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급대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급대장은 독일의 군대에서 사용된 장성 계급으로, 나치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동독 등 다양한 시대와 군대에서 사용되었다. 나치 독일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무장친위대에서, 동독에서는 국가인민군, 슈타지(국가안전부), 독일 인민경찰 등에서 사용되었다. 각 군대와 시대에 따라 계급의 의미와 지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4성장군 - 쿠르트 슈투덴트
    쿠르트 슈투덴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공군 조종사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낙하산 부대 창설 및 발전에 기여, 주요 작전에서 공수부대를 지휘하며 초기 성공을 거두었으나, 크레타 전투에서의 민간인 학살 책임과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군인이다.
  • 나치 독일의 4성장군 - 독일 국방군
    독일 국방군은 1935년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으나, 전쟁 범죄 연루 및 패전 이후 1946년 해산되었다.
  • 4성장군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4성장군 - 병과대장
    병과대장은 각 군대에서 병과별로 부여되거나 부여되었던 직책 또는 계급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존재했으며 병과별 전문성 강화, 훈련 및 장비 개발을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 빌헬름 1세 - 독일 제국의 선포
    독일 제국의 선포는 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의 빌헬름 1세가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독일 통일이 완성된 사건이다.
  • 빌헬름 1세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1866년 프로이센 왕국과 오스트리아 제국을 중심으로 독일 연방 내 국가들이 참여한 전쟁으로, 프로이센의 주도권 확보와 오스트리아의 영향력 약화를 목표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비스마르크의 책략이 원인이 되었으며, 프로이센은 승리를 통해 북독일 연방을 결성하고 오스트리아는 영향력을 상실했다.
상급대장
계급 정보
종류군사 계급
상위 계급상급대장
하위 계급중장
해당 군육군
독일어 명칭
독일어Generaloberst
로마자 표기Generaloberst
러시아어 명칭
러시아어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로마자 표기General-polkovnik
설명
설명원수에 준하는 계급
설명상급대장은 대장보다 높음
역사
독일 제국19세기 후반 독일 제국에서 처음 사용
바이마르 공화국바이마르 공화국에서도 유지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서 널리 사용
냉전 시대냉전 시대 동독군에서도 사용
기타
참고일부 국가에서는 상급대장이 원수 다음가는 최고 계급일 수 있음

2. 나치 독일의 상급대장

나치 독일 시기(1935년~1945년) 상급대장은 육군, 해군, 공군, 무장친위대에서 사용되었다. 상급대장은 군 사령관 직책을 맡았으며, 일반적인 군 계급 체계의 대장에 해당한다. 상급대장 바로 위 계급은 집단군 사령관이 맡는 야전원수였고, 바로 아래 계급은 군단장 직책의 병과대장이었다.[5]

상급대장의 동급 계급은 다음과 같다.


  • ''크리그스마리네'' – ''Generaladmiral'' (상급제독)
  • ''무장친위대'' – ''무장친위대 SS 상급집단지도자 겸 상급대장''
  • ''친위대''(SS) – ''SS 상급집단지도자''
  • ''돌격대''(SA) – 해당 계급 없음
  • ''질서경찰''(Orpo) – ''Generaloberst der Polizei'' (경찰 상급대장)


독일어 'Generaloberst'를 '대장'으로 번역하지 않고 '상급대장'으로 표기하는 이유는 독일군 계급 체계의 특수성 때문이다. 독일군의 계급 명칭은 'Generalmajor'(소장) - 'Generalleutnant'(중장) - 'General'(대장) 순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Generaloberst'가 존재했다.

