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주리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주리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영화영상학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밟았다. 2014년 장편 영화 《도희야》로 데뷔하여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받았으며,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영화 《다음 소희》를 연출하고 각본을 썼으며, 부산국제영화제 선재상, 부일영화상 최우수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신성일
    강신성일은 1960년 데뷔 후 청춘 멜로 영화로 큰 인기를 얻고 엄앵란과의 결혼과 별거, 국회의원 역임, 뇌물 수수 혐의, 그리고 폐암으로 사망하기까지 한국 영화계와 정치계에 족적을 남긴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박철수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철수는 1978년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연출 후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 여성의 욕망과 사회적 억압을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만들었으며 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 부일영화상 수상자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부일영화상 수상자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 - 이희준
    이희준은 1999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고 여러 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 - 오대환
    오대환은 천안고등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2004년 영화 《신부수업》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영화,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정주리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3년 4월의 정주리
본명정주리
로마자 표기Jeong Ju-ri
출생1980년
출생지여수시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기간2006년 ~ 현재
학력성균관대학교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

2. 학력

정주리는 2005년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를 졸업하고, 2010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영화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8][9]

3. 어린 시절 및 교육

정주리는 여수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자랐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일기에 "영화감독이 될 계획"이라고 썼다. 중학교 시절, 그녀의 아버지는 매일 밤 혼자 비디오테이프를 쌓아놓고 영화를 보곤 했다. 홍콩 영화가 인기를 끌었고, 사람들은 할리우드 영화와 유럽 영화를 많이 보던 시기였다. 그녀가 이른 아침 일어나 화장실에 가려고 지나갈 때, TV 화면에는 자신의 세계에 몰두한 아버지가 보였다. 동시에 그녀도 아버지가 빌려온 비디오를 보았다.[8][9]

정주리는 대학 입시를 준비하면서 영화를 만들겠다는 뚜렷한 의지보다는 영상 매체를 공부하고 싶은 막연한 소망을 품었다.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영화감독이 되기를 열망했다. 그녀는 영화과에 입학하는 것만으로는 졸업 후 감독 역할을 보장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결과, 성균관대학교 영화영상학과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8]

정주리는 학업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특히 퇴학 후 재입학 등으로 인해 동기들보다 늦게 졸업했다. 영화에 대한 그녀의 열정이 싹트기 시작한 것은 대학 시절이었다. 학업을 이어가면서 다양한 과목에 노출되었고, 영화 문법을 공부하는 것이 교육의 기본 측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영화영상학과는 실사 영화 제작보다는 애니메이션게임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8][9]

이에 정주리는 친구들과 소규모 그룹을 만들어 캠코더를 이용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실질적인 경험은 그녀에게 영화 제작 분야에서 귀중한 실제 지식을 제공했다. 불행히도, 그녀는 영화 제작에 매달린 나머지 수업을 빼먹었고, 결국 퇴학당했다. 하지만 그녀는 학업을 계속하겠다는 굳은 의지를 갖고 대학에 재입학했다. 그녀는 복학 후 서양 철학을 복수 전공하기로 결정하여 해당 분야의 지식을 더욱 넓혔다. 영화와 철학의 이론적 측면에 몰두하면서 그녀의 영화 제작 기술은 크게 향상되었다.[8][9]

결국 정주리는 2005년 성균관대학교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그녀는 사회에 진출할 준비를 했다. 또한 언론고시도 준비했지만 곧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8][44]

정주리는 영화 제작을 진지하게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그녀는 25세 또는 26세 정도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한 정주리는 지식을 넓히고 다양한 단편 영화 작업을 했다. 2007년에는 첫 단편 영화 "독감에 걸린 남자"를 발표했다. 이 영화의 영어 제목은 지나 로우랜즈의 뛰어난 연기로 유명한 존 카사베츠의 유명한 영화 A Woman Under the Influence의 제목을 재치 있게 활용했다.[10] 이 영화는 중국 음식점을 배경으로 한 코믹한 시나리오를 묘사하며 부조리극의 본질을 담아냈다. 정주리의 영화는 제12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선재상을 수상했다.[8]

