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는 1962년 2월 8일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군사 원조를 담당했다. MACV는 남베트남 내 미군 병력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되었으며, 군사 고문단(MAAGV)을 지원하고, 1964년에는 MAAG 베트남을 흡수하며 그 규모를 확대했다. MACV는 미국 군사 정책, 작전, 지원을 책임졌으며,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크레이톤 에이브럼스, 프레데릭 C. 와이랜드 등 주요 지휘관들이 이끌었다.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MACV는 해체되었으며, 이후 주 사이공 국방무관실(DAO)이 그 역할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4수송사령부
    제4수송사령부는 1942년 창설되어 여러 전쟁에 참전하며 군 병력과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한 미국의 군 수송 부대로, 대한민국 국군 지원, 주독 미군 군수 지원 등의 활동을 수행했으며, 국군 부대 최초로 해군 유튜브 채널에서 '스트리머' 칭호를 받기도 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1전구지원사령부
    제1전구지원사령부는 195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 지역 내에서 작전 지원을 제공하고, 본부는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 위치한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주일 미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점령기부터 미일 안보 조약에 따라 현재까지 일본에 주둔하며 일본 방위와 자위대 협력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기지 집중으로 인한 주민 반발, 범죄, 환경 문제, 그리고 최근 미일 동맹 강화 계획 발표로 논란이 심화되고 있는 미군을 주일 미군이라고 한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는 인도양과 태평양 지역을 관할하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통합 전투 사령부로, 미국의 이익 보호, 동맹국과의 안보 협력 증진, 역내 안정 강화를 목표로 군사 작전 및 훈련을 수행하며, 2018년 태평양 사령부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72년 폐지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 1972년 폐지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어깨 소매 휘장
남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어깨 소매 휘장
약칭MACV
소속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주둔지탄손누트 국제공항, 남베트남
연혁
창설1962년
해체1973년
규모
역할
지휘관
주요 지휘관폴 D. 하킨스
전투 훈장
수훈 훈장갈랑트리 십자 훈장 (베트남) (종려장 포함)
참전
전투베트남 전쟁
상세 내역자문 (1962년–1965년)
방어 (1965년)
반격 (1965년–1966년)
반격, 2단계 (1966년–1967년)
반격, 3단계 (1967년–1968년)
뗏 공세 (1968년)
반격, 4단계 (1968년)
반격, 5단계 (1968년)
반격, 6단계 (1968년–1969년)
뗏 69/반격 (1969년)
여름–가을 (1969년)
겨울–봄 (1970년)
성역 반격 (1970년)
반격, 7단계 (1970년–1971년)
통합 1 (1971년)
통합 2 (1971년–1972년)
부활절 공세 (1972년)
휴전 (1972년–1973년)

2. 역사

1950년에 조직된 인도차이나 미군사원조고문단의 흐름을 잇는 조직으로, 1955년에 남베트남 미군사원조고문단으로 개편된 조직이 당시 미국 대통령존 F. 케네디에 의해 재개편된 군사 조직이다. 사령부는 남베트남의 에 위치했다. 베트남화 정책과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1973년에 해산되었다. 후계 조직은 이다. 초대 사령관은 앞서 언급한 남베트남 미군사원조고문단의 사령관을 역임한 폴 D. 호킨스 대장 (1962-64년)이었고, 남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로 조직이 개편된 후에는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대장이 1964년에 사령관으로 취임했으며, 이어서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대장이 1968년에, 프레더릭 웨이랜드 대장이 1972년에 각각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1954년 10월 23일에 있었던 아이젠하워 대통령응오딘지엠 대통령의 회담에서 아이젠하워는 미국 군사 원조를 약속하며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게 되었다. 미국은 군사 고문을 베트남에 파견하여 베트남에서의 군사 활동을 시작했지만, 1959년 테러로 인해 군사 고문 살상 사건이 발생하며 처음으로 미국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아이젠하워는 "우리의 힘이 유익한 한 미국의 원조를 지속할 것이다"라는 성명을 발표하며 추가적인 군사 원조 강화의 입장을 강조했다.

이후 케네디 대통령은 아이젠하워의 뒤를 이어 전투 부대를 직접 투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 때 조직된 것이 남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이다. MACV의 설립과 케네디의 파병 증강으로 인해 남베트남 내 미국 군 병력은 11,300명이 되었다.