독일어 계급 'Generalmajor'는 영어권에서 'major-general'로 표기되므로, 이를 '준장'으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당시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에는 'Kommodore(준장)', 무장친위대에는 'SS-Oberführer(상급지도자, 준장 또는 상급대령)'라는,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이미 존재했다. 따라서 육군 및 공군 등의 계급 'Generalmajor'를 준장으로 번역하여 한 단계씩 낮추면, 이들 계급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2. 1. 나치 독일의 군종별 상급대장

2. 1. 1. 독일 육군

독일 육군의 Generaloberst (상급대장) 계급은 1936년 4월 20일에 창설되어 1945년에 폐지되었다. 상급대장은 Generalfeldmarschall (야전원수) 바로 아래, General der Waffengattung (병과대장) 바로 위의 계급이었다.

다음은 독일 육군의 상급대장 목록이다.

임관일이름생몰년
1933년 8월 31일베르너 폰 블롬베르크1878–1946
1934년 1월 1일쿠르트 프라이헤어 폰 함머슈타인-에쿼르트1878–1943
1936년 4월 20일베르너 프라이헤어 폰 프리치1880–1939
1938년 2월 1일발터 폰 브라우히치1881–1948
1938년 3월 1일게르트 폰 룬트슈테트1875–1953
1938년 3월 1일빌헬름 리터 폰 리프1876–1956
1938년 3월 1일페도르 폰 보크1880–1945
1938년 11월 1일루드비히 베크1880–1944
1938년 11월 1일빌헬름 카이텔1882–1946
1939년 1월 1일빌헬름 아담1877–1949
1939년 4월 1일빌헬름 리스트1880–1971
1939년 10월 1일귄터 폰 클루게1882–1944
1939년 10월 1일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1883–1948
1939년 10월 1일발터 폰 라이헤나우1884–1942
1939년 11월 1일에르빈 폰 비츠레벤1881–1944
1940년 7월 19일프란츠 할더1884–1972
1940년 7월 19일프리드리히 돌만1882–1944
1940년 7월 19일에발트 폰 클라이스트1881–1954
1940년 7월 19일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1881–1954
1940년 7월 19일게오르크 폰 큌레르1881–1968
1940년 7월 19일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1883–1941
1940년 7월 19일에리히 호프너1886–1944
1940년 7월 19일하인츠 구데리안1888–1954
1940년 7월 19일헤르만 호트1885–1971
1940년 7월 19일아돌프 슈트라우스1879–1973
1940년 7월 19일에른스트 부쉬1885–1945
1940년 7월 19일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1885–1968
1940년 7월 19일쿠르트 하세1881–1943
1940년 7월 19일프리드리히 프롬1888–1945
1942년 1월 1일루돌프 슈미트1886–1957
1942년 2월 1일에르빈 롬멜1891–1944
1942년 2월 1일발터 모델1891–1945
1942년 3월 7일에리히 폰 만슈타인1887–1973
1942년 3월 16일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1887–1963
1942년 6월 1일리하르트 루오프1883–1967
1942년 6월 1일에두아르트 딜1890–1944
1942년 11월 30일프리드리히 파울루스1890–1957
1942년 12월 3일한스-위르겐 폰 아르님1889–1962
1943년 1월 1일한스 폰 살무트1888–1962
1943년 1월 30일고트하르트 하인리치1886–1971
1943년 1월 30일발터 하이츠1878–1944
1943년 7월 6일에버하르트 폰 마켄젠1889–1969
1943년 9월 1일하인리히 폰 피팅호프1887–1952
1943년 9월 1일카를-아돌프 홀리트1891–1985
1944년 2월 1일알프레트 요들1890–1946
1944년 2월 1일에르빈 예네케1890–1960
1944년 2월 1일발터 바이스1890–1967
1944년 2월 1일쿠르트 차이슬러1895–1963
1944년 3월 1일페르디난트 쇨르너1892–1973
1944년 4월 1일로타어 렌둘리치1887–1971
1944년 4월 1일한스-발렌틴 후베1890–1944
1944년 4월 20일요제프 하르페1887–1968
1944년 7월 1일요하네스 프리즈너1892–1971
1944년 9월 20일에르하르트 라우스1889–1956
1945년 5월 1일카를 힐페르트1888–1947


2. 1. 2. 독일 해군

Generaladmiralde (상급제독 또는 해군 상급대장)

2. 1. 3. 독일 공군


  • - -- --

독일 공군의 상급대장 계급장은 위와 같다.