정주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중에도 단편 영화 11 (2008)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젊은 여성 파출소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장편 영화를 바로 연출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졸업했지만, 정주리는 곧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8][9]

4. 초기 경력

정주는 주로 단편 소설을 썼지만, 고양이와 주인의 이야기를 장편 소설로 만들고 싶어 했다. 심지어 이를 애니메이션 영화로 만들 구상도 했다. 대학생 시절 이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구상을 했었다. 이 이야기는 새로운 고양이에게 정신이 팔린 주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고양이에 관한 것이다. 관심을 끌기 위해 고양이는 쥐를 잡아 주인의 신발 안에 넣는다. 불행히도 주인은 고양이의 행동을 해로운 것으로 오해한다. 다음 날, 고양이는 껍질이 벗겨지고 피를 흘리는 쥐를 가져와 필사적으로 관심을 호소한다.[9]

정주는 고양이를 도희라는 아이 캐릭터로 바꾸어 이야기를 더 발전시켰다. 이 캐릭터의 구성 기반은 원래의 고양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듬어졌다. 캐릭터 도희가 피를 흘리는 쥐를 신발에 넣는 선택은 이야기의 중요한 순간이 된다. 그 후, 도희를 이해하고 위로하는 영남이라는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이야기는 외딴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가혹한 세상 속에서 서로를 보호하는 두 여성의 깊은 유대감을 강조한다. 이야기의 고통스럽고 억압적인 본질에도 불구하고 도희와 영남은 여성 캐릭터로서 그들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한다.[9]

정주는 CJ와 한국영화아카데미가 주최하고, 이창동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프로젝트 자문으로 참여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에 자신의 이야기를 제출했다. 이창동은 초기 트리트먼트 단계에서 시나리오 개발 과정을 면밀히 지켜보았고, 최종 평가에도 참여했다. 그녀의 시나리오는 최종 라운드에서 선택되지 않았지만, 정주는 발표 후 이창동에게 연락하여 이야기의 잠재력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표현했다. 이창동은 그 아이디어를 고려하여 "우리 스스로 만들면 어떻겠어요?"라고 제안했다.[9]

정주는 마침내 장편 영화로 감독 데뷔를 할 기회를 얻었다. 영화, ''도희야''(2014)는 이창동에 의해 저예산 독립 영화로 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을 캐스팅하는 데 성공했다. 영화는 서울에서 촬영되었다. 개봉 후 한국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칸 영화제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어 기립 박수를 받았다.[9] 이 영화는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감독상을, 들꽃영화상에서 각본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다.[44]

5. 작품 활동

정주리 감독은 단편 소설을 주로 썼지만, 고양이와 주인의 이야기를 장편 소설 및 애니메이션 영화로 만들고자 했다. 대학생 시절 구상했던 이 이야기는 주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고양이에 관한 것으로, 쥐를 잡아 주인의 신발 안에 넣지만 오해를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9]

이후 고양이를 도희라는 아이 캐릭터로 발전시켜 이야기를 구성했다. 도희가 피를 흘리는 쥐를 신발에 넣는 장면은 이야기의 중요한 순간이 된다. 이후 도희를 이해하고 위로하는 영남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며, 외딴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가혹한 세상 속에서 서로를 보호하는 두 여성의 깊은 유대감을 강조한다.[9]

정주리는 CJ와 한국영화아카데미가 주최하고 이창동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자문으로 참여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에 자신의 이야기를 제출했다. 최종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발표 후 이창동에게 연락하여 이야기의 잠재력을 믿는다고 말했고, 이창동은 "우리 스스로 만들면 어떻겠어요?"라고 제안했다.[9]

