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림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부어는 네팔과 인도 시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아룬강 동쪽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네팔에서는 코시 주를 중심으로 여러 지방 자치구에서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도 시킴 주에서는 문화 보존을 위해 추가적인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림부어는 페다페, 판타레, 챗하레, 타플레준제 등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음운론적으로 다양한 모음과 자음을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명사에 격 표지가 붙고,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 수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다의적합성을 보인다. 림부어는 자체 문자인 림부 문자(시리장가 문자)를 사용하며, 18세기 초 시킴에서 불교 확산과 함께 고안되었다. 림부어는 여러 출판물을 통해 보급되고 있으며, 네팔과 시킴에서 교육을 통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림부어
지도
림부어가 사용되는 지역 지도
언어 정보
이름림부어
다른 이름Yakthuṅ pan
사용 지역네팔, 부탄에 상당한 공동체; 인도의 시킴 주와 다르질링 현
사용 국가네팔
코시 주
인도
시킴 주 (추가)
민족림부족
사용자 수413,200명
사용 시기2011–2021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파
어군마하키란티어군 (?)
하위 어군키란티어군
방언
방언 1페다페
방언 2차타레
방언 3판타레
방언 4탐바르콜레
언어 코드
ISO 639-3lif
글롯토로그limb1266
글롯토로그 참조림부어
문자 체계
문자림부 문자
로마자
이미지
림부 문자로 쓰여진 yakthuṅ pan

2. 지리적 분포

림부어는 주로 네팔 동부 아룬강 동쪽 지역에서 사용된다.[3] 구체적인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구
코시 주단쿠타 지구, 일람 지구, 자파 지구, 모랑 지구, 판차타르 지구, 산쿠와사바 지구, 순사리 지구, 타플레준 지구, 테르하툼 지구
메치 주타플레준 지구, 판차타르 지구, 일람 지구, 자파 지구



림부 문자(회색 글자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2. 1. 네팔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림부어는 네팔 코시 주의 단쿠타 군, 산쿠와사바 군, 테르하툼 군, 모랑 군과 메치 주의 타플레준 군, 판차타르 군, 일람 군, 자파 군에서 주로 사용된다.[3]

네팔어 위원회는 코시 주에서 림부어를 공용어로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3] 출라출리 농촌 자치구,[4] 망세붕 농촌 자치구,[5] 팔구난다 농촌 자치구[6]는 림부어를 공식 업무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

2. 2. 인도

인도 시킴 주에서는 주의 문화와 전통 보존을 위해 림부어를 추가적인 공용어로 인정했다.[7] 시킴 주의 공식 주간 간행물인 ''시킴 헤럴드(Sikkim Herald)''에는 림부어판이 있다.[8]

3. 공식 지위

네팔어 위원회는 코시 주에서 림부어를 공용어로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3] 출라출리 농촌 자치구,[4] 망세붕 농촌 자치구,[5] 그리고 팔구난다 농촌 자치구[6]는 림부어를 공식 업무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

인도 시킴 주에서는 주의 문화와 전통 보존을 위해 림부어를 추가적인 공용어로 인정했다.[7] 시킴 주의 공식 주간 간행물인 ''시킴 헤럴드''에는 림부어판이 있다.[8]

4. 방언

림부어는 크게 네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9]


  • 페다페(Phedappe)
  • 판타레(Panthare)
  • 챗하레(Chathare)
  • 타플레준제 또는 타마르콜레(Taplejunge or Tamarkhole)


Ethnologue는 림부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방언군 1
  • * 판타레(Panthare)
  • * 차우비세(Chaubise)
  • * 차르콜레(Charkhole)
  • * 양그로케(Yanggrokke) (Yanggruppe)
  • 방언군 2
  • * 페다페(Phedappe)
  • * 타모르콜레(Tamorkhole) (Taplejunge)
  • 방언군 3
  • * 챗타레(Chhatthare) (Chatthare, Chhathar)


양그로케, 차우비세, 차르콜레는 판타레 방언의 사소한 변이체이다. 페다페와 타모르콜레는 유사하다. 챗타레는 다른 방언 화자들에게 잘 이해되지 않는다. 인도 시킴에서 사용되는 림부어 방언은 판타레와 같다.

5. 음운론

림부어는 모음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모음에는 장단 구별이 있다. 성조는 구별되지 않는다.[10][11]

}

| n|sa

|

| (ɳ|sa)

|

| ŋ|sa

|

|-

! rowspan="4"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p|sa

| t̪|tsa

|

| (ʈ|sa)

| t͡ɕ|sa

| k|sa

| ʔ|sa

|-

! 무성 유기음

| pʰ|sa

| tʰ|sa

|

| (ʈʰ|sa)

|

| kʰ|sa

|

|-

! 유성음

| b|sa

| (d|d̪sa)

|

| (ɖ|sa)

| (d͡ʑ|sa)

| (ɡ|sa)

|

|-

! 유성 유기음

| (bʱ|sa)

|

|

| (ɖʱ|sa)

| (d͡ʑʱ|sa)

| (ɡʱ|sa)

|

|-

! colspan="2" | 탄음

|

|

| r|sa

|

|

|

|

|-

! colspan="2" | 마찰음

|

|

| s|sa

|

|

|

| ɦ|sa

|-

! colspan="2" | 유사음

| w|sa

|

| l|sa

|

| j|sa

|

|

|}

5. 1. 모음

림부어의 모음은 짧은 모음과 긴 모음으로 구분된다.[10] 다음은 림부어의 모음 음소 목록을 나타낸 표이다.

