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수송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수송사령부는 1942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 수송 부대이다. 제4출항만대로 시작하여 유럽 전구에 투입되었으며, 종전 후 해산과 재활성화를 거쳐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독일에서 유럽 수송사령부로 재편성되어 활동하다가, 1989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수송사령부 - 지상전개배급사령부
지상전개배급사령부(SDDC)는 미국 국방부 산하 조직으로, 군사 물자와 병력의 전 세계적인 수송 및 배급을 담당하며, 1965년 창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스코트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 미국 육군의 수송사령부 - 육군항만근무사령부
육군항만근무사령부는 1943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물자 수송을 담당하고 1947년 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로, 항만 운영과 수송 임무를 수행하며 많은 양의 화물 수송과 장병 출항을 지원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는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군사 원조를 총괄하기 위해 1962년 창설된 미국 국방부의 통합 사령부로, 이후 주월 미군에 대한 군사 정책, 작전 및 지원을 담당하다 1973년 미군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1전구지원사령부
제1전구지원사령부는 195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 지역 내에서 작전 지원을 제공하고, 본부는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 위치한다. - 1989년 폐지 - 하계동
하계동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속한 동으로, 1980년 공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세이브존, 을지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 1989년 폐지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의 영향으로 세워진 공산주의 국가로,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독재 통치, 인권 침해, 경제적 긴축 정책을 겪었으며 1989년 혁명으로 몰락 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었으나 공산주의 시대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다.
제4수송사령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4수송사령부 |
원어 이름 | 4th Transportation Command |
활동 기간 | |
소속 | |
군종 | 미국 |
병과 | 수송대 |
종류 | 사령부 |
참전 | |
기념일 | |
장식 | |
훈장 | |
지휘관 | |
![]() | |
인식표 이름 | SSI |
2. 역사
제4수송사령부는 1942년 3월 25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4출항만대로 창설되어 유럽 전구에 배치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2월 7일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하였다.[1]
1954년 7월 15일 버지니아주 포트 유스티스에서 재활성화되었다. 육군의 프랑크푸르트 교통통제소의 후신 조직인 COMZ 수송사령부는 다시 프랑크푸르트에 이동통제소를 설치하였다.[1]
베트남 전쟁에 초기부터 참전하여 항구를 드나드는 수송선을 감독하였고,[1] 철수한 뒤에는 1972년 6월 28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하였다.[1]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3월 25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4출항만대로 창설되어 유럽 전구에 배치되었다.[1] 노르망디 상륙작전, 북프랑스 전투 등에 참전하였다.[1] 1945년 12월 7일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하였다.[1]2. 2. 한국전쟁 이후
1954년 7월 15일 버지니아주 포트 유스티스에서 재활성화되었다. 육군의 프랑크푸르트 교통통제소의 후신 조직인 COMZ 수송사령부는 다시 프랑크푸르트에 이동통제소를 설치하였다.[1]베트남 전쟁 초기부터 참전하여, 항구를 드나드는 수송선을 감독하였고, 철수한 뒤에는 1972년 6월 28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하였다.[1]