독일 공군 상급대장
임관일이름생몰년
1936년 4월 20일헤르만 괴링1893년–1946년
1938년 11월 1일에르하르트 밀히1892년–1972년
1940년 7월 19일울리히 그라우어트1889년–1941년
1940년 7월 19일한스위르겐 슈툼프1889년–1968년
1940년 7월 19일에른스트 우데트1896년–1941년
1940년 7월 19일후베르트 바이스1885년–1944년
1940년 7월 19일알프레트 켈러1882년–1974년
1941년 5월 3일알렉산더 뢰르1885년–1947년
1942년 2월 1일볼프람 프라이어르 폰 리히트호펜1895년–1945년
1942년 4월 1일한스 예쇼네크1899년–1943년
1942년 11월 1일귄터 뤼델1883년–1950년
1943년 2월 16일브루노 뢰르처1891년–1960년
1943년 2월 16일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1892년–1945년
1944년 3월 1일오토 데슬로흐1889년–1977년
1944년 7월 13일쿠르트 슈투덴트1890년–1978년
1944년 7월 22일[1]귄터 코르텐1898년–1944년


  • 귄터 코르텐은 1944년 7월 22일 사후 상급대장으로 추서되었다.[1]

2. 1. 4. 무장친위대

무장친위대의 SS-Oberstgruppenführer(SS최상급집단지도자 또는 SS상급대장)는 독일 육군과 독일 공군의 Generaloberst(상급대장), 독일 해군의 Generaladmiral(상급제독)에 대응하는 계급이다.

금속 계급장


SS-Oberst-Gruppenführer와 무장친위대의 Generaloberst를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임관 연도이름출생-사망
1942년제프 디트리히1892년–1966년
1944년파울 하우서1880년–1972년


2. 2. 나치 독일의 장성 계급 체계

나치 독일에서 상급대장은 군 사령관 직책을 맡았으며, 일반적인 군 계급 체계의 대장에 해당한다. 상급대장 바로 위 계급은 집단군 사령관이 맡는 야전원수였고, 바로 아래 계급은 군단장 직책의 병과대장(General der Waffengattung)이었다.[5]

2. 2. 1. 계급 체계

계급명역할일반적인 군 계급
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집단군 사령관원수
상급대장 (Generaloberst)군 사령관대장
대장 (General)[5]군단장중장
중장 (Generalleutnant)사단장소장
소장 (Generalmajor)여단장준장


2. 3. 용어 및 번역 문제

독일어 'Generaloberst'를 '대장'으로 번역하지 않고 '상급대장'으로 표기하는 이유는 독일군 계급 체계의 특수성 때문이다. 독일군의 계급 명칭은 'Generalmajor'(소장) - 'Generalleutnant'(중장) - 'General'(대장) 순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Generaloberst'가 존재했다.

독일어 계급 'Generalmajor'는 영어권에서 'major-general'로 표기되므로, 이를 '준장'으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당시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에는 'Kommodore(준장)', 무장친위대에는 'SS-Oberführer(상급지도자, 준장 또는 상급대령)'라는,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이미 존재했다. 따라서 육군 및 공군 등의 계급 'Generalmajor'를 준장으로 번역하여 한 단계씩 낮추면, 이들 계급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상급대장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의 상급대장 계급장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에 상급대장(Generaloberst - Vezérezredes) 계급이 도입되었다. 이 계급은 야전 원수 (Tábornagy) 다음으로 높은 계급이었다.

3.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상급대장 목록

1915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에 ''Generaloberst'' - ''Vezérezredes'' 계급이 도입되었다. 이 계급은 야전 원수 - ''Tábornagy'' 계급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계급이었다.