림부어 자음 음소 목록[10]
colspan="2" |양순음치경음치경음권설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lang|sa|m|}
림부어 모음 음소[10]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짧은 모음긴 모음짧은 모음긴 모음짧은 모음긴 모음
고모음i|이saiː|이ːsacolspan="2" |u|우sauː|우ːsa
근고모음eˑ|에sacolspan="2" |oˑ|오sa
중모음colspan="2" |ə|어sacolspan="2" |
근저모음ɛ|에saɛː|에ːsacolspan="2" |ʌ|어saʌː|어ːsa
저모음colspan="2" |a|아saaː|아ːsacolspan="2" |



/ʌ|어sa, ʌː|어ːsa/는 입술소리(순음) 자음 뒤에서는 둥근 입술 모양의 [ɔ|오sa, ɔː|오ːsa]로 들릴 수 있다.

5. 2. 자음

림부어의 자음은 파열음, 마찰음, 비음, 설측음, 유사음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림부어의 자음 목록을 나타낸 표이다.[10]

자음 음소
colspan="2" |입술치아잇몸혀뿌리잇몸 뒤/
입천장
목젖성문
비음()
파열음/
마찰 파열음
무성()
무성 유기()
유성()()()()
유성 유기()()()()
설측음
마찰음
유사음



괄호 안의 음소는 네팔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나타난다.

6. 문법

림부어는 교착어적인 특징을 가지며, 명사는 격 표지와 조사를 취하고, 중복 격 표시가 자주 발생한다.[1] 림부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타동사의 작용자는 능격 접미사 ''-le/-re/-lle/-ʔille''을 취하고,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ʔin''으로 표시된다.

림부어 동사는 본질적으로 다의적합성을 보이며, 이중 부정어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만, 3인칭 주어 일치와 명사 통합은 결여되어 있다.

6. 1. 격 표지

림부어의 격 표지[1]
격 종류형태
절대격-ʔin
능격-le/-re/-lle/-ʔille
여격-le/-ʔille
소유격-re/-le/-ille
절대격화된 소유격-re-n/-le-n
호격-e
복수 호격-se
드문 호격-re
처소격-ʔo
동반격-nu
목적격-lam
탈격-ʔo-lam/-ʔo-nu
향방격-thak
내격-lum-ʔo
비교격-nulle (동반격 -nu와 소유격 -lle의 결합형)


6. 2. 동사 형태론

림부어 동사는 다의적합성을 보이며,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 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동사에는 시제, 인칭,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접사가 붙는다.

림부어 동사 어휘 형태
+3+2+1중심-1-2-3-4-5-6-7-8-9-10
(kɛ-) 2/(mɛ-) 3/(a-) 포함주어/주어(n- & mɛ-) 부정/Ø 서술동사 어간RR/1>2시상주어/목적어 (이중, 복수, 3인칭 복수, Ø 단수) ##주어 ##부정주어 ##목적어 ##주어 ##1인칭 배타/1인칭 포함(-n/-nɛn) 부정



어간을 Σ로 하면, 자동사 긍정형의 어형 변화는 다음과 같이 모식화할 수 있다.

린부어의 자동사 활용표
과거가 아닌 시제과거
1인칭 단수Σ-ʔɛΣ-aŋ
1인칭 이중수·포괄형a-Σ-sia-Σ-ɛ-tchi
1인칭 이중수·제외형Σ-si-geΣ-ɛ-tchi-ge
1인칭 복수·포괄형a-Σa-Σ-ɛ
1인칭 복수·제외형Σ-i-geΣ-ŋʔna
2인칭 단수kɛ-Σkɛ-Σ-ɛ
2인칭 이중수kɛ-Σ-sikɛ-Σ-ɛ-tchi
2인칭 복수kɛ-Σ-ikɛ-Σ-i
3인칭 단수ΣΣ-ɛ
3인칭 이중수Σ-siΣ-ɛ-tchi
3인칭 복수mɛ-Σmɛ-Σ-ɛ



부정형의 인칭 변화는 이와 다르다. 타동사에서는 주어의 인칭뿐만 아니라, 목적어의 인칭도 어형 변화에 관여한다.

7. 림부 문자 (시리장가 문자)



림부어는 티베트-버마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고유한 문자인 림부 문자(시리장가 문자)를 사용한다.[11] 림부 문자는 18세기 초 시킴에서 불교가 확산되던 시기에 고안되었으며, 레프차 문자와 거의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12]

림부족은 티베트 문자와 시킴 문자와 유사한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많은 림부 책들이 데바나가리 문자와 로마자(영어)로 쓰여졌지만, 현재 림부/야크퉁족은 잘 발달된 컴퓨터 문자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책들이 림부 문자로 출판되고 있다.

