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일영화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일영화상은 1958년 시작되어 1973년 중단되었다가 2008년 재개된 대한민국의 영화 시상식이다. 예술성과 대중성을 아우르는 작품과 영화인들을 선정하며,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배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한다. 한국 영화의 발전과 부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195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한국 영화의 흐름을 반영하는 주요 시상식으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 각본상, 기술상, 연기자상, 신인감독상, 신인연기자상, 심사위원특별상,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 - 1958년 설립 - 오사카 방송
오사카 방송은 1958년 개국한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라디오 오사카라는 애칭을 가지며 AM 스테레오와 FM 보완중계국으로 방송을 송출하고, 산케이 신문 계열사이자 NRN 계열 방송국으로서 재해 발생 시 상호 원조 협정을 통해 재해 방송에도 힘쓴다. - 1958년 설립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영화에 관한 -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오스트레일리아 영화는 1890년대 시작되어 부침을 겪으며 1970년대 뉴웨이브를 통해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정부 지원과 기술 발전, 다문화 사회 반영으로 성장하여 독자적인 영화 산업을 유지하고 있다. - 영화에 관한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부일영화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부일영화상 | |
주최 | 부산일보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부산광역시 |
시상 분야 | 영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 |
첫 시상 | 1958년 |
중단 후 재개 | 2008년 |
현재 시상 | 제32회 부일영화상 |
웹사이트 | 부일영화상 |
이전 시상 | 31회 |
다음 시상 | 33회 |
한국어 명칭 | |
한글 | 부일영화상 |
한자 | 釜日映畵賞 |
로마자 표기 | Buil Yeonghwasa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uil Yŏnghwasang |
2. 연혁
1958년 제1회 부일영화상이 개최된 이후, 1973년 제16회 시상식을 끝으로 중단되었다가 2008년 35년 만에 재개되었다.[2][3]
2000년대 이후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회차 | 주요 내용 |
---|---|---|
2019년 | 제28회 | 10월 4일 시상식 개최 |
2021년 | 제30회 |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개최. 《콜》, 《낙원의 밤》 등 OTT 영화 최초 포함.[4] |
2022년 | 제31회 | 김남길, 최수영 사회.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 5관왕.[5] |
2023년 | 제32회 | 이솜 사회.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 4관왕.[6] |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73년)
1958년 부산일보 주최로 제1회 부일영화상이 개최되었다.[1] 1960년대 한국 영화 황금기를 맞아 부일영화상은 영화인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하고, 우수한 작품을 발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1973년 제16회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1]2. 2. 재개 이후 (2008년 ~ 현재)
2008년 10월 9일 부산 해운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제17회 부일영화상이 개최되면서 35년 만에 재개되었다. 이는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였다.[2][3]2021년 10월 7일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제30회 시상식에서는 《콜》과 《낙원의 밤》과 같이 OTT(Over-the-top media service) 영화가 최초로 후보에 포함되었다.[4]
