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선거는 2014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106곳과 비례대표 10명을 선출했다. 지역구 선거 결과, 새정치민주연합이 77석, 새누리당이 29석을 얻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각각 5석씩 차지했다. 이 선거를 통해 새정치민주연합이 서울특별시의회 다수당이 되었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구 제2선거구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중구 제1선거구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용산구 제1선거구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1동, 이촌2동 용산구 제2선거구 후암동, 용산2가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성동구 제1선거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동구 제2선거구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성동구 제3선거구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성동구 제4선거구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광진구 제1선거구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광진구 제2선거구 능동, 구의2동, 광장동, 군자동 광진구 제3선거구 구의1동, 구의3동, 자양1동, 자양2동 광진구 제4선거구 자양3동, 자양4동, 화양동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동대문구 제2선거구 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동대문구 제3선거구 전농1동, 전농2동, 답십리1동 동대문구 제4선거구 답십리2동, 장안1동, 장안2동 중랑구 제1선거구 망우3동,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7동 중랑구 제2선거구 면목본동, 면목2동, 면목5동, 상봉2동 중랑구 제3선거구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중랑구 제4선거구 상봉1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성북구 제1선거구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성북구 제2선거구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성북구 제3선거구 돈암1동, 길음2동, 종암동, 월곡1동, 월곡2동 성북구 제4선거구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동 강북구 제1선거구 번1동, 번2동, 수유2동, 수유3동 강북구 제2선거구 수유1동, 우이동, 인수동 강북구 제3선거구 삼양동, 송천동, 삼각산동 강북구 제4선거구 미아동, 송중동, 번3동 도봉구 제1선거구 창1동, 창4동, 창5동 도봉구 제2선거구 쌍문1동, 쌍문3동, 창2동, 창3동 도봉구 제3선거구 쌍문2동, 쌍문4동, 방학3동 도봉구 제4선거구 방학1동, 방학2동, 도봉1동, 도봉2동 노원구 제1선거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노원구 제2선거구 공릉1동, 공릉2동 노원구 제3선거구 하계1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노원구 제4선거구 하계2동, 중계2·3동, 상계6·7동 노원구 제5선거구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노원구 제6선거구 상계1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은평구 제1선거구 녹번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은평구 제2선거구 신사1동, 신사2동, 증산동, 수색동 은평구 제3선거구 갈현1동, 갈현2동, 구산동, 진관동 은평구 제4선거구 불광1동, 불광2동, 대조동, 역촌동 서대문구 제1선거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서대문구 제2선거구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 서대문구 제3선거구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서대문구 제4선거구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 마포구 제1선거구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마포구 제2선거구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마포구 제4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양천구 제1선거구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양천구 제2선거구 목1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양천구 제3선거구 신월1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7동 양천구 제4선거구 신월2동, 신월6동, 신정3동, 신정4동 강서구 제1선거구 발산1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8동 강서구 제2선거구 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우장산동 강서구 제3선거구 가양1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강서구 제4선거구 가양2동, 가양3동, 염창동, 등촌1동, 등촌3동 구로구 제1선거구 가리봉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구 제2선거구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5동 구로구 제3선거구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구로구 제4선거구 오류1동, 오류2동, 수궁동 금천구 제1선거구 가산동, 독산1동, 독산2동, 독산3동, 독산4동 금천구 제2선거구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5동 동작구 제1선거구 노량진1동, 노량진2동, 상도2동, 상도4동 동작구 제2선거구 상도3동, 대방동, 신대방1동, 신대방2동 동작구 제3선거구 상도1동, 사당3동, 사당4동, 사당5동 동작구 제4선거구 흑석동, 사당1동, 사당2동 관악구 제1선거구 보라매동, 은천동, 중앙동, 청룡동, 신림동 관악구 제2선거구 성현동, 청림동, 행운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관악구 제3선거구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관악구 제4선거구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서초구 제1선거구 잠원동, 반포1동, 반포3동, 반포4동 서초구 제2선거구 반포본동, 반포2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서초구 제3선거구 서초2동, 서초4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서초구 제4선거구 서초1동, 서초3동, 방배2동, 방배3동 강남구 제1선거구 신사동, 압구정동, 논현1동, 논현2동, 청담동, 삼성1동 강남구 제2선거구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강남구 제3선거구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일원2동 강남구 제4선거구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수서동, 세곡동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송파구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송파구 제3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송파구 제4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송파구 제5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송파구 제6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강동구 제1선거구 강일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강동구 제2선거구 길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강동구 제3선거구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강동구 제4선거구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2. 1. 종로구
2. 1. 1. 종로구 제1선거구
종로구 제1선거구는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이다.
