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방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방면군은 1943년 10월 29일 관동군 예하의 군사 예비대 및 주둔군으로 창설되어 만주 남부의 치안과 공공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주로 훈련이 부족한 예비군, 징병된 학생, 향토 방위군으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와 보급품도 충분하지 않았다.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붉은 군대에 대항할 능력이 부족하여, 우시로쿠 준 장군의 반격 시도는 실패하고 부대는 궤멸되었다. 일본 항복 이후, 지휘관을 포함한 많은 병사들이 소련의 포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동군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관동군 - 차하르 작전
    차하르 작전은 1937년 노구교 사건 이후 일본군이 중국 차하르성을 점령하고 친일 몽골족을 내세워 몽골 연맹 자치 정부를 수립하려 한 군사 작전으로, 양고 사건과 같은 학살이 발생하고 중국 국민당 정권이 항일 지구전 체제를 구축할 시간을 벌게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 일본 육군의 방면군 - 제14방면군
    제14방면군은 1944년 필리핀 방어를 위해 일본군 육군이 편성한 방면군으로, 야마시타 도모유키 대장이 사령관을 맡아 필리핀 전역을 지휘했으나 많은 사상자를 냈다.
  • 일본 육군의 방면군 - 제1방면군
    제1방면군은 일본군이 태평양 전쟁 중 만주국 북부 치안 유지를 위해 관동군 예하에 편성한 부대였으나, 전력 부족으로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제3방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제3방면군
원어 명칭第3方面軍
통칭강 (強)
연혁
창설1943년 10월 29일
해체1945년 8월 15일
군사 정보
소속일본 제국 육군
종류야전군
역할보병
규모방면군
상급 부대관동군
주둔지만주국 선양시
담당 지역만주
최종 위치만주 봉천
지휘관
주요 지휘관오카베 나오자부로
편성
예하 부대제30군
제44군
제108사단
제136사단
제79독립혼성여단
제130독립혼성여단
제134독립혼성여단
제1독립기갑여단
제9독립기갑여단
전투 및 작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일본 전쟁

2. 역사

태평양 전쟁이 격화되면서 관동군의 주력 부대들이 남부 전선으로 대거 이동하게 되자, 만주국 내의 치안 유지와 군사적 공백을 메우기 위한 목적으로 새로운 방면군들이 창설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1방면군(1942년 창설)에 이어 제3방면군이 1943년 10월에 편성되어 남부 만주 지역의 방위를 담당하게 되었다.[3]

그러나 이들 방면군은 대부분 최소한의 훈련만 받은 예비군, 징병된 학생, 향토 방위군 등으로 급하게 편성되었으며, 무기와 보급품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3] 이러한 전력의 한계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의 만주 침공 과정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제3방면군을 포함한 만주 지역의 일본군은 붉은 군대의 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큰 피해를 입었다.[4][7] 결국 일본의 항복 이후, 제3방면군의 생존 장병 다수는 소련군에 의해 포로로 잡혀 시베리아 등지로 끌려가는 운명을 맞이했다.[4][8]

2. 1. 제1방면군 (1942년 창설)

1942년 7월 4일, 관동군의 주요 전투 사단들이 태평양 전쟁 남부 전선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이들의 공백을 메우고 만주국 북부 지역의 치안 유지 및 예비 병력 확보를 목적으로 관동군 예하 부대로 창설되었다. 제1방면군은 주로 최소한의 훈련만 받은 예비군, 학도병, 지역 방위 민병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제대로 된 무기나 보급 물자도 부족한 상태였다. 부대 본부는 현재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둔화시에 위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이 만주를 침공하자 제1방면군은 제대로 된 저항을 하지 못하고 무너졌다. 장비, 탄약, 지휘 체계 모두 부족했던 탓에 많은 부대가 전투 의지를 상실하고 도주하거나 붉은 군대에 집단으로 항복했다.[7]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한 이후, 사령관 喜多 誠一|기타 세이이치일본어를 포함한 제1방면군의 많은 생존 장병들은 시베리아 등지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게 되었다.[8]

2. 2. 제3방면군 (1943년 창설)

1943년 10월 29일, 관동군의 통제 하에 군사 예비대 및 주둔군으로 창설되었다. 이는 태평양 전쟁으로 관동군의 많은 베테랑 사단이 남부 전선으로 이동함에 따라, 남부 만주국의 치안과 공공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사령부는 무순에 위치했다.[3]

제3방면군은 주로 최소한의 훈련을 받은 예비군, 징병된 학생, 향토 방위군으로 구성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만주에서 징집한 일본인 남자를 총동원하여 사단을 편성했기 때문에, 병력 전체에 무기가 충분히 지급되지 않은 빈약한 부대도 많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의 만주 침공이 시작되자 제3방면군의 부대들은 붉은 군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사령관 우시로쿠 준 장군은 관동군 사령부의 철수 명령을 거부하고, 많은 일본 민간인이 피난하던 무순-뤼순 철도 노선을 따라 반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장갑차와 탄약 부족에 시달렸고, 1945년 8월 13일까지 그의 부대는 대부분 궤멸되었다. 창춘에서 발생한 만주국군의 반란은 그의 부대 재편 시도를 종결시켰다.[4]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우시로쿠 준 장군을 포함한 제3방면군의 많은 생존 병사들은 시베리아 및 기타 소련 지역에서 소련의 일본군 포로가 되었다.[4]

항목내용
통칭강(剛)
편성 시기1943년 10월 29일
상급 부대관동군
최종 위치펑톈


3. 지휘관

제3방면군의 주요 지휘관으로는 초대 사령관 오카베 나오자부로 대장, 마지막 사령관 우시로쿠 준 대장 등이 있었다. 초대 참모장은 와타나베 요 소장이었으며, 야노 마사오 소장을 거쳐 오쓰보 카자마 소장이 종전 시까지 참모장을 맡았다.

