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희곡 《제5열》
- 3. 단편 소설 목록
- 3.1. 초기 작품 (1921)
- 3.2. 《우리들의 시대에》 (In Our Time, 1925)
- 3.2.1. 스미르나의 부두에서 (On the Quai at Smyrna)
- 3.2.2. 인디언 부락 (Indian Camp)
- 3.2.3. 의사와 의사의 아내 (The Doctor and the Doctor's Wife)
- 3.2.4. 어떤 일의 끝 (The End of Something)
- 3.2.5. 사흘간의 폭풍 (The Three-Day Blow)
- 3.2.6. 싸우는 사람 (The Battler)
- 3.2.7. 매우 짧은 이야기 (A Very Short Story)
- 3.2.8. 병사의 고향 (Soldier's Home)
- 3.2.9. 혁명당원 (The Revolutionist)
- 3.2.10. 엘리엇 부부 (Mr. and Mrs. Elliot)
- 3.2.11. 빗속의 고양이 (Cat in the Rain)
- 3.2.12. 철이 지난 (Out of Season)
- 3.2.13. 세상을 덮은 눈 (Cross-Country Snow)
- 3.2.14. 늙은 내 아버지 (My Old Man)
- 3.2.15.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 (Big Two-Hearted River)
- 3.3. 《여자 없는 남자들》 (Men Without Women, 1927)
- 3.3.1. 패배하지 않는 사람들 (The Undefeated)
- 3.3.2. 다른 나라에서 (In Another Country)
- 3.3.3. 흰 코끼리 같은 언덕 (Hills Like White Elephants)
- 3.3.4. 살인자들 (The Killers)
- 3.3.5. 조국은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Che Ti Dice La Patria?)
- 3.3.6. 오만 달러 (Fifty Grand)
- 3.3.7. 간단한 질문 (A Simple Enquiry)
- 3.3.8. 열 명의 인디언 (Ten Indians)
- 3.3.9. 누군가를 위한 카나리아 (A Canary for One)
- 3.3.10. 알프스의 목가 (An Alpine Idyll)
- 3.3.11. 추격 경주 (A Pursuit Race)
- 3.3.12. 오늘은 금요일 (Today is Friday)
- 3.3.13. 시시한 이야기 (Banal Story)
- 3.3.14. 이제 내 몸을 누이며 (Now I Lay Me)
- 3.4.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 (Winner Take Nothing, 1933)
- 3.4.1. 폭풍 후 (After the Storm)
- 3.4.2. 깨끗하고 불 밝은 곳 (A Clean, Well-Lighted Place)
- 3.4.3. 세상의 빛 (The Light of the World)
- 3.4.4. 신이여 신사 제현에게 즐거운 휴식을 주소서 (God Rest You Merry, Gentlemen)
- 3.4.5. 바다의 변화 (The Sea Change)
- 3.4.6. 당신이 결코 갈 수 없는 길 (A Way You'll Never Be)
- 3.4.7. 여왕의 어머니 (The Mother of a Queen)
- 3.4.8. 한 독자의 편지 (One Reader Writes)
- 3.4.9. 스위스에 경의를 (Homage to Switzerland)
- 3.4.10. 하루 동안의 기다림 (A Day's Wait)
- 3.4.11. 시체의 박물관 (A Natural History of the Dead)
- 3.4.12. 와이오밍의 포도주 (Wine of Wyoming)
- 3.4.13. 도박사와 수녀와 라디오 (The Gambler, the Nun, and the Radio)
- 3.4.14. 아버지들과 아들들 (Fathers and Sons)
- 3.5. 최근 작품 (1938)
- 4. 한국어판 출판 내역
- 참조
1. 개요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희곡 《제5열》과 그의 단편 소설들을 다루는 문서이다. 희곡 《제5열》은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하며, 미국 출신 간첩 필립 롤링스를 주인공으로 한다. 이 작품은 초연 이후 수정 과정을 거쳤으며, 여러 차례 연극으로 제작되었다. 