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통신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통신사령부는 1958년 창설되어 유럽 주둔 미 육군의 통신 지원을 담당했으나,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17년 해체되었다. 냉전 시기 유럽 지역의 통신망 구축 및 운영에 기여했으며, 걸프 전쟁, 보스니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다. 2016년 전략 통신 기능이 제2통신여단으로 이관되면서 부대 해체가 결정되었고, 2017년 8월 부대기 반납을 끝으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제311통신사령부
제311통신사령부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로, 1944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기를 거쳐 현재는 하와이주에서 태평양 지역의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육군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제7통신사령부
미국 육군 제7통신사령부는 미국 국방부 정보망 작전을 수행하며, 국가 지도자, 합동 전력, 육군에게 미국 본토 디지털 인프라를 제공하고, 서반구 내 합동, 범부처, 정부 간 및 다국적군을 지원하는 통신 사령부이다. - 주독 미군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주독 미군 - 제2병참단
제2병참단은 과거 미 육군 병참 지원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서독, 그리고 1980년대 한국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해체와 재소집을 반복했다.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출범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제5통신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제5통신사령부 (전구) |
| 원어 명칭 | 5th Signal Command (Theater) |
| 별칭 | 드래곤 워리어스 |
| 표어 | 드래곤 워리어스, 드래곤 표준 |
| 창설일 | 1974년 7월 1일 |
| 해체일 | 2017년 8월 4일 |
| 군종 | 미국 육군 |
| 역할 | 전술 및 전략 통신 지원 |
| 주둔지 | 클레이 카세른, 독일 |
![]() | |
| 지휘관 | |
| 현재 지휘관 | 대령 로브 파커 |
2. 역사
1958년 3월 20일, 미국 육군 유럽(USAREUR) 일반명령 제81호에 따라 ''유럽 통신사령부(U.S. Army Signal Command, Europe영어)''가 창설되었다.[2] 1964년 7월 1일, ''유럽 전략교신사령부(U.S. Army Strategic Communications Command-Europe (USASCC-E)영어)''로 재편성되었다.[2][7]
1970년 2월 24일, 제7통신여단이 사령부에 예속되었다.[7] 1972년에는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한 제1통신여단 예하 제12통신단이 독일로 재배치되면서 사령부에 배속되었으나, 1975년 7월에 해산하였다.[7] 1973년 10월, ''유럽 육군교신사령부(Army Communications Command-Europe (ACC-E)영어)''로 재편성되었다.[2][7]
1974년, 슈베칭겐 킬보른 막사에서 ''제5통신사령부''로 재편성된 뒤, 보름스의 Taukkunen 막사로 이사하였다. 일부는 제7통신여단, 본부로 재편성되었다. 7월 1일, 제2통신여단이 사령부에 예속되었다.
1996년 9월, 카를스루에 군사공동체 폐쇄가 요구되자, 제7통신여단과 예속부대는 설리번 막사와 테일러 막사로 이사하였다. 제5통신사령관은 만하임 군사공동체의 지휘관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5월 16일, 제7통신여단이 해산하였다.