2022년 10월 6일에는 김남길과 최수영의 사회로 제31회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하여 5관왕을 차지했다.[5]
2023년 10월 5일에는 이솜의 사회로 제32회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하여 4관왕을 달성했다.[6]
3. 시상 부문
Buil Film Awards영어은 1958년 대한민국 최초의 영화상으로 출범하여 1973년까지 시상식을 진행하다가 중단되었다. 이후 2008년, 23년 만에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부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2][3] 2021년 제30회 시상식에서는 OTT 영화를 최초로 포함하여 변화하는 영화 산업의 흐름을 반영하였다.[4]
부일영화상은 크게 본상과 특별상으로 나뉜다. 본상은 작품, 감독, 배우, 각본, 촬영, 미술, 음악 등 1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상은 유현목 영화예술상, 부일독자심사단상, 그리고 폐지된 베스트드레서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제31회 시상식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5개 상을,[5] 2023년 제32회 시상식에서는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4개 상을 수상했다.[6]
3. 1. 본상
상 | 설명 |
---|---|
최우수 작품상 | 한 해 동안 발표된 영화 중 예술적 완성도와 대중성을 겸비한 최고의 작품에 수여한다. |
최우수 감독상 | 탁월한 연출력으로 영화의 완성도를 높인 감독에게 수여한다. |
남우주연상 | 뛰어난 연기력으로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남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여우주연상 | 뛰어난 연기력으로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여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남우조연상 | 주연 배우 못지않은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남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여우조연상 | 주연 배우 못지않은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여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신인감독상 | 참신하고 독창적인 연출력을 선보인 신인 감독에게 수여한다. |
신인남자연기상 |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신인 남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신인여자연기상 |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신인 여자 배우에게 수여한다. |
각본상 | 독창적이고 짜임새 있는 시나리오를 통해 영화의 완성도를 높인 작가에게 수여한다. |
촬영상 | 뛰어난 영상미를 통해 영화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촬영 감독에게 수여한다. |
미술·기술상 | 독창적인 미술 디자인으로 영화의 시각적 완성도를 높인 미술 감독, 특수효과, 편집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 스태프에게 수여한다. |
음악상 | 영화의 분위기와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음악 감독에게 수여한다. |
3. 2. 특별상
유현목 영화예술상은 한국 영화사에 큰 업적을 남긴 유현목 감독의 정신을 기려, 영화 예술 발전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부일독자심사단상은 부산일보 독자 심사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인기상이다. 베스트드레서상은 시상식 현장에서 가장 돋보이는 패션 감각을 선보인 배우에게 수여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년도 | 수상자 | 영화 |
---|---|---|
2009 | 임순례 | |
2010 | 심재명 | |
2011 | 강우석 | |
2012 | 홍상수 | |
2013 | 오무열 | 지슬 |
2014 | 김동원 | |
2015 | 임흥순 | 공장매트릭스 |
김민경 | ||
2016 | 연상호 | 부산행 |
2017 | 김지석 | |
2018 | ||