MACV는 남베트남에 대한 미군의 원조량이 늘어남에 따라 대응하기 위해 1962년 2월 8일에 창설되었다.[3] MACV는 베트남 군사원조고문단(MAAGV)을 돕기 위해 생겨났으나, 1964년 5월 15일에 전투 부대가 전개하고 재편성을 거듭하면서 명령을 내리기에는 고문단에 비해 너무 커지면서 베트남 MAAG 사령부를 병합하였다. 해군 자문단이 설립되었고, 제2 항공 사단 사령관이 MACV의 공군 구성 요소 사령관이 되었다.[3]

1962년 3월,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는 미국 육군 지원단, 베트남에서 "임시" 지정을 제거하고, 행정 및 물류 지원을 위해 미국 육군 류큐 열도에 배속시켰으며, 그 사령관을 MACV의 육군 구성 요소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자문 부대를 제외한 남베트남의 모든 미 육군 부대는 행정 및 물류 지원을 위해 육군 지원단에 배속되었다.[3]

대규모 전투 배치는 제9 해병 원정 여단이 1965년 3월부터 다낭 지역에 배치되면서 시작되었다. 1965~66년에 2개의 군단급 HQ가 설립되었다. II 군단 작전 지역의 미군을 위한 태스크 포스 알파(곧 베트남 제1 야전군이 됨)와 III 군단 작전 지역의 미 육군을 위한 베트남 제2 야전군이 그것이다. 제5 특수 부대 그룹도 1965년까지 현지에 설립되었다.

1967년 4월, 1964년 6월 MACV 사령관으로 부임했던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국경을 따라 사단 규모의 저지 부대를 조직했다.[4]

1966년 4월, 남베트남의 모든 육군 통신 전자 자원은 제1 통신 여단이라는 단일 부대로 통합되었다.[3]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MACV와 모든 미국 및 제3국 군대는 휴전 후 60일 이내에 남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했다. 주 사이공 국방무관실은 1973년 1월 28일, 이전에 MACV 물류 국장이었던 미국 육군 소장 존 E. 머레이를 국방무관으로, 이전에 MACV J-1 (인력 및 인사 국장)이었던 미국 공군 준장 랄프 J. 마글리오네를 부 국방무관으로 하여 활성화되었다.[9]

1973년 3월 29일까지 남베트남에 남아 있던 유일한 미군 병력은 휴전을 감독하기 위해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설립된 4자 공동 군사 위원회의 미국 대표단이었으며, 이들 또한 업무를 마무리하고 떠나는 과정에 있었다. 50명의 DAO 군사 파견대, 그리고 143명의 해병 경비대였다. 같은 날 11:00에, 간단한 의식에서 웨이앤드 장군은 베트남 군사 지원 사령부의 깃발을 걷어 올리고 공식적으로 이를 비활성화했다.[10]

3. 구성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는 1962년 2월 8일 태평양 사령관 해리 D. 펠트 제독에 의해 창설되었다.[3] 초기에는 216명의 병력(육군 113명)으로 시작하여 베트콩 반란 진압 후 철수할 임시 본부로 구상되었으며, 이 경우 군사 지원 자문단이 남베트남의 주요 미국 본부로서 이전 지위로 복귀할 예정이었다.

1964년 5월 15일, MACV는 재조직되어 전투 부대 배치가 커지면서 MAAG 베트남을 흡수했다. 해군 자문단이 설립되었고, 제2 항공 사단 사령관이 MACV의 공군 구성 요소 사령관이 되었다.[3]

MACV의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2]

부대설명
주월 미국 육군 (USARV)남베트남에서 미 육군의 작전과 남베트남군에 대한 후방 지원 담당. 헌병 부대와 의료반도 관할.
제1야전군, 베트남 (I FFV)중부 고원 등을 주 전장으로 삼았으며, 기병 사단(헬리콥터), 에어본, 포병 부대를 조직. 사령부는 냐짱에 위치.
제2야전군, 베트남 (II FFV)테트 공세와 캄보디아 작전에 참가한 부대의 지휘 감독 담당.
제24군단1968년 텍사스주 포트 후드에서 재조직.
제3해병 원정군 (III MAF)1965년 5월 6일 다낭에서 재조직. 제1해병 사단, 제3해병 사단, 제1해병 항공단을 예하 부대로 둠.
주월 해군 (NAVFORV)베트남 전쟁에서의 미 해군의 작전 지휘 및 시비와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 등 해상 작전 관할.
제7공군 (7AF)1966년부터 1973년까지 제13공군과 공동으로 관할.
제5특전단그린 베레의 지휘 감독 담당.
민간 작전 및 혁명 개발 지원 (CORDS)피닉스 작전 등 비밀 작전 담당. 민간 불규칙전 그룹 등 비정규병과 민병에 대한 교육 등도 관할.
연구 및 관찰 그룹 (MACV-SOG)불규칙 전쟁을 주로 담당하고, 심리전 등 고도의 작전 관할. 통킹 만 사건을 "연출"한 것으로도 알려짐.
MACV 야전 고문단남베트남군에 대한 작전 입안과 훈련, 정찰 작전에 대한 지원 담당.[12]


