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콩강 삼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 남부에 위치하며, 껀터시와 12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총 면적이 약 39,000 km²에 달한다. 메콩강과 그 지류, 수로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18세기까지 크메르족의 땅이었으나, 베트남의 남진 정책과 프랑스 식민지화를 거쳐 현재 베트남의 주요 농업 및 어업 지역으로 발전했다. 쌀, 과일, 수산물 생산이 활발하며, 까이러엉(Cải lương)이라는 베트남 민속 오페라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토양 염분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중국해의 지형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 베트남의 지방 - 홍강 삼각주
    홍강 삼각주는 베트남 북부 홍강 하구에 위치하여 비옥한 농지와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며 벼농사와 어업이 활발하고 철새 도래지이자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를 포함하는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지만, 홍수 피해와 환경 훼손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베트남의 지방 - 서북부 지방 (베트남)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서북부 지방은 험준한 산악 지형과 송마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디엔비엔, 호아빈 등 6개의 성으로 구성, 다양한 소수 민족 거주,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전통 문화를 보유한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다.
  • 삼각주 - 김해평야
    김해평야는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평야로, 낙동강 토사 퇴적과 매립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대저제방 축조 후 현재 모습을 갖추고 부산 강서구 일대에 걸쳐 여러 하중도로 구성되어 있다.
  • 삼각주 - 카마르그
    카마르그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서유럽 최대의 강 삼각주 중 하나로,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카마르그 흰말과 카마르그 소의 방목으로 유명하고, 국제적인 조류 지역이자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메콩강 삼각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구룡강 삼각주
다른 명칭메콩강 삼각주
면적43,000 제곱킬로미터
인구19,000,000명 (2022년)
별칭구룡강 삼각주
서부
행정 구역
국가베트남
지역 유형베트남의 지방
지방 지도
경제
GDP (2021년)823조 (362억 미국 달러)
기타
시간대ICT
HDI (2022년)0.684 (5위)

2. 지리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 남서부에 위치한 광대한 삼각주 지역이다. 메콩강 본류와 여러 지류, 그리고 이들을 잇는 복잡한 수로망이 그물처럼 얽혀 있는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저지대 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19세기 프랑스 식민지배기를 거치며 논 면적이 크게 확장되어 오늘날 베트남의 주요 곡창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

2. 1. 행정 구역

메콩강 삼각주에는 중앙직할시껀터와 다음 12개의 성이 속해 있다.

통계
순서성(한국어)성(베트남어)면적 (km²)인구 (2019년)인구밀도 (/km²)
1껀터Cần Thơ1401.6km21,282,300813.3
2안장성An Giang3536.8km22,412,777625.0
3박리에우성Bạc Liêu2526.1km2978,695317.4
4벤째성Bến Tre2395.1km21,624,300317.4
5까마우성Cà Mau5331.7km21,421,200231.1
6동탑성Đồng Tháp3384km22,477,300494.0
7허우장성Hậu Giang1622.2km2974,126494.0
8끼엔장성Kiên Giang6299.3km22,108,700265.4
9롱안성Long An4493.8km22,003,100316.7
10속짱성Sóc Trăng3223.3km21,621,200385.3
11띠엔장성Tiền Giang2511.2km21,933,400691.3
12짜빈성Trà Vinh2358.1km21,285,800451.7
13빈롱성Vĩnh Long1527.1km21,142,000714.6


2. 2. 주요 도시

메콩 델타에서 가장 잘 알려진 도시는 호찌민시 인근의 미토까이베이다. 델타 중심부에는 빈롱, 사덱, 그리고 직할시인 껀터가 주요 도시로 꼽힌다.

2. 3. 지형

메콩 삼각주의 면적은 약 39000km2이며, 메콩강과 그 지류, 그리고 이들을 잇는 복잡한 수로망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

메콩 삼각주에서는 하천 범람으로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자연 제방이 껀터빈롱 부근까지 잘 발달해 있다. 이 제방 위에서는 집약적인 농업이 이루어진다. 자연 제방과 산지 사이에 위치한 쩌우덕과 롱쑤언의 저지대는 우기에 광범위한 홍수 피해를 겪기도 한다.[49]

전반적으로 수로를 중심으로 한 대평원이 펼쳐져 있지만, 북부에는 Núi Sam|누이삼vi이나 Bảy Núi|바이누이vi(일곱 개의 산)처럼 100m에서 300m 높이의 산들이 존재한다.

메콩 삼각주 남부는 까마우 반도가 차지하고 있으며, 육지에서는 베트남 최남단인 까마우 곶이 있다.

2. 4. 메콩강

라오스캄보디아를 거쳐 흘러온 메콩강프놈펜 남쪽에서 지류인 바삭강과 메콩강 본류로 갈라진다. 베트남으로 유입될 때, 메콩강 본류는 안장성 탄쩌우와 동탑성 홍구의 경계로, 바삭강은 안장성 안푸현으로 들어온다. 이 두 물줄기는 약 50km 지점에서 잠시 합류했다가 다시 여러 갈래로 나뉘며 광대한 메콩강 삼각주를 형성한다.