2016년 11월 4일, 미국 유럽 육군은 제5통신사령부를 해체하고 전략 통신 기능을 제2통신여단으로 넘길 예정이라고 보도하였다. 제2통신여단은 제5통신사령부를 대신하여 유럽 사령부와 아프리카 사령부 작전 지역에서의 대한 합동, 다국적 작전에 통신지원을 수행하게 된다.[7] 2017년 8월 4일, 루시우스 D. 클레이 막사에서 43년간 임무를 마치고 부대기를 반납하는 비활성화 행사를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8]
2. 1. 창설 배경 (1958년 ~ 1974년)
냉전 초기, 유럽 지역의 군사 통신 통합 필요성에 따라 1958년 3월 20일, 미국 육군 유럽(USAREUR) 일반명령 제81호에 따라 ''유럽 통신사령부(U.S. Army Signal Command, Europe영어)'가 창설되었다.[2] 이 부대는 제4 및 제516통신단과 제102통신대대로 구성되어 육군 집단, 중앙 유럽, NATO, USAREUR 및 유럽의 기타 부대를 지원했다.[2]1961년부터 1964년까지 조직이 확장되어 제22 및 제106통신단이 추가되었고, 극장 책임이 벨기에에서 프랑스, 독일을 거쳐 이탈리아까지 확장되었다.[2] 1964년 7월 1일, ''유럽 전략교신사령부(U.S. Army Strategic Communications Command-Europe (USASCC-E)영어)''로 재편성되었다.[2][7] 이는 기술 및 통신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4년 3월 워싱턴 D.C.에 미국 육군 전략 통신 사령부(USSTRATCOM)가 창설되면서, 그 예하 사령부로서 서독 슈베칭겐에 설립된 것이다. STRATCOM-유럽은 제22 및 제106통신단과 USAREUR의 기타 통신 책임을 흡수했으며, 1965년 말까지 모든 USAREUR 통신 업무와 USAREUR 통신-전자 부참모장의 직책까지 이전받았다.[2]
1970년 2월 24일, 제7통신여단이 사령부에 예속되었다.[7] 1972년에는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한 제1통신여단 예하 제12통신단이 독일로 재배치되면서 사령부에 배속되었으나, 1975년 7월에 해산하였다.[7] 1973년 10월, ''유럽 육군교신사령부(Army Communications Command-Europe (ACC-E)영어)''로 재편성되었다.[2][7]
2. 2. 발전과 변화 (1974년 ~ 1990년대)
1974년 7월 1일, 제5통신사령부는 정규 육군에서 본부 및 본부 중대로 구성되어 독일에 배치되었다.[2] 슈베칭겐 킬보른 막사에서 ''제5통신사령부''로 재편성된 뒤, 보름스의 Taukkunen 막사로 이동하였다.[2] 이 과정에서 제7통신여단의 일부가 본부로 재편성되었고, 제2통신여단이 사령부에 예속되었다.[2]1980년대에 제5통신사령부는 유럽에서 전략 통신 장비에 대한 광범위한 현대화를 진행했다.[2] 나치 시대의 ''Reichspost 40'' 스트로거 스위치는 지멘스가 제조한 KN-101 전자 교환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으며, 기록(메시지) 교통 센터는 보다 강력한 컴퓨터 하드웨어로 업그레이드되었다.[2] 유럽의 육군 마이크로파 백본 네트워크는 디지털 무선 장비와 특정 지역의 콘크리트 무선 타워로 현대화되었다.[2]
공산주의의 붕괴와 소련의 해체는 군사 정책 변화를 가져왔고, 제5통신사령부도 이에 맞춰 조정되었다.[2] 제160통신여단이 해체되고 그 부대는 제2통신여단으로 통합되었으며, 제7통신여단의 제1통신대대가 해체되고, US 63통신대대는 조지아주 포트 고든으로 재배치되었다.[2]
2. 3. 주요 작전 참여 (1990년대 ~ 2000년대)
제5통신사령부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여러 주요 작전에 참여했다. 걸프 전쟁 당시 사막의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을 지원하였고,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 등 인도주의적 작전에도 참여했다.2001년 9.11 테러 이후, 제5통신사령부는 대테러 작전 지원을 강화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2003년 이라크 침공과 같은 대테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제2통신여단에서 배치 가능한 통신 패키지를 제공했다.
이라크 전쟁에서 제5통신사령부는 2003년 2월에 터키에 배치되었고, 이후 이라크 북부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제4보병사단과 제173공수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이라크 남부에 배치되었다.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7통신여단 본부와 제72통신대대는 쿠웨이트와 이라크에 배치되어 도하에 있는 합동 지상군 구성군 사령부를 지원하는 전술 통신을 제공하며 이라크 자유 작전 2를 지원했다.
항구적 자유 작전을 위해 2005년 3월에 제7통신여단은 남부 유럽 태스크 포스를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44통신대대와 509통신대대의 병력으로 구성된 태스크 포스 라이트닝을 배치했다.
2. 4. 해체 (2016년 ~ 2017년)
2016년 11월 4일, 미국 유럽 육군은 제5통신사령부를 해체하고 전략 통신 기능을 제2통신여단으로 이관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7] 제2통신여단은 제5통신사령부를 대신하여 유럽 사령부와 아프리카 사령부 작전 지역에서의 대한 합동, 다국적 작전에 통신지원을 수행하게 된다.[7]2017년 8월 4일, 루시우스 D. 클레이 막사에서 43년간 임무를 마치고 부대기를 반납하는 비활성화 행사를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8][4]
3. 편성
통신사령부는 1958년 3월 20일에 창설되었다. 1964년 7월 1일에는 유럽 전략교신사령부가, 1973년 10월에는 유럽 육군교신사령부가 창설되었다. 1974년에는 미국 유럽 육군이 창설되었다.
