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공중기동비행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대한민국 공군 소속 부대로, 1955년 10월 대구에서 제5공수비행전대로 창설되었다. 1966년 제5공수비행단으로 증편되었으며, 1971년 제5전술공수비행단으로 개명되었다. 2013년 작전 범위 확대와 해외 임무 증가에 따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6년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주요 임무는 공중 수송 및 급유 지원이며, C-54D 스카이마스터, C-130 허큘리스, A330 MRTT 등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비행단 - 제3훈련비행단
    제3훈련비행단은 1968년 대구에서 창설, 1973년 사천에서 재창설된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 교육 훈련 기관으로, T-59 고등훈련기와 국산 KT-1 기본훈련기 도입을 통해 항공 전력 발전에 기여하고 대통령 표창 수상 및 무사고 비행 기록을 달성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비행단 - 제39정찰비행단
    대한민국 공군의 제39정찰비행단은 공중감시정찰 전력을 담당하며, 국방개혁 2.0 계획에 따라 정찰 자산이 보강되어 2020년 비행단으로 재편성되었고, 현재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 부대이다.
  • 대한민국의 수송기 부대 - 제58항공수송단
    제58항공수송단은 2004년 자이툰 부대 지원을 위해 창설되어 이라크에 파병되었으며, 4년 3개월간 병력과 군수물자를 수송하고 2008년 자이툰 부대 철수에 따라 철수하였다.
  • 대한민국의 수송기 부대 - 청마부대
    청마부대는 2001년 김해기지에서 창설되어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지역에 전개되어 병력, 물자, 화물 수송 및 자국민 보호를 수행하고, 이라크 파병 부대 지원, 다국적 연합작전 참여, 인도적 구호작전을 통해 국제공조체제를 유지했다.
  • 대한민국의 해외 파병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해외 파병 -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는 대한민국 해군이 아덴만 해역에서 한국 선박 보호와 해적 퇴치를 위해 파견한 전대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국제 해양 안전 확보에 동참하며 선박 호송, 해적 퇴치, 우방국 선박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아덴만 여명 작전 성공,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 등을 겪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 해군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있다.
제5공중기동비행단
기본 정보
이름제5공중기동비행단
원어 이름5th Air Mobility Wing (영어)
第五空中機動飛行團 (한자)
활동 기간1955년 10월 ~ 현재
소속대한민국 공군
병과해당 없음
종류해당 없음
역할항공수송, 공중 급유
규모비행단
명령 체계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본부김해국제공항
별명은마부대, 5비
표어해당 없음
해당 없음
군가해당 없음
마스코트해당 없음
장비항공기 문단 참조
참전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훈장해당 없음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ir Force Brigadier General (OF-6).svg|30px]] 준장 강근신(공사 44기)
지휘관 명칭비행단장
주요 지휘관해당 없음
항공기
항공기항공기 문단 참조

2. 역사

1955년 10월 대구에서 제5공수비행전대로 창설되었고, 1966년에 제5공수비행단으로 증편되었다.[1] 1971년 7월 1일 제5전술공수비행단으로 개명하였다. 1973년 3월, 은마부대가 해산되었다.

2004년 8월 31일, 이라크 자이툰 부대, 아프가니스탄 다산 부대, 동의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제58항공수송단 "다이만부대"를 창설하여 2008년 12월 19일까지 활동하였다.

2013년 7월 2일, 작전 범위 확대와 해외 임무 증가에 맞춰 제5공중기동비행단(ROKAF 5th Air Mobility Wing영어)으로 개명하였다.[3][4] 2016년 1월 1일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55년 ~ 1970년대)

1955년 10월, 대구에서 제5공수비행전대로 창설되었고, 1966년에 제5공수비행단으로 증편되었다.[1] 같은 해 10월, 미국 공군으로부터 C-54D 스카이마스터 4대를 넘겨받아 은마부대를 창설하였다.

1967년 7월 1일, 주월한국군사령부 예하 부대에 흩어져 있던 항공수송부대를 한 곳에 모으고 C-46D 코만도 2대를 추가하여 지원부대인 '''제55항공수송단'''을 창설하였다. 제55항공수송단은 전술항공지원대와 비행대로 편성되었다. 1968년 10월 C-46D 1대를 추가로 배치하였다가, 1970년 5월에 운용하고 있던 모든 C-46D를 퇴역시키고 C-54D로 대체하였다.[2]

1971년 7월 1일 '''제5전술공수비행단'''으로 개명하였다.

1973년 3월, 은마부대가 해산되었다.

2. 2. 해외 파병 및 작전 범위 확대 (1990년대 ~ 2010년대)

1991년, 걸프 전쟁에 제56항공수송단 "비마"부대를 파병하였다.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제57항공수송단 "청마부대"를 파병하였다. (2003년 철수) 2004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에 자이툰 부대, 다산 부대, 동의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제58항공수송단 "다이만부대"를 창설하였다.[3][4] 다이만 부대는 2008년 12월 19일까지 활동하였다.

2013년 7월 2일, 제5전술공수비행단은 작전 범위 확대와 해외 임무 증가에 맞춰 '''제5공중기동비행단'''(ROKAF 5th Air Mobility Wing영어)으로 개명하였다.[3][4] 2016년 1월 1일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2. 3. 공중급유 능력 확보 및 현재 (2010년대 ~ 현재)

2018년 9월, 제261공중급유비행대대를 창설하고 에어버스 A330 MRTT를 도입하여 공중급유 능력을 확보하였다. 현재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제251전술공수비행대대, 제258전술공수비행대대(1966년 창설), 제259전술공수지원대대, 제261공중급유비행대대, 대한민국 공군 전투통제반(1978년 창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부대 구조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현재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제251전술공수비행대대
  • 제258전술공수비행대대 (1966년 창설)
  • 제259전술공수지원대대
  • 제261공중급유비행대대 (2018년 9월 창설)
  • 대한민국 공군 전투통제반(KCCT) (1978년 창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있었다.

3. 1. 현재 부대


  • 제251전술공수비행대대
  • 제258전술공수비행대대 (1966년 창설)
  • 제259전술공수지원대대
  • 제261공중급유비행대대 (2018년 9월 창설)
  • 대한민국 공군 전투통제반(KCCT) (1978년 창설)

3. 2. 과거 부대

4. 보유 항공기

5. 계보


  • 1955년 10월: 제5공수비행전대
  • 1966년 9월: 제5공수비행단
  • 1971년 7월 1일: 제5전술공수비행단
  • 2013년 7월 2일: 제5공중기동비행단

6. 소속

참조

[1] 웹인용 건군 63주년 영광의 대통령 표창 부대<3>공군5전술공수비행단 공군30방공관제단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10-07
[2] 웹인용 베트남 전쟁사 - 공군지원단 https://web.archive.[...]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14-04-17
[3] 뉴스 공군 5비, 새 명칭 ‘제5공중기동비행단’ 비전 선포식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3-07-02
[4] 뉴스 공군 5전비, 42년 만에 부대명칭 바꿔 https://web.archive.[...] 쿠키뉴스 2013-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