베트남에서는 이 두 주요 물줄기를 구분하여 부른다. 바삭강에서 유래한 서쪽 물줄기는 Hậu Giang|하우장vi(後江) 또는 Sông Hậu|송하우vi(瀧後)라고 하며, 메콩강 본류에서 유래한 동쪽 물줄기는 Tiền Giang|띠엔장vi(前江) 또는 Sông Tiền|송띠엔vi(瀧前)이라고 부른다.

3. 역사

본래 크메르인의 터전이었던 메콩 삼각주는 18세기 무렵 명나라 멸망 후 망명한 화교(양언적, 진상천 등)와 베트남의 주요 민족인 경족의 남진으로 점차 베트남의 영향권 아래 놓이기 시작했다. 1700년경에는 자딩(현재의 호치민시), 미토, 비엔호아 등 주요 도시가 광남국의 영역에 편입되었으며, 끼엔장성까마우성 일대에는 막구와 막천사가 이끄는 화교의 반독립적 세력이 형성되기도 했다.[50] 이러한 배경으로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는 크메르인과 화교 인구가 많이 거주한다.

이후 캄보디아를 둘러싼 시암과의 전쟁, 서산조광남 응우옌씨 부흥 세력 간의 전투 등을 거치면서 점차 경족 중심의 베트남 영토로 편입되었다. 19세기 초 응우옌 왕조가 성립되면서 거의 현재의 베트남 국경선에 가까운 영역이 확정되었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식민지화가 진행되어 1862년 사이공 조약으로 동부 지역이, 1867년에는 서부 지역까지 프랑스령으로 넘어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코친차이나 식민지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메콩강의 복잡한 지류와 정글을 거점으로 활동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과 미국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였으며, 안장성의 투크즈프(Tức Dụp)나 동탑성의 세오퀴트(Xẻo Quýt) 등지에 전쟁 관련 유적이 남아 있다.

3. 1. 푸난과 첸라 시대

오크에오(Óc Eo)에서 발견된 비슈누(Vishnu) 신상(서기 6~7세기).


메콩 삼각주는 선사 시대 이전부터 사람이 살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푸난과 젠라 문명이 수 세기 동안 이곳에 존재했다.[6] 오크에오(Óc Eo)를 비롯한 여러 푸난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증거들은 이 지역이 기원후 1세기부터 번성했던 무역항과 운하 체계를 갖춘 푸난 문명의 중요한 일부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곳의 광범위한 인간 정착은 기원전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푸난 시대에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의 민족 구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나, 고고학자들은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크메르어로 쓰인 비문은 젠라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앙코르 보레이(Angkor Borei)는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500년 사이에 메콩 삼각주 지역에 존재했던 유적지이다. 이곳은 동남아시아 전역 및 인도와 연결되는 광범위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었으며, 푸난 문명의 고대 수도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7]

3. 2. 참파의 침입

15세기 초, 참파는 메콩강 삼각주에 여러 차례 침입을 시작했다. 당시 쇠퇴하던 캄보디아 왕국은 1408년과 1414년에 중국 명나라에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1421년, 인드라바르만 6세가 이끄는 참파 군대는 메콩 삼각주 동부 지역을 침략하여 비엔호아 시장 마을 등을 포함한 지역을 점령하고 합병했다. 인드라바르만 6세는 점령지에 트리부바나크란타(비슈누) 조각상을 세워 참파 영토의 남쪽 경계임을 표시했다.[8][9]

3. 3. 베트남 시대

메콩강 삼각주는 역사적으로 크메르 제국의 일부였으나, 17세기부터 베트남인들의 남진(남진) 과정과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점차 베트남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과정은 주로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양언적(楊彦迪), 진상천(陳上川)과 같은 화교 지도자들이 이끄는 피난민들이 메콩 삼각주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당시 베트남 남부를 다스리던 광남국은 이들 화교 세력을 활용하고, 자국의 주요 민족인 경족을 이주시키는 방식으로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700년경에는 자딩(Gia Định, 현재의 호치민시), 미토(Mỹ Tho), 비엔호아(Biên Hòa) 등 주요 도시 지역이 광남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50] 또한, 끼엔장성까마우성 일대에서는 막구(鄚玖)와 그의 후계자 막천사(鄚天賜)가 이끄는 화교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50]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메콩 삼각주 지역에는 크메르인과 화교 인구가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 획득은 정략 결혼, 캄보디아 왕실 내부 문제에 대한 군사적 개입, 그리고 시암(현재의 태국)과의 경쟁 및 전쟁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8세기 중반까지 여러 차례의 군사적 충돌과 외교적 협상을 거쳐 메콩 삼각주의 대부분 지역이 베트남의 통제하에 들어왔다. 이후 서산조의 난과 광남 응우옌씨 부흥 세력 간의 전투를 거치면서 이 지역은 점차 경족 중심의 베트남 영토로 확고히 편입되었다.

