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데스하임암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데스하임암라인은 독일 헤센주 라인가우-타우누스 군에 속한 도시로, 라인강 우안에 위치하며 라인가우 와인 산지와 니더발트 기념비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라인 마인 지역과 라인 계곡에 속하며, 뤼데스하임암라인 시는 뤼데스하임, 아이빙엔, 아스만스하우젠, 아울하우젠, 프레스베르크 등 5개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074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포도 재배와 선박 운송,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명소로는 니더발트 기념비, 드로젤가세, 브뢰름제르부르크 성 등이 있으며, 다양한 박물관과 하이킹 코스, 전통 행사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주의 도시 - 하나우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하나우는 마인강과 킨치히강 합류 지점의 운터마인 분지에 자리 잡은 도시로, 위그노 난민 유입 등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그림 형제 고향이자 금세공인 박물관, 필립스루에 궁전 등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가 있는 헤센주에서 여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지만, 2020년 극우 총기 난사 사건으로 아픔을 겪었다. - 헤센주의 도시 - 바트홈부르크포어데어회에
바트홈부르크포어데어회에는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180년경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으며, 온천과 카지노를 통해 국제적인 휴양 도시로 발전했고, 현재는 관광 도시로서 다양한 면모를 갖추고 있다. - 독일의 세계유산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세계유산 - 뤼베크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항구 도시 뤼베크는 중세 한자 동맹의 중심지로, 뤼베크 법을 통해 발트해 연안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번성했으나 쇠퇴 후 재건을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토마스 만의 고향으로도 알려져 있다.
| 뤼데스하임암라인 | |
|---|---|
| 지도 정보 | |
![]() | |
![]() | |
| 기본 정보 | |
| 정식 명칭 | 뤼데스하임암라인 |
| 독일어 명칭 | Rüdesheim am Rhein |
| 유형 | 도시 |
| 위치 | 헤센주 |
| 행정 구역 | 다름슈타트 |
| 군 | 라인가우타우누스군 |
| 하위 구역 | 5개 구역 |
| 면적 | 51 |
| 고도 | 186 |
| 우편 번호 | 65385 |
| 지역 번호 | 06722 |
| 차량 번호판 | RÜD |
| 지방 자치체 코드 | 06 4 39 013 |
| 웹사이트 | 뤼데스하임암라인 공식 웹사이트 |
| 정치 | |
| 시장 | 클라우스 차프 |
| 시장 임기 | 2019–25 |
| 발음 | |
| 독일어 발음 | ˈryːdəsha‿im am ra‿in |
| 추가 정보 | |
| 관련 지역 | 미텔라인탈 |
2. 지리
뤼데스하임은 라인강 우안, 라인가우 와인 산지의 니더발트 기념비 기슭에 있으며, 프랑크푸르트 라인 마인 지역과 세계유산인 라인 계곡에 속한다.[1]
자연 지역 분류상 뤼데스하임 시 영역은 오버라인 분지, 미텔라인de, 타우누스 산지로 나뉜다. 시 영역에는 라인아우에(라인강의 사주), 빙거 로흐de, 라인가우, 니더발트(숲), 라인가우어 산지, 비스퍼타우누스가 포함된다. 니더발트에서는 훈스뤼크와 자르-하르 산지, 남쪽으로 39.5km 떨어진 도너스베르크까지 전망을 볼 수 있다.[1]
뤼데스하임은 라인가우-타우누스 군의 남서쪽 끝에 있다. 남쪽과 동쪽 시 경계는 라인강의 유로 거리 525km 지점의 뤼데스하임 항구에서 535km 지점의 라이헨슈타인 성de 맞은편 부근까지이며, 뤼데스하이머 아우에(사주)와 수위가 내려가면 수면에 나타나는 클라우스아우에나 클레멘스그룬트와 같은 여울이 포함된다. 라인강 제방의 높이는 뤼데스하임 부근에서는 81m, 아스만스하우젠 부근에서는 77m이다.[1]
뤼데스하임과 아이빙엔에서 니더발트(346m)와 에벤탈(304m)까지 햇볕이 잘 드는 남쪽 사면이 뻗어 있다. 동쪽은 경사가 완만하지만, 서쪽의 빙거 로흐를 향해 갈수록 가팔라진다. 고도 약 250m 부근까지는 포도밭이다. 아스만스하우젠 부근의 라인강과 아이히바흐 강 계곡에서는 타우누스 산지의 가파른 산복이 서쪽으로 향하는 급경사를 이루며, 일부 절벽과 암반을 형성하며 위로 올라간다. 여기서는 급경사의 포도밭으로 재배한다.[1]
아스만스하우젠과 아이히바흐 강을 따라 위치한 아울하우젠 북쪽은 타우누스 산지 주맥에 속하는 바하라하 코프프(342m)와 헬코프프(379m)로 올라간다. 서쪽으로 700m 떨어진 라인강 강변에 솟아 있는 라이펠스카드리히(416m)가 시작된다. 동쪽에서는 주맥이 캄머포르트 임업청을 지나 500m의 짐머스코프프로 이어진다. 그 남쪽 사면에 뤼데스하임 글라이더 활공장의 숲과 초원이 있다. 짐머스코프프 부근에서 타우누스 산지 주맥은 북서쪽으로 갈라지고, 보덴탈과 프레스베르크 부근 글로로흐탈 사이에 지맥이 형성되어 뤼데스하임 시에서 가장 높은 산인 538m의 예거호른이 있다.[1]
글로로흐탈 북쪽, 개간된 고지에 뤼데스하임에서 가장 높은 시가지인 고도 410m의 프레스베르크가 있다. 프레스베르크 북쪽, 캄마부르크에 깊이 파인 비스퍼탈에서 시 영역은 끝난다.[1]
라인강에서 비스퍼강까지 시 영역의 길이는 13km, 너비는 최대 5km이다.[1]
뤼데스하임은 동쪽으로 가이젠하임, 라인강 건너편 남쪽으로 빙엔과 접한다. 서쪽으로 바일러 바이 빙엔 및 트레히팅스하우젠(라인란트팔츠주 마인츠-빙엔군)과 접하며, 북서쪽에서 북쪽으로 로르히와 접한다. 뤼데스하임은 보행자용과 차량용 페리를 통해 라인 강 좌안과 연결되어 있다.[1]
2. 1. 위치
뤼데스하임은 라인강 우안, 라인가우 와인 산지의 니더발트 기념비 기슭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라인 마인 지역과 세계유산인 라인 계곡에 속하며, 라인 낭만주의로 유명한 라인가우 풍경 속에 그림 같은 구시가지를 가지고 있다.[1]뤼데스하임 시의 영역은 자연 지역 분류상 세 부분으로 나뉜다. 오버라인 분지, 미텔라인de, 타우누스 산지이다. 따라서 매우 좁은 범위이면서도 나타나는 지형은 다양하다. 시 영역에는 라인아우에(라인강의 사주), 빙거 로흐de, 라인가우, 니더발트(숲), 라인가우어 산지, 비스퍼타우누스가 포함된다. 더욱이 니더발트에서는 훈스뤼크와 자르-하르 산지, 남쪽으로 39.5km 떨어진 도너스베르크까지 이르는 전망을 얻을 수 있다.[1]
뤼데스하임은 라인가우-타우누스 군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다. 남쪽과 동쪽의 시 경계는 라인강의 유로 거리 525km 지점의 뤼데스하임 항구에서 535km 지점의 라이헨슈타인 성de 맞은편 부근까지이며, 여기에는 뤼데스하이머 아우에(사주)와 수위가 내려가면 수면에 나타나는 클라우스아우에나 클레멘스그룬트와 같은 여울이 포함된다. 라인강 제방의 높이는 뤼데스하임 부근에서는 81m, 아스만스하우젠 부근에서는 77m이다.[1]