2. 3.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초기부터 참전하여 항만 운영 및 수송선 감독 임무를 수행하였고, 철수한 뒤 1972년 6월 28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하였다.[1]2. 4. 독일
1965년 2월 1일, COMZEUR 본부의 수송부가 프랑스 오를레앙 근처 하보드 막사(Harbord Barracks|하보드 막사영어)에 본부를 둔 ''COMZ 수송사령부''로 분리되었다. COMZ 수송사령부는 프랑크푸르트 이동통제소, 제2항공중대, 제22, 56항공분견대를 지휘하고, 독일 브레머하펜과 라인강, 벨기에 베네룩스, 포르투갈 리스본에 있는 항만 터미널을 작전통제하였다.[1]1966년, 프랑스 정부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 탈퇴와 함께 외국군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프랑스에서 빠른 재배치'' 작전으로 프랑스를 벗어나 독일 뤼데스하임암라인의 아즈빌 막사로 본부를 이전하였다.[1] 1967년 7월 17일, COMZEUR 본부는 수송사령부를 독일 보름스에 본부를 둔 수송국으로 대체하였으나, 수송국 또한 1968년 2월 5일에 해체되었다.[1] 이후 ''중앙유럽 교통관리국''(Traffic Management Agency, Central Europe|중앙유럽 교통관리국영어)과 제107수송여단을 합쳐 다시 COMZEUR 수송사령부를 설립하였다. COMZEUR HQ는 제37수송단을 전속시켰다.[1]
1968년 12월 2일, USAREUR 일반명련 제254호에 따라 같은 날 독일 오버우어젤의 캠프 킹에 ''유럽 수송사령부''가 임시로 설립되었다.[1] 1969년 1월 27일, USAREUR 일반명련 제27호로 이동통제소와 데이터처리부대를 배속받고, 3월 3일 발효된 USAREUR 일반명령 제46호로 임시 상태에서 벗어났다.[1]
1970년 7월 15일, 미국 육군 유럽 터미널사령부가 ''미국 브레머하펜 지원관구''(US Forces Support District, Bremerhaven|미국 브레머하펜 지원관구영어)와 ''미국 육군 유럽 수송터미널단''으로 분리되었다.[1] 유럽 수송터미널단은 브레머하펜에서 로테르담으로 옮겨갔고, 9월 21일에 기능이 정상화되었다.[1]
1974년 6월 30일, 미국 유럽 육군/제7군의 ''본부와 구역지원요소의 통합'' 계획에 따라 이동통제국과 접견단 본부가 수송사령부 본부에 통합되었다.[1]
1975년 4월 1일(5월 9일?), 유럽 수송사령부는 ''제4수송여단''으로 재조직화 및 재조정되었다.[1] 1981년 4월 16일, ''제4수송사령부''로 복원되었다.[1] 1989년 12월 13일, 부대기를 반납하면서 47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사령부는 해체되었다. 예하 제37수송단이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 휘하로 전속되고 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1]
3. 구조
베트남 전쟁 당시 제4수송사령부는 제125수송사령부(A형 터미널)와 예하 부대인 제10, 11, 71수송대대(터미널)를 통해 참전했다.[1] 제11수송대대(터미널)는 1965년 8월 5일에, 제125수송사령부(A형 터미널)는 1966년 10월 4일에 창설되었다.[1] 제58수송대대(항공기 정비보급)(종합 지원)와 붕따우/메콩강 삼각주 임시수송대대(Transportation Battalion Vung Tau/Delta (Provisional)영어)도 참전하였으며, 후자는 1967년 7월 30일에 창설되었다.[1]
유럽 수송사령부 예하에는 본부 및 본부중대, 유럽 이동통제소, 제37차량수송단, 유럽 수송터미널단, 유럽 접견단, 자동데이터처리부대, 제87수송분견대, 제28/53/106수송화물차대대, 제6966민간노무단수송대대, 제205항공중대 등이 있었다.
주독 미군 예하에는 제1전구수송이동관제국, 라이나우 철도정비처, 제205항공중대, 제570헌병소대/중대 등이 있었다.
3. 1. 상위조직
- COMZEUR, 1962년
- 제1군수사령부, 베트남 전쟁
-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 1988년
3. 2. 편성
제4수송사령부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부대로는 1966년 10월 4일에 창설된 제125수송사령부(A형 터미널)와 예하 부대인 제10, 11, 71수송대대(터미널)가 있다.[1] 제11수송대대(터미널)는 1965년 8월 5일에 배속되었다.[1]
- 제58수송대대(항공기 정비보급)(종합 지원)와 붕따우/메콩강 삼각주 임시수송대대(Transportation Battalion Vung Tau/Delta (Provisional)영어)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1] 붕따우/메콩강 삼각주 임시수송대대는 1967년 7월 30일에 창설되었다.[1]
유럽 수송사령부 예하에는 본부 및 본부중대, 유럽 이동통제소, 제37차량수송단, 유럽 수송터미널단, 유럽 접견단, 자동데이터처리부대, 제87수송분견대, 제28/53/106수송화물차대대, 제6966민간노무단수송대대, 제205항공중대 등이 있었다.
주독 미군 예하에는 제1전구수송이동관제국, 라이나우 철도정비처, 제205항공중대, 제570헌병소대/중대 등이 있었다.
