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장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장희는 PET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과 MRI (자기 공명 영상) 기술 개발에 기여한 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스웨덴, 미국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3차원 영상 재구성, 컴퓨터 알고리즘 개발, PET-MRI 융합 시스템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한국과학기술원,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7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의학 연구소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 여러 학회에서 활동했다. 또한, 대한민국 공학상,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천 조씨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배천 조씨 - 조진만 (법조인)
조진만은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하다 대한민국 수립 후 제2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 고등문관시험 합격 후 법조 경력을 시작해 해방 후 검사장 등을 거쳐 대법원장이 되었으나, 이승만 정권 협조 비판 속에 사퇴하고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황해남도 출신 - 김상돈
김상돈은 일제 강점기 언론인 출신으로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민주당 창당 참여, 민의원의원,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 시절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반독재 운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 황해남도 출신 - 장덕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이었던 장덕수는 와세다 대학교 유학 중 조선인 유학생 단체를 이끌고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동아일보 주필과 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국내 지부 조직 등의 활동을 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조장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장희 |
한글 표기 | 조장희 |
한자 표기 | 趙長熙 |
로마자 표기 | Jo Janghui |
출생 | 1936년 |
출생지 |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
국적 | 대한민국 |
![]() | |
학력 | |
학사 | 서울대학교 |
석사 | 서울대학교 |
박사 | 웁살라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Professor P-A Tove, Institute of Physics, Uppsala Univ. Sweden,(Ph.D) Professor T-R Gerholm, Institute of Physics, Stockholm University, Sweden, (Fil.D, Docent) |
경력 | |
주요 경력 | 고려대학교 뇌과학융합센터 |
연구 분야 | |
분야 | 신경과학 의료 영상 양전자 단층 촬영 및 뇌영상 |
업적 | |
주요 업적 | 세계 최초의 원형 (circular) PET 개발 (1975) 세계 최초의 PET용 BGO 개발 (1977) 세계 최초의 2.0 Tesla MRI 개발 (1985) PET-MRI 융합기술 개발 (2007) |
수상 | |
수상 내역 | Distinguished Scientist Award, International Workshop on Physics & Engineering in Medical Physics and Engineering, Pacific Grove, Calif., USA, 1982 Jacob Javits Neuroscience Awards (with S. Hilal), NIH, Washington DC, USA, 1984 Sylvia Sorkin Green Field Award, American Medical Physics Society, Utah, USA, 1986 Distinguished Faculty Award in Research, Academic Senate,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f. USA Medal of Honor, in Science & Technology, Presidential Award, Republic of Korea, 2006, Seoul, Korea |
2. 학력
학위 | 전공 | 학교 | 국가 | 년도 |
---|---|---|---|---|
공학사 | 전자공학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대한민국 서울 | 1960 |
이학석사 | 전자공학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대한민국 서울 | 1962 |
철학박사 (Ph.D.) | 응용물리학 | 웁살라 대학교 물리학 연구소 | 스웨덴 웁살라 | 1966 |
Fil.D (강사) | 핵물리학 |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 연구소 | 스웨덴 스톡홀름 | 1972 |
3. 경력
4. 연구 업적 및 주요 기술 개발
조장희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영상 기법과 핵자기 공명 영상(MRI)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분야:
- 1975년, 세계 최초의 원형 링 횡축 양전자 카메라(PET)를 개발하였다. 이 카메라는 3차원 방사성 핵종 분포 재구성에 사용되었다.
- 양전자 카메라에서 잠재적인 섬광 검출기로서 비스무트 게르마네이트(BGO)를 제안하였다.