2. 1. 2. 종로구 제2선거구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2. 2. 중구
wikitext
중구 제1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정치민주연합 | 최판술 | 14,900 | 48.47% |
새누리당 | 허수덕 | 14,632 | 47.60% |
통합진보당 | 김수근 | 1,205 | 3.92% |
합계 | 30,737 |
중구 제1선거구는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을 포함한다.
중구 제2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이혜경 | 16,527 | 50.74% |
새정치민주연합 | 이영건 | 16,044 | 49.25% |
합계 | 32,571 |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2. 2. 1. 중구 제1선거구
중구 제1선거구는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을 포함한다.2. 2. 2.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3. 지역구 선거 결과
3. 1. 종로구
wikitable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1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누리당 | 남재경 | 21,531 | 54.54% |
새정치민주연합 | 김양환 | 15,461 | 39.16% |
노동당 | 장석준 | 2,480 | 6.28% |
합계 | 39,472 | 10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1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남재경 후보가 54.5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양환 후보는 39.16%, 노동당 장석준 후보는 6.28%를 득표했다. 종로구 제1선거구는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이번 선거에서도 새누리당 후보가 큰 격차로 승리하며 이러한 경향을 재확인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2선거구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새정치민주연합 | 유찬종 | 20,630 | 52.09% |
새누리당 | 이시훈 | 15,469 | 39.06% |
무소속 | 이근구 | 2,548 | 6.43% |
무소속 | 김동환 | 578 | 1.45% |
무소속 | 이석재 | 372 | 0.93% |
합계 | 39,597 | 10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2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유찬종 후보가 52.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시훈 후보는 39.06%를 득표했다. 무소속 이근구 후보는 6.43%, 무소속 김동환 후보는 1.45%, 무소속 이석재 후보는 0.93%를 득표했다. 종로구 제2선거구는 전통적으로 진보세와 보수세가 혼재하는 지역으로, 매 선거마다 접전이 펼쳐지는 경우가 많다. 이번 선거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 후보 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으며, 결국 유찬종 후보가 승리하였다.
3. 1. 1. 종로구 제1선거구
wikitable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남재경 | 21,531 | 54.54% |
새정치민주연합 | 김양환 | 15,461 | 39.16% |
노동당 | 장석준 | 2,480 | 6.28% |
합계 | 39,472 | 10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1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남재경 후보가 54.5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양환 후보는 39.16%, 노동당 장석준 후보는 6.28%를 득표했다. 종로구 제1선거구는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이번 선거에서도 새누리당 후보가 큰 격차로 승리하며 이러한 경향을 재확인했다.
3. 1. 2. 종로구 제2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2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유찬종 후보가 52.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시훈 후보는 39.06%를 득표했다. 무소속 이근구 후보는 6.43%, 무소속 김동환 후보는 1.45%, 무소속 이석재 후보는 0.93%를 득표했다. 종로구 제2선거구는 전통적으로 진보세와 보수세가 혼재하는 지역으로, 매 선거마다 접전이 펼쳐지는 경우가 많다. 이번 선거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 후보 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으며, 결국 유찬종 후보가 승리하였다.4. 비례대표 선거 결과
4. 1. 정당 투표 결과
wikitext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새누리당 | 2,205,524 | 45.39 | 5 |
새정치민주연합 | 2,205,358 | 45.38 | 5 |
정의당 | 190,531 | 3.92 | 0 |
통합진보당 | 148,049 | 3.04 | 0 |
한나라당 | 35,488 | 0.73 | 0 |
노동당 | 30,679 | 0.63 | 0 |
녹색당 | 26,898 | 0.55 | 0 |
새정치국민의당 | 9,694 | 0.19 | 0 |
국제녹색당 | 6,795 | 0.13 | 0 |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각각 45.39%와 45.38%로 거의 같은 득표율을 기록하여 각각 5명의 비례대표 당선자를 배출하였다. 정의당은 3.92%, 통합진보당은 3.04%를 득표했으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4. 2. 비례대표 당선자
# | width="100" bgcolor="" | | width="100" bgcolor="" | |
---|---|---|
1 | 이명희 | 이신혜 |
2 | 박마루 | 김진철 |
3 | 우미경 | 권미경 |
4 | 신건택 | 우창윤 |
5 | 박성숙 | 김현아 |
5. 전체 결과
새정치민주연합은 72개의 지역구와 5개의 비례대표 의석을 얻어 총 77석을 차지하였다. 새누리당은 24개의 지역구와 5개의 비례대표 의석을 얻어 총 29석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서울특별시의회에서 다수당이 되었다. 이는 당시 서울특별시의 정치 지형이 진보 성향으로 기울어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