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일외국어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일외국어고등학교는 1983년 설립 인가를 받아 1984년 개교한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외국어고등학교이다. 영어과, 독일어과, 프랑스어과, 중국어과, 일본어과, 러시아어과, 스페인어과를 운영하며, 본관, 중앙관, 어학관, 율곡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DOSP(해외 유학 프로그램)가 운영되었으나 2010년 중단되었다. 서울 소재 중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입학 지원을 받으며,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국내 명문대 출신 교사진과 원어민 강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는 1940년 욱구공립중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여러 변화를 겪은 서울 성북구 소재의 공립 고등학교로, 2011년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2022년 기준 4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다.
  • 서울 성북구의 고등학교 - 성신여자고등학교
    1936년 이숙종 선생이 설립한 성신여자고등학교는 성신여자상업학교와 성신고등여학교를 거쳐 1951년 개편된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 추미애, 김혜수, 문근영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 외국어 고등학교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한영외국어고등학교는 1990년 개교하여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과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외국어고등학교로, 외국어 교육 특화 커리큘럼과 해외 유학 프로그램(OSP)을 운영하며, 과거 시험 문제 유출 등의 논란이 있었다.
  • 외국어 고등학교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충남외국어고등학교는 아산시에 위치한 외국어고등학교로, 2008년 영어, 중국어, 일본어과 개설 후 2011년 베트남어과를 신설하여 현재 4개 언어 과정을 운영하며, 학생들은 두 개의 외국어 필수 이수와 다양한 학생 활동 및 학교 행사에 참여한다.
  • 서울특별시의 사립 고등학교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한영외국어고등학교는 1990년 개교하여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과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외국어고등학교로, 외국어 교육 특화 커리큘럼과 해외 유학 프로그램(OSP)을 운영하며, 과거 시험 문제 유출 등의 논란이 있었다.
  • 서울특별시의 사립 고등학교 - 성심여자고등학교
    성심여자고등학교는 1960년 4월 1일에 설립된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 프랑스 성심수도회의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1956년 한국에 입국한 성심수녀회 수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대일외국어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eplace this image school-ko.svg
Replace this image school-ko.svg
교훈신의, 헌신, 창의
개교1984년
설립 형태사립
교장김희선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서경로 116 (정릉동)
학생 수 (2022년 5월 1일 기준)728명
교직원 수 (2022년 5월 1일 기준)73명
상징교목: 느티나무, 교화: 장미, 교색: 자주색
학교 법인대일학원
관할 관청서울특별시교육청
웹사이트대일외국어고등학교
학교 정보 (영문)
이름 (영문)Daeil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교표 (영문)
슬로건 (영문)(너가 해석해봐)
나무 (영문)느티나무
꽃 (영문)장미
설립일 (영문)1983년
유형 (영문)사립
교장 (영문)이도훈
교수진 (영문, 대략)90명
학생 수 (영문, 대략)1,200명
도시 (영문)성북구
주 (영문)서울특별시
국가 (영문)대한민국
웹사이트 (영문)대일외국어고등학교
위치 정보

2. 학교 연혁

1983년 12월 29일 대일외국어학교 설립 인가(불어, 독어, 서어, 일어과)를 받았다. 1984년 3월 4일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87년 2월 13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같은 해 3월 2일 중국어과를 신설하였다. 1992년 3월 2일 대일외국어고등학교로 인가받았다. 같은 해 러시아어과가 신설되었다. 2002년 3월 2일 모집학과가 서양어과, 동양어과, 국제어과 각 4학급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3월 2일 다시 모집학과가 불어, 독어, 일어, 중어, 서어, 러어, 영어과로 변경되었다. 2021년 9월 1일 제11대 김희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2년에는 2월 4일 졸업식이, 3월 2일 입학식이 진행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83년 ~ 1991년)

1983년 12월 29일 대일외국어학교 설립 인가(불어, 독어, 서어, 일어과)를 받았다. 1984년 3월 4일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87년 2월 13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같은 해 3월 2일 중국어과를 신설하였다.

2. 2. 외국어고등학교 인가 및 발전 (1992년 ~ 현재)

1992년 3월 2일 대일외국어고등학교로 인가받았다. 같은 해 러시아어과가 신설되었다. 2002년 3월 2일 모집학과가 서양어과, 동양어과, 국제어과 각 4학급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3월 2일 다시 모집학과가 불어, 독어, 일어, 중어, 서어, 러어, 영어과로 변경되었다. 2021년 9월 1일 제11대 김희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2년에는 2월 4일 졸업식이, 3월 2일 입학식이 진행되었다.

3. 설치 학과

대일외국어고등학교에는 영어과, 독일어과, 프랑스어과, 중국어과, 일본어과, 러시아어과, 스페인어과가 설치되어 있다.

4. 학교 시설

대일외국어고등학교는 본관, 중앙관, 어학관, 율곡관 등 4개의 주요 건물과 정원, 기숙사, 식당으로 구성되어 있다.[1] 10학년과 11학년 학생들은 중앙관에서, 12학년 학생들은 본관에서 공부한다.[1]

학교 도서관은 어학관 내에 있다.[1] 어학관에는 외국어 회화 수업을 위한 교실도 마련되어 있다.[1] 이 구역은 'FOZ'(Foreign Language Only Zone, 외국어 전용 구역)로 지정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언어 점수'를 얻고 벌점을 피하기 위해 외국어로 말해야 한다.[1] 학생들의 해당 활동은 모두 학교 공식 기록에 기록된다.[1]

5. 교육 과정

5. 1. 정규 교육 과정

5. 2. DOSP (해외 유학 프로그램)

DOSP (대일 해외 유학 프로그램)는 해외 유학, 즉 외국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선택 과목 트랙이다.

DOSP에 참여를 원하는 학생은 매년 초에 등록해야 하며, 비공식적인 인터뷰 형식의 입학 절차가 필요하다.

DOSP 수업은 정규 수업이 끝난 후에 진행되며, 학생들은 주로 AP 시험, SAT I, SAT II 그리고 해외 유학 준비를 위한 과목을 수강하여 학점을 취득한다. 그러나 DOSP의 교사와 상담원은 학교에서 제공되지 않으므로, 수업료 지불과 강사 섭외의 부담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있다.

대일 DOSP 프로그램은 학교의 지원 및 보조금 부족과 인기가 감소하여 2010년 8월부터 무기한 중단되었다.

6. 입학

대일외국어고등학교는 서울 소재 중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입학 지원을 받는다. 공식 입학 시험은 매년 늦가을 즈음에 치러진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시험에서 뛰어난 점수를 얻어야 하며, 우수한 중학교 성적과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갖춰야 한다. 대일외고는 홍보 자료에서 한국 중학교 상위 1% 학생들을 유치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입학 시험에는 공식 면접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전반적으로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따라서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엄격한 시험 준비를 거친다.

7. 교사진

대일외고의 교사진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국내 명문대 출신과,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영어 회화 및 이해 수업을 담당하는 원어민 강사로 구성되어 있다.

8. 대학 진학 현황

2008년 대학 입학 통계에 따르면 대일외국어고등학교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3개 명문 국립 대학교에 총 248명의 학생을 입학시켜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9. 학교 동문

대일외국어고등학교 동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분류:대일외국어고등학교 동문을 참고하라.

10. 역대 교장

이용재는 2013년 2월까지 공씨의 지도하에 대일외국어고등학교의 부교장이었다.

11. 연락처

(우편번호: 136-10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17-1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