이름생몰년도
오스트리아-토스카나의 요제프 페르디난트 대공1872–1942
프리드리히 백작 폰 베크-르지코프스키1830–1920
에두아르트 백작 파르1837–1919
아르투어 자유 남작 폰 볼프라스1838–1922
프리드리히 자유 남작 폰 게오르기1852–1926
카를 자유 남작 폰 플란처-발틴1855–1925
빅토르 백작 당클 폰 크라스니크1854–1941
카를 테르슈티안스키 폰 너더스1854–1921
아돌프 폰 레멘1855–1932
파울 자유 남작 푸할로 폰 브르로그1856–1926
오스트리아-토스카나의 레오폴트 살바토르 대공1863–1931
카를 백작 폰 키르흐바흐 아우프 라우터바흐1856–1939
카를 게오르크 백작 후인1857–1938
헤르만 쿠스마네크 폰 부르크노이슈테텐1860–1934
카를 크르지테크1861–1928
벤첼 자유 남작 폰 부름1859–1921
사무엘 자유 남작 폰 하자이1851–1942
레오폴트 자유 남작 폰 하우어1854–1933
빅토르 백작 폰 셰이헨슈투엘1857–1938
스테판 자유 남작 사르코티치 폰 로브첸1858–1939
요제프 자유 남작 로트 폰 리마노바-와파노프1859–1927
아르투어 자유 남작 아르츠 폰 슈트라우스넨부르크1857–1935
휴고 마르티니 폰 말라슈토프1860–1940
루돌프 자유 남작 슈퇴거-슈타이너 폰 슈타인슈테텐1861–1921
알로이스 공작 쇤부르크-하르텐슈타인1858–1944


4. 독일 제국의 상급대장

독일 제국 (1871년~1918년) 시기 상급대장은 4성 장군(OF-9)에 해당하는 높은 계급이었다. 주로 독일 제국군의 견장을 통해 나타냈으며, 은색 및 금색 꼬임 끈에 별 3개로 표시되었다.

상급대장 (1871–1918)


원수 계급의 상급대장


독일 제국 내 각 지역 군대별 상급대장은 다음과 같다.

상급대장
프로이센 육군바이에른 육군작센 육군뷔르템베르크 육군


4. 1. 프로이센 육군

프로이센 육군에서 상급대장은 매우 중요한 직책이었다. 이 계급은 능력 있는 군인들에게 주어졌으며, 이들은 프로이센 군대와 독일 제국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프로이센 육군의 상급대장 목록과 그들의 주요 이력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4. 1. 1. 프로이센 육군 상급대장 목록