- 1984년, 구형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S-PET-I)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핵자기 공명 영상(MRI) 분야:
- 1982년, 푸리에 변환 핵자기 공명 단층 영상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 1994년, 절단된 구형 감지 기하학에 대한 콘-빔 3차원 투영 재구성을 위한 가중 역투영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 융합 PET-MRI 시스템 개발:
- 2007년, 고해상도 연구 단층 촬영(HRRT)-PET와 7.0T-MRI를 결합한 융합 PET-MRI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2008년, 뇌의 분자-유전 영상화를 위한 고해상도 연구 단층 촬영-PET 및 초고자기장 7.0T-MRI를 이용한 융합 PET-MRI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2010년, PET/MRI에서 관찰된 해마의 미세 구조적 포도당 대사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5. 주요 저서
- Cho Z.H.|조장희영어 (Editor), 《7.0 Tesla MRI Brain White Matter Atlas》, Springer-Verlag, New York, 2015 (출판 예정)
- Cho Z.H.|조장희영어 (Editor), F. Calamante|F. 칼라만테영어 (Co-Editor), J.G. Chi|J.G. 치영어 (Co-Editor), 《7.0 Tesla MRI Brain Atlas: In Vivo Atlas with Cryomacrotome Correlation》, Springer-Verlag, New York, 2010
- Cho Z.H.|조장희영어, J. Jones|J. 존스영어, M. Singh|M. 싱영어. 《Foundation of Medical Imag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3
6. 학회 활동
직책 | 학회/저널명 | 출판사 | 발행 위치 | 기간 |
---|---|---|---|---|
편집장 | 국제 영상 시스템 및 기술 저널 | 존 와일리 & 선스(John Wiley & Sons) | 뉴욕 | 1993–2011 |
편집 위원 | 자기 공명 의학 | 학술 출판사(Academic Press) | 샌디에이고, 뉴욕 | 1984–90 |
운영 위원회 | IEEE 의학 영상 학회지 | IEEE 프레스(IEEE Press) | 뉴욕 | 1985–93 |
운영 위원회 | IEEE 핵과학 학회지 | IEEE 프레스(IEEE Press) | 뉴욕 | 1985–92 |
편집 위원 | 전산 의료 영상 및 그래픽 | 페르가몬 프레스(Pergamon Press) | 뉴욕 | 1988- |
편집 위원 | 의학 및 생물학의 물리학 | 물리학 연구소(Institute of Physics) | 런던 | 1993 |
편집 위원 | 국제 영상 시스템 및 기술 저널 | 존 와일리 & 선스(John Wiley & Sons) | 뉴욕 | 1989–93 |
7. 수상 및 서훈
수상 및 서훈 | 날짜 | 장소 |
---|---|---|
우수 과학자상, 국제 의학 영상 물리학 및 공학 워크숍 | 1982년 3월 15일 ~ 18일 | Asilomar|아실로마영어, 캘리포니아주, 미국 |
정진기 과학기술상, 정진기 과학문화재단 | 1984년 8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 |
제이콥 자비츠 신경과학상, (NCI) NIH | 1984년 1월 1일 | 미국 워싱턴 D.C. |
실비아 소킨 그린필드 상, 미국 의학 물리학회(AAPM) | 1989년 8월 15일 | 미국 뉴욕주 뉴욕 |
대한민국 공학상 (대통령상) | 1995년 2월 28일 | 대한민국 서울 |
대한민국 학술원상, 대한민국 학술원 | 1997년 9월 | 대한민국 서울 |
과학상,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2000년 2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 |
우수 연구 교수상,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학술 평의회 | 2004년 1월 27일 ~ 2005년 |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 |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창조장(대통령상) | 2005년 4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 |
자랑스러운 연세 공대인상 | 2007년 | 대한민국 서울 |
8. 회원
기관명 | 국가/도시 | 가입년도 |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 의학 연구소 | 미국 워싱턴 D.C. | 1997년–현재 |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 대한민국 서울 | 1998년–2006년 |
제3세계 과학 아카데미 |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 1991년 |
대한민국 공학한림원 | 대한민국 서울 | 1996년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대한민국 서울 | 1995년 |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 미국 뉴욕 | 1982년 |
영국 전기 기술자 협회(IEE) | 영국 런던 | 1995년 |
국립보건원(NIH) - NCCAM 국가 자문 위원회 | 미국 워싱턴 D.C. | 2004년–2006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