마침내 장편 영화 감독 데뷔 기회를 얻은 정주리는 이창동 제작의 저예산 독립 영화 ''도희야''(2014)를 통해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을 캐스팅하고 서울에서 촬영을 진행했다. 영화는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어 기립 박수를 받았으며,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 들꽃영화상 각본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9][44]

정주리는 2006년 단편 영화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를 시작으로, 2007년 《영향 아래 있는 남자》, 2008년 《11》 등의 단편 영화를 연출했다. 2008년 《갑시다》, 2009년 《마음》에서는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연도영화감독각본그 외비고
2006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단편 영화. 편집과 미술도 담당
2007영향 아래 있는 남자단편 영화
200811단편 영화
2008갑시다단편 영화. 조감독
2009마음단편 영화. 조감독
2013도희야장편 데뷔작
2022다음 소희


5. 1. 장편 영화

연도영화감독각본비고
2013도희야장편 데뷔작
2022다음 소희


5. 2. 단편 영화

정주리 감독은 2006년 단편 영화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에서 감독, 각본, 편집, 미술 감독을 맡으며 영화계에 데뷔했다.[11] 2007년 단편 영화 《영향 아래 있는 남자》에서는 감독, 각본, 제작, 편집을, 2008년 단편 영화 《11》에서는 감독과 각본을 담당했다.[12][13]

2008년에는 단편 영화 《갑시다》, 2009년에는 《마음》에서 조감독으로 활동했다.[14][15] 2010년에는 단편 영화 《나의 플래시 속으로 들어온 개》의 감독을 맡았다.[16]

정주리 감독 단편 영화 목록
연도한국어 제목영어 제목역할비고
2006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The Wind Blows to the Hope감독, 각본, 편집, 미술 감독[11]
2007영향 아래 있는 남자A Man Under the Influenza감독, 각본, 제작, 편집[12]
20081111감독, 각본[13]
2008갑시다Let Us Go조감독[14]
2009마음The Stopless Mind조감독[15]
2010나의 플래시 속으로 들어온 개A Dog Came into My Flash감독[16]


6. 수상 내역

연도부문작품
2007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선재상영향 아래 있는 남자
2014제23회 부일영화상신인감독상도희야
2014제25회 스톡홀름국제영화제신인감독상도희야
2014제1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연출,시나리오 부문도희야
2015제2회 들꽃영화상시나리오상도희야
2015제51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신인감독상도희야
2015제35회 황금촬영상신인감독상도희야
2023제59회 백상예술대상영화 부문 각본상다음 소희
2023제32회 부일영화상최우수감독상다음 소희
2023제44회 청룡영화상각본상다음 소희


6. 1. 기타 목록

발행사, 연도, 리스티클 이름, 순위
발행사연도리스티클순위
씨네212018한국 여성 영화 감독 30인
2023올해의 시나리오1위


7. 작품 세계

정주는 주로 단편 소설을 썼지만, 고양이와 주인의 이야기를 장편 소설로 만들고 싶어 했다. 심지어 이를 애니메이션 영화로 만들 구상도 했다. 정주는 대학생 시절 이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구상을 했었다. 이 이야기는 새로운 고양이에게 정신이 팔린 주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고양이에 관한 것이다. 관심을 끌기 위해 고양이는 쥐를 잡아 주인의 신발 안에 넣는다. 불행히도 주인은 고양이의 행동을 해로운 것으로 오해한다. 다음 날, 고양이는 껍질이 벗겨지고 피를 흘리는 쥐를 가져와 필사적으로 관심을 호소한다.[9]

정주는 고양이를 도희라는 아이 캐릭터로 바꾸어 이야기를 더 발전시켰다. 이 캐릭터의 구성 기반은 원래의 고양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듬어졌다. 캐릭터 도희가 피를 흘리는 쥐를 신발에 넣는 선택은 이야기의 중요한 순간이 된다. 그 후, 도희를 이해하고 위로하는 영남이라는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이야기는 외딴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가혹한 세상 속에서 서로를 보호하는 두 여성의 깊은 유대감을 강조한다. 이야기의 고통스럽고 억압적인 본질에도 불구하고 도희와 영남은 여성 캐릭터로서 그들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한다.[9]