뤼데스하임과 아이빙겐에서 니더발트(346m)와 에벤탈(304m)까지 햇볕이 잘 드는 남쪽 사면이 뻗어 있다. 동쪽에서는 경사가 완만하지만, 서쪽의 빙거 로흐를 향해 갈수록 점점 가팔라진다. 고도 약 250m 부근까지의 사면은 포도밭이다. 아스만스하우젠 부근의 라인강과 여기서 합류하는 아이히바흐 강 계곡에서는 타우누스 산지의 가파른 산복이 서쪽으로 향하는 급경사를 이루며, 일부 절벽과 암반을 형성하며 위로 올라간다. 여기서는 급경사의 포도밭으로 재배하는 것이 고작이다. 아스만스하우젠과 에렌펠스 성de 사이의 땅은 좁은 길이나 계단으로 도보로만 갈 수 있었고, 농작업의 기계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계단식 포도밭에서의 포도 재배는 거의 완전히 폐기되었다. 이러한 급경사에서는 덤불의 침식이 시작되고 있다.[1]
아스만스하우젠과 아이히바흐 강을 따라 위치한 아울하우젠의 북쪽은 타우누스 산지의 주맥에 속하는 바하라하 코프프(342m)와 헬코프프(379m)로 올라간다. 여기서는 서쪽으로 700m 떨어진 라인강 강변에 솟아 있는 라이펠스카드리히(416m)가 시작된다. 동쪽에서는 주맥이 캄머포르트 임업청을 지나 500m의 짐머스코프프로 이어진다. 그 남쪽 사면에 뤼데스하임 글라이더 활공장의 숲과 초원이 있다. 짐머스코프프 부근에서 타우누스 산지의 주맥은 북서쪽으로 갈라지고, 보덴탈과 프레스베르크 부근에 있는 글로로흐탈 사이에 지맥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뤼데스하임 시에서 가장 높은 산인 538m의 예거호른이 있다.[1]
글로로흐탈의 북쪽, 개간된 고지에 뤼데스하임에서 가장 높은 시가지인 고도 410m의 프레스베르크가 있다. 프레스베르크의 북쪽, 캄마부르크에 깊이 파인 비스퍼탈에서 시 영역은 끝난다.[1]
라인강에서 비스퍼강까지의 시 영역의 길이는 13km, 너비는 최대 5km이다.[1]
2. 2. 인접 지역
뤼데스하임은 동쪽으로는 가이젠하임, 라인강 건너편 남쪽으로는 빙엔과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바일러 바이 빙엔 및 트레히팅스하우젠(라인란트팔츠주 마인츠-빙엔군)과 접하며, 북서쪽에서 북쪽으로는 로르히와 접하고 있다. 뤼데스하임은 보행자용과 차량용 페리를 통해 라인 강 좌안과 연결되어 있다.[1]2. 3. 도시 구성
뤼데스하임암라인 시는 다섯 개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뤼데스하임암라인 (초기 지역 및 중심지)
- 아이빙엔(Eibingen) - 빈데크(Windeck), 아이빙엔 수도원(Eibingen Abbey), 노트고테스(Nothgottes) 포함
- 아스만스하우젠(Assmannshausen)
- 아울하우젠(Aulhausen) - 옛 마리엔하우젠 수도원(Marienhausen Abbey)과 성 빈첸츠 수도원(St. Vincenzstift) 포함
- 프레스베르크(Presberg)
아스만스하우젠, 아울하우젠, 프레스베르크는 오르츠베르크(Ortsbezirk)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중앙 뤼데스하임과 아이빙엔은 합쳐서 네 번째 오르츠베르크를 형성한다. 1939년부터 아이빙엔(빈데크 지역과 트리프트 지역 포함)이, 1977년 헤센주 지역 재편에 따라 아스만스하우젠, 아울하우젠, 프레스베르크가 뤼데스하임암라인 시에 합병되었다. 아스만스하우젠, 아울하우젠, 프레스베르크는 각각 선출된 오르츠바이라트(Ortsbeirat, 지역 위원회)를 갖춘 오르츠베치르크(행정 구역)를 형성하고 있으며, 오르츠베치르크의 경계는 이전의 게마르쿵(Gemarkung, 등기상 경계)을 따르고 있다. 중핵 시가지와 아이빙엔은 오르츠베치르크 알트-뤼데스하임으로 통합되어 있다. 뤼데스하임과 아이빙엔의 주택가는 전후 함께 발전했지만, 이전과 마찬가지로 두 시가지는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며, 게마르쿵 아이빙엔이 존재한다.
각 오르츠베치르크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 오르츠베치르크 | 2015년 인구 | 2018년 인구 |
|---|---|---|
| 알트-뤼데스하임 | 6,837 | 6,922 |
| 아스만스하우젠 | 982 | 995 |
| 아울하우젠 | 1,195 | 1,208 |
| 프레스베르크 | 859 | 870 |
| 합계 | 9,873 | 9,995 |
3. 역사

이 지역은 처음에 켈트족이 정착했고, 서기 원년 이후에는 우비이족, 마티아키족이 그 뒤를 이었다. 1세기에 로마인들은 타우누스까지 진출했다. 로마인들은 빙겐 암 라인에 요새를 쌓고, 그 맞은편, 즉 현재의 뤼데스하임 부근에는 리메스로 향하는 길 중간에 교두보를 구축했다. 그 후, 로마인들은 알레만니족에게 쫓겨났고, 민족 대이동 시대에 프랑크족이 들어왔다. 고고학 조사 결과, 당시의 유리가 발견되었으므로, 그 무렵부터 뤼데스하임에서는 포도주 양조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프랑크족의 마을로 형성된 초기의 마을 위치와 크기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던 크룬크할츠호프 거리와 클라이네 그라벤 거리의 경로로 알 수 있다.[12]
983년 "베로네제의 기증"으로 마인츠 대주교의 지위가 강화되었다. 뤼데스하임의 주민과 귀족들은 라인 백작의 권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사법권을 갖게 되었다. 뤼데스하임 귀족들은 마인츠 대주교의 레엔 아래 편입되었고, 라인 백작의 영향력은 점차 사라졌다.[13]
1031년부터 1051년까지 Bardo (Mainz)|발도 (마인츠 대주교)|en|Bardo (bishop)de의 통치하에 뤼데스하임의 포도주 생산이 장려되었다. 주민들의 청원으로 "뤼데스하임과 아이빙겐의 산"이 개간되어 포도밭으로 만들어졌다. 1074년 Siegfried I. (Mainz)|지크프리트 1세 (마인츠 대주교)|en|Siegfried I (archbishop of Mainz)de는 숲을 개간하여 포도밭을 대규모로 확장했다. 개간 허가증에는 개간지에 포도밭만 만들 수 있다는 조건이 있었다. 이후 150년 동안 이루어진 개간은 뤼데스하임을 포함한 라인가우 전역의 부의 기반이 되었다. 1226년 이후 라인가우에서 추가 개간은 금지되었다.[14] 뤼데스하임은 주로 포도주 양조, 항해, 뗏목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5세기부터 16세기까지 라인가우는 라인가우어 게뷔크[15] 덕분에 큰 전화를 면했다. 뤼데스하임은 다소 부유해졌고, 마을 방어 시설은 레일 거리에서 슈타인가세까지 확장되었으며, 많은 탑으로 강화되었다. 라인 강변의 아들러탑만이 옛 화약고로 현재까지 남아 있다. 라인가우의 3개 와인 도시 중 하나인 뤼데스하임의 와인 시장은 번영했고, 라인 강에는 새로운 와인 크레인이 설치되었다. 물레방앗간 배는 곡물뿐 아니라 기타 산업 원료도 제분했고, 라인 강은 많은 배로 활기를 띠었다. 뤼데스하임은 라인 강의 가파른 절벽 때문에 육로가 끝나는 지점으로, 하류로 향하는 모든 교통은 배로 갈아타야 했기에 교통의 요지였다. 많은 뤼데스하임 선원들은 화물선, 나룻배 선원, 수로 안내인, 뗏목꾼으로 좋은 수입을 얻었고, 많은 여행객들이 배를 기다리는 동안 머무는 여관도 발달했다.
