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타운역 (온타리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타운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조지타운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904년에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 현재 GO 트랜싯의 키치너선, VIA 철도 열차가 정차하며, GO 트랜싯 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이 역은 무인역으로, 자동판매기를 통해 티켓을 구매하거나 프레스토 카드를 충전할 수 있으며, 주차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개업한 철도역 - 벨가르드역
    벨가르드역은 프랑스 앵주 벨가르드쉬르발세린에 위치한 철도 분기점으로 리옹-제네바 철도와 오트뷔제선이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1858년 개통 이후 프랑스와 스위스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프랑스국철 설립 후 고속열차 운행으로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쳤으나, 현재는 지역 서비스 위주로 운행이 축소되고 있다.
  • 1858년 개업한 철도역 - 제네바역
    제네바역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주요 기차역으로, 19세기 후반에 건설되어 1929년 현재의 역사가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열차가 운행하고 2035년까지 역 확장 계획을 추진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키치너역
    키치너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다양한 철도 회사와 연결되어 VIA 철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하며, 2027년 키치너 센트럴역으로의 이전을 추진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해밀턴 GO 센터
    해밀턴 GO 센터는 1933년 해밀턴 역으로 개장한 아르 데코 양식의 건물로, 1996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와 버스 서비스를 통합하여 재개장한 철도 및 버스 터미널이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조지타운역 (온타리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조지타운 온타리오 철도역
주소조지타운, 온타리오주 퀸 스트리트 55번지
구조대합실; 문화유산 역사 건물
승강장2면 상대식 승강장
선로2
주차 공간615대
자전거 보관있음
개업1858년
GO Transit 코드GE
구역35
일일 평균 승객 수589명 (2018년)
승객 수 변화율-2.8%
소유주GTR 1856–1923, CNR 1923–1978, VIA Rail 1978–현재
노선 정보
노선VIA 철도 사니아-토론토 선
GO Transit 키치너 선
다른 노선


VIA 철도 인접 역
사니아-토론토 선left1: 궬프
right1: 브램턴
GO Transit 인접 역
키치너 선left2: 액턴
right2: 마운트플레전트
과거 서비스
과거 노선암트랙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캐나다 내셔널 철도 사니아-토론토 선, 해밀턴-앨런데일
암트랙 인접 역 (과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left: 궬프
right: 브램턴
캐나다 내셔널 철도 인접 역 (과거)
사니아-토론토 선left2: 라임하우스
right2: 노발
해밀턴-앨런데일left3: 스튜어트타운
right3: 테라 코타
기타 정보
지정 현황HRSC (1994년 지정, 4622)

2. 역사

조지타운역은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가 토론토에서 사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공사를 진행하던 중 지어졌다.[5] 철도 회사는 노선 완공을 몇 년 앞두고 조지타운역은 토론토 동부에 주로 석회암으로 지어지던 철도역과 달리 목재 건물로 지어질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는데, 이에 대해 여론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조지타운역에도 석회암으로 역을 짓는 걸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역사는 비교적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이였으며, 지북이 뾰족하고 건물 앞뒤 벽에 프렌치 도어가 있는 5개의 출입구가 있었다. 측벽에는 한 쌍의 아치형 창문이 있었고 지붕에는 네 개의 굴뚝이 각 모서리에 하나씩 장식되어있었다. 조지타운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이후 수 년 동안 지역 경제의 성장을 거듭하였으며, 1864년에는 마을로 성장하여 인구가 1,500명으로 늘어났다.[5]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 (H&NW) 노선이 1878년 그랜드트렁크의 조지타운역을 수직으로 통과했으며, 역 건물은 오늘날의 카루더스 로드와 프로미너드 트레일에 지어졌다. H&NW는 처음에 그랜드트렁크 철도를 평면교차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대신 제방을 높이고 그 위에 다리를 놓아 통과하기로 하였다. 개통 1년 만에 해밀턴 & 노스웨스턴은 경쟁자였던 캐나다 북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 (N&NW)를 설립하였다. 9년 후, 그랜드트렁크가 N&NW를 장악하면서 조지타운의 선로 선형이 크게 변경되었다. N&NW를 인수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기존 N&NW 선로를 재배치하여 해당 노선의 열차가 상당한 거리를 후진하지 않고도 그랜드트렁크 역에 정차할 수 있도록 공사가 이루어졌다. 다리는 1891년에 철거되었고 1892년 역 바로 북쪽에 새로운 Y자형 철도 분기점이 지어졌다.[5]