문서에는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목록과 한국어판 출판 내역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단편집 - 동양 이야기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단편 소설집 《동양 이야기》는 동양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바탕으로 무소유, 공 등의 동양적 정서를 담아낸 작품으로, 서구적 해석의 한계와 문학적 역량에 대한 비평이 공존한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33년에 출간한 단편집으로, 14편의 단편 소설과 이후 3편이 추가 수록되었으며 한국어로도 번역 출판되었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 닉 애덤스 이야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인 《닉 애덤스 이야기》는 헤밍웨이의 분신과 같은 인물인 닉 애덤스의 성장 과정을 통해 심리적 변화와 고뇌, 그리고 20세기 초 미국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삶의 고통, 상실감, 인간의 고독을 묘사한다.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책 정보 | |
이름 |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 |
원제 | The Fifth Column and the First Forty-Nine Stories |
저자 | 어니스트 헤밍웨이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단편 소설 모음집 |
출판사 | 찰스 스크리브너스 선스 |
발행일 | 1938년 |
이전 작품 | To Have and Have Not |
다음 작품 | For Whom the Bell Tolls |
2. 희곡 《제5열》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쓴 유일한 희곡 작품으로,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한다.[10][2] 주인공 필립 롤링스(Philip Rawlings영어)는 스페인 제2공화국을 위해 활동하는 미국 태생의 비밀 요원이다.[10][2]
이 희곡은 출간 직후 좋지 못한 평가를 받으며 함께 실린 다른 단편 작품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다.[10][2] 1940년 브로드웨이에서 시어터 길드(Theatre Guild영어)에 의해 연극으로 제작되었으나, 원본이 아닌 상당 부분 수정된 각본으로 공연되었다.[12][4] 헤밍웨이의 원본 대본에 충실한 전문적인 공연은 2008년 민트 시어터 컴퍼니(Mint Theater Company영어)에 의해 처음 이루어졌다.[13][12][5][4]
2. 1. 집필 배경
희곡 《제5열》은 스페인 내전을 시간적 배경으로 삼는다.[2] 작품의 주인공 필립 롤링스(Philip Rawlings영어)는 미국 태생의 비밀 요원으로, 스페인 제2공화국을 위해 활동하는 인물이다.[2] 이 희곡은 출간되었을 당시에는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으며, 함께 수록된 여러 단편 소설들에 가려져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10][2]2. 2. 줄거리
희곡 《제5열》은 스페인 내전을 시간적 배경으로 삼는다.[10][2] 주인공 필립 롤링스(Philip Rawlings영어)는 미국 태생의 비밀 요원으로, 스페인 제2공화국을 위해 활동한다.[10][2]2. 3. 초연과 수정
희곡 《제5열》은 1938년에 연극으로 제작될 예정이었으나, 브로드웨이 제작자들과의 문제로 인해 제작이 지연되었다.[11][3] 이후 1940년, 시어터 길드(Theatre Guild|시어터 길드영어)에 의해 브로드웨이에서 연극으로 제작되었다.[12][4]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각본가 벤자민 글레이저(Benjamin Glazer|벤자민 글레이저영어)가 원고의 상당 부분을 수정하였다.[12][4] 헤밍웨이는 이러한 변경 사항에 크게 반발하여 제작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려고 시도하기도 했다.[11][3] 수정된 희곡은 총 87회 공연되었다.[11][3] 헤밍웨이의 원본 대본에 충실한 전문적인 공연은 2008년 민트 시어터 컴퍼니(Mint Theater Company|민트 시어터 컴퍼니영어)가 처음으로 무대에 올렸다.[13][12][5][4]2. 4. 복원
1940년 시어터 길드(Theatre Guildeng)는 브로드웨이에서 《제5열》을 연극으로 제작했으나, 이 과정에서 각본가 벤자민 글레이저(Benjamin Glazereng)가 원고를 상당 부분 수정하였다.[12][4] 헤밍웨이는 이러한 변경에 반발하여 작품에서 자신의 이름을 지우려고 시도하기도 하였다.[11][3] 이 수정된 버전의 공연은 총 87회 이루어졌다.[11]헤밍웨이의 원본 대본에 충실하게 전문적으로 제작된 것은 2008년 민트 시어터 컴퍼니(Mint Theater Companyeng)가 처음이었다.[13][12][5][4] 이 공연을 통해 헤밍웨이의 원래 의도가 담긴 작품이 비로소 무대에 오를 수 있었다.