1803년 제국 대표자 회의 주요 결의로 마인츠 선제후의 지배가 끝나고, 뤼데스하임은 나사우 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1816년 4월 4일, 뤼데스하임은 나사우 공국 암트 뤼데스하임의 수읍이 되었고, 1818년 1월 1일 도시권을 부여받았다.[16]
1867년 프로이센 왕국이 나사우 공국을 병합하면서 뤼데스하임은 신설된 라인가우 군의 군청 소재지가 되었다. 1977년 헤센 주 자치체 재편으로 라인가우 군과 운터타우누스 군이 합병되어 라인가우-타우누스 군이 되었고, 뤼데스하임은 군청 소재지 지위를 바트 슈발바흐에 넘겨주었다. 그러나 뤼데스하임의 인지도가 높아 자동차 번호판 지명은 RÜD로 유지되었다.
니더발트 기념비는 1877년 건설이 시작되어 1883년 완공되었다. 이 기념비는 마을을 내려다보는 고지대에 있으며, 처음에는 당나귀로, 1885년부터는 랙식 철도인 니더발트 철도로, 1954년부터는 로프웨이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관광업은 수운업을 대체하는 주요 수입원으로 성장했다.
1939년, 나치는 독립 자치체였던 아이빙겐(Eibingen)을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뤼데스하임에 강제 합병했다.
1944년 12월 25일,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축일에 뤼데스하임은 격렬한 폭격으로 가톨릭 교회와 복음주의 교회 주변 지역이 파괴되고 2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7] 전후 수십 년 동안 성 카타리나의 날은 이 사건을 추모하는 날이 되었다. 구시가지의 가장 오래된 건물들은 파괴되지 않았고, 신속한 복구로 뤼데스하임은 관광 명소로 빠르게 회복되었다. 전후 추방된 사람들과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뤼데스하임과 아이빙겐에 새로운 주택지가 조성되었다. 1953년 빈데크 지구, 1970년 트리프트 지구, 1977년 뤼데스하임-오스트 지구가 설치되었다.
1970년 영국 가수 David Garrick의 싱글 "Rudesheim liegt nicht an der Themse"(템스 강에는 뤼데스하임이 없다)가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뤼데스하임(Rüdesheim) 지명의 옛 형태는 Rudenesheim(1017년), Rudensheim(1128년)을 거쳐 현재의 표기가 되었다. 지명은 인명 Hruodolf/Rudolf, Hruodpert/Rupert 등의 약칭인 [H]ruodin에서 유래했다.[18]
3. 1. 초기 역사
이 지역은 먼저 켈트족이 정착했고, 서기 원년 이후에는 우비이족, 마티아키족이 차례로 정착했다. 1세기에 로마인들은 타우누스 산맥까지 진출했다. 빙엔에는 카스트룸(castrum)을 건설했고, 현재 뤼데스하임 근처 반대편에는 리메스로 가는 길목에 교두보가 있었다.
로마인 이후에는 알레만니족이 이 지역을 차지했고, 민족 대이동 시대에는 프랑크족이 이주해 왔다. 이 시대의 유리 유물은 뤼데스하임에서 이미 포도 재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프랑크족의 하우펜도르프(Haufendorf)(대략 "마을 밀집지")로서의 마을 기원은 오늘날 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뤼데스하임은 1074년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다. 주된 생계 수단은 포도 재배와 선박 운송, 특히 목재 뗏목 운반이었다.
3. 2. 중세 시대
이 지역은 먼저 켈트족이 정착했고, 서기 원년 이후에는 우비이족, 마티아키족이 정착했다. 1세기에 로마인들은 타우누스 산맥까지 진출했다. 빙엔에는 카스트룸(castrum)을 건설했고, 현재 뤼데스하임 근처 반대편에는 리메스로 가는 길목에 교두보가 있었다.
로마인 이후에는 알레만니족이 이 지역을 차지했고, 민족 대이동 시대에는 프랑크족이 이주해 왔다. 이 시대의 유리 유물은 뤼데스하임에서 이미 포도 재배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프랑크족의 하우펜도르프(Haufendorf)(대략 "마을 밀집지")로서의 마을 기원은 오늘날 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뤼데스하임은 1074년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다. 주된 생계 수단은 포도 재배와 선박 운송, 특히 목재 뗏목 운반이었다.
3. 3. 근대
이 지역은 켈트족이 처음 정착했고, 서기 원년 이후에는 우비이족, 마티아키족이 차례로 정착했다. 1세기에 로마인들이 타우누스 산맥까지 진출했다. 빙엔에는 카스트룸을 건설했고, 현재 뤼데스하임 근처에는 리메스로 가는 교두보를 만들었다.
로마인 이후에는 알레만니족이 이 지역을 차지했고, 민족 대이동 시기에는 프랑크족이 이주해왔다. 이 시대의 유리 유물은 뤼데스하임에서 이미 포도 재배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프랑크족의 하우펜도르프(Haufendorf)(대략 "마을 밀집지") 형태는 오늘날 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뤼데스하임은 1074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주요 생계 수단은 포도 재배와 선박 운송, 특히 목재 뗏목 운반이었다.
1818년 1월 1일, 뤼데스하임은 시 권한을 획득했다. 1867년 프로이센이 나소 공국을 합병하고 구(Kreise)로 나누면서, 뤼데스하임은 새로 설립된 라인가우크라이스(Rheingaukreis)의 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77년까지 110년 동안 이 지위를 유지했지만, 헤센 주의 지방자치 개혁 과정에서 라인가우크라이스와 운터타우누스크라이스가 새로운 라인가우-타우누스 크라이스(Rheingau-Taunus-Kreis)로 합병되면서 뤼데스하임은 구청 소재지 자리를 바트 슈발바흐에 내주어야 했다.[20]
1877년, 포도밭 위에 니더발트 기념비(Niederwalddenkmal)의 첫 기초석이 놓였고, 1883년에 완공되었다. 톱니바퀴 철도를 이용해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졌다. 오늘날에는 곤돌라 리프트가 관광객을 기념비까지 운송한다. 관광업은 소득원으로서 선박 운송을 대체하고 있다.