3. 3. 1. 정략 결혼과 개입

18세기 메콩 삼각주 마을의 모습. 1760년경 장-프랑수아 다몽(Jean-François Daumont)의 수채화 석판화.


1621년, 응우옌 왕조의 응우옌푹원은 자신의 딸 응우옌푹응옥반과 캄보디아 국왕 체이 체타 2세 사이의 정략결혼을 주선했다. 이 결혼을 통해 베트남은 프레이 노코르(현재의 호찌민 시)에 무역항을 설립하고, 이곳으로 이주하는 베트남 정착민들에게 세금 면제 혜택을 제공받았다. 그 대가로 응우옌 왕조는 아유타야 왕국(시암)의 압력에 시달리던 캄보디아를 정치적, 군사적으로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 시기 메콩 삼각주에 최초의 베트남 정착지가 동나이(Đồng Nai)와 모이 쏘아이(Mỗi Xoài, 현재 바리아-붕따우) 주변에 형성되기 시작했다.[10]

1658년, 응우옌 왕조는 뚜렷한 이유 없이 캄보디아를 침략하여 당시 유일한 크메르 무슬림 국왕이었던 라마티파디 1세를 왕위에서 몰아냈다. 16년 후인 1674년, 응우옌 왕조는 다시 캄보디아 왕실 내부 문제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앙 난 왕자를 권좌에 앉혔다. 또한, 응우옌 왕조는 명나라 멸망 후 피난 온 중국인들을 미토(Mỹ Tho)와 비엔호아(Biên Hoà)의 메콩강 어귀 마을에 정착시켰다. 하지만 1688년, 정착한 중국인들이 응우옌 영주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1691년 앙 난 왕이 사망한 후 곧 진압되었다.[11]

1697년 참파를 완전히 정복한 후, 응우옌 영주들은 응우옌후깡에게 소규모 원정대를 이끌게 하여 프레이 노코르를 병합하고 사이공(Gia Định)으로 개명했다. 이곳에 베트남식 행정 구조를 수립했으며, 미토에서 안장성까지 메콩 삼각주 깊숙한 지역을 탐험했다.[11] 캄보디아의 체이 체타 4세 국왕은 베트남의 남진을 저지하려 했으나, 1700년 응우옌후깡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1700년 2월, 응우옌후깡은 안장에서 캄보디아를 침공했으며, 3월에는 응우옌후깡과 중국인 장군 쩐떤시엔(Trần Thượng Xuyên, 陳上川|진상천zho)이 이끄는 베트남-중국 연합 원정대가 비치도이(Bích Đôi) 성채에서 캄보디아 주력군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체이 체타 4세는 도주했고, 그의 조카 앙 엠은 침략군에 항복했으며, 베트남군은 프놈펜을 점령했다. 이 결과로 사이공과 롱안성 지역이 공식적으로 응우옌 왕조의 영토가 되었고, 더 많은 베트남 정착민들이 새로 획득한 땅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1708년에는 하티엔(Hà Tiên) 지역의 막끄우 또한 응우옌 영주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1]

3. 3. 2. 메콩 델타 정복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 획득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8세기 초, 명나라 멸망 후 망명한 화교 양언적, 진상천 등이 유입되었고, 베트남의 주요 민족인 경족은 이들을 활용하여 남쪽으로 진출했다. 이 시기 자딩(현재의 호치민시), 미토, 비엔호아 등의 도시 지역이 1700년경까지 광남국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50] 또한, 끼엔장성까마우성 일대에서는 막구와 그의 후계자 막천사가 이끄는 화교의 반독립적인 세력이 형성되기도 했다.[50] 이 때문에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는 크메르인과 화교 인구가 상당수 거주한다.

18세기 중반,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한 메콩 삼각주 지역에는 주로 샤피이파 참족과 이슬람을 믿는 참족-말레이인 공동체들이 흩어져 살고 있었다. 베트남 측 자료에서는 이들을 '참 바르'(Cham Barw) 또는 '꼰 만'(Côn Man, 쿤룬족)으로 불렀으며, 당시 삼각주의 대부분은 캄보디아의 지배하에 있었다.

1750년, 캄보디아 국왕 체이 체타 5세는 당시 응우옌 주군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참족-말레이계 무슬림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를 빌미로 응우옌 왕조의 응우옌 푹 콰트는 1754년 캄보디아를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응우옌 꺼 트린 장군이 이끄는 1만 명의 베트남군은 두 갈래로 나뉘어 캄보디아로 진격하여 저항을 분쇄하고, 1754년 여름 수도 프놈펜을 점령했다. 체이 체타 5세 국왕은 롱벡으로 피신했다.[12]

이 과정에서 무슬림들은 봉기하여 베트남군에 합류했고, 캄보디아군을 추격했다. 1755년 초, 봄철 폭우로 인해 무슬림 부대는 주력군과 연락이 끊겨 보 타 언(Vô Tà Ân) 지역에서 1만 명의 캄보디아군에게 포위되었으나, 수레와 마차를 이용해 방어선을 구축하고 공격을 막아낸 끝에 응우옌 꺼 트린의 구원을 받았다.