- 제2통신여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4일까지 존속했던 부대이다.
- 제7통신여단은 1970년 2월 24일부터 2014년 5월 16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60통신여단은 1979년 10월 1일부터 1991년 8월 2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4통신단은 1973년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2통신단은 1972년부터 1975년 7월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22통신단은 유럽사령부를 지원했으며, 1964년 2월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06통신단은 중계소 운영을 담당했으며, 1964년 7월 1일부터 1967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
- 제160통신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1979년 10월 1일까지 존속하다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 제516통신단은 미국 유럽 육군을 지원했으며, 1954년 2월 10일부터 1973년 11월 1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59항공교통관제대대는 이전에는 '제16항공분견대'로, 이후에는 '제58항공연대, 3대대'로 불렸다.[9]
- 제68통신대대가 있었다.
- 제102통신대대는 중앙군집단(CENTAG)을 지원했다.
- 제447통신건설대대 (지원)가 있었다.
- 제6981민간노무대대 (CSC)가 있었다.
- 유럽 육군 통신근무대대(Army Signal Service Battalion, Europe영어)가 있었다.
- 지휘통제대대 (Command & Control Battalion영어)는 슈베칭겐, 킬보른 막사에 있었다.
- 지역정비보급시설이 있었다.
- 제7217공군사단(The United States Logistics Group영어), 제169분견대는 터키, 스노프에 있었다.
- 유럽 교신통제소가 있었다.
- 전구지휘통제소가 있었다.
- 전구교신보안물류지원소가 있었다.
- USACC-중동
- * USACC-이란 - 이란, 테헤란
- * USACC-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바란
- 유럽 교신국이 있었다.
- 유럽 교신기술시설국은 1968년부터 존속했다.
- 유럽 통신전기기술시설국이 있었다.
3. 1. 주요 예하 부대
- 제2통신여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4일까지 존속했던 부대이다.
- 제7통신여단은 1970년 2월 24일부터 2014년 5월 16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60통신여단은 1979년 10월 1일부터 1991년 8월 2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4통신단은 1973년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2통신단은 1972년부터 1975년 7월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22통신단은 유럽사령부를 지원했으며, 1964년 2월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106통신단은 중계소 운영을 담당했으며, 1964년 7월 1일부터 1967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
- 제160통신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1979년 10월 1일까지 존속하다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 제516통신단은 미국 유럽 육군을 지원했으며, 1954년 2월 10일부터 1973년 11월 1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
- 제59항공교통관제대대는 이전에는 '제16항공분견대'로, 이후에는 '제58항공연대, 3대대'로 불렸다.[9]
- 제68통신대대가 있었다.
- 제102통신대대는 중앙군집단(CENTAG)을 지원했다.
- 제447통신건설대대 (지원)가 있었다.
- 제6981민간노무대대 (CSC)가 있었다.
- 유럽 육군 통신근무대대(Army Signal Service Battalion, Europe영어)가 있었다.
- 지휘통제대대 (Command & Control Battalion영어)는 슈베칭겐, 킬보른 막사에 있었다.
- 지역정비보급시설 ()이 있었다.
- 제7217공군사단(), 제169분견대는 터키, 스노프에 있었다.
- 유럽 교신통제소 ()가 있었다.
- 전구지휘통제소 ()가 있었다.
- 전구교신보안물류지원소 ()가 있었다.
- USACC-중동
- * USACC-이란 - 이란, 테헤란
- * USACC-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바란
- 유럽 교신국 ()이 있었다.
- 유럽 교신기술시설국 ()은 1968년부터 존속했다.
- 유럽 통신전기기술시설국 ()이 있었다.