1939년, 아이빙겐(Eibingen)은 주민들의 의사에 반하여 나치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다. 1977년 지방자치 개혁으로 아스만스하우젠(Assmannshausen), 아울하우젠(Aulhausen), 프레스베르크(Presberg)가 뤼데스하임에 오어츠베르크(Ortsbezirk)로 편입되었다.
3. 4. 현대
뤼데스하임은 1818년 1월 1일에 시 권한을 얻었다. 1867년 프로이센이 나소 공국을 합병하고 이 지역을 구(Kreise)로 나누면서, 뤼데스하임은 새로 설립된 라인가우크라이스(Rheingaukreis)의 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77년까지 110년 동안 이 지위를 유지했지만, 헤센 주의 지방자치 개혁 과정에서 라인가우크라이스와 운터타우누스크라이스가 새로운 라인가우-타우누스 크라이스(Rheingau-Taunus-Kreis)로 합병되면서 뤼데스하임은 구청 소재지 자리를 바트 슈발바흐에 내주어야 했다.[20]
1877년, 포도밭 위에 있는 애국적인 기념비인 니더발트 기념비(Niederwalddenkmal)의 첫 기초석이 놓였고, 1883년에 완공되었다. 톱니바퀴 철도를 이용하여 이곳을 찾는 많은 관광객을 불러들였다. 오늘날에는 곤돌라 리프트가 관광객을 기념비까지 데려다준다. 관광업은 소득원으로서 선박 운송을 점점 더 대체하고 있다.
1939년 당시의 비밀 유지 속에, 이전에는 자치적인 공동체였던 아이빙겐(Eibingen)이 주민들의 의사에 반하여 나치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다. 1977년 지방자치 개혁의 일환으로 아스만스하우젠(Assmannshausen), 아울하우젠(Aulhausen), 프레스베르크(Presberg)가 뤼데스하임에 오어츠베르크(Ortsbezirk)로 편입되었다. 1970년 10월 1일 아울하우젠(Aulhausen)과 합병했던 아스만스하우젠(Assmannshausen)과 프레스베르크(Presberg)는 1977년 1월 1일 뤼데스하임(Rüdesheim am Rhein)에 합병되었다.[19]
뤼데스하임은 2002년부터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인 상중류 라인 계곡(Oberes Mittelrheintal)의 일부가 되었다. 뤼데스하임은 로를히(Lorch)와 함께 "세계유산 라인 계곡 상류" 목적 연합의 일원이다.[21]
4. 정치

뤼데스하임암라인의 문장은 붉은색 바탕에 녹색 기저 위에 배치되어 있다. 금색 마구를 착용한 은색 말을 탄 은색 기사가 있는데, 금색 광배와 갑옷을 입고 있다. 기사는 왼손으로 푸른색 망토를 잡고 오른손의 검으로 자르고 있다. 오른쪽(향해서 왼쪽) 기저에는 은색 긴 옷과 순례자 모자를 착용하고, 금색 광배를 지고 은색 수염을 기른 인물이 있다. 그는 오른손에 붉은 겉표지의 검은색 책을 들고, 왼손으로는 금색 순례자 지팡이를 잡고 있다. 이 인물의 왼쪽 위(향해서 오른쪽 위)에는 은색 조개가 있다. 기저 중앙에는 왼쪽(향해서 오른쪽)을 보는 금발의 인물이 있는데, 속옷만 입고 맨발로 왼쪽 다리는 구부리고 오른쪽 다리를 뻗은 채 팔을 들고 왼손으로 검은색 목발을 잡고 있다.
이 기사는 투르의 성 마르티누스로, 가난한 사람에게 망토를 잘라 주었다고 전해진다. 마인츠 선제후 시대에 특히 숭배받았다. 서 있는 순례자는 성 야고보이며, 순례자 지팡이와 야고보의 조개껍데기가 그의 상징이다.[26] 뤼데스하임의 문장은 여러 번 바뀌었는데, 19세기에는 야고보의 조개껍데기만 있던 시기도 있었다. 동작하는 문양은 17세기부터 18세기에 인장으로 사용되었다.[26]
4. 1. 시의회
2016년 3월 6일에 실시된 뤼데스하임암라인 시의회(Stadtverordnetenversammlung|슈타트페어오르드네텐페어잠룽de)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이전 선거 결과와 비교한 것이다.[2][3][4]| 정당 | 2016 | 2011 | 2006 | 2001 | ||||
|---|---|---|---|---|---|---|---|---|
| % | 의석 | % | 의석 | % | 의석 | % | 의석 | |
| CDU | 42.3 | 13 | 41.2 | 13 | 44.8 | 14 | 52.0 | 19 |
| WIR | 14.2 | 4 | 21.4 | 7 | 23.6 | 7 | — | — |
| SPD | 12.3 | 4 | 19.9 | 6 | 23.4 | 7 | 32.3 | 12 |
| GfR | 27.3 | 9 | — | — | — | — | — | — |
| FDP | 3.9 | 1 | 4.1 | 1 | 3.0 | 1 | 15.7 | 6 |
| Offene Grüne Liste | — | — | 13.4 | 4 | 5.1 | 2 | — | — |
| 합계 | 100.0 | 31 | 100.0 | 31 | 100.0 | 31 | 100.0 | 37 |
| 투표율 (%) | 45.8 | 47.7 | 46.4 | 49.7 | ||||
4. 2. 자매 도시
- Meursault|뫼르소프랑스어, 코트도르주, 프랑스
- Juliénas|쥘리에나프랑스어, 론주, 프랑스 (아스만스하우젠 구와 자매결연)
- Oingt|오앵프랑스어, 론주, 프랑스 (프레스베르크 구와 자매결연)
- Mezőkövesd|메죄쾨베슈드hu, 보르쇼드어버우이젬플렌주, 헝가리
- Swanage|스와네이지영어, 도싯, 잉글랜드, 영국[5][6]
- Sella Sant'Abbondio|셀라 산타본디오it, 마르케주, 이탈리아
5. 문화 및 관광

뤼데스하임암라인에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 박물관
- 지그프리트 기계식 악기 박물관(Siegfrieds Mechanisches Musikkabinett): 자동 연주 악기와 그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중세 고문 박물관(Mittelalterliches Foltermuseum): 다양한 고문 도구를 전시한다.
- 아스바흐 증류소(Asbach Distillery): 아스바흐 우랄트(Asbach Uralt) 생산의 역사를 보여준다.
- 라인가우 와인 박물관 브뢸름저부르크(Rheingauer Weinmuseum Brömserburg): 세계유산 상류 중부 라인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성으로, 라인가우를 중심으로 1000년 이상에 걸친 독일 와인 제조 역사를 소개한다.
- 장난감·철도 박물관: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스타일로 뤼데스하임에서 코블렌츠까지의 로맨틱 라인을 재현한 철도 디오라마를 전시하고 있다.
- 주요 명소
- 니더발트 기념비(Niederwalddenkmal): 1883년에 완공된 애국 기념비이다.