1756년, 하티엔 지역을 다스리던 막 티엔 터의 중재로 체이 체타 5세와 응우옌 푹 콰트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캄보디아는 고꽁과 탄안 지역을 베트남에 할양했고, 체이 체타 5세는 폐위되었다. 앙 통이 다시 캄보디아 국왕으로 복위했으며, 그는 응우옌에게 짜빈과 바 탁(Ba Thắc) 두 지역을 조공으로 바쳤다.[13]

1757년, 앙 통이 사망하고 오테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오테이 2세는 응우옌 주군과 하티엔 공국의 도움으로 왕위 찬탈 시도를 물리치고 왕위를 되찾았다. 이에 대한 대가로 그는 메콩 삼각주의 남은 모든 땅을 막 티엔 터에게 주었다. 막 티엔 터는 이 땅(락자까마우 지역)을 하티엔 지역에서 막 씨족의 완전한 자치권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응우옌에게 넘겼다.[13] 이로써 1757년까지 까마우 곶을 포함한 오늘날의 메콩 삼각주 전역이 베트남의 지배 아래 들어오게 되었다.[13]

이후 캄보디아를 둘러싼 시암(태국)과의 전쟁, 서산조와 광남 응우옌씨 부흥 세력 간의 전투 등을 거치면서 메콩 삼각주 전역은 점차 경족의 지배 영역으로 확고히 편입되었다. 19세기 초 응우옌 왕조가 성립되면서 거의 현재의 베트남 국경선에 가까운 영역이 확정되었다.

3. 3. 3. 응우옌 왕조, 프랑스 식민지 시대, 현대사

1802년, 응우옌 왕조(Nguyễn dynasty)의 응우옌 아인(Nguyễn Ánh)은 가륭제(Gia Long)로 즉위하여 메콩 삼각주를 포함한 현재 베트남 전역을 통일하였다.[13] 19세기 초에는 응우옌 왕조가 거의 현재의 국경선에 가까운 영역을 확보하게 되었다.

1860년대 코친차이나 원정(Cochinchina Campaign) 이후, 이 지역은 프랑스의 베트남 식민지 중 첫 번째인 코친차이나(Cochinchina)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French Indochina)에 속하게 되었다.[14]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부터 프랑스군은 기동 돌격 부대(Dinassaut)를 이용하여 메콩 삼각주의 복잡한 수로를 순찰하고 전투를 벌였다. 이러한 전술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First Indochina War) 내내 지속되었으며, 이후 미국 해군의 기동 강 상륙 부대(Mobile Riverine Force)에 의해 계승되었다.[15]

베트남 전쟁(Vietnam War,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메콩 삼각주는 베트콩(Viet Cong,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게릴라와 미국 육군 제9보병사단, 미국 해군의 고속 순찰정(Fast Patrol Craft), 수륙양용 장갑차(hovercraft, PACV), 그리고 베트남 공화국 육군 제7사단, 제9사단, 제21사단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였다. 군사적으로 이 지역은 베트남 공화국 육군 제4군단 작전구역(IV Corps Tactical Zone, IV CTZ)으로 분류되었다.

1975년,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호찌민 작전(Ho Chi Minh Campaign)을 통해 남베트남 전역에 대대적인 공세를 펼쳤다. 다른 군단 지역이 빠르게 무너진 것과 달리, 제4군단 지역은 응우옌 콰 남(Nguyễn Khoa Nam) 소장의 지휘 아래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베트콩의 주요 지역 점령을 막아냈다. 특히 껀터(Cần Thơ)에서는 제21사단장 레 반흥(Lê Văn Hưng) 준장이 성공적으로 방어선을 지켰다. 그러나 1975년 4월 29일, 마지막 미국 총영사 테리 맥나마라(Terry McNamara)와 외교관들이 껀터에서 해상으로 철수했고,[16] 남베트남 대통령 즈엉 반 민(Dương Văn Minh)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자, 껀터에 남아있던 레 반흥 장군과 응우옌 콰 남 장군은 자살을 선택했다. 미토(Mỹ Tho)를 방어하던 쩐 반 하이(Trần Văn Hai) 준장 역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18] 빈투이 공군기지(Binh Thuy Air Base)에서는 일부 남베트남군과 공군 인원들이 헬리콥터와 전투기를 이용해 태국(Thailand)으로 탈출했으며,[17] 남은 병력은 베트콩에게 항복하거나 사로잡혔다.[17] 일부 남베트남군은 저항을 이어갔으나 결국 항복하거나 해산되었다.[19]

1970년대 후반, 민주 캄푸치아(Khmer Rouge) 정권은 과거 영토였던 메콩 삼각주를 되찾기 위해 베트남을 침공했다. 이 공격은 베트남의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을 유발했고, 결국 크메르 루주 정권의 붕괴로 이어졌다.