2019 | 정성일 | |
2020 | 김일권 | |
2021 | 이춘연 | |
2022 | 이란희 | |
2023 | 배두나 | 다음 소희 |
년도 | 수상자 | 영화 |
---|---|---|
2008 | 나홍진 | 추격자 |
2009 | 김용화 | 국가대표 |
2010 | 이정범 | 황해 |
2011 | 김한민 | 최종병기 활 |
2012 | 최동훈 | 도둑들 |
2013 | 추창민 | 광해, 왕이 된 남자 |
2014 | 양우석 | 변호인 |
2015 | 윤제균 | 국제시장 |
2016 | 박찬욱 | 아가씨 |
2017 | 장훈 | 택시운전사 |
년도 | 부문 | 수상자 | 영화 |
---|---|---|---|
2008 | 영화발전 공로상 | 신성일 | |
특별 심사위원상[7] | 지정현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
2009 | 베스트 드레서 | 소지섭 | |
2011 | 베스트 드레서 | 이제훈 | |
2019 | 올해의 스타상 (남자) | 도경수 | 스윙키즈 |
올해의 스타상 (여자) | 임윤아 | 엑시트 | |
2020 | 올해의 스타상 (남자) | 강동원 | 반도 |
올해의 스타상 (여자) | 서예지 | 양자물리학 | |
2021 | 올해의 스타상 (남자) | 조인성 | 모가디슈 |
올해의 스타상 (여자) | 이솜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
2022 | 올해의 스타상 (남자) | 변요한 | 한산: 용의 출현 |
올해의 스타상 (여자) | 이지은 | 브로커 | |
2023 | 올해의 스타상 (남자) | 도경수 | 더 문 |
올해의 스타상 (여자) | 박보영 | 콘크리트 유토피아 |
4. 역대 주요 수상작
23년 만에 부활한 제17회 부일영화상은 2008년 10월 9일 부산 해운대구 그랜드호텔에서 개최되었으며,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였다.[2][3]
제30회 부일영화상은 2021년 10월 7일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렸으며, OTT 영화인 《콜》과 《낙원의 밤》이 최초로 후보에 포함되었다.[4] 제31회 부일영화상은 2022년 10월 6일에 김남길과 최수영의 사회로 개최되었으며,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해 5관왕을 차지했다.[5] 제32회 부일영화상은 2023년 10월 5일에 이솜의 사회로 개최되었으며,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해 4관왕을 차지했다.[6]
역대 주요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회차 | 연도 | 최우수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
---|---|---|---|---|---|
1 | 1958 | 잃어버린 청춘 | 유현목 | 김승호 | 주증류 |
2 | 1959 | 잡힌 인생 | 유현목 | 김승호 | 최은희 |
3 | 1960 | 청춘의 반항 | 김기영 | 김진규 | 조미령 |
4 | 1961 | 로망스 파파 | 신상옥 | 김진규 | 문정숙 |
5 | 1962 | 하숙생과 나의 어머니 | 신상옥 | 김진규 | 최은희 |
6 | 1963 | 오직 너를 위하여 | 유현목 | 신영균 | 이민자 |
7 | 1964 | 고려장 | 김기영 | 신성일 | 김지미 |
8 | 1965 | 초인 | 유현목 | 김진규 | 김혜정 |
9 | 1966 | 갯마을 | 김수용 | 신성일 | 최은희 |
10 | 1967 | 만추 | 이만희 | 신영균 | 문정숙 |
11 | 1968 | 산골의 불꽃 | 김수용 | 박노식 | 주증류 |
12 | 1969 | 가인의 후예 | 유현목 | 김진규 | 문희 |
13 | 1970 | 옹기장이 | 최하원 | 황해 | 전계현 |
14 | 1971 | 얼어붙은 봄 | 정진우 | 남궁원 | 윤정희 |
15 | 1972 | 분례기 | 유현목 | 이순재 | 김지미 |
16 | 1973 | 굴레 없는 마을 | 정진우 | 김희라 | 윤정희 |
17 | 2008 | 밤과 낮 | 홍상수 | 김윤석 | 수애 |
18 | 2009 | 마더 | 봉준호 | 하정우 | 김혜자 |
19 | 2010 | 시 | 이창동 | 정재영 | 문소리 |
20 | 2011 | 최종병기 활 | 장훈 | 류승범 | 정유미 |
21 | 2012 | 도희야 | 정지우 | 최민식 | 김민희 |
22 | 2013 | 설국열차 | 봉준호 | 황정민 | 한효주 |
23 | 2014 | 명량 | 김한민 | 송강호 | 심은경 |
24 | 2015 | 무뢰한 | 오승욱 | 이정재 | 전도연 |
25 | 2016 | 베테랑 | 류승완 | 이병헌 | 손예진 |
26 | 2017 | 택시운전사 | 장훈 | 송강호 | 윤여정 |
27 | 2018 | 공작 | 윤종빈 | 이성민 | 김희애 |
28 | 2019 | 기생충 | 봉준호 | 기주봉 | 전도연 |
29 | 2020 | 벌새 | 김보라 | 이병헌 | 정유미 |
30 | 2021 | 모가디슈 | 류승완 | 유아인 | 전종서 |