- 오스타인 가문의 니더발트 경관 공원: 18세기에 조성된 공원이다.
- 드로셀가세(Drosselgasse): 뤼데스하임 구시가지 중심부에 있는 144미터 길이의 좁은 자갈길로, 많은 와인 선술집과 야외 정원 선술집이 있다.
- 에렌펠스 성: 포도밭에 있는 폐허가 된 성이다.
- 브뢰름제르부르크 성(Brömserburg): 세계유산인 라인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성이다.
- 전통
- 와인 여왕: 매년 여름 뤼데스하임 와인 축제에서 와인 여왕과 공주들의 대관식이 열린다.
- 포도밭: 카첸엘보겐 백작들의 문서에는 1399년에 이미 뤼데스하임 지역에 포도밭이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 와인 생산: 뤼데스하임은 독일 와인 생산 지역인 라인가우에 있으며, 주로 리슬링 포도로 고품질 백포도주를 생산한다.

- 주요 축제
| 축제명 | 시기 | 내용 |
|---|---|---|
| 독일 스파클링 와인의 날 | 5월 둘째 주말 | |
| 어린이 주일 | 성체 성사 축일/매직 바이크 직전 마지막 일요일 (제1회는 2009년) | |
| 매직 바이크 뤼데스하임 | 보통 성체 성사 축일 주말 | 유럽 최대 규모의 할리 데이비슨 모임[32] |
| 아스만스하우젠 인 ROT | 초여름 | |
| 타알 토탈 | 6월 마지막 일요일 | 뤼데스하임에서 코블렌츠까지 라인강 중류 계곡 차량 통행 금지 |
| 라인 인 플라멘 | 7월 첫째 토요일 | 불꽃놀이 축제 (직역: 불꽃의 라인강) |
| 니더발트 기념비 세계유산 축제 | 부정기 | |
| 뤼데스하임 와인 축제 | 8월 셋째 주말 | |
| 라인 온 스케이트 | 8월 마지막 토요일 | |
| 프레스베르크의 베르클레넨 | 8월 마지막 주말 | 산 경주 (직역) |
| 힐데가르트의 날 | 9월 17일 | 아이빙겐 교구 교회 순례 |
| 페터스바이서의 날 | 10월 말 또는 11월 초 | 일 년 중 마지막 와인 축제 |
| 크리스마스 마켓 | 11월 말부터 크리스마스까지 | 성탄절 대림 기간 |
5. 1. 박물관
- 지그프리트 기계식 악기 박물관(Siegfrieds Mechanisches Musikkabinett): 400㎡가 넘는 전시 공간에서 자동 연주 악기와 그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박물관이다. 브뢸름제르호프(Brömserhof)로도 알려져 있으며, 과거 하인리히 브뢸름저 폰 뤼데스하임(Heinrich Brömser von Rüdesheim, 1601년경 출생, 1668년 사망)의 집이었다.[7] 독일 최초의 자동 연주 악기 박물관으로, 연주 시계부터 수 톤에 달하는 오케스트리온까지 수 세기에 걸친 자동 연주 음악과 그 장치의 역사가 소개되어 있다. 6개의 바이올린이 장착된 후프펠트 포노리스트 비올리나, 후프펠트 비올리나 오케스트라, 포퍼스 비올리노보와 같은 독특한 자동 연주 바이올린 컬렉션과 2009년부터 소장하고 있는 벨테의 키노 오르겔(영화 오르간) 등이 있다. 1996년부터는 22개의 종을 가진 마이센 도자기의 카리용도 전시하고 있다.[27]
- 중세 고문 박물관(Mittelalterliches Foltermuseum): 다양한 고문 도구를 전시하는 박물관이다.[7] 1000m²의 전시 공간에 중세와 독일의 마녀 사냥 시대에 사용되었던 역사적인 고문 도구를 전시하고 있다. 당시 유명한 거장들의 귀중한 그림 컬렉션은 그 시대를 보여주는 동시대의 증거이다. 20세기부터 21세기의 인권 침해를 주제로 한 국제앰네스티의 사진 문서가 "마녀, 고문, 화형대"를 주제로 한 유럽 최대의 컬렉션을 마무리짓고 있다.[28]
- 아스바흐 증류소(Asbach Distillery): 아스바흐 우랄트(Asbach Uralt) 생산의 역사를 보여주는 브랜디(brandy) 박물관이다.[7] 아스바흐 방문자 센터는 아스바흐 증류소 소개 센터 겸 상점이다.[29]
- 라인가우 와인 박물관 브뢸름저부르크(Rheingauer Weinmuseum Brömserburg): 브뢸름저부르크 성(Brömserburg)에 위치하며, 이 지역 1000년의 포도 재배 역사를 소개한다.[7] 세계유산 상류 중부 라인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성으로, 라인가우를 중심으로 1000년 이상에 걸친 독일 와인 제조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30]
- 장난감·철도 박물관: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스타일로 뤼데스하임에서 코블렌츠까지의 로맨틱 라인을 재현한 51m²의 철도 디오라마를 전시하고 있다. 라인강변의 인상적인 지점들이 모두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다. 지난 100년 동안의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장난감도 전시되어 있다. 인형, 놀이 가게, 인형용 부엌, 자동차, 증기 기관차, 금속 가공 케이스 및 기타 장난감을 전시장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지난 100년 동안의 철도 모형의 발전이 주목할 만하다. 태엽 장치 기차, 본격적인 증기 기관차 모형, 전기 기관차 모형이 대량으로 전시되어 있다.[31]
5. 2. 주요 명소
- 니더발트 기념비(Niederwalddenkmal): 1883년에 완공된 애국 기념비이다.
- 오스타인 가문의 니더발트 경관 공원: 18세기에 조성된 공원이다.
- 드로셀가세(Drosselgasse): 뤼데스하임 구시가지 중심부에 있는 144미터 길이의 좁은 자갈길이다. 많은 와인 선술집과 야외 정원 선술집이 있으며, 여름철에는 라이브 밴드 공연, 관악기 연주, 댄스 음악이 밤낮으로 이어진다. 1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배 소유주들이 강에서 마을의 집으로 물건을 운반하는 데 사용했다.
- 뤼데스하임 성 야코부스 교회(St. Jakobus, Rüdesheim): 15세기에 건립된 본당 교회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다.
- 에렌펠스 성: 포도밭에 있는 폐허가 된 성이다.
- 브뢰름제르부르크 성(Brömserburg): 세계유산인 라인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성이다. 10세기에 고대 로마의 요새 자리에 건설되었으며,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마인츠 대주교의 소유였다. 12세기에 저택으로 개조되었으며, 이후 뤼데스하임 기사단의 통제를 받았다. 1281년 마인츠 대주교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여러 차례 공격을 견뎌냈다. 1640년 삼십년 전쟁 중 프랑스 군에 의해 탑 상단이 파괴되었다. 1803년 대주교구가 매각한 후 여러 소유주를 거쳐 1941년 뤼데스하임 마을이 매입했다. 현재는 와인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보젠부르크 성(Boosenburg): 잘 보존된 베르크프리트(bergfried)와 고딕 부흥 양식의 빌라(현재 콘서트장)를 갖춘 12세기 성이다.
- 아이빙겐 수도원(Eibingen Abbey): 힐데가르트 폰 빙엔이 아이빙겐 위쪽에 설립했다.