현대에 들어 메콩 삼각주는 기후 변화로 인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저지대 연안 지역의 특성상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홍수에 매우 취약하다.[31] 껀터 대학교(Cần Thơ University) 기후변화 연구소는 2030년까지 삼각주의 많은 지역이 홍수 피해를 겪을 것으로 예측하며, 특히 벤째성(Bến Tre province)과 롱안성(Long An province)은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각각 51%와 49%가 침수될 것으로 예상했다.[32] 또한 계절적 강우량 감소로 인한 가뭄과 해안 지역의 토양 염분화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34] 연간 약 1.1cm씩 발생하는 지반 침하도 홍수 위험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35][38]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삼각주 평균 고도는 해발 0.82m에 불과하며, 현재 1200만 명이 거주하는 삼각주의 75%가 1m 미만이었다.[38] 2050년까지 삼각주의 대부분이 해수면 아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9]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정부와 국제 사회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류 지역 제방을 허물어 물 저장 용량을 늘리고 퇴적물을 유입시켜 지반 고도를 높이는 퇴적물 증강 전략(Sedimentation enhancing strategies)이 추진 중이며,[33] 해안 지역에는 염분화 방지를 위한 나무 심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34] 독일, 호주 등과 협력하는 통합 연안 관리 프로그램,[36] 그리고 2017년 베트남 정부의 https://english.luatvietnam.vn/resolution-no120-nq-cp-dated-november-17-2017-of-the-government-on-sustainable-and-climate-resilient-development-of-the-mekong-river-delta-118378-doc1.html 결의안 120호와 같이 지속 가능한 관리와 천연자원 보존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들 계획은 제방 개조, 맹그로브 복원, 다가치 농업 등 자연 기반 해결책에 중점을 둔다.[37]

4. 경제

컨터이 플로팅 마켓


메콩 삼각주는 베트남에서 농업과 양식업 생산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지역이며, 산업과 외국인직접투자 (FDI)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과 잘 갖춰진 관개 시설을 바탕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벼농사와 이를 이용한 라이스페이퍼, 쌀국수 등 쌀 가공품 생산이 활발하며, 논과 수로 사이 땅에서는 과일이나 연꽃 등을 재배한다. 또한 부레옥잠 같은 수생 식물을 사료로 이용하는 돼지 사육, 수로를 활용한 오리 사육 및 강에서 잡히는 물고기 양식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반면, 만성적인 전력 부족으로 도시 지역에서도 정전이 잦아 공업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다.

4. 1. 농업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에서 농업과 양식업 생산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지역이며, 산업과 외국인직접투자 (FDI)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 지역의 농경지 면적은 약 260만 ha로, 베트남 전체 농지의 4분의 1에 해당한다.[40] 지형이 대부분 평탄하고 까마우성을 제외하면 삼림이 거의 없어, 지역 토지의 약 3분의 2(64.5%)가 농업에 이용될 수 있다. 농지 비율은 컨터와 인근 하우장성에서는 80%를 넘지만, 까마우성(32%)과 박리우성(42%)에서는 50% 미만으로 지역별 차이가 있다.[40] 메콩강 삼각주의 곡물 재배 면적은 베트남 전체의 47%를 차지하며, 이는 베트남 북부와 중부 지역을 합친 것보다 넓다. 이 중 대부분은 벼농사에 사용된다.

2011년 기준 쌀 생산량은 2318.6만ton으로, 베트남 전체 생산량의 54.8%를 차지했다. 주요 생산 지역은 끼엔장성, 안장성, 동탑성으로, 각 지역에서 300만ton 이상을 생산하여 세 지역 합계 생산량이 약 1100만ton에 달한다. 이들 세 지역 중 어느 두 곳을 합쳐도 홍강 삼각주 전체의 쌀 생산량보다 많다.[40] 반면, 박리우성, 까마우성, 벤째성 세 곳은 쌀 생산량이 100만ton 미만인 지역이다.[40]

19세기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논 면적이 급격히 넓어졌으며, 오늘날 베트남 수출 쌀의 대부분이 이 삼각주에서 생산된다. 경작 면적 확대를 위해 수로 정비와 재배 기술 향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메콩강 삼각주에는 하천 범람으로 토사가 쌓여 형성된 자연 제방이 컨터와 빈롱 부근까지 잘 발달해 있으며, 이 제방 위에서는 집약적인 농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자연 제방과 산지 사이에 위치한 쩌우덕과 롱쑤언 같은 저지대는 우기에 광범위한 홍수 피해를 겪기도 한다.[49]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과 잘 갖춰진 관개 시설을 바탕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벼농사와 더불어 라이스페이퍼, 쌀국수 등 쌀 가공품 생산이 활발하며, 논과 수로 사이의 땅을 이용한 과일이나 연꽃 재배도 이루어진다. 또한 부레옥잠 등 수생 식물을 사료로 활용하는 돼지 사육, 수로를 이용한 오리 사육 및 강에서 잡히는 물고기 양식도 중요한 농업 활동이다.