31 | 2022 | 헤어질 결심 | 박찬욱 | 박해일 | 탕웨이 |
32 | 2023 | 콘크리트 유토피아 | 엄태화 | 이병헌 | 김서형 |
4. 1. 1950년대 ~ 1970년대
1958년 제1회 부일영화상은 유현목 감독의 《잃어버린 청춘》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며 사회 현실을 반영한 영화가 주목받았다. 1959년 제2회 부일영화상에서는 《인생차압》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1]1960년대에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들이 수상하며 한국 영화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1961년 신상옥 감독의 《로맨스 빠빠》, 1962년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3년 유현목 감독의 《아낌없이 주련다》, 1964년 김기영 감독의 《고려장》, 1965년 유현목 감독의 《잉여인간》, 1966년 김수용 감독의 《갯마을》, 1967년 이만희 감독의 《만추》, 1968년 김수용 감독의 《산불》, 1969년 유현목 감독의 《카인의 후예》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1]
1970년대에는 문예 영화들이 강세를 보였다. 1970년 《독짓는 늙은이》, 1971년 우진필름의 《동춘》, 1972년 유현목 감독의 《분례기》, 1973년 우진필름의 《석화촌》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1]
각 부문별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부문 | 수상자 | 작품 |
---|---|---|---|
1958 | 최우수 작품상 | 조광영화사 | 《잃어버린 청춘》 |
1958 | 최우수 감독상 | 유현목 | 《잃어버린 청춘》 |
1958 | 남우주연상 | 김승호 | 《시집 가는 날》 |
1958 | 여우주연상 | 주증녀 | 《실락원의 별》 |
1958 | 외국영화작품상 | 《길》 | |
1959 | 최우수 작품상 | 삼성영화사 | 《인생차압》 |
1959 | 최우수 감독상 | 유현목 | 《인생차압》 |
1959 | 남우주연상 | 김승호 | 《인생차압》 |
1959 | 여우주연상 | 최은희 | 《지옥화》 |
1959 | 외국영화작품상 | 《목노주점》 | |
1960 | 최우수 작품상 | 협이영화사 | 《10대의 반항》 |
1960 | 최우수 감독상 | 김기영 | 《10대의 반항》 |
1960 | 남우주연상 | 김진규 | 《비극은 없다》 |
1960 | 여우주연상 | 조미령 | 《10대의 반항》 |
1960 | 외국영화작품상 | 《저항》 | |
1961 | 최우수 작품상 | 신상옥 프로덕션 | 《로맨스 빠빠》 |
1961 | 최우수 감독상 | 이성구 | 《젊은 표정》 |
1961 | 남우주연상 | 김진규 | 《박서방》 |
1961 | 여우주연상 | 문정숙 | 《흙》 |
1961 | 외국영화작품상 | 《사랑과 죽음의 마지막 다리》 | |
1962 | 한국영화 작품상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
1962 | 감독상 | 신상옥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1962 | 각본상 | 임희재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1962 | 남우주연상 | 김진규 | 《성춘향》 |
1962 | 여우주연상 | 최은희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1962 | 남우조연상 | 이예춘 | 《현해탄은 알고 있다》 |
1962 | 여우조연상 | 도금봉 | 《상록수》 |
1962 | 촬영상 | 최호진 | 《현해탄은 알고 있다》 |
1962 | 음악상 | 정윤주 | 《성춘향》 |
1962 | 미술상 | 故미성범 | 《성춘향》 |
1962 | 신인상 | 공미도리 | 《현해탄은 알고 있다》 |
1962 | 외국영화작품상 | 《태양은 가득히》 | |
1962 | 외국영화감독상 | 르비 크레망 | 《태양은 가득히》 |
1962 | 외국영화남우주연상 | 스펜서 트레이시 | 《바다와 노인》 |
1962 | 외국영화여우주연상 | 스잔 헤이워드 | 《나는 살고싶다》 |
1963 | 한국영화 작품상 | 극동흥업 | 《아낌없이 주련다》 |
1963 | 감독상 | 유현목 | 《아낌없이 주련다》 |
1963 | 각본상 | 김강윤 |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여》 |
1963 | 남우주연상 | 신영균 | 《연산군》 |
1963 | 여우주연상 | 이민자 | 《아낌없이 주련다》 |
1963 | 남우조연상 | 허장강 | 《연산군》 |
1963 | 여우조연상 | 한은진 | 《열녀문》 |
1963 | 우수신인상 | 태현실 | 《아름다운 수의》 |
1963 | 촬영상 | 변인집 | 《아낌없이 주련다》 |
1963 | 미술상 | 정우택 | 《연산군》 |