- 힌덴부르크 다리(Hindenburgbrücke) 잔해: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
- 클룬크할츠호프: 15세기 대규모 목조 건축물이다.
- 오버 거리의 귀족 저택: 브렘저호프, 그레네슈타인샤르 호프, 바센하이머 호프
- 아들러탑(독수리 탑): 15세기. 높이 20.5m의 후기 고딕 건축 양식의 원탑으로, 한때 라인강을 향해 서 있던 옛 도시 방어 시설이다.
- 빙겐의 쥐탑: 14세기. 라인강의 중도에 서 있다.
- 성 힐데가르트 교구 교회: 힐데가르트 폰 빙엔에 의해 1165년에 창설된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유적 위에 세워졌다.
- 폴더 성(뤼데스하임)
5. 3. 하이킹 코스
라인슈타이크는 비스바덴에서 본까지 이어지는데, 뤼데스하임 시 지역을 지나면서 아이빙겐 수도원(Eibingen Abbey)과 니더발트 기념비를 지난다. 또 다른 등산로는 리슬링 루트(Riesling-Route)로, 라인 강을 따라 뤼데스하임의 포도밭을 지나 비스바덴으로 이어진다.[43][44]2014년 뤼데스하임암라인 시는 시 주변 약 7km의 순환 산책로인 힐데가르트-베크(Hildegard-Weg)에 표지판을 설치했다. 성 힐데가르트 수도원(Kloster St. Hildegard)과 성 힐데가르트 순례 교회(Pilgerkirche St. Hildegard) 등 주요 지점에는 설명판이 설치되어 있다.[42]
비스바덴에서 코블렌츠를 거쳐 본까지 이어지는 라인슈타이크는 뤼데스하임 시를 지나 수도원과 니더발트 기념비를 경유한다.[43]
뢰슬링 루트는 뤼데스하임암라인에서 비스바덴까지 라인강을 따라 포도밭을 지나간다.[44]
뤼데스하임과 아스만스하우젠 주변에는 5개의 노르딕 워킹 트레일이 조성되어 있다. 에렌펠스 성터 방면이나 니더발트의 전망대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산책로가 있으며, 주차장은 뤼데스하임, 니더발트, 아스만스하우젠 외곽, 에벤탈(Ebentāl), 프레스베르크(Presberg)에 있다.
5. 4. 전통
뤼데스하임암라인의 전통은 다음과 같다.- 와인 여왕: '바인쾨니긴'(Weinkönigin, 와인 여왕)과 공주들이 있다. 매년 여름 뤼데스하임 와인 축제에서 와인 여왕과 공주들의 대관식이 열린다. 이들은 다른 지역 사회와 포도 재배 지역에서 뤼데스하임 마을과 그 와인을 대표한다.
- 포도밭: 카첸엘보겐 백작들의 문서에는 1399년에 이미 뤼데스하임 지역에 포도밭이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아우프 뎀 베르게'(auf dem Berge, 산 위에), '바이 뎀 모르겐 마르샬스'(bei dem Morgen Marschalls, 마샬의 땅 근처), '운터할프 아이빙겐 암 플루스'(unterhalb Eibingen am Fluß, 아이빙겐 아래 강가에) 등이 그 예이다.[8]
- 와인 생산: 뤼데스하임은 독일 와인 생산 지역인 라인가우의 북서쪽 구석에 위치해 있으며, 주로 리슬링 포도로 고품질 백포도주를 생산한다.
- 문화 행사:
- 뤼데스하임 콘체르테(Rüdesheimer Konzerte): 시청 시의회 회의장에서 4회의 콘서트 개최.
- 라인가우 음악제(Rheingau Musik Festival): 성 야코부스 교회(St. Jakobus Kirche), 성 힐데가르트 수도원(St. Hildegard Kloster), 아스만스하우젠 지역의 성십자가 교구 교회(Pfarrkirche Heilig Kreuz in Assmannshausen)에서 콘서트 개최.
- 8월 전통 와인 축제 전야 클래식 콘서트
- 드로셀가세(Drosselgasse)의 선술집에서 인기 음악 라이브 공연.
- 주요 축제:
| 축제명 | 시기 | 내용 |
|---|---|---|
| 독일 스파클링 와인의 날 | 5월 둘째 주말 | |
| 어린이 주일 | 성체 성사 축일/매직 바이크 직전 마지막 일요일 (제1회는 2009년) | |
| 매직 바이크 뤼데스하임 | 보통 성체 성사 축일 주말 | 유럽 최대 규모의 할리 데이비슨 모임[32] |
| 아스만스하우젠 인 ROT | 초여름 | |
| 타알 토탈 | 6월 마지막 일요일 | 뤼데스하임에서 코블렌츠까지 라인강 중류 계곡 차량 통행 금지 |
| 라인 인 플라멘 | 7월 첫째 토요일 | 불꽃놀이 축제 (직역: 불꽃의 라인강) |
| 니더발트 기념비 세계유산 축제 | 부정기 | |
| 뤼데스하임 와인 축제 | 8월 셋째 주말 | |
| 라인 온 스케이트 | 8월 마지막 토요일 | |
| 프레스베르크의 베르클레넨 | 8월 마지막 주말 | 산 경주 (직역) |
| 힐데가르트의 날 | 9월 17일 | 아이빙겐 교구 교회 순례 |
| 페터스바이서의 날 | 10월 말 또는 11월 초 | 일 년 중 마지막 와인 축제 |
| 크리스마스 마켓 | 11월 말부터 크리스마스까지 | 성탄절 대림 기간 |
6. 경제
뤼데스하임암라인과 아스만스하우젠 지역의 경제는 와인 생산과 니더발트 기념비를 중심으로 한 관광 산업이 주를 이룬다. 2019년 뤼데스하임의 연간 숙박객 수는 약 385,555박으로, 라인가우-타우누스 군 전체 숙박객 수의 약 1/3을 차지한다.[33] 리버 크루즈 선박 이용객과 당일치기 관광객도 많다. 뤼데스하임 구시가지의 드로젤가세와 아스만스하우젠 지역에는 레스토랑과 호텔이 밀집해 있다.
18세기 후반, 로맨틱 라인 계곡에서 유럽 최초의 관광 여행이 시작된 이후 니더발트 기념비 건립은 뤼데스하임 관광 붐의 시작이었다. 초기에는 마차나 당나귀를 이용했고, 1885년부터는 랙식 철도를 통해 관광객들이 이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철도는 철거되었고, 1954년에는 로프웨이가 건설되었다. 외국인 관광객 비율이 약 50%에 달할 정도로 국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현재는 로프웨이, 체어리프트, 배를 이용한 순환 투어와 성 힐데가르트 수도원 및 힐데가르트 폰 빙엔의 묘당이 있는 아이빙엔 교구 교회 방문이 인기 관광 코스이다.
뤼데스하임의 뢰슬링 와인이나 아스만스하우젠의 피노 누아 와인은 와인 축제, 노점, 와인 주점 등에서 즐길 수 있으며, 많은 와이너리가 시음 및 직판점을 운영한다. 뤼데스하임 와인 축제에서는 매년 와인 여왕과 공주가 대관식을 갖고, 이들은 시내외 행사에서 뤼데스하임과 와인을 대표한다.