1908년의 조지타운 GTR 역


조지타운은 이제 두 개의 노선이 만나는 철도 분기점이 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그랜드트렁크 철도역을 확장할 필요가 생겼다. 이에 따라 1904년, 이 건물은 훨씬 더 높은 지붕과 건물 북동쪽 모서리에 화려한 터릿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 이와 동시에 수하물 보관서도 역 서쪽에 확장되었고, 프렌치 도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제거되고 일부는 창문으로 개조되었지만 그 위의 둥근 아치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이 외벽의 윤곽과 주변의 석조물은 개조 공사가 완료된 후 남은 유일한 외부 특징이기도 하며, 또한 역 뒤에는 목조 급수탑이 세워졌고, 역 승강장 양쪽 끝에 있는 한 쌍의 스탠드 파이프에 연결된 지하 파이프가 있어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증기 기관차에 물을 채울 수 있었다. 이듬해인 1905년 12월, 토론토와 사니아 사이의 그랜드트렁크 노선 전체가 복선화되면서 조지타운을 지나는 열차 수가 증가하였다.[5]

그랜드트렁크는 20세기 초까지 재정난에 어려움을 겪었고, 그 결과 1923년 국유화되어 새로 설립된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되었다. 특히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교통이 자가용 위주로 바뀌면서 승객 수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0년 밀턴을 통과하는 401번 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 조지타운 주민들은 철도 대신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자동차 중심의 인프라에 집중하면서 조지타운이 토론토의 교외 지역으로 성장하였고, 지역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다.[5] 1966년 조지타운에는 하루 9대의 열차가 정차했는데, 이 중 4대는 중장거리 여객열차였다. 또한 기존 H&NW 노선은 주로 외곽 지역을 운행하는 보조 지선이였기 때문에 열차 운행 횟수가 훨씬 적었다. 조지타운 북쪽으로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1960년에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화물열차 또한 1969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CN이 1975년에 조지타운 북쪽에서 첼튼햄까지 교통부에 폐선을 신청하였고 1983년에 조지타운 북부 구간은 폐선되었지만 조지타운 구간은 1992년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74년까지 조지타운에 정차하는 유일한 열차는 운행 비용이 저렴한 편인 자체 추진 동력의 버드 레일 디젤 동차로 운영하는 통근열차였으며, 이 열차는 같은 해 4월 조지타운선 (오늘날의 키치너선)이 개통하면서 GO 트랜싯이 대신 맡게 되었다. 토론토와 시카고를 운행하는 VIA 철도와 암트랙이 공동으로 운행하던 인터내셔널은 기존 오크빌에서 조지타운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운행을 재개했으며, 이 노선은 2004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5] 하지만 토론토와 사니아를 잇는 VIA 철도 열차와 GO 트랜싯의 통근열차는 운행이 계속되고 있다.[6] 이 역은 1855년에서 1856년 사이에 그랜드 트렁크 철도(Grand Trunk Railway)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GTR의 수석 엔지니어 프랜시스 톰슨이 설계하고 카지미르 그조프스키(Casimir Gzowski)가 건설했다. 1892년에 확장되었고 1904년에는 내부와 외부가 리모델링되었다. 1892년과 1904년 개조 사항 중에는 코너 타워와 운전실의 돌출창이 있었다.[2]

이 역은 1923년 GTR 자산이 이전되면서 캐나다 국립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에 인수되었고, 나중에는 VIA Rail 역이 되었다.[2] GO 트랜짓 운행은 1978년에 시작되었다.