정주는 CJ와 한국영화아카데미가 주최하고, 이창동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프로젝트 자문으로 참여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에 자신의 이야기를 제출했다. 이창동은 초기 트리트먼트 단계에서 시나리오 개발 과정을 면밀히 지켜보았고, 최종 평가에도 참여했다. 그녀의 시나리오는 최종 라운드에서 선택되지 않았지만, 정주는 발표 후 이창동에게 연락하여 이야기의 잠재력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표현했다. 이창동은 그 아이디어를 고려하여 "우리 스스로 만들면 어떻겠어요?"라고 제안했다.[9]

정주는 마침내 장편 영화로 감독 데뷔를 할 기회를 얻었다. 영화, ''도희야''(2014)는 이창동에 의해 저예산 독립 영화로 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을 캐스팅하는 데 성공했다. 영화는 서울에서 촬영되었다. 개봉 후 한국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칸 영화제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어 기립 박수를 받았다.[9] 이 영화는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감독상을, 들꽃영화상에서 각본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다.[44]

참조

[1] 웹사이트 July Jung http://www.koreanfil[...] 2015-10-30
[2] 웹사이트 July JUNG, Director of A GIRL AT MY DOOR http://www.koreanfil[...] 2014-06-16
[3] 웹사이트 Cannes Takes to A GIRL AT MY DOOR http://www.koreanfil[...] 2014-05-23
[4] 웹사이트 July Jung's ''A Girl at My Door'' wins award in Stockholm http://www.koreahera[...] 2014-11-17
[5] 웹사이트 15th Women in Film Korea 2014 Festival Held http://www.koreanfil[...] 2014-12-12
[6] 웹사이트 Girl at My Door leads Wildflower nominations https://web.archive.[...] 2015-04-01
[7] 웹사이트 CHOI Min-sik and REVIVRE Triumph at 51st Paeksang Arts Awards http://www.koreanfil[...] 2015-05-27
[8] 웹사이트 정주리 감독 "복잡하고 미묘한 마음들을 담고 싶었다" https://entertain.na[...] 2024-01-02
[9] 웹사이트 '도희야' 정주리 감독, "영화, 이제 어렴풋이 알 것 같다" (인터뷰) https://entertain.na[...] 2024-01-02
[10] 웹사이트 A girl at my door: interview with July Jung https://thefword.org[...] 2024-01-02
[11] 웹사이트 The Wind Blows To The Hope https://www.kmdb.or.[...] 2024-01-02
[12] 웹사이트 A Man Under The Influenza(Yeonghyang Arae Inneun Namja) https://www.kmdb.or.[...] 2024-01-02
[13] 웹사이트 11 https://www.kmdb.or.[...] 2024-01-02
[14] 웹사이트 Let US Go https://www.kmdb.or.[...] 2024-01-02
[15] 웹사이트 The Stopless Mind (Maeum) https://www.kmdb.or.[...] 2024-01-02
[16] 웹사이트 나의 플래시 속으로 들어온 개 https://movie.daum.n[...] 2024-01-02
[17] 웹사이트 A Girl at My Door (Do-hee-ya) https://www.kmdb.or.[...] 2024-01-02
[18] 웹사이트 https://entertain.na[...] 2022-05-17
[19] 웹사이트 Next Sohee (Da-eum-so-hee) https://www.kmdb.or.[...] 2024-01-02
[20] 웹사이트 SHIM Eun-kyung, SONG Kang-ho, HONG Sangsoo and ROARING CURRENTS Win at 23rd Buil Film Awards http://www.koreanfil[...] 2014-10-06
[21] 웹사이트 July Jung's ''A Girl at My Door'' wins award in Stockholm http://www.koreahera[...] 2014-11-17