만성적인 전력 부족으로 도시 지역에서도 정전이 잦아 공업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다.

4. 2. 어업

메콩 삼각주는 베트남에서 가장 중요한 어업 지역 중 하나이다. 베트남 전체 해양 어선의 약 절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키엔장성( Kiên Giangvi)에 전체 어선의 4분의 1이 집중되어 있다. 그 외에도 벤쩌( Bến Trevi), 카마우( Cà Mauvi), 티엔장( Tiền Giangvi), 박리우( Bạc Liêuvi) 등이 주요 어선 보유 지역이다.[40] 어업 생산량은 2005년 184만ton에서 크게 성장하여 316.8만ton에 달하며, 이는 베트남 전체 생산량의 58.3%에 해당한다.[40] 생산량이 30만ton을 넘는 베트남 최대 어업 생산 지역인 키엔장성, 카마우, 돈탑( Đồng Thápvi), 안장( An Giangvi), 벤쩌는 모두 메콩 삼각주에 위치한다.[40]

이 지역에 대규모 해양 어선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업 생산량의 3분의 2는 양식업에서 나온다. 이는 베트남 전체 양식 생산량 293만ton 중 213만ton에 해당한다.[40] 2015년 12월 양식 생산량은 35.7만ton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으며, 2015년 한 해 동안의 총 양식 생산량은 351.6만ton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양식 생산량은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지만, 수출 시장에서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4. 3. 산업 및 FDI



메콩 삼각주는 베트남에서 농업과 양식업 생산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지역이지만, 산업과 외국인직접투자 (FDI)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비록 공업화가 활발히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메콩 삼각주는 베트남 7개 지역 중 총산출액 기준으로 세 번째로 큰 산업 규모를 가지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산업은 베트남 전체 산업 생산의 10%를 차지했다.[40] 지역 산업 생산의 거의 절반은 껀터, 롱안성, 까마우성에 집중되어 있다. 껀터는 이 지역의 경제 중심지로서 다른 성들에 비해 산업화가 더 진전된 상태이다. 롱안성은 호찌민시 주변의 제조업 호황의 일부를 유치한 유일한 성으로, 다른 성들에게 성공적인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다.[43] 까마우성에는 발전소와 비료 공장을 포함한 대규모 산업 단지가 위치해 있다.[44]

2011년까지 메콩 삼각주에 유입된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102.57억달러였다.[40] 투자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롱안성끼엔장성이 각각 30억달러 이상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했다. 그 뒤를 이어 띠엔장성껀터(각각 약 8.5억달러), 까마우성( 7.8억달러), 허우장성( 6.73억달러) 등이 따랐으며, 나머지 성들은 각각 2억달러 미만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 그쳤다.[40] 전반적으로 이 지역의 FDI 유치 실적은 지역 분석가들과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3]

호찌민시의 기업들 또한 이 지역에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11년 6월까지 이들 기업의 투자액은 199조 VND(당시 환율로 약 100억달러)에 달했다.[45]

5. 인프라

메콩강 최대 지류를 가로지르는 케이블 사장교인 껀터 대교는 2010년 4월 12일에 완공되었다. 이 다리는 건설 중이던 2007년에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54명이 사망하고 약 100명이 부상당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기도 했다. 완공 후에는 1번 국도의 페리 운행을 대체하며 빈롱성껀터시를 연결하고 있다. 건설 비용은 4.842조베트남 동(약 3.426억달러)으로 추산되어, 베트남에서 가장 비싼 다리로 기록되었다.[46]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는 철도가 부설되어 있지 않아, 육상 교통은 주로 버스에 의존한다. 과거에는 강을 건너기 위해 버스나 트럭도 대형 도선을 이용해야 했으나, 21세기에 들어 껀터 대교, 락미에우 대교, 미토완 대교, 코첸 대교 등이 건설되면서 야간 교통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도로망이 부족하고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해 선박을 이용한 하천 수송과 도선 운행이 활발하다. 자갈, 쌀 등 대량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생활필수품과 신선식품을 실은 배들이 오가는 수상시장도 여러 지역에 남아 있어 지역 주민들의 생활 터전이자 관광 명소로 기능하고 있다.