1963 | 음악상 | 김동진 |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여》 |
1963 | 우수작품상영극장상 | 제일극장 | |
1963 | 특별상 | 한양영화공사 | 《진시황제와 만리장성》기획 |
1963 | 외국영화작품상 | 미국컬럼비아사 | 《콰이 강의 다리》 |
1963 | 외국영화감독상 | 데이비드 린 | 《콰이 강의 다리》 |
1963 | 외국영화남우주연상 | 알렉 키네스 | 《콰이 강의 다리》 |
1963 | 외국영화여우주연상 | 소피아 로렌 | 《두 여인》 |
1963 | 외국영화우수작품상영극장상 | 현대극장 | |
1964 | 한국영화 작품상 | 한국예술영화사 | 《고려장》 |
1964 | 감독상 | 김기영 | 《고려장》 |
1964 | 각본상 | 김강윤 | 《쌀》 |
1964 | 남우주연상 | 신성일 | 《가정교사》 |
1964 | 여우주연상 | 황정순 | 《혈맥》 |
1964 | 남우조연상 | 김희갑 | 《쌀》 |
1964 | 여우조연상 | 최지희 | 《김약국의 딸들》 |
1964 | 신인상 | 최란경 | 《쌀》 |
1964 | 촬영상 | 서정민 | 《돌아보지 마라》 |
1964 | 미술상 | 박석인 | 《고려장》 |
1964 | 음악상 | 전정근 | 《돌아보지 마라》 |
1964 | 특별상 | 남춘역 | |
1964 | 극장상 | 부산대영극장 | |
1964 | 외국영화작품상 | 《로베레 장군》 | |
1964 | 외국영화감독상 | 로세리니 | 《로베레 장군》 |
1964 | 외국영화남우주연상 | 빅토리오 데시카 | 《로베레 장군》 |
1964 | 외국영화여우주연상 | 메리나 메라쿠리 | 《죽어도 좋아》 |
1964 | 외국영화우수작품상영극장상 | 부산현대극장 | |
1965 | 최우수 작품상 | 한양영화공사 | 《잉여인간》 |
1965 | 최우수 감독상 | 유현목 | 《잉여인간》 |
1965 | 각본상 | 김강윤 | 《벙어리 삼룡》 |
1965 | 남우주연상 | 김진규 | 《벙어리 삼룡》 |
1965 | 여우주연상 | 김혜정 | 《아내는 고백한다》 |
1965 | 남우조연상 | 신영균 | 《잉여인간》 |
1965 | 여우조연상 | 태현실 | 《잉여인간》 |
1965 | 외국영화작품상 | 《태양은 외로워》 | |
1966 | 최우수 작품상 | 대양영화 | 《갯마을》 |
1966 | 최우수 감독상 | 김수용 | 《갯마을》 |
1966 | 각본상 | 전범성 | 《추풍령》 |
1966 | 남우주연상 | 신성일 | 《흑맥》 |
1966 | 여우주연상 | 최은희 |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 |
1966 | 남우조연상 | 남궁원 | 《순교자》 |
1966 | 여우조연상 | 황정순 | 《갯마을》 |
1966 | 촬영상 | 전조명 | 《갯마을》 |
1966 | 미술상 | 이봉선 | 《순교자》 |
1966 | 음악상 | 정윤주 | 《갯마을》 |
1966 | 특별상 | 김천만 | 《저 하늘에도 슬픔이》 |
1966 | 우수신인상 | 이낙훈, 고은아 | 《갯마을》 |
1966 | 인기상 | 김지미, 김진규 | |
1966 | 외국영화작품상 | 《쉘부르의 우산》 | |
1966 | 외국영화감독상 | 자크 데미 | 《쉘부르의 우산》 |
1966 | 외국영화남우주연상 | 버니 해밀튼 | 《이별의 길》 |
1966 | 외국영화여우주연상 | 바바라 바리 | 《이별의 길》 |
1967 | 최우수 작품상 | 대양영화사 | 《만추》 |
1967 | 최우수 감독상 | 이만희 | 《만추》 |
1967 | 남우주연상 | 신영균 | 《물레방아》 |
1967 | 여우주연상 | 문정숙 | 《만추》 |
1967 | 외국영화작품상 | 《알라바마에서 생긴 일》 | |
1968 | 최우수 작품상 | 태창흥업 | 《산불》 |
1968 | 최우수 감독상 | 김수용 | 《안개》 |
1968 | 남우주연상 | 박노식 | 《안개꽃 필 무렵》 |
1968 | 여우주연상 | 주증녀 | 《산불》 |
1968 | 남우조연상 | 허장강 | 《사격장의 아이들》 |
1968 | 여우조연상 | 황정순 | |
1968 | 각본상 | 조문진 | |
1968 | 촬영상 | 민정식 | |
1968 | 미술상 | 박석인 | |
1968 | 음악상 | 정윤주 | |
1968 | 신인상 | 윤정희 | 《안개》 |
1968 | 특별상 | 《싸리골의 신화》 | |
1968 | 외국영화작품상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
1969 | 최우수 작품상 | 동양영화흥업 | 《카인의 후예》 |
1969 | 최우수 감독상 | 정소영 | 《미워도 다시 한 번》 |
1969 | 남우주연상 | 김진규 | 《카인의 후예》 |
1969 | 여우주연상 | 문희 | 《카인의 후예》 |
1969 | 외국영화작품상 | 《남과 여》 | |
1970 | 최우수 작품상 | 《독짓는 늙은이》 | |
1970 | 최우수 감독상 | 정소영 | 《잊혀진 여인》 |
1970 | 남우주연상 | 황해 | 《독짓는 늙은이》 |
1970 | 여우주연상 | 전계현 | 《잊혀진 여인》 |
1970 | 외국영화작품상 | 《사운드 오브 뮤직》 | |
1971 | 최우수 작품상 | 우진필름 | 《동춘》 |
1971 | 최우수 감독상 | 정진우 | 《동춘》 |