4. 지휘관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의 지휘관은 군사용 두문자어로 '''COMUSMACV''' (Commander, U.S.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커맨더, 유에스 밀리터리 어시스턴스 커맨드, 비엣남영어)로 표기되며,[13] 약칭은 "com-U.S.-mack-vee"이다.[7] COMUSMACV는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미군을 책임지는 최고위 인물이었으나, 실제로는 CINCPAC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주재 미국 대사들도 전쟁 전략의 다양한 측면에서 "최고 책임자"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COMUSMACV를 역임한 장교[2]
이름재임 기간
폴 D. 하킨스 장군1962–1964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1964–1968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장군1968–1972
프레데릭 C. 와이랜드 장군1972–1973


5. 해체 이후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와 모든 미국 및 제3국 군대는 휴전 후 60일 이내에 남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했다. 남부 베트남 공화국 군대를 위한 군사 원조 프로그램을 계속하고 베트남화 목표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원을 감독할 소규모 미국 군사 본부가 필요했다. 이 본부는 주 사이공 국방무관실(DAO)이 되었으며, 군사 채널을 통해 작전 및 군사 정보를 국방부 당국에 보고했다.[9]

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미 공군력과 해군력을 투입하는 계획을 위해 다중 부대 조직이 필요했다. 미국 지원 활동 그룹 및 제7공군(USSAG/7th AF)은 태국 북동부의 나콘 파놈 왕립 태국 공군 기지에 위치했다.[9]

USSAG/7AF의 선발대는 1973년 1월 29일 떤선녓 공군 기지에서 나콘 파놈으로 이동했다. MACV와 제7공군의 작전 및 정보 부서에서 차출된 주력 부대는 2월 10일에 이동을 시작했다. USSAG는 1973년 2월 11일 MACV 사령관 지휘 하에 활성화되었다. 2월 15일 08:00, 미 공군 존 W. 보그트 주니어 장군이 MACV로부터 미국의 공중 작전 통제권을 인수받아 USSAG/7AF 사령관이 되었다.[10][11] USSAG/7th AF 지휘 하에 캄보디아에 대한 미국의 공중 지원 작전은 1973년 8월까지 계속되었다.[9]

DAO는 MACV의 부속 사령부로 설립되어, 1973년 3월 27일 MACV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MACV 사령관 지휘 하에 있었다. 이후 지휘권은 나콘 파놈의 USSAG/제7공군 사령관에게 넘어갔다.[11] DAO는 1973년 1월 28일, 미국 육군 소장 존 E. 머레이를 국방무관으로, 미국 공군 준장 랄프 J. 마글리오네를 부 국방무관으로 하여 활성화되었다.[9]

1973년 3월 29일, 남베트남에 남아 있던 유일한 미군 병력은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휴전을 감독하기 위해 설립된 4자 공동 군사 위원회 미국 대표단(업무 마무리 및 철수 과정 중), 50명의 DAO 군사 파견대, 143명의 해병 경비대였다. 같은 날 11:00, 웨이앤드 장군은 간단한 의식을 통해 베트남 군사 지원 사령부의 깃발을 걷고 공식적으로 비활성화했다.[10]

참조

[1] 간행물 United States. Dept. of the Army Pamphlet 672-3 GPO 1986
[2] 서적 Vietnam Order of Battle Galahad Books
[3] 서적 Vietnam Studies: Command and Control, 1950-1969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4] 서적 Maneuver and Firepower: The Evolution of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서적 By Sea, Air, and Land: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U. S. Navy and the War in Southeast Asia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6] 웹사이트 Naval Forces Vietnam Monthly Historical Summary April 1966 https://www.vietnam.[...] Commander, U.S. Naval Forces, Vietnam 1966-05-27
[7] 서적 Joint air operations: pursuit of unity in command and control, 1942-1991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8] 서적 MACV: the Joint Command in the Years of Escalation, 1962-1967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9] 서적 Vietnam from Cease Fire to Capitulation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0] 서적 the United States Army in Vietnam MACV: The Joint Command in the Years of Withdrawal, 1968-1973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1] 웹사이트 CINCPAC Command History 1973 https://nautilus.org[...] 2012-09-17
[12] 웹사이트 Army Advisors in Vietnam http://www.springfie[...] 2016-09-06
[13] 서적 Joint air operations: pursuit of unity in command and control, 1942-1991 http://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