이 역은 한때 증기 기관차를 위한 물탱크가 있었고, 역 건물 양쪽에 플랫폼이 있었으며, 현재 남쪽에는 대형 통근자 주차장이 포장되어 있다.

이 역은 1978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고 1993년부터 2011년까지 GO 트랜짓 역사상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당시 명칭이었던 조지타운 노선의 종착역이었다. 1990년과 1993년 사이, 그리고 2011년 이후 일부 GO 열차는 더 서쪽에 있는 역까지 운행했다. 2015년 현재, 이 노선의 열차 대부분은 이곳에서 출발하고 종착한다.

''국제 한정판(International Limited)''은 시카고와 토론토 사이에서 VIA Rail과 암트랙(Amtrak)이 공동으로 운영했다. 이 서비스는 1982년부터 2004년까지 운행되었다.[3]

2. 1. 초기 역사 (1856년 ~ 1923년)

조지타운역은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가 토론토에서 사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공사를 진행하던 중 지어졌다.[5] 철도 회사는 조지타운역을 목재 건물로 지을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으나, 여론의 반발로 석회암으로 짓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역사는 비교적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로, 지붕이 뾰족하고 건물 앞뒤 벽에 프렌치 도어가 있는 5개의 출입구가 있었다. 측벽에는 한 쌍의 아치형 창문이 있었고 지붕에는 네 개의 굴뚝이 각 모서리에 하나씩 장식되어 있었다.[5] 카지미르 그조프스키가 건설하고, GTR의 수석 엔지니어 프랜시스 톰슨이 설계하였다.[2] 조지타운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이후 수 년 동안 지역 경제가 성장하였으며, 1864년에는 마을로 성장하여 인구가 1,500명으로 늘어났다.[5]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 (H&NW) 노선이 1878년 그랜드트렁크의 조지타운역을 수직으로 통과했으며, 역 건물은 오늘날의 카루더스 로드와 프로미너드 트레일에 지어졌다. H&NW는 처음에 그랜드트렁크 철도를 평면교차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제방을 높이고 그 위에 다리를 놓아 통과하기로 하였다. H&NW는 캐나다 북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 (N&NW)를 설립하였고, 9년 후, 그랜드트렁크가 N&NW를 장악하면서 조지타운의 선로 선형이 크게 변경되었다. 1891년에 다리가 철거되었고 1892년 역 바로 북쪽에 새로운 Y자형 철도 분기점이 지어졌다.[5] 1892년에 확장되었고 1904년에는 내부와 외부가 리모델링되었다. 1892년과 1904년 개조 사항 중에는 코너 타워와 운전실의 돌출창이 있었다.[2]

조지타운은 두 개의 노선이 만나는 철도 분기점이 되었기 때문에 1904년 기존의 그랜드트렁크 철도역을 확장하였다. 더 높은 지붕과 건물 북동쪽 모서리에 화려한 터릿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 수하물 보관서도 역 서쪽에 확장되었고, 프렌치 도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제거되고 일부는 창문으로 개조되었지만 그 위의 둥근 아치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역 뒤에는 목조 급수탑이 세워졌고, 역 승강장 양쪽 끝에 있는 한 쌍의 스탠드 파이프에 연결된 지하 파이프가 있어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증기 기관차에 물을 채울 수 있었다.[5] 이 역은 한때 증기 기관차를 위한 물탱크가 있었고, 역 건물 양쪽에 플랫폼이 있었다.[2] 1905년 12월, 토론토와 사니아 사이의 그랜드트렁크 노선 전체가 복선화되면서 조지타운을 지나는 열차 수가 증가하였다.[5]

그랜드트렁크는 20세기 초까지 재정난에 어려움을 겪었고, 1923년 국유화되어 새로 설립된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되었다.[5][2]

2. 2. 확장 및 개보수 (1892년 ~ 1923년)