3. 단편 소설 목록
이 책에 실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들은 발표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각 시기별 작품 목록과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초기 작품 (1921)''': 헤밍웨이가 작가로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형성하기 시작한 시기의 작품이다.[6] 대표작으로 미시간에서(Up in Michigan영어)가 있다.
- '''《우리들의 시대에》 (In Our Time영어, 192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젊은 세대가 겪는 상실감과 허무주의를 주로 다룬 헤밍웨이의 첫 단편집이다.
- '''《여자 없는 남자들》 (Men Without Women영어, 1927)''': 남성들의 세계와 그들의 고독, 갈등을 그린 작품들을 담은 두 번째 단편집이다.
-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 (Winner Take Nothing영어, 1933)''': 헤밍웨이의 허무주의적 세계관이 더욱 심화된 작품들을 모은 세 번째 단편집이다.
- '''최근 작품 (1938)''':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 출간 직전에 발표된 작품들로,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 킬리만자로의 눈 등이 포함된다.
3. 1. 초기 작품 (1921)
이 시기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작가로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형성하기 시작한 초기 단계에 해당하며[6],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미시간에서(Up in Michigan영어)가 있다.3. 1. 1. 미시간에서 (Up in Michigan)
미시간에서(Up in Michiganeng)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로,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다섯 번째 작품으로 실렸다.[6]3. 2. 《우리들의 시대에》 (In Our Time, 1925)
《우리들의 시대에》(In Our Timeeng)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25년에 발표한 초기 단편집이다. 이 작품집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젊은 세대가 겪는 상실감과 허무주의를 주요 주제로 다룬다.수록된 단편은 다음과 같다.
# 스미르나의 부두에서
# 인디언 캠프
# 의사와 의사의 아내
# 어떤 것의 종말
# 3일간의 폭풍
# 싸움꾼
# 아주 짧은 이야기
# 군인의 고향
# 혁명가
# 엘리엇 씨와 부인
# 비 속의 고양이
# 철지난 (단편)
# 크로스컨트리 스노우
# 나의 아버지 (단편)
# 빅 투-하티드 강 (1부)
# 빅 투-하티드 강 (2부)
3. 2. 1. 스미르나의 부두에서 (On the Quai at Smyrna)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스미르나의 부두에서〉이다. 원제는 On the Quai at Smyrna영어이다.3. 2. 2. 인디언 부락 (Indian Camp)
인디언 부락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두 번째로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 원제는 Indian Camp영어이다.3. 2. 3. 의사와 의사의 아내 (The Doctor and the Doctor's Wife)
의사와 의사의 아내(The Doctor and the Doctor's Wifeeng)는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3. 2. 4. 어떤 일의 끝 (The End of Something)
이 단편집에는 〈어떤 일의 끝〉(The End of Something영어)이 수록되어 있다.3. 2. 5. 사흘간의 폭풍 (The Three-Day Blow)
3일간의 폭풍 ( The Three-Day Blow영어 )은 이 단편집에 다섯 번째로 수록된 작품이다.3. 2. 6. 싸우는 사람 (The Battler)
싸우는 사람 The Battlereng3. 2. 7. 매우 짧은 이야기 (A Very Short Story)
〈매우 짧은 이야기〉(A Very Short Storyeng)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일곱 번째로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 아주 짧은 이야기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3. 2. 8. 병사의 고향 (Soldier's Home)