3. 2. 기타 부대
- 제2통신여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4일까지 존속하였다.[9]
- 제7통신여단은 1970년 2월 24일부터 2014년 5월 16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160통신여단은 1979년 10월 1일부터 1991년 8월 2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4통신단은 1973년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12통신단은 1972년부터 1975년 7월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22통신단은 유럽사령부를 지원했으며, 1964년 2월부터 1974년 8월 12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106통신단은 중계소를 운영했으며, 1964년 7월 1일부터 1967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9]
- 제160통신단은 1974년 7월 1일부터 1979년 10월 1일까지 존속하다 여단으로 승격되었다.[9]
- 제516통신단은 미국 유럽 육군을 지원했으며, 1954년 2월 10일부터 1973년 11월 13일까지 존속하다 해산되었다.[9]
- 제59항공교통관제대대 (이전에는 '제16항공분견대', 이후에는 '제58항공연대, 3대대')가 있었다.[9]
- 제68통신대대가 있었다.
- 중앙군집단(CENTAG)을 지원하는 제102통신대대가 있었다.
- 제447통신건설대대 (지원)가 있었다.
- 제6981민간노무대대 (CSC)가 있었다.
- 유럽 육군 통신근무대대(Army Signal Service Battalion, Europe영어)가 있었다.
- 슈베칭겐, 킬보른 막사에 지휘통제대대 (Command & Control Battalion영어)가 있었다.
- 지역정비보급시설 ()이 있었다.
- 제7217공군사단(), 제169분견대가 터키, 스노프에 있었다.
- 유럽 교신통제소 ()가 있었다.
- 전구지휘통제소 ()가 있었다.
- 전구교신보안물류지원소 ()가 있었다.
- USACC-중동, USACC-이란(USACC-Iran영어)이 이란, 테헤란에 있었다.
- USACC-사우디아라비아(USACC-Saudi Arabia영어)가 사우디아라비아, 바란에 있었다.
- 유럽 교신국 ()이 있었다.
- 유럽 교신기술시설국 ()이 1968년부터 존속했다.
- 유럽 통신전기기술시설국 ()이 있었다.
4. 상징
4. 1. 부대 엠블럼
흰색 테두리가 있는 주황색 방패에 붉은 눈을 가진 녹색 반용(半龍)이 두 개의 검은색 번개를 뿜어내는 모습이다. 주황색과 흰색은 전통적으로 통신 부대와 관련된 색상이다. 반용은 부대가 작전을 수행했던 독일 보름스를 암시한다. 이 휘장은 1994년 10월 24일에 인가되었다.4. 2. 부대 휘장
은색 금속과 에나멜로 제작된 장치로, 전체 높이는 3.02cm이다. 중앙에서 수렴하는 5개의 번개 모양이 은색 원반 위에 놓여 있고, 그 원반은 3개의 동심원 검은색 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황색 두루마리에는 "PROFESSIONAL" (전문)이 상단에, "COMMUNICATIONS" (통신)이 하단에 은색 글자로 새겨져 있다.주황색과 흰색(은색)은 전통적으로 미국 육군 통신대와 관련된 색상이다. 검은색 선이 있는 원반은 지구를 연상시키며, 번개 모양은 경도를 형성하여 부대의 임무가 광범위함을 상징한다. 또한 정확성과 효율성을 나타내는 표적을 닮았다. 5개의 번개 모양은 부대의 숫자 지정 번호(5)를 나타낸다.
이 휘장은 1983년 4월 13일에 승인되었다.