조지타운역은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가 토론토에서 사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공사를 진행하던 중 지어졌다.[5] 철도 회사는 당초 조지타운역을 목재 건물로 지을 예정이었으나, 여론의 반발로 석회암 건물로 변경하였다. 역사는 비교적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로, 지붕이 뾰족하고 건물 앞뒤 벽에 프렌치 도어가 있는 5개의 출입구가 있었다. 측벽에는 한 쌍의 아치형 창문이 있었고 지붕에는 네 개의 굴뚝이 각 모서리에 하나씩 장식되어 있었다.[5]

1878년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 (H&NW) 노선이 그랜드트렁크의 조지타운역을 수직으로 통과했다.[5] H&NW는 처음에 그랜드트렁크 철도를 평면교차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제방을 높이고 그 위에 다리를 놓아 통과하기로 하였다. H&NW는 캐나다 북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 (N&NW)를 설립하였고, 이후 그랜드트렁크가 N&NW를 장악하면서 조지타운의 선로 선형이 크게 변경되었다. 1892년 역 바로 북쪽에 새로운 Y자형 철도 분기점이 지어졌다.[5]

조지타운은 두 개의 노선이 만나는 철도 분기점이 되면서 기존 역사를 확장할 필요가 생겼다. 1904년, 건물은 훨씬 더 높은 지붕과 건물 북동쪽 모서리에 화려한 터릿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5] 이 역은 1855년에서 1856년 사이에 그랜드 트렁크 철도(Grand Trunk Railway)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GTR의 수석 엔지니어 프랜시스 톰슨이 설계하고 카지미르 그조프스키(Casimir Gzowski)가 건설했다. 1892년에 확장되었고 1904년에는 내부와 외부가 리모델링되었다. 1892년과 1904년 개조 사항 중에는 코너 타워와 운전실의 돌출창이 있었다.[2] 수하물 보관서도 역 서쪽에 확장되었고, 프렌치 도어는 창문으로 개조되었지만 그 위의 둥근 아치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역 뒤에는 목조 급수탑이 세워졌고, 역 승강장 양쪽 끝에 있는 한 쌍의 스탠드 파이프에 연결된 지하 파이프가 있어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증기 기관차에 물을 채울 수 있었다. 1905년 12월, 토론토와 사니아 사이의 그랜드트렁크 노선 전체가 복선화되면서 조지타운을 지나는 열차 수가 증가하였다.[5]

그랜드트렁크는 20세기 초까지 재정난에 어려움을 겪었고, 1923년 국유화되어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되었다.[5] 이 역은 1923년 GTR 자산이 이전되면서 캐나다 국립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에 인수되었고, 나중에는 VIA Rail 역이 되었다.[2]

2. 3. 캐나다 내셔널 철도 시대 (1923년 ~ 1978년)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가 토론토에서 사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공사를 진행하면서 조지타운역이 지어졌다. 주로 석회암으로 지어지던 다른 역들과는 달리 목재 건물로 지어질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석회암 건물로 변경되었다. 역사는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로, 지붕이 뾰족하고 건물 앞뒤 벽에 프렌치 도어가 있는 5개의 출입구가 있었다. 측벽에는 아치형 창문이 있었고 지붕에는 네 개의 굴뚝이 각 모서리에 장식되었다. 철도 개통 이후 조지타운은 지역 경제 성장을 거듭하여 1864년에는 인구 1,500명의 마을로 성장하였다.[5]

1878년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 (H&NW) 노선이 그랜드트렁크의 조지타운역을 수직으로 통과했다. H&NW는 처음에 평면교차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제방을 높이고 다리를 놓아 통과하게 되었다. H&NW는 캐나다 북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 (N&NW)가 되었고, 1892년에는 새로운 Y자형 철도 분기점이 역 바로 북쪽에 지어졌다.[5]