군인의 고향( Soldier's Home|솔저스 홈영어 )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2. 9. 혁명당원 (The Revolutionist)
혁명가(The Revolutionisteng)는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아홉 번째로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3. 2. 10. 엘리엇 부부 (Mr. and Mrs. Elliot)
(작성할 내용 없음)3. 2. 11. 빗속의 고양이 (Cat in the Rain)
빗속의 고양이 Cat in the Rain영어3. 2. 12. 철이 지난 (Out of Season)
12. 철지난 (단편) (Out of Seasoneng)3. 2. 13. 세상을 덮은 눈 (Cross-Country Snow)
`크로스컨트리 스노우`(Cross-Country Snow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3. 2. 14. 늙은 내 아버지 (My Old Man)
늙은 내 아버지 (My Old Man영어)3. 2. 15.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 (Big Two-Hearted River)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Big Two-Hearted River|빅 투하티드 리버eng) 1부와 2부가 포함되어 있다.3. 3. 《여자 없는 남자들》 (Men Without Women, 1927)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27년에 출간한 두 번째 단편 소설 모음집으로, 남성들의 세계와 그들의 고독, 갈등을 그린 작품들을 담고 있다. 이 단편집에는 총 14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목록은 다음과 같다.- 패배하지 않는 사람들 (The Undefeated영어)
- 다른 나라에서 (In Another Country영어)
- 하얀 코끼리 같은 언덕 (Hills Like White Elephants영어)
- 살인자들 (The Killers영어)
- 조국은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Che Ti Dice La Patria?it)
- 오만 달러 (Fifty Grand영어)
- 간단한 질문 (A Simple Enquiry영어)
- 열 명의 인디언 (Ten Indians영어)
- 누군가를 위한 카나리아 (A Canary for One영어)
- 알프스의 목가 (An Alpine Idyll영어)
- 추격 경주 (A Pursuit Race영어)
- 오늘은 금요일 (Today is Friday영어)
- 시시한 이야기 (Banal Story영어)
- 이제 내 몸을 누이며 (Now I Lay Me영어)
3. 3. 1. 패배하지 않는 사람들 (The Undefeated)
'패배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27년에 출간한 두 번째 단편 소설 모음집 ''여자 없는 남자들'' (Men Without Womeneng)에 실린 14편의 단편 중 첫 번째 작품이다. 이 단편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패배하지 않는 사람들 (The Undefeatedeng)
- 다른 나라에서 (In Another Countryeng)
- 하얀 코끼리 같은 언덕 (Hills Like White Elephantseng)
- 살인자들 (The Killerseng)
- 조국은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Che Ti Dice La Patria?ita)
- 오만 달러 (Fifty Grandeng)
- 간단한 질문 (A Simple Enquiryeng)
- 열 명의 인디언 (Ten Indianseng)
- 누군가를 위한 카나리아 (A Canary for Oneeng)
- 알프스의 목가 (An Alpine Idylleng)
- 추격 경주 (A Pursuit Raceeng)
- 오늘은 금요일 (Today is Fridayeng)
- 시시한 이야기 (Banal Storyeng)
- 이제 내 몸을 누이며 (Now I Lay Meeng)
3. 3. 2. 다른 나라에서 (In Another Country)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 작품 목록 등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다른 나라에서〉(In Another Country영어)
- 다른 나라에서
3. 3. 3. 흰 코끼리 같은 언덕 (Hills Like White Elephants)
하얀 코끼리 같은 언덕 (Hills Like White Elephantseng)3. 3. 4. 살인자들 (The Killers)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 원제는 The Killers|더 킬러스영어이며, 살인자들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3. 3. 5. 조국은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Che Ti Dice La Patria?)