임명일이름비고
1854년 3월 20일프로이센의 빌헬름 (1797–1888)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1871년 6월 16일프로이센의 알브레히트 (1809–1872)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1873년 9월 2일뷔르템베르크의 아우구스트 공 (1813–1885)베를린 사령관 겸 지사
1888년 6월 25일바덴 대공 프리드리히 1세 (1826–1907)
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육군 감찰관
1888년 9월 19일알렉산더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파페 (1813–1895)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마르켄 사령관 겸 베를린 지사
1889년 12월 21일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카를 알렉산더 (1818–1901)
1890년 3월 20일오토 폰 비스마르크 (1815–1898)육군 Generalfeldmarschall à la suite 특별 계급, 독일 제1대 재상
1901년 10월 18일호엔촐레른 공 레오폴트 (1835–1905)
1902년 3월 22일룩셈부르크 대공 아돌프 (1817–1905)
1905년 9월 15일작센-마이닝겐 공작 베른하르트 3세 (1851–1928)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육군 감찰관
1905년 9월 15일바덴 대공 프리드리히 2세 (1857–1928)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육군 감찰관
1906년 9월 13일에른스트 루돌프 막스 에들러 폰 데어 플라니츠 (1836–1910)기병대 감찰 총장
1907년 9월 28일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에른스트 1세 (1826–1908)프로이센 육군 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2]
1908년 9월 18일한스 폰 플레센 (1841–1929)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카이저의 부관장 겸 Großes Hauptquartier ("대본부") 사령관
1909년 9월 4일프로이센의 하인리히 공 (1862–1929)Generalfeldmarschall 특별 계급, 대제독, 해군 감찰 총장, 프로이센 육군 à la suite
1910년 9월 10일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공 (1865–1931)à la suite
1911년 1월 22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크리스티안 공 (1831–1917)à la suite
1911년 1월 27일구스타프 폰 케셀 (1846–1918)카이저 부관장, 마르켄 사령관 겸 베를린 지사
1912년 9월 13일카를 폰 뷜로 (1846–1921)육군 사령관, 1915년 Generfeldmarschal로 진급
1913년 1월 1일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1948–1918)육군 집단군 사령관, 1917년 Generalfeldmarschal로 진급
1913년 6월 16일막시밀리안 폰 프리트비츠 (1848–1917)육군 사령관
1913년 6월 16일프리드리히 폰 숄 (1846–1928)카이저 부관장
1914년 1월 27일요시아스 폰 헤에린겐 (1850–1926)육군 사령관
1914년 1월 27일헬무트 폰 몰트케 (소) (1848–1916)제1 최고 육군 사령부 참모총장
1914년 1월 27일알렉산더 폰 클루크 (1846–1934)육군 사령관
1914년 12월 3일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1849–1945)육군 사령관, 1915년 Generalfeldmarschal로 진급
1914년 12월 3일레무스 폰 보이르슈 (1847–1920)육군 집단군 사령관, 1917년 Generalfeldmarschal로 진급
1914년 12월 24일모리츠 폰 비싱 (1844–1917)벨기에 총독
1914년 12월 24일루트비히 폰 팔켄하우젠 (1844–1936)육군 사령관
1915년 1월 27일카를 폰 아이넴 (1853–1934)육군 사령관
1916년 2월 20일알렉산더 폰 린징겐 (1850–1935)육군 사령관
1917년 1월 27일귄터 그라프 폰 키르히바흐 (1850–1925)키예프 육군 집단군 사령관
1917년 1월 27일리하르트 폰 슈베르트 (1850–1933)육군 사령관
1918년 1월 27일한스 폰 베셀러 (1850–1921)육군 사령관
1918년 3월 22일막스 폰 뵘 (1850–1921)육군 집단군 사령관
1918년 4월 10일모리츠 프라이헤어 폰 린커 (1853–1932)군사 내각 비서실장


4. 2. 바이에른 육군

1911년 12월 27일 카를 폰 호른, 1914년 8월 1일 오토 크레스 폰 크레센슈타인이 육군 장관에 임명되었고, 1918년 4월 9일 펠릭스 폰 보트머가 제1차 세계 대전 최고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4. 2. 1. 바이에른 육군 상급대장 목록

임명일이름생몰년비고
1911년 12월 27일카를 폰 호른1847년-1923년육군 장관
1914년 8월 1일오토 크레스 폰 크레센슈타인1850년-1929년육군 장관
1918년 4월 9일펠릭스 폰 보트머1852년-1937년제1차 세계 대전 최고 사령관


4. 3. 작센 육군

작센 육군의 상급대장으로는 카를 알렉산더 대공[1], 베른하르트 에르프린츠[2], 에른스트 1세[3],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 (1862–1929)[4], 막스 자유남작[5], 카를 루드비히 델사, 한스 폰 키르히바흐 등이 임명되었다.