조지타운이 두 노선이 만나는 분기점이 되면서 1904년 역사를 확장하였다. 더 높은 지붕과 북동쪽 모서리에 터릿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인 개보수가 이루어졌고, 수하물 보관서도 역 서쪽에 확장되었다. 프렌치 도어는 창문으로 개조되었지만 둥근 아치는 그대로 남았다. 역 뒤에는 목조 급수탑이 세워졌고, 승강장 양쪽 끝에 있는 스탠드 파이프에 연결된 지하 파이프를 통해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했다. 1905년 12월, 토론토와 사니아 사이의 그랜드트렁크 노선 전체가 복선화되면서 조지타운을 지나는 열차 수가 증가하였다.[5]

1923년 그랜드트렁크는 국유화되어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통 패턴이 자가용 위주로 바뀌면서 승객 수가 감소하였다. 1960년 밀턴을 통과하는 401번 고속도로 완공으로 주민들은 철도 대신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1966년 조지타운에는 하루 9대의 열차가 정차했으며, 그 중 4대는 중장거리 여객열차였다. 조지타운 북쪽으로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1960년에, 화물열차는 1969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CN은 1975년에 조지타운 북쪽에서 첼튼햄까지 폐선을 신청하였고 1983년에 조지타운 북부 구간은 폐선되었지만 조지타운 구간은 1992년까지 유지되었다.[5]

1974년 조지타운에 정차하는 유일한 열차는 버드 레일 디젤 동차로 운영하는 통근열차였으며, 같은 해 4월 조지타운선 (오늘날의 키치너선)이 개통하면서 GO 트랜싯이 운행을 맡게 되었다. 1982년부터 2004년까지 VIA 철도와 암트랙이 공동 운행하던 인터내셔널이 조지타운을 경유했다.[5] 이후 토론토와 사니아를 잇는 VIA 철도 열차와 GO 트랜싯 통근열차가 계속 운행되고 있다.[6]

2. 4. GO 트랜싯 시대 (1974년 ~ 현재)

1856년 그랜드트렁크 철도가 토론토에서 사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공사를 진행하면서 조지타운역이 지어졌다.[5] 철도 회사는 당초 토론토 동부에 주로 석회암으로 짓던 다른 역과 달리 목재 건물로 지을 예정이었으나, 여론의 반발로 석회암으로 짓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역사는 비교적 단순한 직사각형 건물로, 지붕이 뾰족하고 건물 앞뒤 벽에 프렌치 도어가 있는 5개의 출입구가 있었다. 측벽에는 한 쌍의 아치형 창문이, 지붕에는 네 개의 굴뚝이 각 모서리에 장식되어 있었다.[5]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 (H&NW) 노선이 1878년 그랜드트렁크의 조지타운역을 수직으로 통과했으며, 역 건물은 오늘날의 카루더스 로드와 프로미너드 트레일에 지어졌다. H&NW는 평면교차하려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제방을 높이고 다리를 놓아 통과하기로 하였다. 개통 1년 만에 해밀턴 & 노스웨스턴은 캐나다 북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 (N&NW)를 설립하였다. 9년 후, 그랜드트렁크가 N&NW를 장악하면서 조지타운의 선로 선형이 크게 변경되었다. 1891년에 다리가 철거되었고 1892년 역 바로 북쪽에 새로운 Y자형 철도 분기점이 지어졌다.[5]

조지타운은 두 노선이 만나는 철도 분기점이 되면서 1904년 기존 역사를 확장하였다. 더 높은 지붕과 건물 북동쪽 모서리에 화려한 터릿을 설치하는 등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 수하물 보관서도 역 서쪽에 확장되었고, 프렌치 도어는 창문으로 개조되었지만 둥근 아치는 그대로 남았다. 역 뒤에는 목조 급수탑이 세워졌고, 역 승강장 양쪽 끝에 있는 스탠드 파이프에 연결된 지하 파이프를 통해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증기 기관차에 물을 채울 수 있었다. 1905년 12월, 토론토와 사니아 사이의 그랜드트렁크 노선 전체가 복선화되면서 조지타운을 지나는 열차 수가 증가하였다.[5]