조국이 당신에게 뭐라고 말하는가? (Che Ti Dice La Patria?ita)3. 3. 6. 오만 달러 (Fifty Grand)
오만 달러( Fifty Grand영어)는 이 단편집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3. 7. 간단한 질문 (A Simple Enquiry)
단순한 질문 A Simple Enquiry영어3. 3. 8. 열 명의 인디언 (Ten Indians)
〈열 명의 인디언〉(Ten Indians|텐 인디언스영어)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3. 9. 누군가를 위한 카나리아 (A Canary for One)
누군가를 위한 카나리아(A Canary for One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이다. 이 작품은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아홉 번째로 수록된 단편이다.3. 3. 10. 알프스의 목가 (An Alpine Idyll)
알프스 목가(An Alpine Idyll영어)는 단편 소설 모음집인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3. 11. 추격 경주 (A Pursuit Race)
추격 경주 (A Pursuit Raceeng)3. 3. 12. 오늘은 금요일 (Today is Friday)
오늘은 금요일(Today is Friday영어)은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3. 3. 13. 시시한 이야기 (Banal Story)
평범한 이야기는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 원제는 Banal Story영어이다.3. 3. 14. 이제 내 몸을 누이며 (Now I Lay Me)
- 이제 잠자리에 들다 Now I Lay Meeng
3. 4.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 (Winner Take Nothing, 1933)
1933년에 출간된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세 번째 단편집으로, 그의 허무주의적 세계관이 더욱 심화된 작품들을 모았다. 수록된 단편은 다음과 같다.- 〈폭풍 후〉 (After the Storm영어)
- 깨끗하고 밝은 곳 (A Clean, Well-Lighted Place영어)
- 〈세상의 빛〉 (The Light of the World영어)
- 〈신이여 신사 제현에게 즐거운 휴식을 주소서〉 / 〈즐거운 성탄절 되세요〉 (God Rest You Merry, Gentlemen영어)
- 〈바다의 변화〉 / 〈변화〉 (The Sea Change영어)
- 당신이 결코 갈 수 없는 길 (A Way You'll Never Be영어)
- 〈여왕의 어머니〉 (The Mother of a Queen영어)
- 〈한 독자의 편지〉 / 〈어떤 독자가 쓴 글〉 (One Reader Writes영어)
- 〈스위스에 경의를〉 (Homage to Switzerland영어)
- 하루 동안의 기다림 (A Day's Wait영어)
- 시체의 박물관 (A Natural History of the Dead영어)
- 〈와이오밍의 포도주〉 / 〈와이오밍의 와인〉 (Wine of Wyoming영어)
- 도박사와 수녀와 라디오 (The Gambler, the Nun, and the Radio영어)
- 아버지들과 아들들 (Fathers and Sons영어)
3. 4. 1. 폭풍 후 (After the Storm)
〈폭풍 후〉(After the Storm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쓴 단편 소설로,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4. 2. 깨끗하고 불 밝은 곳 (A Clean, Well-Lighted Place)
`깨끗하고 밝은 곳`(A Clean, Well-Lighted Place영어)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3. 4. 3. 세상의 빛 (The Light of the World)
The Light of the World영어.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로,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4. 4. 신이여 신사 제현에게 즐거운 휴식을 주소서 (God Rest You Merry, Gentlemen)
〈신이여 신사 제현에게 즐거운 휴식을 주소서〉(God Rest You Merry, Gentlemeneng)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인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4. 5. 바다의 변화 (The Sea Change)
'바다의 변화'(The Sea Changeeng)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 일부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변화'라는 제목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3. 4. 6. 당신이 결코 갈 수 없는 길 (A Way You'll Never Be)
`당신이 결코 갈 수 없는 길` (A Way You'll Never Be영어)3. 4. 7. 여왕의 어머니 (The Mother of a Queen)
"여왕의 어머니"(The Mother of a Queen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4. 8. 한 독자의 편지 (One Reader Writes)
