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현종은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 평론가, 번역가, 대학교수이다. 1939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신문과 중앙일보 기자, 서울예술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65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초기 시는 관념적인 특징을 보였으나, 1980년대 이후 구체적인 생명 현상에 대한 공감에 대한 시를 주로 썼다. 한국문학작가상, 연암문학상, 이산문학상,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미당문학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당문학상 수상자 - 김행숙
김행숙은 1970년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9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시집 《사춘기》를 출간하고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강남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 미당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정현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현종 |
한글 표기 | 정현종 |
한자 표기 | 鄭玄宗 |
로마자 표기 | Jeong Hyeon-jong |
출생일 | 1939년 12월 17일 |
출생지 | 서울 |
직업 | 시인 대학교수 번역가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알베르토) |
학력 | |
출신 학교 | 연세대학교 철학과 |
활동 정보 | |
데뷔 | 여름과 겨울의 노래 (1965년) |
수상 | |
수상 내역 | 만해대상 |
2. 약력
- 1939년 12월 1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2]
- 태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3]
- 서울신문과 중앙일보 기자로 일했다.[3]
-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역임했다.[3]
- 1965년 《현대문학》에 박두진 시인이 추천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 1978년 한국문학작가상을 수상했다.
- 1990년 제3회 연암문학상을 수상했다.
- 1992년 제4회 이산문학상을 수상했다.
- 1995년 제40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 1996년 제4회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 2004년 제12회 공초문학상, 파블로 네루다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을 수상했다.
- 2005년 근정포장을 수여받고,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하였다.[3]
- 2006년 제2회 경암학술상을 수상했다.
3. 학력
4. 경력
5. 시 세계
정현종의 시는 서정시의 전통을 혁신하고, 새로운 현대시의 가능성을 개척했다는 의의를 지닌다.[4] 초기에는 관념적인 특징을 보이며 사물의 존재 의미를 주로 다루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는 구체적인 생명 현상에 대한 공감을 주로 다루었다.
5. 1. 초기 시 (1960년대 ~ 1980년대 초)
정현종의 시는 전통적인 서정시를 다시 보고 새롭게 해석한다. 그의 초기 시들은 전쟁 후 시대의 허무주의적 전통 서정시 경향에서 벗어나, 자아와 외부 세계의 꿈 사이의 긴장된 관계 속에서 현실의 고통을 뛰어넘는 가능성을 탐구했다. 고통과 기쁨, 물과 불, 무거움과 가벼움, 슬픔과 기쁨과 같이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나 요소들의 갈등과 투쟁을 다루면서도, 고통을 기쁨으로, 현실을 꿈으로 변화시키려는 정신의 역동적인 긴장을 탐구했다. 그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집인 『나는 별 아저씨』와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에서 이러한 시적 탐구를 계속했다.[4]정현종의 네 번째 시집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삶의 황홀경과 수용, 그리고 자연의 경이로움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그의 시적 경력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 작품들은 또한 갈등보다는 화해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기호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시적 관심의 변화는 그의 다섯 번째 시집 『한 꽃송이』에서 더욱 분명해졌다. 문명과 인공성이 인류를 억압하고 자연만이 구원의 수단이라고 주장하는 시 「발」은 시인의 주제적 초점 변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5] 초기 시는 관념적인 특징이 있으며, 사물의 존재 의미를 주로 다루었지만, 1980년대 이후부터는 구체적인 생명 현상에 대한 공감에 대해 주로 쓰고 있다. 정현종의 시는 고통/축제, 물/불, 무거움/가벼움, 슬픔/기쁨 등과 같이 상반되는 정서의 갈등과 불화를 노래하면서도, 현실을 꿈으로, 고통을 기쁨으로 바꾸려는 정신의 역동적인 긴장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시적 탐구는 두 번째 시집 『나는 별 아저씨』, 세 번째 시집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세 번째 시집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를 기점으로 정현종은 현실과 꿈의 갈등보다는 생명 현상의 내적 교감이나 자연의 경이로움 등을 노래하며, 갈등보다는 화해의 세계를 지향하는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적 관심은 다섯 번째 시집 『한 꽃송이』에서 더욱 분명해지며, '자'라는 시는 문명과 인공은 사람을 억압하는 반면, 자연은 인간을 구원하는 유일한 척도라는 내용으로 그 변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5. 2. 후기 시 (1980년대 후반 ~ 현재)
정현종의 네 번째 시집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삶의 황홀경과 수용, 자연의 경이로움을 탐구하며 그의 시적 경력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 시집의 작품들은 갈등보다는 화해의 세계를 지향하는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었다.[5] 이러한 시적 관심의 변화는 그의 다섯 번째 시집 한 꽃송이에서 더욱 분명해졌다. 시인은 시 「발」에서 문명과 인공성이 인류를 억압하고 자연만이 구원의 수단이라고 주장하며, 주제적 초점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었다.[5]6. 저서
정현종 시인은 시집, 시선집, 시전집, 산문집, 번역서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다.