그랜드트렁크는 20세기 초 재정난으로 1923년 국유화되어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교통이 자가용 위주로 바뀌면서 승객 수가 감소하였다. 1960년 밀턴을 통과하는 401번 고속도로 완공으로 주민들은 철도 대신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동차 중심 인프라에 집중하면서 조지타운이 토론토의 교외 지역으로 성장하였고, 지역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다.[5] 1966년 조지타운에는 하루 9대의 열차가 정차했는데, 이 중 4대는 중장거리 여객열차였다. 조지타운 북쪽으로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1960년에, 화물열차는 1969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CN이 1975년에 조지타운 북쪽에서 첼튼햄까지 폐선을 신청하였고 1983년에 조지타운 북부 구간은 폐선되었지만 조지타운 구간은 1992년까지 유지되었다.[5]

1974년까지 조지타운에 정차하는 유일한 열차는 자체 추진 동력의 버드 레일 디젤 동차로 운영하는 통근열차였으며, 같은 해 4월 조지타운선 (오늘날의 키치너선)이 개통하면서 GO 트랜싯이 대신 맡게 되었다.[5] 1978년부터 GO 트랜짓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 역은 1978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고 1993년부터 2011년까지 GO 트랜짓 역사상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당시 명칭이었던 조지타운 노선의 종착역이었다. 1990년과 1993년 사이, 그리고 2011년 이후 일부 GO 열차는 더 서쪽에 있는 역까지 운행했다. 2015년 현재, 이 노선의 열차 대부분은 이곳에서 출발하고 종착한다. 토론토와 시카고를 운행하는 VIA 철도와 암트랙이 공동으로 운행하던 인터내셔널은[5] 국제 한정판(International Limited)''은 1982년부터 2004년까지 운행되었다.[3] 기존 오크빌에서 조지타운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운행을 재개했으나, 2004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5] 하지만 토론토와 사니아를 잇는 VIA 철도 열차와 GO 트랜싯의 통근열차는 운행이 계속되고 있다.[6]

3. 역 구조 및 시설

조지타운역은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무인역으로, 통근열차 티켓 구매나 프레스토 카드 충전은 자동판매기에서 가능하다.[7] 프레스토 카드가 없는 경우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페이로 출발역과 도착역 단말기에 태그하여 요금을 정산하거나, 스마트폰으로 GO 트랜싯 홈페이지에서 이티켓(e-ticket)을 구매할 수 있다.[7] 토론토나 사니아 방면 VIA 철도 열차 이용 시 VIA 철도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 고객센터를 통해 사전에 표를 예매해야 한다.[8]

역에는 대합실, 화장실, 와이파이, ATM기, 공중전화가 있으며, 승강장에는 두 개의 본선 선로를 통해 캐나다 내셔널 철도, VIA 철도, 고드리치-엑시터 및 GO 트랜싯 열차가 운행한다.[7] 역 북쪽 야적장에는 4개의 선로와 1개의 승강장을 통해 GO 트랜싯 열차를 정박하거나 열차가 역에 정차하며, VIA 철도는 역 건물과 인접한 남쪽 승강장을 이용한다.[7]

역에는 두 곳의 주차장이 있다. 남쪽 주차장에는 425대, 북쪽 주차장에는 223대의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최대 48시간 무료 주차가 가능하다.[7] 자주 이용하는 차량은 주차 공간을 예약할 수 있고, 카풀 승객을 위한 전용 주차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7]

4. 운행 계통

조지타운역에는 GO 트랜싯의 키치너선 열차가 평일에 토론토 방면 하루 12대, 키치너 방면 열차가 8대 정차하며, 당역 종착 열차 2대, 궬프 및 런던행 열차가 각각 1대씩 정차한다.[4] 나머지 시간대에는 궬프, 조지타운, 브램턴, 토론토 시내 및 노스요크를 오가는 버스가 최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주말에는 키치너선 열차가 마운트플레전트역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마운트플레전트역 및 노스요크의 요크밀스 버스 터미널 방면 버스가 1시간씩 번갈아 운행하며, 반대 방향으로는 당역 종착 버스와 궬프 대학교까지 가는 버스가 1시간씩 번갈아 운행한다.[4]

VIA 철도는 토론토 방면 열차가 하루 1대, 사니아 방면 열차가 하루 1대 정차한다.