과거 끌배 길과 강변 방어 시설을 개조한 하펜파르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라인 중상류 계곡"의 세계유산 정원 루트의 일부이다.[34]
과거 유명했던 아스바흐 와인 증류소는 주요 영업 부문 이전으로 중요성이 약해졌다. 현재는 아스바흐 방문자 센터만 남아있다. 역전의 아스바흐 부지는 여러 차례 매각과 재매입을 거쳐 2010년 뤼데스하임 시의회에서 군 소유 부분을 매입하기로 결정하면서, 현재는 뤼데스하임 시에서 부지 이용을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철도 남쪽 공업 지역에는 상사 사무소와 수공업자들이 많으며, 성 요셉 병원과 아울하우젠의 성 빈첸츠슈티프트가 주요 고용주이다.
7. 교통
뤼데스하임(라인) 역은 라인강 동쪽 철도 노선에 있으며, 주간에는 프랑크푸르트와 코블렌츠를 오가는 열차가 최소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뤼데스하임은 연방도 B42호선을 통해 동쪽의 라인-마인 지역, 북쪽의 코블렌츠와 연결되어 있다. 주도는 뤼데스하임에서 포도밭 비탈길을 따라 니더발트 기념비, 니더발트 성(사냥터)을 거쳐 아울하우젠으로 이어지며, 아울하우젠 근처에서 프레스베르크로 이어진다. 남쪽 라인강 좌안의 빙엔에는 자동차와 사람을 나르는 페리가 운항하고 있다.
라인 자전거길은 비스바덴에서 뤼데스하임까지 대체로 라인강을 따라 확장된 형태로 이어져 있다. 2011년까지는 라인강을 따라 내려가는 자전거길이 연방도를 따라 설치될 예정이었다.
헤센 광역 자전거 도로 R3호선(라인-마인-킨치 자전거 도로)은 뤼데스하임암라인을 기점으로 하며, “슈페트레제라이터의 흔적을 따라가는” 것을 모토로 라인강, 마인강, 킨치강을 따라 이어지며, 푸다를 거쳐 Rhön|뢰네 산지de의 탄(뢰네)까지 이어진다. 엘트빌레암라인까지의 첫 구간인 R3a호선은 라인가우 리슬링 루트를 지난다. 2013년부터 뤼데스하임에서 엘트빌레까지의 견인로가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아스만스하우젠 방면, 그리고 카웁까지 자전거 도로가 건설 중이다. 뤼데스하임에서 아스만스하우젠까지의 첫 구간은 13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19년 여름에 완공되었다. 롤히(라인가우)까지의 2차 구간은 2023년 2월 완공 예정이다.[40][41]
8. 교육
| 학교명 | 종류 |
|---|---|
| 힐데가르디스슐레 | 실업학교 및 초등학교 (두 건물) |
| 니콜라우스슐레 | 아스만스하우젠 초등학교 |
| 그룬트슐레 프레스베르크 | 초등학교 |
| 율리우스 알베르티 슐레 | 뤼데스하임 기초과정학교 |
| 힐데가르디스 슐레 뤼데스하임 | 통합형 기초과정학교 |
| 아울하우젠 성 빈첸츠슈티프트 특수교육센터 | 특수교육센터 |
| 사립 하임슐레 성 빈첸츠슈티프트 | 사립학교 |
| 마리엔하우젠 청소년의 집 | 청소년 시설 |
이 외에도 아스만스하우젠(니콜라우스슐레)과 프레스베르크에 기초과정학교가 있었으나, 각각 2012년과 2011년에 폐교되었다.
9. 인물
뤼데스하임암라인 지역의 중세 귀족 가문은 스스로를 "폰 뤼데스하임(von Rüdesheim)"이라 칭했다. 이 가문 출신인 루돌프 폰 뤼데스하임(1402~1482년)은 교황 특사였으며, 1468년부터 브레슬라우(Breslau)의 대주교를 역임했다.[1]
9. 1. 출신 인물
- 야코프 피델리스 아커만(Jacob Fidelis Ackermann, 1765–1815), 의사[1]
- 테오도어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딜타이(Theodor Friedrich Ludwig Dilthey, 1825년 2월 6일 – 1892년 3월 22일), 사업가: 1852년에 아버지의 뤼데스하임 소재 딜타이-잘 & 컴퍼니(Dilthey-Sahl & Co.) 와인 도매 사업을 물려받아 독일 와인과 젝트 수출을 증진하기 위해 영국과 러시아로 여러 차례 출장을 다녔다. 1867년에는 비스바덴 상공회의소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회장이 되었다. 와인을 찬양하는 많은 시를 지었다.[2]
- 게오르크 가일링(Georg Geiling, 1863년 6월 1일 – 1947년), 통 제조사: 랭스와 에페르네에서 도제 수업을 마친 후 1890년에 랭스에 "조르주 가일링 & 시(Georges Geiling & Cie.)"라는 젝트 저장고를 설립했다. 1894년에는 바하라흐에 정착하여 1919년에 자신의 스파클링 와인 공장을 건설했다.[3]
- 안토니우스 발렌슈타인(Antonius Wallenstein, 1890년 1월 20일 – 1964년 12월 28일, 바덴주 겐겐바흐 근처 아프츠베르크에서 사망), 수도회의 가톨릭 사제, 영적 작가. 저서: ''Das Problem der Willensfreiheit unter besonderer Hervorkehrung der methodischen Gesichtspunkte'', in: PhJ 36 (1923), 1–24 (논문 발췌); ''Katechismus der christlichen Vollkommenheit'', 프라이부르크 1930 (2판 1936); ''Kindheit und Jugend als Erziehungsaufgabe'', 프라이부르크 1951; ''Klarheit über Gott'', 로이테스도르프 1959.[4]
- 헤르만 아스바흐(Hermann Asbach, 1894년 3월 18일 – 생몰년도 미상), 사업가: 후고 아스바흐의 세 아들 중 한 명이며 후에 아스바흐 회사(아스바흐 우랄트, 브랜디)의 소유주가 되었다.[5]
- Rudolf Krämer-Badoni|루돌프 크레머-바도니de (1913–1989), 작가이자 언론인.[6]
- Karl Heinz Hock|카를 하인츠 호크de (1930년생), 언론인이자 기자.[7]
- Kurt W. Stasiak|쿠르트 W. 스타시아크de (1952년생), 미국 베네딕트 수도사이자 대수도원장.[8]
- Johannes Schild|요하네스 실트de (1965년생), 작곡가이자 지휘자이자 쾰른 국립음대 교수.[9]
- 제니퍼 브라운(Jennifer Braun, 1991년생), 팝/록 가수, 2010년 ''Unser Star für Oslo'' 준우승.[10]
- 다비드 킨손비(David Kinsombi, 1995년 - ), 콩고 민주 공화국 출신 축구 선수[13]
- 레나토 다다쇼프(1999년 - ), 아제르바이잔 출신 축구 선수[14]
9. 2. 연관 인물
- 요하네스 브람스(1833~1897): 작곡가로 1874년부터 1895년까지 뤼데스하임의 베커라트 가족의 집에 여러 차례 방문했다. 1883년 바이스바덴에서 교향곡 3번을 작곡했으며, 뤼데스하임에서 열린 니더발트 기념비 제막식에도 참석했다. 라인슈트라세에 있는 옛 빌라 슈툼 건물에서는 매년 그를 기리는 ''뤼데스하이머 브람스-타게''가 열린다.