[22] 웹사이트 Girl at My Door leads Wildflower nominations http://www.filmbiz.a[...] 2015-04-01
[23] 웹사이트 ''A Girl at My Door'' gets 7 Wildflower Awards nominations https://www.koreatim[...] 2015-04-01
[24] 웹사이트 http://isplus.joins.[...] 2015-05-26
[25] 웹사이트 CHOI Min-sik and REVIVRE Triumph at 51st Paeksang Arts Awards http://www.koreanfil[...] 2015-05-27
[26] 웹사이트 '다음 소희', 판타지아 국제영화제 감독상 이어 관객상 수상 https://n.news.naver[...] Naver 2022-08-10
[27] 웹사이트 'Megalomaniac' Wins Big at Fantasia, As the Party Goes On https://variety.com/[...] 2022-07-26
[28] 웹사이트 다음 소희', 도쿄필맥스영화제 특별심사위원상 수상 "사려깊은 성찰 https://entertain.na[...] Naver 2022-11-14
[29] 웹사이트 Next Sohee Won 3 Prizes at the 42nd France Amien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koreanfil[...] Kobiz 2022-12-19
[30] 웹사이트 '다음 소희', 개봉 전 상복 터졌다…핑야오국제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수상 https://n.news.naver[...] Naver 2023-01-19
[31] 웹사이트 '우영우' 박은빈·영화 '헤어질 결심', '백상예술대상' 大賞 https://n.news.naver[...] Naver 2023-04-28
[32] 뉴스 누가 받아도 될 정도로 훌륭한 후보들, 그중 최고는 누구? https://n.news.naver[...] Naver 2023-08-27
[33] 웹사이트 이병헌·김서형 주연상→'콘크리트 유토피아' 작품상까지 4관왕(부일영화상)[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3-10-05
[34] 웹사이트 올해 영평상 작품상에 '다음 소희'…'올빼미' 3관왕 https://n.news.naver[...] Naver 2023-09-04
[35] 웹사이트 제59회 대종상영화제, 남우주연상→여우주연상 후보 및 각 부문별 선정 https://n.news.naver[...] Naver 2023-10-24
[36] 웹사이트 '밀수'- '콘크리트 유토피아', 44회 청룡영화상 11개 부문 최다 노미네이트 https://m.sportsw.kr[...] 2023-11-06
[37] 웹사이트 [44th청룡] '다음소희' 정주리 감독, 각본상 수상.."쓰는 내내 참담하고 슬펐다" https://n.news.naver[...] Naver 2023-11-24
[38] 웹사이트 제28회 춘사국제영화제, 최우수감독상·남녀주연상 등 각 부문별 수상 후보 공개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5
[39] 웹사이트 춘사국제영화제, 김지운 감독 최우수감독상... 김혜수-류준열 주연상 수상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7
[40] 웹사이트 이병헌·정우성·황정민→고현정·박보영·정해인…디렉터스컷 어워즈 경합 https://www.joynews2[...] 2024-02-06
[41] 웹사이트 '은퇴설' 안재홍→명불허전 이병헌·김선영·염혜란까지, 이견 없는 수상 [디렉터스컷 어워즈](종합) https://www.mydaily.[...] 2024-03-08
[42] 웹사이트 '다음 소희',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작품상 수상 [연예뉴스 HOT]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7
[43] 웹사이트 '우영우'·'헤어질 결심' 대상, 이변 없었다 [백상예술대상](종합) https://entertain.na[...] Maeil Business star Today 2023-04-28
[44] 웹사이트 [여성 영화인들⑧] 아름다운 생존, 한국 여성 영화감독 30인 - 박남옥부터 윤가은까지 https://entertain.na[...]
[45] 웹사이트 [특집] 올해의 시나리오 - 정주리 '다음 소희', 올해의 촬영감독 - 조형래 '콘크리트 유토피아' http://cine21.com/ne[...] 2023-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