1971 | 남우주연상 | 남궁원 | 《필녀》 |
1971 | 여우주연상 | 윤정희 | 《첫경험》 |
1971 | 외국영화작품상 | 《열망》 | |
1972 | 최우수 작품상 | 태창영화사 | 《분례기》 |
1972 | 최우수 감독상 | 유현목 | 《분례기》 |
1972 | 남우주연상 | 이순재 | 《분례기》 |
1972 | 여우주연상 | 김지미 | |
1972 | 외국영화작품상 | 《올리버》 | |
1973 | 최우수 작품상 | 우진필름 | 《석화촌》 |
1973 | 최우수 감독상 | 정진우 | 《석화촌》 |
1973 | 남우주연상 | 김희라 | 《석화촌》 |
1973 | 여우주연상 | 윤정희 | 《석화촌》 |
1973 | 외국영화작품상 | 《프렌치 코넥션》 |
4. 2. 2000년대 ~ 현재
2008년 10월 9일, 부산 해운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제17회 부일영화상이 개최되면서 23년 만에 부활했다. 이는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였다.[2][3]2008년부터 2019년까지 각 해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부문 | 수상자 | 작품 |
---|---|---|---|
2008년 (제17회) | 최우수 작품상 | 《밤과 낮》 | |
최우수 감독상 | 나홍진 | 《추격자》 | |
남우주연상 | 김윤석 | 《추격자》 | |
여우주연상 | 수애 | 《님은 먼 곳에》 | |
남우조연상 | 김민준 | 《사랑》 | |
여우조연상 | 김해숙 | 《무방비 도시》 | |
신인남자 연기상 | 임지규 | 《은하해방전선》 | |
신인여자 연기상 | 수상자없음 | ||
신인 감독상 | 오점균 | 《경축! 우리 사랑》 | |
각본상 | 김현석 | 《스카우트》 | |
촬영상 | 이모개 |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 |
편집상 | 김선민 | 《추격자》 | |
조명상 | 최철수 | 《M》 | |
음악상 | 방준석, 이병훈 | 《님은 먼 곳에》 | |
미술상 | 조화성 |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 |
2009년 (제18회) | 최우수 작품상 | 봉준호 | 《마더》 |
최우수 감독상 | 윤제균 | 《해운대》 | |
남우주연상 | 하정우 | 《멋진 하루》 | |
여우주연상 | 김혜자 | 《마더》 | |
남우조연상 | 김인권 | 《해운대》 | |
여우조연상 | 김보연 | 《불신지옥》 | |
신인남자 연기상 | 소지섭 | 《영화는 영화다》 | |
신인여자 연기상 | 서우 | 《미쓰 홍당무》 | |
신인 감독상 | 양익준 | 《똥파리》 | |
각본상 | 김휘, 윤제균 | 《해운대》 | |
촬영상 | 홍경표 | 《마더》 | |
음악상 | 이병우 | 《마더》 | |
미술상 | 조상경 | 《모던 보이》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임순례 | ||
2010년 (제19회) | 최우수 작품상 | 《시》 | |
최우수 감독상 | 홍상수 | 《하하하》 | |
남우주연상 | 정재영 | 《이끼》 | |
여우주연상 | 문소리 | 《하하하》 | |
남우조연상 | 유준상 | 《하하하》 | |
여우조연상 | 윤여정 | 《하녀》 | |
신인남자 연기상 | 송새벽 | 《방자전》 | |
신인여자 연기상 | 김새론 | 《여행자》 | |
신인 감독상 | 우니 르콩트 | 《여행자》 | |
각본상 | 이창동 | 《시》 | |
촬영상 | 김우형 | 《파주》 | |
음악상 | 심현정 | 《아저씨》 | |
미술상 | 강승용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심재명 | ||
2011년 (제20회) | 최우수 작품상 | 《고지전》 | |
최우수 감독상 | 김태용 | 《만추》 | |
남우주연상 | 류승범 | 《부당거래》 | |
여우주연상 | 정유미 | 《옥희의 영화》 | |
남우조연상 | 고창석 | 《고지전》 | |
여우조연상 | 김여진 | 《아이들...》 | |
신인남자 연기상 | 이제훈 | 《고지전》 | |
신인여자 연기상 | 강소라 | 《써니》 | |
신인 감독상 | 박정범 | 《무산일기》 | |
각본상 | 육상효 | 《방가? 방가!》 | |
촬영상 | 김태성, 박종철 | 《최종병기 활》 | |
음악상 | 이지수 | 《마당을 나온 암탉》 | |
미술상 | 류성희 | 《고지전》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강우석 | ||
2012년 (제21회) | 최우수 작품상 | 《은교》 | |
최우수 감독상 | 이한 | 《완득이》 | |
남우주연상 | 최민식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 |
여우주연상 | 김민희 | 《화차》 | |
남우조연상 | 조진웅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 |
여우조연상 | 박지영 | 《후궁: 제왕의 첩》 | |
신인남자 연기상 | 김성균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 |