- 베른하르트 호프퍼(1840~1877): 베를린 출신의 작곡가로, 쿨락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폐병으로 뤼데스하임 근처 니더발트 사냥터에서 사망했다. 오페라 ''프리트요프''와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로쿵'' 등을 작곡했다.
- 한스 오토 융(1920~2009): 뤼데스하임의 실내악 시리즈 및 "브람스 무대", 바이스바덴의 "디 캄머무직" 후원자였으며,[10] 라인가우 음악 축제의 창립 멤버였다.
- 게르하르트 타슈너(1922~1976):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1946년부터 1950년까지 뤼데스하임에 있는 포도주 양조업자 칼 융의 집에서 살았다. 루트비히 헬셔와 발터 기제킹과 함께 피아노 트리오를 결성하여 여러 차례 사적인 연주회를 열었다.
- 힐데가르트 폰 빙엔(1098~1179): 신학자. 빙엔의 루퍼츠베르크에 이어 두 번째 수도원을 아이빙엔에 설립했다. 그녀의 유해는 아이빙엔의 교구 교회에 안치되어 있다. 2012년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교회 교사로 승격되었다.
- 슈테판 게오르게(1868~1933): 시인. 뤼데스하임이 아닌 빙엔 근교의 뷔데스하임에서 태어났다.
- Lien Deyers|en|Lien Deyers|린 다이어스de(1909~1982) 와 하인츠 뤼만(1902~1994): 1931년 뤼데스하임과 아스만스하우젠에서 촬영된 UFA 영화 「Lachende Erben」(직역: 웃는 상속인)에서 주연을 맡은 배우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rgebnisse der letzten Direktwahl aller hessischen Landkreise und Gemeinden
https://statistik.he[...]
Hess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022-09-05
[2]
웹사이트
Kommunalwahlen 2016 in Hessen
http://www.statistik[...]
2017-11-18
[3]
웹사이트
Kommunalwahlen 2011 in Hessen
http://www.statistik[...]
[4]
웹사이트
Kommunalwahlen 2006 in Hessen
http://www.statistik[...]
[5]
웹사이트
The Swanage Town Twinning Association
http://www.swanageto[...]
[6]
웹사이트
Dorset Twinning Association List
http://www.twinning.[...]
2013-08-01
[7]
웹사이트
Heraldik: Photos von Wappen in architektonischem Zusammenhang, Dokumentation und Datenbank
http://www.welt-der-[...]
2023-08-31
[8]
웹사이트
graf-von-katzenelnbogen.de
http://www.graf-von-[...]
2007-12-14
[9]
웹사이트
St. Jakobus
http://www.rheingau-[...]
[10]
간행물
Aus der Geschichte des Vereines
http://kammermusik-w[...]
1992
[11]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2]
서적
ist ein feins Ländlein. Eine Kulturgeschichte des Rheingaus von den Anfängen bis zur Gegenwart
Arbeitskreis „1.000 Jahre Rheingau“
[13]
서적
ist ein feins Ländlein. Eine Kulturgeschichte des Rheingaus von den Anfängen bis zur Gegenwart
Arbeitskreis „1.000 Jahre Rheingau“
[14]
서적
ist ein feins Ländlein. Eine Kulturgeschichte des Rheingaus von den Anfängen bis zur Gegenwart
Arbeitskreis „1.000 Jahre Rheingau“
[15]
문서
Gebück
[16]
웹사이트
Notizen aus dem Stadt-Archiv - Rüdesheim als Amtsstadt
http://daten2.verwal[...]
2021-08-07
[17]
웹사이트
Der Katharinentag 1944 in Rüdesheim am Rhein
http://www.rheingaue[...]
2021-08-07
[18]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
서적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amens-, Grenz- und Schlüsselnummernänderungen bei Gemeinden, Kreisen und Regierungsbezirken vom 27.5.1970 bis 31.12.1982
W. Kohlhammer
[20]
간행물
Gesetz zur Neugliederung des Rheingaukreises und des Untertaunuskreises (GVBl. II 330-30) vom 26. Juni 1974
http://starweb.hesse[...]
[21]
웹사이트
Zweckverband Welterbe Oberes Mittelrheintal
https://www.welterbe[...]
2021-08-07
[22]
웹사이트
Endgültiges Ergebnis Der Gemeindewahl am 14. März 2021 - Rüdesheim am Rhein, Stadt
https://wahlen.stati[...]
2021-08-07
[23]
웹사이트
Bürgermeisterwahl in Rüdesheim am Rhein, Stadt (Stichwahl) am 10.11.2019
https://statistik.he[...]
2021-08-07
[24]
웹사이트
Notizen aus dem Stadt-Archiv - Die Stunde Null in Rüdesheim
http://daten2.verwal[...]
2021-08-07
[25]
뉴스
„Eine Amtsperiode unterschlagen“ – Schlephorst war vier Amtsperioden Chef im Rathaus
2019-12-19
[26]
웹사이트
Notizen aus dem Stadt-Archiv - Die Geschichte des Rüdesheimer Stadtwappens
http://daten2.verwal[...]
2021-08-07
[27]
웹사이트
Siegfrieds Mechanisches Musikkabinett
https://www.smmk.de/[...]
2021-08-08
[28]
웹사이트
Mittelalterliches Foltermuseum, Rüdesheim/Rhein
http://www.foltermus[...]
2021-08-08
[29]
웹사이트
Asbach Besucher Center und Wein Destillerie
https://asbach.de/er[...]
2021-08-08
[30]
웹사이트
Rheingauer Weinmuseum
http://www.rheingaue[...]
2021-08-08
[31]
웹사이트
Rüdesheim Toy-Museum
http://www.toy-museu[...]
2021-08-08
[32]
웹사이트
Magic Bike Rüdesheim
https://www.magic-bi[...]
2021-08-09
[33]
웹사이트
Hessische Gemeindestatistik 2020
https://www.statisti[...]
2021-08-09
[34]
웹사이트
Route der Welterbe-Gärten
https://www.welterbe[...]
2021-08-09
[35]
웹사이트
Beseitigung des Bahnübergangs in Rüdesheim am Rhein
https://mobil.hessen[...]
2021-08-09
[36]
뉴스
Acht Jahre Bauzeit für Unterführung am Rüdesheimer Bahnhof
https://www.wiesbade[...]
2019-06-15
[37]
웹사이트
Zahlen & Fakten zur Rüdesheimer Seilbahn
http://www.seilbahn-[...]
[38]
웹사이트
Seilbahn Rüdesheim
https://www.seilbahn[...]
[39]
웹사이트
Seilbahn Assmannshausen
http://www.seilbahn-[...]
[40]
뉴스
Neuer Geh- und Radweg zwischen Assmannshausen und Rüdesheim
2019-07-17
[41]
뉴스
So viel kostet Hessens teuerster Radweg
2019-07-17
[42]
웹사이트
Rüdesheimer Hildegardweg
https://www.rheingau[...]
[43]
웹사이트
Offizielle Webseite des Rheinsteigs
https://www.rheinste[...]
[44]
웹사이트
Rheingauer Riesling Route
https://www.rheinga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