 했는데 우리말 "살한이"를 한자음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 신덕왕후의 정릉으로 인해 정릉이라는 지명이 생겨나게 되었다.[3]정릉1, 2동은 신덕왕후의 정릉이 생긴 이래로 '능말'이라고 불렸으며, 나중에는 대정릉동, 소정릉동으로 불리게 되었다.[4] 정릉3동은 '손가정(孫哥亭)'이라고 불렸는데 밀양 손씨의 집성촌이었기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4] 정릉4동 중에서도 서쪽의 북한산과 인접한 지역을 ‘청수동(淸水洞)’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정릉천 물이 맑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5] 청수동에는 1910년대에 ‘청수장(淸水莊)’이라는 일본인의 별장이 세워졌고, 그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동명의 요정으로 쓰이다가 2001년부터는 외형만 보존하여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 안내소로 사용되고 있는데[5], 이러한 유래로 이 지역은 지금도 ‘청수장’이라는 이름으로 통용된다.
2. 2. 연혁
1911년 경기도 경성부 숭신면 대정릉동, 소정릉동, 청수동, 손가정이었다.[6][7][8][9][10] 1914년 4월 1일 위 네 지역을 통합하여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정릉리로 정하였다.[6][7][8][9][10]1955년 4월 18일 행정동제 실시로 정릉제1동과 정릉제2동으로 분리되었고,[6] 1964년 10월 29일 정릉1, 2동에서 정릉3동이 분동되었다.[7] 1970년 5월 18일 정릉1,2,3동에서 정릉4동이 분동되었다.[8] 1973년 7월 1일 숭인출장소 폐지로 정릉동이 성북구 직할 관할이 되었다.[9] 1988년 5월 1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사무소, 동명칭 및 구역 획정이 있었다.[10]
3. 교육
3. 1. 대학교
국민대학교와 서경대학교가 있다.3. 2. 고등학교
3. 3. 중학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와 북악중학교가 있다.3. 4. 초등학교
4. 교통
4. 1. 철도
우이신설선이 북한산보국문역과 정릉역을 지나간다.
4. 2. 버스 업체
대진여객의 본사이자 차고지가 정릉동에 있다.4. 3. 도로
정릉동을 지나는 도로는 현재 내용이 비어있다.5. 여담
정릉동에서는 1969년에 준공된 정릉 스카이아파트가 2017년까지 48년 동안 존속하여 서울 최고령 아파트로 기록되었다. 140여 가구 규모의 이 아파트는 다큐멘터리 3일과 여러 뉴스 콘텐츠에 소개되며 서울시민과 지역 주민의 애환을 담은 곳으로 알려졌다. 정릉 스카이아파트가 철거된 자리에는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정릉동 (Jeongneung-dong 貞陵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6
[2]
웹사이트
Introduction about Jeongneung-dong
https://archive.toda[...]
Seongbuk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6
[3]
웹사이트
정릉1동 - 우리 동 유래
http://www.seongbuk.[...]
2017-07-09
[4]
웹인용
정릉의 역사와 사람들 - 정릉의 연혁
https://web.archive.[...]
2017-02-18
[5]
서적
북한산 둘레길에서 숨은 서울 찾기
나름북스
2011-00-00
[6]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
[7]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275호
[8]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
[9]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780호
[10]
조례
성북구 조례 제12,13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