신인여자 연기상 | 김고은 | 《은교》 | |
신인 감독상 | 이광국 | 《로맨스 조》 | |
각본상 | 이용주 | 《건축학개론》 | |
촬영상 | 최영환 | 《도둑들》 | |
음악상 | 김홍집 | 《돈의 맛》 | |
미술상 | 이하준 | 《도둑들》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홍상수 | ||
2013년 (제22회) | 최우수 작품상 | 봉준호 | 《설국열차》 |
최우수 감독상 | 류승완 | 《베를린》 | |
남우주연상 | 황정민 | 《신세계》 | |
여우주연상 | 한효주 | 《감시자들》 | |
남우조연상 | 류승룡 | 《광해, 왕이 된 남자》 | |
여우조연상 | 장영남 | 《늑대 소년》 | |
신인남자 연기상 | 김준구 | 《미운 오리 새끼》 | |
신인여자 연기상 | 정은채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
신인 감독상 | 김병우 | 《더 테러 라이브》 | |
각본상 | 김병우 | 《더 테러 라이브》 | |
촬영상 | 최영환 | 《도둑들》 | |
음악상 | 조영욱 | 《베를린》 | |
미술상 | 앙드레 넥바실 | 《설국열차》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오멸 |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
2014년 (제23회) | 최우수 작품상 | 김한민 | 《명량》 |
최우수 감독상 | 홍상수 | 《우리 선희》 | |
남우주연상 | 송강호 | 《변호인》 | |
여우주연상 | 심은경 | 《수상한 그녀》 | |
남우조연상 | 곽도원 | 《변호인》 | |
여우조연상 | 김영애 | 《변호인》 | |
신인남자 연기상 | 이주승 | 《셔틀콕》 | |
신인여자 연기상 | 임지연 | 《인간중독》 | |
신인 감독상 | 정주리 | 《도희야》 | |
각본상 | 신연식 | 《러시안 소설》 | |
촬영상 | 김태성 | 《명량》 | |
음악상 | 조영욱 | 《군도: 민란의 시대》 | |
미술상 | 장춘섭 | 《명량》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김동원 | ||
2015년 (제24회) | 최우수 작품상 | 오승욱 | 《무뢰한》 |
최우수 감독상 | 곽경택 | 《극비수사》 | |
남우주연상 | 이정재 | 《암살》 | |
여우주연상 | 전도연 | 《무뢰한》 | |
남우조연상 | 이경영 | 《소수의견》 | |
여우조연상 | 문정희 | 《카트》 | |
신인남자 연기상 | 변요한 | 《소셜포비아》 | |
신인여자 연기상 | 이유영 | 《봄》 | |
신인 감독상 | 홍석재 | 《소셜포비아》 | |
각본상 | 김성제, 손아람 | 《소수의견》 | |
촬영상 | 홍경표 | 《해무》 | |
음악상 | 조영욱 | 《무뢰한》 | |
미술상 | 류성희 | 《암살》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임흥순 감독, 김민경PD | ||
2016년 (제25회) | 최우수 작품상 | 류승완 | 《베테랑》 |
최우수 감독상 | 이준익 | 《동주》 | |
남우주연상 | 이병헌 | 《내부자들》 | |
여우주연상 | 손예진 | 《비밀은 없다》 | |
남우조연상 | 김의성 | 《부산행》 | |
여우조연상 | 박소담 | 《검은 사제들》 | |
신인남자 연기상 | 태인호 | 《영도》 | |
신인여자 연기상 | 김태리 | 《아가씨》 | |
신인 감독상 | 윤가은 | 《우리들》 | |
각본상 | 신연식 | 《동주》 | |
촬영상 | 최영환 | 《베테랑》 | |
음악상 | 모그 | 《동주》 | |
미술상 | 류성희 | 《아가씨》 | |
유현목 영화예술상 | 연상호 감독 | 《부산행》,《서울역》 | |
2017년 (제26회) | 최우수 작품상 | 장훈 | 《택시운전사》 |
최우수 감독상 | 김성수 | 《아수라》 | |
남우주연상 | 송강호 | 《택시운전사》 | |
여우주연상 | 윤여정 | 《죽여주는 여자》 | |
남우조연상 | 김희원 |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 |
여우조연상 | 김수안 | 《군함도》 | |
신인남자 연기상 | 구교환 | 《꿈의 제인》 | |
신인여자 연기상 | 최희서 | 《박열》 | |
신인 감독상 | 이현주 | 《연애담》 | |
각본상 | 황성구 | 《박열》 | |
촬영상 | 박정훈 | 《악녀》 | |
음악상 | 플래시 플러드 달링스 | 《꿈의 제인》 | |
미술상 | 이후경 | 《군함도》 | |
2018년 (제27회) | 최우수 작품상 | 윤종빈 | 《공작》 |
최우수 감독상 | 이창동 | 《버닝》 | |
남우주연상 | 이성민 | 《공작》 | |
여우주연상 | 김희애 | 《허스토리》 | |
남우조연상 | 주지훈 | 《공작》 | |
여우조연상 | 김선영 | 《허스토리》 | |
신인남자 연기상 | 김충길 | 《튼튼이의 모험》 | |
신인여자 연기상 | 김다미 | 《마녀》 | |
신인 감독상 | 전고운 | 《소공녀》 | |
각본상 | 권성휘 외 1명 | 《공작》 | |
촬영상 | 김우형 | 《1987》 | |
음악상 | 모그 | 《버닝》 | |
미술상 | 박일현 | 《공작》 | |