3. 1. 제1방면군

(내용 없음)

3. 1. 1. 사령관

(내용 없음)

3. 2. 제3방면군

제3방면군의 주요 지휘관으로는 초대 사령관 오카베 나오자부로 대장, 마지막 사령관 우시로쿠 준 대장 등이 있었다. 초대 참모장은 와타나베 요 소장이었으며, 야노 마사오 소장을 거쳐 오쓰보 카자마 소장이 종전 시까지 참모장을 맡았다.

3. 2. 1. 사령관

순번이름계급재임 기간
1오카베 나오자부로대장1943년 10월 29일 ~ 1944년 8월 25일
2우시로쿠 준대장1944년 8월 25일 ~ 1945년 8월 15일


3. 2. 2. 참모장

wikitext

순번이름계급출신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와타나베 요소장渡辺 洋일본어1943년 10월 29일1944년 10월 26일
2야노 마사오소장矢野 政雄일본어 (육사 28기)1944년 10월 26일1945년 3월 23일
3오쓰보 카자마소장大坪 一馬일본어 (육사 30기)1945년 3월 23일1945년 8월 15일
4나구라 시오리불명名倉 栞일본어 (육사 26기)불명1945년 8월 16일[5]
5오쓰보 카자마불명大坪 一馬일본어 (육사 30기)1945년 8월 16일불명[5]


4. 최종 사령부 구성 (제3방면군, 1945년 종전 시)


  • 사령관: 고큐 준 육군 대장
  • 참모장: 오쓰보 가즈마 육군 소장
  • 고급 참모: 스에히로 이사무 육군 대좌
  • 참모: 히로세 히데오 육군 중좌
  • 참모(후방): 아카호시 타다시 육군 소좌
  • 참모: 후지타 료 육군 소좌
  • 참모(정보): 시이 쇼지 육군 소좌
  • 고급 부관: 카마다 소키치 육군 중좌
  • 병기 부장: 다케다 세이이치 육군 소장
  • 경리 부장: 다키가와 야스노스케 주계 소장
  • 군의 부장: 히로세 하야미 군의 소장
  • 수의 부장: 와다 야스시 수의 대좌
  • 법무 부장: 다카자와 유지 법무 소장

5. 예하 부대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만주에서 징집한 일본인 남자를 총동원하여 사단을 편성했기 때문에, 병력 전체에 무기도 충분히 지급되지 않은 빈약한 부대도 많았다.

종전 시 예하 편성
상위 부대부대명지휘관계급비고
제4군쿠사바 타츠미중장사령관
제1사단하토리 아키타로중장
제57사단카미무라 미키오중장
독립혼성 제73여단이시카와 타다오소장
제5국경수비대카와모토 쇼자부로대좌
제6국경수비대코바야시 타카시소장
제7국경수비대미야기시 하츠지대좌
제13국경수비대세가와 마사오대좌
제1포병사령부타케다 마사카즈소장
제2공병대사령부히라노 쇼조소장
제12야전수송사령부타니구치 구레오소장
제6군이시구로 테이조중장사령관
제23사단오이카와 겐시치중장
제8국경수비대이시다 야스다다소장
제119사단시오자와 키요노부중장
관동방위군요시다 나오시중장사령관
제108사단이와이 토라지로중장1944년 7월 14일 취임
제1독립수비대이시노 요시오소장
제101경비사령부오치아이 테이고소장1944년 7월 14일 취임
제5독립수비대카시와데라소장
제102경비사령부카사하라 카헤이소장1944년 7월 14일 취임
관동주 경비사령부타카하시 시게토시소장
제11야전방공대사령부츠다 타마대좌
안산방위사령부츠다 타마대좌1944년 7월 14일 취임
제16야전고사포대사령부카토 타카미네대좌
뤼순 요새사령관 정보 없음
제2독립수비대이쥬인 카네노부대좌
제9독립수비대안도 츄이치로소장
제30군이이다 쇼지로중장사령관
제39사단사사 마노스케중장
제125사단이마 토시오중장
제138사단야마모토 츠토무중장
제148사단스에미츠 모토히로중장
제2공병대사령부히라노 쇼조소장
제44군혼고 요시오중장사령관
제63사단기시카와 켄이치중장
제107사단아베 코이치중장
제117사단스즈키 히사중장
독립전차 제9여단키타 타케키대좌
방면군 직할제28사단쿠시부치 켄이치중장
아얼산 주둔대카사하라 카헤이소장
제14사단이노우에 사다에중장
독립혼성 제7연대요네모토 카츠오대좌
전신 제18연대사쿠라가와 토요키치중좌
제13야전수송사령부스미 카즈스케대좌
제8독립수비대아라타미 지로소장
치치하얼 육군병원이노우에 후미오군의 소장
푸라얼 육군병원히구치 카네요시군의 중좌
제108사단이와이 토라지로중장
제136사단나카야마 아츠시중장
독립혼성 제79여단오카베 토오루소장
독립혼성 제130여단쿠와타 테이조소장
독립혼성 제134여단고토 슌조소장
독립전차 제1여단아노 야스리소장
관동주 경비사령부야나기다 겐조중장
관동 제1특별경비대쿠보 무네하루소장
제22야전고사포대사령부츠다 타마소장


6.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Record of Operations Against Soviet Russia Northern and Western Fronts (August-September 1945), p. 270 http://ibiblio.org/h[...]
[2] 서적 The Japanese Army 1931-45
[3]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4] 서적 The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1945
[5] 간행물 第1号 昭和20年8月31日 陸軍異動通報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 서적 The Japanese Army 1931-45
[7] 서적 The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1945
[8]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