6. 문화

메콩 삼각주의 삶은 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많은 마을은 도로보다는 강과 운하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선박을 이용한 하천 수송과 도선 영업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철도는 부설되어 있지 않고, 이동의 중심은 버스이다. 과거에는 대량 수송에 견딜 수 있는 다리가 부족하여 버스나 트럭도 대형 도선을 이용하여 강을 건너야 했지만, 21세기에 들어 칸토 다리, 락미에우 다리, 미토완 다리, 코첸 다리 등이 건설되어 육상 교통 여건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도로망 미비,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해 선박을 이용한 하천 수송과 도선 영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갈 등의 자재와 같은 농산물의 대량 수송뿐만 아니라, 생활필수품과 신선식품을 실은 배들이 모여 형성된 수상시장은 여러 지역에 남아 지역 주민의 생활 중심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독특한 문화 경관으로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6. 1. 까이러엉 (Cải lương)

메콩 삼각주 지역은 베트남 민속 오페라의 한 형태인 cải lương (까이러엉)의 발상지이다. 까이러엉은 20세기 초 메콩 삼각주에서 등장했으며, 종종 기타비파 반주에 맞춰 공연된다. 까이러엉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연극의 한 형태로, 대화 부분과 노래 부분을 통해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47]

6. 2. 요리

메콩 삼각주의 요리는 신선한 재료를 주로 사용하며, 이 지역은 해산물, 야자당, 바사 생선 등이 풍부하다. 또한 디엔 디엔điên điển|디엔 디엔vi, 소 두아so đũa|소 두아vi, 케오 네오kèo nèo|케오 네오vi와 같은 지역 특유의 야생 허브와 꽃도 많이 사용된다. 이 지역의 역사는 요리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정착민 요리'(Ẩm thực khẩn hoang|암 특 컨 호앙vi)는 야생에서 갓 잡은 재료를 신선하게 조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메콩 삼각주 요리는 크메르족, 참족, 중국인 정착민들의 영향 또한 받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베트남 다른 지역의 요리와 구별되는 점이다.

6. 3. 문학과 영화

응웬 응옥 투(Nguyễn Ngọc Tư|응웬 응옥 투vie)는 까마우성(Cà Mau province|까마우성vie) 출신 작가로 메콩강 삼각주의 삶을 다룬 많은 인기 도서를 집필했다. 그 예로는 다음과 같다.

  • Ngọn đèn không tắt|꺼논 덴 콩 탓vie (꺼지지 않는 등불, 2000)
  • Ông ngoại|옹 응오아이vie (할아버지, 2001)
  • Biển người mênh mông|비엔 응으이 메이 멍vie (사람들의 바다, 2003)
  • Giao thừa|자오 터vie (섣달 그믐, 2003)
  • Nước chảy mây trôi|느억 차이 마이 트로이vie (흐르는 물, 떠도는 구름, 2004)
  • Cánh đồng bất tận|카이 돤 벗떤vie (끝없는 들판, 2005)


2004년 영화 ''물소 소년''(The Buffalo Boy|물소 소년eng)은 까마우성을 배경으로 한다.

메콩강 삼각주의 삶을 다룬 일부 베트남 영화는 많은 관객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Tình Mẫu Tử|띤 마우 터vie (모자의 사랑, 2019), Phận làm dâu|판 람 자우vie (며느리의 운명, 2018) 등이 있다.