4. 3. 1. 작센 육군 상급대장 목록

임명일계급성명생몰년비고
1889년 12월 21일상급대장작센의 카를 알렉산더 대공1818년–1901년
1905년 9월 15일상급대장작센마이닝겐의 베른하르트 에르프린츠1851년–1928년
1907년 9월 28일상급대장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에른스트 1세1826년–1908년
1909년 9월 4일상급대장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 (1862–1929)
1910년 12월 17일상급대장하우젠의 막스 자유남작1846년–1922년총리, 군 사령관
1918년 1월 23일상급대장카를 루드비히 델사1849년–1922년군 사령관
1918년 1월 23일상급대장한스 폰 키르히바흐1849년–1928년군 사령관


4. 4. 뷔르템베르크 육군

1913년 2월 25일 필리프 뷔르템베르크 공작은 뷔르템베르크 육군 명예 상급대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24일 알브레히트 뷔르템베르크 공작이 상급대장에 임명되었으며, 후에 프로이센 원수가 되었다. 1918년 2월 25일에는 육군 장관 오토 폰 마르히탈러가 상급대장에 임명되었다.

4. 4. 1. 뷔르템베르크 육군 상급대장 목록

임명일이름비고
1913년 2월 25일필리프 뷔르템베르크 공작뷔르템베르크 육군 명예 소속
1913년 9월 24일알브레히트 뷔르템베르크 공작프로이센 원수
1918년 2월 25일오토 폰 마르히탈러육군 장관


5. 동독의 상급대장


  • - --

동독의 상급대장은 국민인민군 육군 및 공군, 국경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장성 계급이었으며, 인민해군에서는 제독에 해당했다.

5. 1. 국가인민군

국민인민군의 육군과 공군, 그리고 독일 민주 공화국 국경군에서 ''Generaloberst''(상급대장)는 소련 군사 교리에 따라 해당 장성 계급 그룹에서 세 번째 장성 계급이었다. NATO 계급 코드와 관련하여 이는 별 셋 계급(OF-8)에 해당할 수 있다.

''Generaloberst''에 해당하는 계급은 인민해군의 ''제독''이었다.

다음은 1966년부터 1989년까지 상급대장으로 임명된 인물들이다.

임명일이름생몰년
1966년 3월 1일쿠르트 바그너1904년–1989년
1972년 3월 1일헤르베르트 샤이베1914년–1991년
1976년 3월 1일호르스트 슈테흐바르트1925년–2016년
1977년 10월 7일베르너 플라이스너1922년–1985년
1979년 7월 14일에리히 페터1919년–1987년
1979년 10월 7일볼프강 라인홀트1923년–2012년
1979년 10월 7일프리츠 슈트렐레츠1926년 출생
1986년 3월 1일요아힘 골드바흐1929년–2008년
1987년 3월 1일호르스트 브뤼너1929년–2008년
1988년 10월 7일클라우스-디터 바움가르텐1931년–2008년
1989년 10월 7일프리츠 페터1927년 출생


5. 2. 슈타지 (국가안전부)

동독 슈타지에서 상급대장 계급을 부여받은 인물은 다음과 같다.[1]

임명일이름출생-사망
1980년 2월브루노 베이터1914년–1982년
1986년 5월마르쿠스 볼프1923년–2006년
1987년 2월루디 미티히1925년–1994년
1989년베르너 그로스만1929년-2022년


5. 3. 독일 인민경찰

인물임명년도
카를 마론1962년
카를-하인츠 바그너1987년


참조

[1] 서적 Die Wehrmacht-Elite: Rang- und Herkunftsstruktur der deutschen Generale und Admirale 1933–1945 De Gruyter 2017
[2] 서적 Soldatisches Führertum Hanseatische Verlagsanstalt
[3] 서적 Wolf Pack: The Story of the U-boat in World War II Osprey Publishing 2005
[4] 문서 육군 장성의 금장은 현대 독일 연방군의 육군, 공군 장성에게 계승되어 사용된다.
[5] 문서 독일군의 대장은 각 개인의 출신 병과 호칭을 붙인다. 보병대장(General der Infanterie), 기갑대장(General der Panzertruppe), 포병대장(General der Artillerie) 등이 그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