"한 독자의 편지"(One Reader Writes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3. 4. 9. 스위스에 경의를 (Homage to Switzerland)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중 하나로 〈스위스에 경의를〉(Homage to Switzerland영어)이 있다.3. 4. 10. 하루 동안의 기다림 (A Day's Wait)
`어느 하루의 기다림`(A Day's Wait영어)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3. 4. 11. 시체의 박물관 (A Natural History of the Dead)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포함된 단편 중 하나이다. 원제는 A Natural History of the Dead영어이다. 죽음에 관한 자연사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3. 4. 12. 와이오밍의 포도주 (Wine of Wyoming)
'와이오밍의 포도주'(Wine of Wyoming영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이다. 일부 번역본에서는 '와이오밍의 와인'으로 표기하기도 한다.3. 4. 13. 도박사와 수녀와 라디오 (The Gambler, the Nun, and the Radio)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 원제는 The Gambler, the Nun, and the Radio영어이며,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도박사, 수녀, 그리고 라디오라는 제목의 문서가 존재한다.3. 4. 14. 아버지들과 아들들 (Fathers and Sons)
아버지와 아들 (Fathers and Sons영어)3. 5. 최근 작품 (1938)
-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 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eng
- 세계의 수도 The Capital of the Worldeng
- 킬리만자로의 눈 The Snows of Kilimanjaroeng
- 다리 위의 노인 Old Man at the Bridgeeng
3. 5. 1.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 (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eng는 단편 소설집 《제5열과 첫 번째 마흔아홉 개의 단편들》에 수록된 작품 중 하나이다.3. 5. 2. 세계의 수도 (The Capital of the World)
세계의 수도 The Capital of the Worldeng3. 5. 3. 킬리만자로의 눈 (The Snows of Kilimanjaro)
- 〈킬리만자로의 눈〉(The Snows of Kilimanjaro영어)
3. 5. 4. 다리 위의 노인 (Old Man at the Bridge)
다리 위의 노인 Old Man at the Bridge영어4. 한국어판 출판 내역
다음은 희곡 《제5열》의 한국어판 출판 내역이다.[14]
번역자 | 출판사 | 연도 | 제목 | ISBN |
---|---|---|---|---|
이가형 | 휘문출판사 | 1968 | 第五列 | - |
이상옥 | 대양서적 | 1973 | 第五列 | - |
김옥수 | 비꽃 | 2020 | 제5열 | 979-11-85393-85-8 |
참조
[1]
문서
Oliver, p. 327
[2]
웹사이트
The Fifth Column and Forty-Nine Stories
http://www.litencyc.[...]
2007-06-22
[3]
간행물
The Fifth Column: A Play by Ernest Hemingway (review)
https://muse.jhu.edu[...]
2008
[4]
뉴스
Sifting the Dustbin of Literary History
https://www.nytimes.[...]
2007-09-16
[5]
웹사이트
Who Does This Playwright This He Is? Hemingway?
https://www.nytimes.[...]
2021-02-04
[6]
문서
"Up in Michigan", "Out of Season" and "My Old Man" had already appeared in Hemingway's privately published debut collection "[[Three Stories and Ten Poems]]". While "Up in Michigan" had not been reprinted, the latter two were included in ''In Our Time'' and were therefore listed at nrs. 17&19.
[7]
서적
Mellow
1992
[8]
서적
Mellow
1992
[9]
서적
Oliver
1999
[10]
웹인용
Ernest Hemingway, The Fifth Column and Forty-Nine Stories
https://www.litencyc[...]
2023-03-04
[11]
저널 인용
The Fifth Column: A Play by Ernest Hemingway (review)
https://muse.jhu.edu[...]
2008
[12]
뉴스
Sifting the Dustbin of Literary History
https://www.nytimes.[...]
2023-03-04
[13]
웹인용
Who Does This Playwright This He Is? Hemingway?
https://www.nytimes.[...]
2021-02-04
[14]
서적
이봉환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