- 사물의 꿈: 정현종 시선한국어. 김원충, 김미진 역. 호마&세키 북스, 2008.
- 낮빛한국어 (정현종 시선)
- Murmullos de gloriaes (광휘의 속삭임한국어)
- Poesía coreana actuales (현대한국시선한국어)
- 사물의 꿈한국어 (1972)
- 나는 별이다한국어
- 떨어져도 튀는 콩처럼한국어
-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한국어
6. 1. 시집
- 《사물의 꿈》 (민음사, 1972)
- 《나는 별아저씨》 (문학과지성사, 1978)
-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문학과지성사, 1984)
-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 (세계사, 1989)
- 《한 꽃송이》 (문학과지성사, 1992)
- 《세상의 나무들》 (문학과지성사, 1995)
- 《갈증이며 샘물인》 (문학과지성사, 1999)
- 《견딜 수 없네》 (시와시학사, 2003)
- 《광휘의 속삭임》 (문학과지성사, 2008)
6. 2. 시선집
- 《고통의 축제》 (민음사, 1974)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지식산업사, 1982)
-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문학과비평사, 1990)
-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미래사, 1991)
- 《이슬》 (문학과지성사, 1996)
- 《환합니다》 (1999)
- 《정현종 시선》 (시와시학사, 2005)
- 《사물의 꿈: 정현종 시선》 (김원충, 김미진 역, 호마&세키 북스, 2008)
- 《낮빛》 (정현종 시선)
- Murmullos de gloriaes (광휘의 속삭임)
- Poesía coreana actuales (현대한국시선)
6. 3. 시전집
- 《정현종 시전집》(문학과지성사, 1999)
6. 4. 산문집
-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1975)
- 《숨과 꿈》(1982)
- 《관심과 시각》(1983)
- 《생명의 황홀》(1989)
- 《날아라 버스야》(2003)
6. 5. 역서
출판 연도 | 제목 | 원제 | 저자 |
---|---|---|---|
1970 | 또하나의 나라 | Another Country | 제임스 볼드윈 |
1972 | 위대한 개츠비 | The Great Gatsby | F. 스콧 피츠제럴드 |
1972 | 슬픈 카페의 노래 | The Ballad of the Sad Cafe | C. McCullers |
1973 | 갈매기의 꿈 | Jonathan Livingston Seagull | 리처드 바크 |
1973 | 매혹 | 칼릴 지브란 | |
1973 | 불과 얼음 | Fire and Ice | R. 프로스트 |
1973 | 첫사랑 | 예이츠 | |
1973 | 흰구름 | 헤르만 헤세 | |
1975 | 달리와의 對話 | 알랭 보스께 | |
1978 | 예술을 찾아서 | 허버트 리드 외 | |
1979 | 아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 J. Krishnamurt | |
1979 | 어디인들 멀랴 | 리처드 바크 | |
1989 |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 | Veinte poemas de amor y una canción desesperada | 네루다 |
1994 | 강의 백일몽 | Federico Garcia Lorca | |
2002 | 100편의 사랑 소네트 | Cien sonetos de amor | 네루다 |
2002 | Love | M.I.L.K. 프로젝트 | |
2002 | Friendship | M.I.L.K. 프로젝트 | |
2003 | Familly | M.I.L.K. 프로젝트 | |
2007 | 네루다 시선 | 네루다 | |
2007 |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 | Veinte poemas de amor y una canción desesperada | 네루다 |
2007 | 충만한 힘 | 네루다 | |
2007 | 네가 태어나기 전에 | 하워드 슈워츠 | |
2008 | 사물의 꿈: 정현종 시선 | 김원충, 김미진 역 | |
낮빛 (정현종 시선) | |||
광휘의 속삭임 | Murmullos de gloria | ||
현대한국시선 | Poesía coreana actual |
6. 6. 문학선
정현종한국어 시인의 문학선으로는 《거지와 狂人》(나남, 1985)이 있다.7. 정현종 연구