키랏-야크퉁 문자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시대설명
고전 키랏-야크퉁 시대시리장가 왕 (서기 9세기)
18세기 키랏-야크퉁항 시대테옹시 시리준가 신 테베와 그의 추종자들의 운동
19세기 키랏-야크퉁 작가와 웅변가들조브한싱 림부, 치앙레싱 페당바, 라나드와지, 지트 모한 시대
20세기 키랏-야크퉁 작가와 웅변가들"야크퉁항 춤룽" 설립(1925년) 이후 여러 책이 출판됨.
이 시대에 림부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의 영향을 많이 받음.
국내외 언어학자, 연구자, 작가들이 이 시대의 문제점을 다룸. 질문, 소통, 발견, 재구성의 시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키랏-야크퉁 작가와 웅변가들1990년 네팔 민주주의 복원 이후. 학교에서 "아니판" 도입, 여러 연구와 저술, 지역 및 세계적 수준의 림부 조직 설립, 지식론의 분리, 재연결 및 연결 시대.


7. 1. 역사

림부 문자는 9세기 시리장가 왕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고, 18세기 테옹시 시리준가 신 테베에 의해 재설계 및 보급되었다.[12] 테옹시 시리준가 신 테베는 야크퉁판, 야크퉁 문화 및 림부 문자 개발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기 때문에 9세기 시리장가 왕의 환생으로 여겨진다.

테옹시 시리준가 신 테베는 림부 문자, 문화 및 언어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타상 승려들은 그가 시킴의 사회, 문화, 언어 구조를 변화시킬지도 모른다고 우려하여 그를 붙잡아 나무에 묶고 독화살로 사살했다.

18세기 후반 이후 네팔에서는 림부어와 문학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지배 엘리트들은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국가 통합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림부 문자 사용이 금지되었고 림부어로 된 글을 소지하는 것이 불법이었다.

1990년 네팔 민주주의 복원 이후 학교에서 "아니판"이 도입되고, 여러 연구와 저술이 이루어졌다. 또한 지역 및 세계적 수준의 림부 조직이 설립되는 등 20세기 후반과 21세기에는 림부어와 문자가 다시 활성화되었다.

7. 2. 특징

림부 문자는 티베트 문자데바나가리 문자의 영향을 받은 아부기다이다. 다른 대부분의 브라마 문자와 달리, 별도의 독립적인 모음 문자가 없고, 자음 문자에 모음 기호가 붙는 형태로 표기된다.[11]

8. 출판 및 교육

림부어로는 여러 논문과 출판물이 발행되고 있다. 1995년부터 월간 신문/잡지인 탄초파(Tanchoppa, 뜻: 아침별)가 발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문학 출판물들이 있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림부어 필사본은 1850년대 다르질링 지방에서 수집되었으며, 현대 림부 문자의 기원이 된다. 이 필사본들은 현재 런던의 인도 도서관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다.

네팔에서는 림부어 교육이 민간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네팔 정부는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초등 교육용 림부어 교과서 "Ani Paan"을 출판했다. 키란트 야크퉁 춤룽은 자체적으로 림부어와 림부 문자 교육을 실시한다.

시킴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림부족 거주 지역의 영어 교육 학교에서 림부 문자로 된 림부어를 방언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300명의 교사가 하루 1시간씩 4000명이 넘는 학생에게 림부어를 가르치며,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림부어 교과서가 있다. 시킴에서 림부어가 중요한 이유는, 인도 주 이름 자체가 '새로운'을 뜻하는 'su'와 '궁전' 또는 '집'을 뜻하는 'khyim'이라는 두 개의 림부어 단어를 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13]

참조

[1] 서적 A Grammar of Limbu 1987
[2] 서적 The Unicode Standard 5.0 Unicode Consortium, Addison-Wesley 2007
[3] 웹사이트 सरकारी कामकाजको भाषाका आधारहरूको निर्धारण तथा भाषासम्बन्धी सिफारिसहरू (पञ्चवर्षीय प्रतिवेदन- साराांश) २०७८ https://languagecomm[...] Language Commission 2021-10-28
[4] 뉴스 Limbu official language in Chulachuli rural municipality https://english.khab[...] 2021-10-29
[5] 뉴스 Limbu language declared official language https://myrepublica.[...] My Republica 2021-10-29
[6] 뉴스 फाल्गुनन्द गाउँपालिकाको सरकारी कामकाजको भाषा याक्थुङ लिम्बु हुने https://silautitimes[...] Silauti Times 2021-10-30
[7] 웹사이트 About Sikkim https://www.sikkimto[...] 2021-11-01
[8] 웹사이트 ᤜᤣᤖᤠᤸᤍ https://sikkim.gov.i[...] 2021-11-04
[9] 서적 A Grammar of Limbu 1987
[10] 서적 A grammar of Limbu https://www.worldcat[...] Mouton de Gruyter 1987
[11] 간행물 1959
[12] 간행물 1959
[13]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2012
[14] 웹사이트 Limbu 2015
[15] 웹사이트 Limbu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