4. 1. 열차 운행

조지타운역에는 GO 트랜싯의 키치너선 열차가 평일에 토론토 방면 하루 12대, 키치너 방면 열차가 8대 정차하며, 당역 종착 열차 2대, 궬프 및 런던행 열차가 각각 1대씩 정차한다.[4] 나머지 시간대에는 궬프, 조지타운, 브램턴, 토론토 시내 및 노스요크를 오가는 버스가 최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주말에는 키치너선 열차가 마운트플레전트역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마운트플레전트역 및 노스요크의 요크밀스 버스 터미널 방면 버스가 1시간씩 번갈아 운행하며, 반대 방향으로는 당역 종착 버스와 궬프 대학교까지 가는 버스가 1시간씩 번갈아 운행한다.[4]

VIA 철도는 토론토 방면 열차가 하루 1대, 사니아 방면 열차가 하루 1대 정차한다.

4. 2. 버스 운행

조지타운역에는 GO 트랜싯 버스가 정차하며, 시내버스는 다니지 않는다. 다만 홀턴힐스에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셔틀 밴인 액티밴을 운행하며, 이 서비스는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9]

노선종점경유지기준일비고
31조지타운 ↔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2023년 6월 24일[9]
31A조지타운 ↔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31B조지타운 ↔ 브래멀리역
31E조지타운 ↔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궬프 / 킹, 마운트플레전트역, 메인 / 보베이어드, 브램턴 시내 터미널, 쇼퍼스 월드 브램턴, 스틸즈 / 퍼스트걸프, 브래멀리역, 맬튼역,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31F조지타운 ↔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궬프 / 킹, 마운트플레전트역, 메인 / 보베이어드, 브램턴 시내 터미널, 쇼퍼스 월드 브램턴, 스틸즈 / 퍼스트걸프,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31M궬프 대학교브램턴 시내 터미널메인 / 크로스, 액턴역, 알마 / 잉커맨, 궬프 센트럴역, 궬프 대학교
33궬프 / 노스요크
33E조지타운 ↔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궬프 / 킹, 마운트플레전트역, 메인 / 보베이어드, 브램턴 시내 터미널, 쇼퍼스 월드 브램턴, 휴론타리오 / 407번, 킬 / 401번, 요크데일 버스 터미널, 요크밀스 버스 터미널
33F궬프 대학교마운트플레전트역궬프 / 킹, 마운트플레전트역
33G조지타운 → 마운트플레전트역궬프 / 킹, 마운트플레전트역



GO 버스 31번[4]은 궬프, 조지타운, 브램턴, 토론토를 잇는다. GO 버스 33번[4]은 궬프, 조지타운, 브램턴, 요크데일, 요크밀스를 경유한다.

5. 인접 정차역


6.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Detailed ridership map released for GO and UP Express stations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19-01-30
[2] 웹사이트 VIA Rail/Canadian National Railways Station, 55 Queen Street, Georgetown, Ontario http://www.historicp[...] 2019-02-19
[3] 웹사이트 Final Run of the Amtrak - VIA International http://www.trainweb.[...] TrainWeb.org 2015-08-04
[4] 웹사이트 Kitchener Line Schedule https://www.gotransi[...] GO Transit 2020-01-11
[5] 웹인용 Georgetown Station (Grand Trunk Railway) https://www.trha.ca/[...] 2023-05-25
[6] 웹인용 Final Run of the Amtrak / VIA International http://www.trainweb.[...] TrainWeb 2018-06-30
[7] 웹인용 Georgetown GO https://www.gotransi[...] 2023-05-26
[8] 웹인용 Georgetown train station https://www.viarail.[...] 2023-05-26
[9] 웹인용 Kitchener: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