정현종 시인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연구서, 작가론, 작품론, 학위논문 등 다양한 형태로 꾸준히 이루어졌다. 고은은 1972년 《월간문학》 8월호에 〈사물의 꿈〉을 기고하여 정현종 시인의 작품 세계를 다루었다.[1]
7. 1. 연구서
- 김병익·김현 편 《정현종》(은애, 1979)
- 이광호 엮음 《정현종 깊이 읽기》(문학과지성사, 1999)
- 이영섭 외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때 : 정현종의 시세계》(문학동네, 1999)
- 정과리 외 《영원한 시작》(민음사, 2005)
7. 2. 작가론·작품론
고은은 《월간문학》(1972년 8월호)에 기고한 〈사물의 꿈〉에서 정현종 시인의 작품 세계를 다루었다.[1]7. 3. 학위논문
저자 | 제목 | 대학 | 학위 및 학과 | 연도 |
---|---|---|---|---|
황치복 | 鄭玄宗 詩 硏究 : 이미지와 時間 意識을 中心으로 | 고려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석사 | 1997 |
임현순 | 鄭玄宗 詩의 몸 이미지와 言語的 想像力 硏究 | 이화여자대학교 | 석사 | 1998 |
남진숙 | 韓國 環境生態詩 硏究 : 이형기, 정현종, 이하석, 최승호 詩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 석사 | 1998 |
정복여 | 정현종 시의 상상력 연구 | 중앙대학교 | 예술대학원 석사 | 1999 |
손효진 | 정현종 시에 나타난 사물의 자기동일성 연구 | 부산대학교 | 석사 | 2000 |
김규진 | 정현종 시 연구 : 생태의식을 중심으로 | 경원대학교 | 석사 | 2001 |
김수림 | 김지하·정현종 초기 서정시의 물질적 상상력과 문체 | 고려대학교 | 석사 | 2002 |
권계영 | 정현종의 시의 시간의식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 석사 | 2002 |
류보희 | 정현종 시 미학 연구 | 인천교육대학교 | 석사 | 2002 |
손민달 | 한국 생태주의 시의 미학적 특성 연구 : 정현종, 김지하, 최승호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교육대학원 석사 | 2003 |
강세미 | 정현종 시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 석사 | 2004 |
이소영 | 정현종 시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 단국대학교 | 석사 | 2004 |
최혜인 | 정현종 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경희대학교 | 석사 | 2005 |
유재훈 | 정현종 초기시의 이미지 연구 | 수원대학교 | 교육대학원 석사 | 2005 |
김인옥 | 정현종 시세계 연구 : 생명에 관한 상상력과 문체론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 박사 | 2006 |
최영미 | 정현종 시의 생명의식 연구 | 숭실대학교 | 석사 | 2006 |
전정은 | 정현종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연구 : 나무 이미지를 중심으로 | 경성대학교 | 교육대학원 석사 | 2007 |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정현종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08
[3]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5]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6]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
[7]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정현종
http://www.klti.or.k[...]
2014
[8]
웹사이트
NAVER(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2014
[9]
웹사이트
NAVER(Doosan百科)
http://terms.naver.c[...]
2014
[10]
뉴스
만해대상 수상자에 무지개공동회·정현종 시인·황병기 명인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16-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