5. 역대 지휘관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 대령 | 찰스 "롭" 파커/Charles "Rob" Parker영어 | 2016년 7월 15일 | 2017년 8월 4일 |
| 대령 | 지미 L. 홀 Jr./Jimmy L. Hall Jr.영어 | 2014년 5월 19일 | 2016년 7월 15일 |
| 대령 | 미첼 L. 킬고킬고/Mitchell L. Kilgokilgo영어 | 2013년 6월 7일 | 2014년 5월 19일 |
| 준장 | 브루스 T. 크로포드/Bruce T. Crawford영어 | 2011년 7월 25일 | 2013년 6월 7일 |
| 준장 | 제프리 G. 스미스 Jr./Jeffrey G. Smith Jr.영어 | 2008년 2월 27일 | 2011년 7월 25일 |
| 준장 | 수잔 S. 로렌스/Susan S. Lawrence영어 | 2007년 6월 14일 | 2008년 2월 27일 |
| 준장 | 데니스 L. 비아/Dennis L. Via영어 | 2005년 8월 17일 | 2007년 6월 14일 |
| 준장 | 캐롤 F. 폴렛/Carroll F. Pollett영어 | 2003년 3월 4일 | 2005년 8월 17일 |
| 소장 | 마릴린 A. 콰글리오티/Marilyn A. Quagliotti영어 | 2000년 6월 27일 | 2003년 3월 4일 |
| 준장 | 존 P. 카바나/John P. Cavanaugh영어 | 1998년 9월 14일 | 2000년 6월 27일 |
| 준장 | 로버트 L. 네이버스/Robert L. Nabors영어 | 1996년 11월 22일 | 1998년 8월 14일 |
| 대령 | D. E. 페이튼/D. E. Peyton영어 | 1995년 7월 13일 | 1996년 11월 22일 |
| 준장 | C. G. 서튼 Jr./C. G. Sutten Jr.영어 | 1992년 7월 7일 | 1995년 7월 13일 |
| 준장 | D. E. 화이트/D. E. White영어 | 1990년 8월 2일 | 1992년 7월 7일 |
| 준장 | A. J. 말레트/A. J. Mallette영어 | 1989년 11월 8일 | 1990년 8월 2일 |
| 준장 | S. A. 레플러/S. A. Leffler영어 | 1987년 9월 4일 | 1989년 11월 8일 |
| 준장 | J. D. 쇼트/J. D. Schott영어 | 1986년 6월 23일 | 1987년 9월 4일 |
| 준장 | L. M. 차일드쉴즈/L. M. Childschilds영어 | 1984년 8월 3일 | 1986년 6월 23일 |
| 준장 | N. E. 아치볼드/N. E. Archibald영어 | 1980년 9월 22일 | 1984년 8월 3일 |
| 준장 | C. E. 맥나이트 Jr./C. E. McKnight Jr.영어 | 1978년 12월 5일 | 1980년 9월 22일 |
| 준장 | J. C. 라케/J. C. Racke영어 | 1975년 8월 11일 | 1978년 12월 5일 |
| 준장 | R. W. 스웬슨/R. W. Sewnson영어 | 1972년 6월 17일 | 1975년 8월 11일 |
| 대령 | K. E. 쉬플렛/K. E. Shiflet영어 | 1972년 5월 9일 | 1972년 6월 17일 |
| 준장 | C. R. 마이어/C. R. Myer영어 | 1969년 11월 24일 | 1972년 5월 9일 |
| 준장 | T. K. 트리그/T. K. Trigg영어 | 1968년 7월 1일 | 1969년 11월 24일 |
| 준장 | J. E. 켈시/J. E. Kelsey영어 | 1966년 7월 20일 | 1968년 7월 1일 |
| 준장 | W. B. 베스/W. B. Bess영어 | 1965년 10월 1일 | 1966년 7월 20일 |
| 대령 | I. R. 오벤체인 Jr./I. R. Obenchain Jr.영어 | 1964년 7월 1일 | 1965년 10월 1일 |
| 대령 | 고든 B. 코블/Gordon B. Cauble영어 | 1961년 2월 1일 | 1964년 7월 1일 |
| 준장 | R. J. 마이어/R. J. Meyer영어 | 1960년 2월 8일 | 1961년 2월 1일 |
| 준장 | 윌리엄 D. 햄린/William D. Hamlin영어 | 1958년 3월 20일 | 1960년 2월 8일 |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5th Signal Command
http://www.5sigcmd.a[...]
5sigcmd.army.mil
2011-05-21
[3]
웹사이트
5th Signal Command inactivates, 2nd Strategic Signal Brigade restructures
https://www.army.mil[...]
[4]
웹사이트
5th Signal Command cases colors after 43 years in Europe
https://www.army.mil[...]
2017-08-15
[5]
웹사이트
5th Signal Command
http://www.5sigcmd.a[...]
5sigcmd.army.mil
2011-05-21
[6]
웹사이트
Welcoming letter from the Commanding General of the 5th Signal Command
http://www.5sigcmd.a[...]
2011-05-21
[7]
웹인용
5th Signal Command inactivates, 2nd Strategic Signal Brigade restructures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Europe Public Affair Office
2016-11-04
[8]
웹인용
5th Signal Command cases colors after 43 years in Europe
https://www.army.mil[...]
2nd Signal Brigade Public Affair Office
2017-08-04
[9]
웹인용
59th Air Traffic Control Battalion
https://www.usarmyge[...]
2019-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