7. 기후 변화

메콩 삼각주는 저지대 연안 지역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특히 취약하다. 껀터 대학교의 기후 변화 연구소는 2030년까지 해수면이 약 0.30m 상승하면 메콩 삼각주 대부분 지역이 물에 잠길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는 베트남 전체 인구의 47%가 거주하는 지역에 해당한다. 또한 해안 지역에서는 토양 염분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어 농업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정부와 국제 사회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방 건설, 물 관리 시스템 개선, 염분에 강한 작물 품종 개발 등의 적응 전략이 추진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기후 변화 인식 개선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여러 국가 및 지역 차원의 프로젝트와 계획을 통해 메콩 삼각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 웹아카이브 Mekong Delta http://www.arcbc.org[...] 2012-09-21
[3] 서적 The Mekong Delta: Ecology, Economy, and Revolution, 1860-1960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4] 서적 Vietnamese Communism: Its Origin and Development Hoover Institution Press
[5] 뉴스 Mekong a 'treasure trove' of 1,000 newly discovered species http://www.cnn.com/2[...] CNN 2008-12-16
[6] 서적 Asia and Oceania Taylor & Francis
[7] 학술지 Recent research on emergent complexity in Cambodia's Mekong https://journals.lib[...]
[8] 간행물 Inscriptions of Campā based on the editions and translations of Abel Bergaigne, Étienne Aymonier, Louis Finot, Édouard Huber and other French scholars and of the work of R. C. Majumdar. Newly presented, with minor corrections of texts and translations, together with calculations of given dates Shaker Verlag
[9] 간행물 The inscriptions of Campā at the Museum of Cham sculpture in Đà Nẵng / Văn khắc Chămpa tại bảo tàng điêu khắc Chăm – Đà Nẵng Vietnam National University in Ho Chi Minh City Publishing House (published in collaboration with EFEO and the Center for Vietnamese and Southeast Asian Studies, Hồ Chí Minh City)
[10] 서적 Sự mở rộng lãnh thổ Đại Việt dưới thời Hậu Lê và tính chất Kore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1] 서적 Sự mở rộng lãnh thổ Đại Việt dưới thời Hậu Lê và tính chất Kore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2] 서적 Sự mở rộng lãnh thổ Đại Việt dưới thời Hậu Lê và tính chất Kore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3] 서적 Sự mở rộng lãnh thổ Đại Việt dưới thời Hậu Lê và tính chất Kore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4] 서적 Asia and Oceania Taylor & Francis
[15] 웹사이트 Dinassaut : Riverine warfare in Indochina, 1945–1954 http://indochine54.f[...]
[16] 웹사이트 Apocalypse Not – The Evacuation from Can Tho, Vietnam — April 1975 https://adst.org/201[...]
[17] 웹사이트 'Day of Anguish' Still Grips Those Who Fled : Surrender: Fifteen years ago today, the fall of Saigon irrevocably changed a multitude of lives forever https://www.latimes.[...] 1990-04-30
[18] 서적 The Vietnamese War: Revolution and Social Change in the Mekong ..., Volume 1
[19] 웹사이트 Holdouts https://www.warnever[...] 2019-04-01
[20] 웹사이트 viajes a Vietnam https://rutasvietnam[...]
[21] 웹아카이브 Mekong River Awareness Kit http://www.cbd.int/p[...]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10-06-18
[22] 서적 River Discharge to the Coastal Ocean: A Global Synthes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3-28
[23] 학술지 Sand dynamics in the Mekong River channel and export to the coastal ocean https://www.scienced[...] 2017-09-01
[24] 학술지 Sand mining in the Mekong Delta revisited – current scales of local sediment deficits 2019-11-28
[25] 학술지 A seismic study of the Mekong subaqueous delta: Proximal versus distal sediment accumulation
[26] 학술지 Holocene delta evolution and sediment discharge of the Mekong River, southern Vietnam
[27] PhD thesis Morphology and origin of modern seabed features in the central basin of the Gulf of Thailand
[28] 학술지 Late Holocene Evolution of the Mekong Subaqueous Delta, Southern Vietnam
[29] 학술지 Stratigraphic formation of the Mekong River Delta and its recent shoreline changes
[30] 학술지 Recent evolution of the Mekong Delta and the impact of dams
[31] 웹아카이브 Report: Flooded Future: Global vulnerability to sea level rise worse than previously understood https://web.archive.[...] 2019-10-29
[32] 웹아카이브 Mekong Delta: more flood and drought http://reliefweb.int[...] VietnamNet Bridge 2009-03-19
[33] 학술지 Breaching dykes in the Mekong Delta https://edepot.wur.n[...]
[34] 웹아카이브 Xây dựng rừng phòng hộ để thích ứng với biến đổi khí hậu https://web.archive.[...] 2011-06-06
[35] 학술지 Sea-Level Rise and Land Subsidence: Impacts on Flood Projections for the Mekong Delta's Largest City MDPI 2016-09-21
[36] 뉴스 Saving the Mekong Delta https://www.dandc.eu[...] 2017-04-19
[37] 웹사이트 In a Dammed and Diked Mekong, a Push to Restore the Flow https://e360.yale.ed[...] 2024-05-09
[38] 논문 Mekong delta much lower than previously assumed in sea-level rise impact assessments 2019
[39] 뉴스 Rising Seas Will Erase More Cities by 2050, New Research Shows https://www.nytimes.[...] 2019-10-29
[40] 간행물 Statistical Yearbook of Vietnam 2011 Statistical Publishing House, Hanoi 2012
[41] 웹사이트 Area,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by province https://www.gso.gov.[...] 2024-04-12
[42] Decision Phê duyệt và công bố kết quả thống kê diện tích đất đai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4-04-12
[43] 뉴스 Nâng nội lực, hút vốn FDI vào ĐBSCL http://www.thesaigon[...] 2012-12-07
[44] 뉴스 Gas, fertiliser industrial zone opens in Cà Mau http://vietnamnews.v[...] 2012-10-27
[45] 뉴스 TPHCM đã đầu tư vào ĐBSCL gần 199.000 tỉ đồng http://www.thesaigon[...] 2011-07-25
[46] 웹사이트 SE Asia's longest cable-stayed bridge underway in Cần Thơ http://vietnamnews.v[...] 2004-09-28
[47] 웹사이트 Cai Luong – The Traditional Music Of The Mekong Delta https://www.mekong-d[...] 2019-10-02
[48] 웹사이트 Statistical Handbook of Vietnam 2014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49] 서적 現代ベトナム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4-06
[50] 서적 物語ヴェトナムの歴史 一億人国家のダイナミズム 中央公論社 199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