남자 인기스타상 | 도경수 | 《신과함께: 인과 연》 | |
여자 인기스타상 | 김향기 | 《신과함께: 인과 연》 | |
2019년 (제28회) | 최우수 작품상 | 봉준호 | 《기생충》 |
최우수 감독상 | 김태균 | 《암수살인》 | |
남우주연상 | 기주봉 | 《강변호텔》 | |
여우주연상 | 전도연 | 《생일》 | |
남우조연상 | 박명훈 | 《기생충》 | |
여우조연상 | 이정은 | 《기생충》 | |
신인남자 연기상 | 성유빈 | 《살아남은 아이》 | |
신인여자 연기상 | 전여빈 | 《죄 많은 소녀》 | |
신인 감독상 | 김의석 | 《죄 많은 소녀》 | |
각본상 | 봉준호 외 1명 | 《기생충》 | |
촬영상 | 홍경표 | 《기생충》 | |
음악상 | 정재일 | 《기생충》 | |
미술/기술상 | 박일현 | 《스윙키즈》 | |
유현목영화예술상 | 정성일 |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은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렸다. OTT 영화를 처음으로 포함시켜 《콜》과 《낙원의 밤》 등이 후보에 올랐다.[4] 2022년 제31회 부일영화상은 김남길과 최수영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해 5관왕을 차지했다.[5] 2023년 제32회 부일영화상은 이솜의 사회로 개최되었으며,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해 4관왕을 차지했다.[6]
5. 논란 및 비판
이전 출력물은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는 안내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물과 동일하게 "(요약이 주어졌으나, 참조할 원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를 출력합니다.
6. 한국 영화계에 대한 기여와 의의
부일영화상은 1958년 첫 시상식을 개최한 이래 1973년까지 16회 시상식을 진행하였고, 이후 중단되었다가 2008년 35년 만에 재개되어 한국 영화계의 중요한 시상식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1] 부일영화상은 오랜 기간 동안 공정하고 권위 있는 시상으로 한국 영화의 질적 향상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1. 부산 지역 문화 발전 기여
1958년 제1회 시상식을 개최하여 부산 지역 영화인들을 격려하고,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부산을 한국 영화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 1973년 제16회 시상식 개최 후 중단되었다가 2008년 제17회 시상식이 35년 만에 재개되어 지역 영화 산업 활성화 및 영화 문화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1]참조
[1]
웹사이트
Ryu Seung Bum and Jung Yoo Mi Win Best Actor and Actress at 20th Buil Film Awards
http://www.soompi.co[...]
2011-10-07
[2]
웹사이트
The Chaser extends awards lead
http://www.koreanfil[...]
2008-10-24
[3]
웹사이트
SHIM Eun-kyung, SONG Kang-ho, HONG Sangsoo and ROARING CURRENTS Win at 23rd Buil Film Awards
http://www.koreanfil[...]
2014-10-06
[4]
뉴스
2021 부일영화상 후보 발표…올해부터 OTT 작품도 포함상 후보 [공식]
https://n.news.naver[...]
Naver
2021-09-03
[5]
뉴스
2022 부일영화상, 박해일·탕웨이 ‘최고의 별’
https://n.news.naver[...]
2022-10-06
[6]
뉴스
이병헌·김서형 주연상→‘콘크리트 유토피아’ 작품상까지 4관왕(부일영화상)[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3-10-05
[7]
웹사이트
Action Director Ji Jung-Hyeon Passes Away
http://subwaycineman[...]
[8]
웹사이트
Buil Film Awards
http://movie.naver.c[...]
[9]
뉴스
부산서 영화 찍으면 '대박'
https://news.naver.c[...]
MBN
2003-07-01
[10]
저널
[2019 부일영화상] ‘한국영화 틀 깼다’ 각본상 경합 치열… 분야 넓힌 미술·기술상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9-08-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최성은, 서울국제여성영화제 11대 시우프스타 위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