3. 2. 1. 베트남 전쟁
1966년 10월 4일, 제125수송사령부 (A형 터미널)가 창설되었다.[1] 제10수송대대 (터미널), 제11수송대대 (터미널), 제71수송대대 (터미널)가 예하 부대로 배속되었다.[1] 이 중 제11수송대대 (터미널)는 1965년 8월 5일에 배속되었다.[1]제58수송대대 (항공기 정비보급)(종합 지원)와 붕따우/메콩강 삼각주 임시수송대대(Transportation Battalion Vung Tau/Delta (Provisional)영어)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1] 붕따우/메콩강 삼각주 임시수송대대는 1967년 7월 30일에 창설되었다.[1]
3. 2. 2. 유럽 수송사령부
- 본부 및 본부중대
- 유럽 이동통제소; ~ 1974년 6월 30일, 해체[1]
- 제37차량수송단
- 유럽 수송터미널단
- 유럽 접견단; ~ 1974년 6월 30일, 해체[1]
- 자동데이터처리부대
- 제87수송분견대 (중형 화물차) - 카이저슬라우테른, 카파운 막사
- 제28수송화물차대대 - 만하임, 테일러 막사
- 제53수송화물차대대 - 카이저슬라우테른, 카파운 막사
- 제106수송화물차대대 - 루스셀스하임암마인, 아즈빌 막사
- 제6966민간노무단수송대대 - 카이저슬라우테른, 플라스키 막사
- 제205항공중대; 1973년 6월 29일
3. 2. 3. 주독 미군
4. 역대 지휘관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대령 | Richard J. Pollard|리처드 J. 폴라드영어 | 1964년 3월 8일 | 1965년 9월 2일 |
대령 | Richard H. Chapin|리처드 H. 채핀영어 | 1965년 9월 3일 | 1968년 2월 1일 |
대령 | Robert W. Larson|로버트 W. 라슨영어 | 1968년 2월 2일 | 1970년 7월 2일 |
대령 | Frederick P. Howland|프레더릭 P. 하우랜드영어 | 1970년 6월 3일 | 1971년 9월 24일 |
대령 | Eric O. Rodenbeck|에릭 O. 로덴벡영어 | 1971년 9월 25일 | 1971년 12월 21일 |
대령 | Joseph O. Meerbott|조지프 O. 미어봇영어 | 1971년 12월 22일 | 1973년 8월 23일 |
대령 | Franklin J. Glunn|프랭클린 J. 글룬영어 | 1973년 9월 24일 | 1974년 7월 10일 |
대령 | John K. Henderson|존 K. 헨더슨영어 | 1974년 7월 11일 | 1976년 4월 6일 |
대령 | Vincent M. Russo|빈센트 M. 루소영어 | 1976년 4월 7일 | 1978년 5월 18일 |
대령 | Jimmy D. Ross|지미 D. 로스영어 | 1978년 5월 19일 | 1980년 1월 8일 |
대령 | James Howard Dunn|제임스 하워드 던영어 | 1980년 1월 9일 | 1980년 2월 18일 |
대령 | Eugene R. Lanzillo|유진 R. 란질로영어 | 1980년 2월 19일 | ? |
5. 기록
제4수송사령부는 1942년 3월 12일 제4출항만대, 본부 및 본부중대로 창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으며, 1981년 2월 16일 현재 명칭이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에서 활약하여 육군 우수부대표창을 받았다.[1]
5. 1. 계보
날짜 | 영어 명칭 | 한국어 명칭 |
---|---|---|
1942년 3월 12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Port of Embarkation영어 | 제4출항만대, 본부 및 본부중대 |
1942년 11월 7일 | 4th Port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Transportation Corps영어 | 수송대 제4항만대, 본부 및 본부중대 |
1944년 5월 16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Port영어 | 제4항만대, 본부 및 본부중대 |
1954년 6월 11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영어 | 제4수송터미널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
1954년 6월 15일 | 정규군에 할당됨. | |
1961년 6월 23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Transportation Command영어 | 제4수송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
1975년 4월 1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Transportation Brigade영어 | 제4수송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1981년 2월 16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Transportation Command영어 | 제4수송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
5. 2.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베트남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